ISSN : 2287-8165(Online)
베트남 식물유전자원의 관리현황
Status and Management of Plant Genetic Resources in Vietnam
Abstract
- 베트남의 농업현황
- 베트남의 식물유전자원의 관리현황
- 식물유전자원의 보존 및 관리 현황
- 1. 식물유전자원의 수집
- 2. 식물유전자원의 보존
- 3. 식물유전자원의 평가 및 이용
- 식물 유전자원 관리에 중요한 과제
- 식물 유전자원 관리기관
- 고 찰
- 적 요
- 사 사
유전자원에서 원하는 유전형질을 얻기 위해서는 다양한 형질을 지닌 소재가 필요하다. 농업유전자원은 그 동안 농업적으로 이용되어 왔거나 잠재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인류의 식량난을 해결해 줄 수 있는 유일한 방안이며, 의약품, 의복, 연료, 천연물신소재의 원료로 인류복지에 기여할 뿐 만 아니라 농업생명공학연구의 기본 소재이기도 하다(Kim et al., 2010, Kim 2006, Kim et al., 2008). 유전자원이 농업적으로 유용하게 이용되기 위해서는 유전적다양성 확보가 반드시 필요하다.
세계적 다국적 기업들은 분자육종기술의 지적재산권 확보를 통하여 우수 품종을 독점하고 있을 뿐 아니라 외국정부에서도 종자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적, 재정적 지원 및 혜택을 주고 장려하고 있다(Kim et al., 2009). 또한 유전자원의 무한한 경제적 가치를 인식하고 있는 선진국들은 국가자산으로서 유전자원의 확보, 관리 및 활용에 막대한 투자를 하고 있다. 유전자원에 대한 “배타적 권리” 및 “자원주권” 강화를 위한 국가간 경쟁이 치열하여 국제신품종보호연맹(UPOV, International Union of the Protection of New Varieties of Plants),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World Intellectual Property Organization) 등은 유전자원에 대한 지적재산권 보호를 주장하고, 특허권, 품종보호권 및 보호기간, 침해범위 및 보상액 확대 등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한편, 생물다양성협약(CBD,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과 식량농업식물유전자원국제조약(ITPGRFA, International Treaty on Plant Genetic Resources for Food and Agriculture) “유전자원에 대한 접근 및 이익공유” 관련국제규범 제정을 가시화 하고 있다(농촌진흥청 2009, 2010).
2010년 10월 일본 나고야에서 한국 등 세계 193개국이 가입한 유엔 생물다양성협약(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CBD) 회원국들은 8년여 간 논의를 지속해 오던 「유전자원접근 및 이익공유」에 관한 나고야 의정서를 채택하게 되었다(농촌진흥청 2010). 이 의정서를 계기로 생물자원 부국들의 권리의식이 크게 높아지고 동시에 이들 국가에서 관련법을 제정함으로써 생물자원 부국의 협상력이 증가할 것이다(농촌진흥청 2010).
우리나라는 좁은 국토면적에 비해 생물다양성이 풍부한 편이지만, 그 유전자원의 다양성과 절대량에 있어서는 다른 나라 자원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자원 빈국이다(Oh, 2005). 더구나 유전자원 확보, 관리 및 관련 연구 분야에서 비교적 뒤늦게 시작했기 때문에 해외에서 유전자원을 지속적으로 도입해 오는 것이 중요한 과제이다(Lee et al., 2011).
베트남은 기후대가 다양하고 전 국토의 75% 이상이 산림지대를 이루고 있어 식물 종 다양성이 풍부하여 농업 유전자원확보를 위한 전략적 요충지로 개발가치가 높다(Cho et al., 2011). 그러나 베트남에서 수집하여 보존하고 있는 식물 유전자원은 약 300종(species) 25,000점(accessions)으로 빈약하다할 수 있다. 베트남은 지난 15년 동안 식물 유전자원센터 소속 관리기관에서 식물유전자원 보존과 실제적인 이용은 향상되었으나, 저장시설의 열악성, 포장보존, 수집 유전자원의 부적절한 평가, 현지보존의 참여자나 방법론의 부족, 정부지원예산 및 정책의 부족 등은 유전자원 관리에 중요한 약점이다 (농촌진흥청, 2012).
생물자원의 해외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로서는 다양성 확보를 위해서 베트남의 식물유전자원의 보존과 이용의 약점을 보완해 줌으로써 베트남 유전자원에 대한 체계적인 수집 및 베트남 자원의 평가를 통한 유용자원을 확보하여 기후변화 대응, 유용 물질생산 등을 위한 다양성 확보가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베트남의 농업 일반현황과 유전자원 관리현황을 소개하여 유전자원의 관리현황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베트남 유전자원을 수집, 도입하는 등을 통해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하여 유적자원의 다양성을 확보하여 유전자원 강국 기반을 구축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1)
1) 본 자료는 2012년 3월 아시아 농식품 기술협력 협의체(AFACI) 회원국들의 ‘농업유전자원 종합관리체계 구축’ 기획회의와 2012년 5월 동남아 국가 유전자원 훈련 시 베트남 농업연구청에서 제공한 식물 유전자원 보존관리 현황 자료와 인터넷 홈페이지 자료를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베트남의 농업현황
베트남은 동남아시아 인도차이나반도 동남쪽에 위치한 나라로서 농경지는 약 9,400,000 ha이고 그중 7,300,000 ha에 벼를 경작하고 있다. 베트남 면적의 약 3/4은 산과 고원지대로 구성되어 있고, 지형학적으로나 기후대도 아주 다양하게 분포하고있어 생태학적으로 8개 다른 지역으로 분류되고 있다(Fig. 1).
Fig. 1. 8 distinct agro-ecological regions of Vietnam (The specific natural and cultural conditions).
베트남은 전 인구의 약 88백만명 중 70% 이상이 농촌지역에 거주하고 전 국토의 28%가 농경지로 구성되어 있는 농업국가이다(2011년). 이 나라에서 농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수출액의 1/3을 차지하고 있고, 국민총생산액(GDP)의 약 20%을 점유하고 있다. 그 중에 벼는 농토의 77.7% 이상에 재배되고, 국민의 식량 공급원으로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베트남은 태국에 이어 세계 두번째 쌀 수출국이기도 한데, 2011년에는 42백만 톤의 쌀을 생산하여 7.2백만 톤을 수출하였다. 그 밖의 중요한 식량작물로서 옥수수, 땅콩, 카사바, 두류, 채소등을 재배하고 있다. 공예작물 역시 전체 농업생산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데 2011년 수출액으로 보면 커피는 세계 2위의 수출국으로 1,106천 톤 생산에, 27억 달러(이하US$), 고무가 755천 톤 생산에 33억 달러, 녹차가 824천 톤 생산에 198백만 달러, 캐슈넛과 검정후추가 각각 290천 톤 생산, 13억 달러와 111천 톤 생산, 15억 달러로서 세계 수출 1위이다(Table 1).
Table 1. Main crop with planted area and production in 2010.
베트남은 일부작물의 재배 환경이 적합하여 우리나라에서 재배가 어려운 열대성 작물의 증식 및 평가 등의 장소로 활용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베트남의 식물유전자원의 관리현황
식물유전자원의 보존 및 관리 현황
베트남에서 유전자원의 국가 관리 체계를 갖춘 후 임무가 주어진 국가관리 체계내의 관리기관들은 유용한 유전자원의 수집 관리를 한다. 즉 식물자원 센터(Plant genetic resources of Plant Research Center)는 관리체계내의 관리기관의 업무를 총괄, 조정하고 21개 유전자원 관리기관이 맡은 작물을 확실히 관리하여 식물 유전자원을 유지한다. 베트남에서 식물 유전자원은 약 300종(species) 25,258점(accessions)이 포장, 기내 및 종자 상태로 보존되어 있다(Fig. 2).
Fig. 2. The management situation of plant genetic resources in Vietnam(Source : Plant genetic resources center, Vietnam, 2012).
1. 식물유전자원의 수집
가. 식물유전자원의 기초조사
베트남의 복잡한 지역 특성과 제한된 예산 기술 능력 부족 때문에 유전자원 수집을 위한 기초조사가 특히 북부 산악지역 대부분과 섬 지역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나. 식물유전자원의 수집
베트남에서는 매년 약 500점의 유전자원 이 수집되고 있는데, 2000~2001년에는 국가적인 사업으로 30종 1,600점 이상의 유전자원을 수집하였다, 최근에는 국가적인 사업으로 수몰 위험 지역인 송라 수력발전소와 그 인근 지역에서 집중 수집하였는데, 2009년말 까지 약 5,100점의 식물 유전자원을 수집하였다. 그러나 제한된 예산과 복잡한 지형 때문에, 소실 위험지역 즉 섬이나 고산지역, 개발되는 지역의 식물 유전자원은 수집하지 못하였다.
2. 식물유전자원의 보존
가. 국가유전자원센터에서 관리되는 자원
베트남 농업연구청 소속 식물유전자원센터(Plant genetic resources of Plant Research Center)에서 관리되고 있는 유전자원은 종자은행에 벼 8,100점, 두과작물 2,950점, 채소류 4,060점, 기타 890점등 83종 16,000점의 베트남 토종자원과 영양체 자원 32종 2,300점은 포장에, 기내에는 타로(taro) 150점 이상이 보존되어 있으며, 베트남 지역 자생 과수자원 22종 약 200점은 과수원에 보존되는 등 약 150종 18,300점으로 종자상태, 기내, 포장에서 보존되고 있다(Fig. 2).
나. 지방의 관리기관 보존자원
베트남의 유전자원관리기관은 총 21개이며, 그곳에서 관리되는 식물유전자원은 275종 약 7,000점이다.
다. 보호구역에서 야생 식물유전자원의 보존
베트남정부는 농업적으로 이용가치가 있는 근연야생종과 야생종에 대하여 보호, 보존, 실제적 이용의 최우선과제로 1995년에 생물다양성 확보계획을 수립하여 1996년부터 2005년까지 수행하였다. 그 후로 농업적으로 활용가치가 있는 야생종을 보호하기 위하여 현지보존을 위해 보호구역을 만들었다(Fig. 3).
Fig. 3. Conservation of wild plant genetic resource in the protected areas in Vietnam (Source : Plant genetic resources center, Vietnam, 2012).
라. 식물 유전자원의 현지 보존과 개량
베트남 농민은 재배종을 유지하고 개발하는 일을 한다고 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베트남에서 작물 재배 종자의 30~40%만 공급하고 있기 때문이다. 베트남 농업 식물유전자원센터는 1996년 이후로 식물유전자원의 현지보존을 위하여 23개 과제를 만들어 16개 연구소에서 15,000지역의 농민과 수행하였다.
과제의 목적은 농업유전자원의 다양성 확보를 위한 현지보존, 가정집 정원의 현지보존, 벼 자원의 보존(Fig. 4)을 위해서 수행하였다. 이 과제를 통해서 벼 유전자원은 메콩강 하구지역에서 재래종 약 1,000점을 수집하였는데, 중복자원을 제외하고 812점의 자원을 확보하여, 그 중 지역 적응을 보기위해 농민에게 517점을 다시 공급하여 재배하여 생산과 현지보존을 함께 한 것은 이용을 통한 보존의 시발점이 되었다. 그 외에도 포장보존은 International Plant Genetic Resource Institute(IPGRI) and Swiss Agency for Development, Cooperation(SDC), Asian Development Bank (ADB) and Asian Vegetable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AVRDC) 등 국제기구에서 벼, 타로, 두과작물, 참깨 등을 포장 보존하여 생물다양성 유지를 하고 있다.
Fig. 4. Conservation of wild PGR in the protected areas of rice in Vietnam(Source : Plant genetic resources center, Vietnam, 2012. (a) Diverse local rice varieties of ethnic minorities - well adapted to poor and dry soils, (b) Specialty rice varieties with special aroma, test and color).
베트남은 최근에 농업부, 과학 기술부를 중심으로 식물유전 자원에 대한 현지보존 및 포장보존을 위해 예산을 지원하여 보존하고 있지만, 기상재해나 병충해 등으로 소실위험이 상존하고, 제한된 자원만을 보존할 수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제한된 예산과 복잡한 지형 때문에, 소실 위험지역 즉 섬이나 고산지역, 산업화로 개발되는 지역의 식물 유전자원은 수집하여 저장시설 내에서 안전하게 보존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유전자원이 풍부하지 않는 우리나라는 해외 유전자원에 의존 할 수밖에 없어서 베트남 유전자원을 수집 및 도입으로 안정하게 보존하면서 활용하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3. 식물유전자원의 평가 및 이용
가. 유전자원의 특성평가
약 17,000점의 식물유전자원에 대하여 병해와 충해 저항성 등 30~60개 형질을 특성평가 하고 있다. 벼, 타로(taro), 망고, 루파(Luffa) 등과 재래종내의 유전적 다양성은 분자표지를 이용하고, 65개 형질에 대하여 베트남어와 영어로 된 표준화된 형질과 300작물 25,258점의 작물에 따른 평가 형태가 전 관리기관에서 페스포트 데이터(Passport data)와 특성 기록을 위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사용되고 있다.
나. 유전자원 이용정보
베트남 식물유전자원 웹사이트는 http://www.pgrvietnam.org.vn 이고, 유전자원의 이용과 보존에 관한 정보를 국내외에 제공하고 교환한다.
다. 식물유전자원의 이용
매년 1,000건 이상의 유전자원과 정보를 육종, 연구, 훈련 등을 목적으로 제공한다.
식물 유전자원 관리에 중요한 과제
베트남에서 식물유전자원 관리에 있어서 주요한 문제점은 식물유전자원 관리 전문가의 부족, 산업 발전으로 인한 개발로 유전자원의 소실, 자생식물에 대한 연구 부재, 식물 유전자원에 대한 보존과 개발에 대한 지원 부재, 식물유전자원의 보존 관리에 대한 정책적 지원 부재 등 정부의 무관심 그리고 식물유전자원의 보존과 이용에 관한 정보가 대단히 제한적이라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와 베트남의 연구원 교류를 통한 보존 관리에 관한 기술협력, 유전자원의 수집 및 특성평가의 효율적인 유전자원 보존 관리에 관한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식물 유전자원 관리기관
식물자원센터는 2005년 9월 9일 베트남 농업연구청 소속 식물유전자원센터를 확대 개편하는 법률에 의해서 설립되었다. 식물유전자원센터는 식물유전자원의 수집, 보존, 개발 및 이용을 목적으로 21개 관리기관을 지정하여 만들어졌다(Table 2).
Table 2. The conservation status of Plant genetic resources of Plant Research Center as a coordinator of 21 members of the National PGR Network in Vietnam (2011).
고 찰
농업 유전자원은 주로 신품종 개발에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발효식품, 친환경소재 등의 활용분야가 확대 되고 있다(농촌진흥청 2009, 농업생명공학연구원 2004). 그 외 유전자원은 교육용, 산림녹화, 동물의 병 예방 등 생태적, 사회적 가치에도 활용되고 있다(농촌진흥청 2009). 그간 우리도 농업유전자원의 보존, 관리를 위한 기반구축에 노력하여 세계 6위 수준의 유전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나, 보유자원의 활용 촉진을 위해서는 실제 필요한 자원의 확보, 적정 개체수유지, 기본형질 또는 유용형질에 대한 특성평가 및 정보화 등에 지속적인 연구와 노력이 필요할(Kim, 2008)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의 식물유전자원 다양성확보를 위해서는 지금까지 수집, 도입된 지역 외의 유용한자원 확보가 무엇보다 필요하다.
베트남은 기후대가 다양하고 전 국토의 75% 이상이 산림지대를 이루고 있어 식물 종 다양성이 풍부하여 농업 유전자원 확보를 위한 전략적 요충지로 개발가치가 높다(Cho et al., 2011). 그러나 베트남에서 수집하여 보존하고 있는 식물 유전자원은 약 300종(species) 25,000점(accessions)으로 빈약하다고 할 수 있다(농촌진흥청, 2012).
베트남은 최근에 농업부, 과학 기술부를 중심으로 식물유전 자원에 대한 현지보존 및 포장보존을 위해 예산을 지원하고 있지만 제한된 예산과 복잡한 지형 때문에, 소실 위험 지역 즉 섬이나 고산지역, 도시화, 산업화로 개발되는 지역의 식물 유전자원을 수집하여 안전하게 보존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농촌진흥청, 2012). 유전자원이 풍족하지 못한 우리나라는 해외 유전자원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어서 인류공영의 자산인 유전자원을 국제협력 연구를 통해 공동 수집한 자원을 도입하여 안정하게 보존하면서 활용하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베트남에서 식물유전자원 관리에 있어서 중요한 문제점은 식물유전자원 관리 전문가의 부족, 산업 발전으로 인한 개발로 유전자원의 소실, 자생식물에 대한 연구 부재, 식물 유전자원에 대한 보존과 개발에 대한 지원 부재, 식물유전자원의 보존 관리에 대한 정책적 지원 부재 등 정부의 무관심 그리고 식물유전자원의 보존과 이용에 관한 정보가 대단히 제한적이라는 점이다(농촌진흥청, 2012).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와 베트남의 연구원 교류를 통한 보존 관리에 관한 기술협력이 필요하고, 농촌진흥청에서 추진하고 있는 국제협력 사업인 개도국 농업개발 프로그램(KOPIA)사업과 개도국 유전자원 국제훈련 및 협력 사업을 통해 유전자원의 수집, 특성평가의 효율적인 유전자원 보존 관리에 관한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적 요
베트남은 지형학적으로나 기후대가 아주 다양하게 분포함에 따라 생물다양성이 풍부한 국가이다. 생물다양성확보와 유전자원의 안전보존을 위해서 1987년에 베트남 농업 연구청 소속 식물유전자원센터를 설립하여 1996년에 확대 개편하여 운영하고 있다. 베트남 유전자원센터의 정식명칭은 Center of Plant Genetic Resources(PGR)이고, 식물 유전자원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서 지역 연구소를 중심으로 관리기관을 지정하여 식물 다양성 확보, 식물 유전자원 보존 활용을 위한 기술개발을 촉진하고 있다. 베트남의 국가관리 체계내의 관리기관들은 유용한 유전자원의 수집 관리를 위한 임무를 부여 받았다. 즉 식물자원 센터는 관리체계내의 관리기관의 업무를 조정하고 21개 유전자원 관리기관이 맡은 작물을 확실히 관리하여 식물 유전자원 유지할 수 있게 할 책임이 있다. 베트남에서 식물 유전자원은 약 300종(species) 25,000점(accessions)이 포장, 기내 및 종자 상태로 보존되어 있는데 매년 500점 이상의 식물자원이 수집되고 1,000점 정도가 분양되어 활용되고 있다.
지난 15년 동안 식물 유전자원센터 소속 관리기관에서 식물 유전자원 보존과 실제적인 이용은 향상되었고, 식물유전자원의 현지 보존도 증가하였으며, 농민과 연계한 현지 보존은 재래종 유전자원의 활용을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선발 육종으로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저장시설의 열악성, 포장보존 수집 유전 자원의 부적절한 평가, 현지보존의 참여자나 방법론의 부족, 정부지원 예산 및 정책의 부족 등은 유전자원 관리에 중요한 약점이다.
사 사
본 연구는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과학기술 연구개발사업(과제번호: PJ0085732012)의 지원에 의해 이루어진 것임.
Reference
2.J. G. Hawkes, N. Maxted, and B. V. Ford-Lloyd. 2000. The Ex Situ Conservation of Plant Genetic Resources.
3.Kim, Chang-yung, Jeongran Lee, Mun-Sup Yoon, Yang-Hee Cho, Hyung-Jin Baek, Young-Wang Na, Ho-Cheol Ko, Jae-Gyun Gwag, Hae-Sung Hwang, and Tae-San Kim. 2008. Present Status of plant genetic resources collected/introduced from abroad. Korean J. Intl. Agri. 20(4): 255-262.
4.Kim, Chang-yung, Jeongran Lee, Mun-Sup Yoon, Gyu-Taek Cho, Hyung-Jin Baek, Ho-Cheol Ko, Yang-Hee Cho, Young-Ah Jeon, and Chung-Kon Kim. 2010. Present Status and Future Perspectives for the Use of Genetic Resources in Korean Agriculture. Korean J. Intl. Agri. 22(3): 231~240.
5.Lee, Ho Sun, Jin Chul Chung, Yu Mi Choi, Man Jung Kang, Chang Yong Kim, Young Ah Jeon, and Hyung Jin Baek. 2011. Management System of Gene Bank in International Photato Center(CIP). Korean J. Intl. Agri. 23(1): 30-36.
6.Lee, Sok-Young, Ho-Sun Lee, Young-Yi Lee, Jung-Bong Kim, Jung-Sook Sung, Jae-Gyun Gwag, Jung-Gon Kim, and Mun-Sup Yoon. 2010. Conservation, Use and Research Status of Medicinal Plants in Mongolia. Korean J. Intl. Agri. 21(2):125~131.
7.Vietnam Plant genetic resource homepage. 2012. Available at http://www.pgrvietnam.org.vn
8.김태산. 2006. 국가농업유전자원 관리의 현황과 전망, 한국토종연구회(심포지엄), 1-24.
9.농업생명공학연구원. 2004. 식물유전자원 국가관리 정책 방향과 대책.
10.농촌진흥청. 2009. 식량농업 식물유전자원 국가보고서.
11.농촌진흥청. 2010. 유전자원관련 국제규범 및 국제쟁점에 대한 이해.
12.농촌진흥청. 2012. AFACI Pan-Asia Project Meeting 0n Intergrated Management System of Plant Genetic Resources. 229-253.
13.오윤석. 2005. 식물유전자원에 관한 국제규범 고찰. 농촌경제 28(2): 133-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