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2287-8165(Online)
야콘의 국내외 재배동향과 전망
1. 안데스 지역에서 천년 이상 재배되어 온 야콘의 최근 기능성 성분이 밝혀지면서 전세계적으로 생산 수요가 급증하였다.
2. 야콘은 원산지인 안데스를 벗어나 최근 30년간 전세계적으로 확대되어 일본, 미국, 체코, 독일, 뉴질랜드, 및 우리나라에서 적응성 및 생산성이 검토되었다.
3. 야콘의 생산성은 ha 당 체코 24톤, 에콰도르 41톤, 페루 27 ~ 52톤, 브라질 32 ~ 100톤, 뉴질랜드 40톤, 일본 49톤, 대한민국 19~55톤으로 국가별로 많은 차이를 보인다.
4. 국내에서는 야콘의 기능성 성분이 알려지면서 최근 10년간 야콘의 재배면적과 재배농가 수는 1999년 8ha, 10여 농가에서 2009년에는 166 ha, 447농가로 각각 20배, 45배 증가하였다.
5. 우리나라에서 친환경 재배 가능한 작물인 야콘의 수요가 점진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판단된다.
Domestic and Overseas Status and Future Trends of Yacon Production
Abstract
야콘은 새로운 소득작물로서 우리나라에서 전국적으로 약 166ha 정도 재배되고 출하되고 있으며 신선한 야콘 형태로 주로 판매되고 있다(Kim et al., 2011).
야콘은 고구마와 비슷하게 생겼고 배 맛이 나며, 탄수화물과 지방의 섭취가 많은 반면 육체적 활동이 적은 현대인에게 과일처럼 섭취할 수 있는 기능성 및 기호성 식품으로 가치가 인정되고 있다(Pedreschi et al., 2003).
최근에 많은 연구를 통하여 야콘이 프락토올리고당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식이섬유, 칼륨 및 폴리페놀 등의 항산화 성분도 많다는 것이 알려지게 되었다(Fukai et al., 1997; Goto et al., 1995; Ohyama et al., 1990). 게다가 병해충의 피해가 크지 않고, 화학비료 없이 퇴비만으로도 잘 자라 유기재배도 가능하다는 것이 밝혀지면서 전세계적으로 야콘재배와 수요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Kim et al., 2011; Tsukihashi and Nakanishi, 2004).
본 연구에서는 야콘을 재배 이용 연구하는 주요 국가의 야콘 생산 동향을 분석하고 국내 생산 현황을 파악함으로써 새로운 소득작물로서의 재배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국외 생산 동향
잉카시대(1438~1533)에는 야콘이 주요 작물 중의 하나였지만, 열량이 낮다는 이유로 이후 사람들에게 큰 관심을 받지 못하였다(Rea, 1997). 1981년에 야콘이 유엔식량농업기구(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FAO)에서 멸종위기종으로 선언된 이후 유전자원국제협의회(International Council for Fitogenetic Resources, ICFR)에 의해 연구개발을 지원받기로 결정되었다(Grau and Rea, 1997). 야콘재배는 지난 40년 동안 남미에서 북미, 유럽 등 여러 대륙으로 확대되었다(INE, 2010; National Research Council, 1989).
야콘은 아메리카에서 페루와 볼리비아를 중심으로 오랫동안 재배하고 있으며(Franco and Rodriguez, 1997; INE, 2010; National Research Council, 1989; Seminario et al., 2001, 2002). 체코, 독일, 러시아, 이탈리아 및 스페인 등 유럽에서는 야콘의 잎과 괴근의 생산성을 검토한 바 있었다(Bredemann, 1948; Fernández et al., 1997; Graefe, 2002; Grau and Rea, 1997; Havrland and Kapila, 2002). 아시아에서는 일본이 생산성 향상을 위한 재배 및 품종육성, 품질 분석 등 선도적으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Fujino et al., 2008; Tsukihashi et al., 1989; Tsukihashi and Nakanishi, 2004).
페루
야콘의 유전자원은 페루의 아푸리막강(Apurimac river) 유역에서부터 볼리비아의 서부 라파스강(La Paz river) 유역 해발고도 1,000 ~ 2,300 m의 습윤한 아열대지역을 중심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지금은 남아메리카에서 페루와 볼리비아를 중심으로 많이 재배되고 있다(Franco and Rodriguez, 1997; Seminario et al., 2001, 2002). 밭의 가장자리나 뒤뜰에 일부 심었으며(Hermann et al., 1999), 지역 시장에 소규모로 판매하기도 하였다(Grau et al., 2001).
야콘은 페루의 안데스 동쪽 습기가 있는 경사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이 지역은 야콘이 생육하는 기간 동안 강우와 안개가 자주 있으며 나머지 2~4개월은 상대적으로 상당히 건조하다. 이렇게 건조하고 약간 쌀쌀한 기후조건은 야콘이 생육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히 괴근이 비대하는 데 유리한 조건을 만들어 준다고 한다(CIP, 2010).
페루는 해발고도 2,000 ~ 4,000 m 지역을 고산 농업지대로 분류하고 있다. 10월 말부터 4월까지는 우기이고, 겨울에 해당하는 5월부터 10월까지의 건기는 밤의 온도가 낮으며 가끔 영하로도 떨어지기도 하며 강우량이 적어 대부분의 작물은 10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 재배된다. 고산지대인 꾸스꼬(Cusco)의 경우, 우기의 월간 강우량은 104 mm로 우리나라의 고랭지인 대관령의 7~8월 강우량 111mm 비슷하지만 건기의 강우량은 월간 강수량 14 mm로 적다(Table 1). 우기는 우리나라의 여름철에 해당되는데, 낮에는 일조량이 풍부하고 자외선이 강하며 오후 한때 혹은 저녁 무렵에 한 차례 비가 내려주어 작물 재배에 적절하다(CIP, 2010).
Table 1. Average precipitation data per month in Peru. (Unit : mm)
페루에서는 9월 초부터 11월 말까지 휴간 70 ~ 100 cm, 주간 60 ~ 80 cm로 관아를 심는다(Table 2). 야콘은 생장속도가 빠르고 병해충에 대한 저항성이 높아 재배기간 동안 해충과 잡초의 피해는 그다지 크지 않다. 야콘은 해발 600 ~ 2,500 m이하의 중간고도지역에서는 6~7개월 후에 수확하고, 2,500 m이상 해발고도가 높은 지역 에서는 1년이 지난 후에 수확한다. 페루는 날씨가 따뜻하여 연중재배가 가능한데(Grau and Rea, 1997) 평균 수량은 약 27~52톤/ha이다(Kakihara et al., 1996).
Table 2. Comparasion of yacon cultivation technique in major yacon producing countries.
페루에 위치한 국제농업자문그룹(Consultative Group on International Agriculture Research, CGIAR)의 산하기관인 국제감자연구소(International Potato Center, CIP)는 야콘 유전자원을 다양하게 보유하고 있다(Lee et al., 2011).
페루의 야콘 수출 품목으로는 시럽이 가장 많으며 그 밖에 분말, 추출품, 건조품, 캡슐 등이 있다. 수출 대상국에 따라 거래량을 살펴보면 미국이 59%로 가장 많으며, 일본 12%, 독일 10%, 영국 8%, 네덜란드 3%, 프랑스 2% 순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CIP, 2010).
체코
유럽은 체코, 독일, 러시아 등에서 야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데(Bredemann, 1948; Fernández et al., 1997; Graefe, 2002; Tjukavin, 2001) 그 중 체코에서 재배가 가장 활발하다. 체코에서는 뉴질랜드, 독일, 에콰도르, 볼리비아에서 야콘을 도입하여 생산성을 검토하였다.
프라하의 해발고도는 286 m이며 기후는 온난하거나 약간 건조한 편으로서 연평균 기온은 8.7℃, 영양생장기 동안의 평균 기온은 15℃이다. 연평균 일조시간은 1,851시간이며 영양생장기 동안의 일조시간은 1,156시간이다. 연평균 강수량은 515 mm이며 생육기간 동안의 강수량은 325 mm이다(Fernández et al., 2006).
체코의 평균 수량은 24톤/ha(Fernández et al., 2006)으로 에콰도르 41톤/ha(Nieto, 1991), 페루 27 ~ 52톤/ha(Franco and Rodriguez, 1997; Lizàrraga et al., 1997; Seminario et al., 2001, 2002), 브라질 32 ~ 100톤/ha(Vilhena et al., 2000), 뉴질랜드 40톤/ha(Douglas et al., 2002) 보다 전반적으로 적었다(Table 3).
Table 3. Average yacon production and production range in yacon major production countries.
괴근의 비대에는 수분이 중요한데 체코의 경우, 강수량이 387 mm로 재배기간 중에 비교적 많은 비가 온 2002년(387 mm)에는 수량이 29.8톤/ha이었으나 강수량이 211 mm로 적었던 2003년에는 21.0톤/ha에 그쳤다.
체코에서는 재배기간이 163일로 일반적인 재배기간인 210 ~ 270일보다 짧고(Meza, 1995), 정식초기인 5월과 수확시기인 10월에 서리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Fernández et al., 2006).
뉴질랜드
뉴질랜드에서는 Dick Endt가 1982년에 에콰도르로부터 처음 야콘을 도입하였으나 처음부터 상업적인 작물로 정착되지 못했다(Endt, 1983; Grau and Halloy, 1994). 그러나 최근 다시 야콘의 기능성에 관심을 가지면서 연구가 재개되었고 수량과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재배방법을 개발하기 시작했다. 뉴질랜드에서는 평균기온이 19 ~ 23℃로 주간 60 ~ 80 cm, 휴간(이랑간격) 70 ~ 100cm로 하여 재배하였다(Table 2).
뉴질랜드와 같이 겨울에 동상해를 받으므로 봄에 야콘을 심어서 가을에 수확한다. 재배기간은 남미지역과 유사한 6~7개월 정도인데 11월에 정식하고, 3월부터 수확을 시작하여 서리가 생장을 억제하지 않는 6월까지 수확할 수 있었다(Douglas et al., 2002). 괴근 수량은 4월, 5월, 6월에는 각각 29, 57, 96톤/ha을 수확하였다(Table 3). 뉴질랜드에서는 2001년 기준 10 ha 정도의 소규모로 상업적으로 야콘을 재배하고 있었다. 수확할 때 괴근과 관아가 많이 손상되므로 이를 최소화 하기위해 대부분 손으로 수확하였다. 수확한 야콘은 추출물, 다양한 제품 또는 주스로 가공하였다.
일본
일본은 1984년에 다끼 종묘회사가 뉴질랜드의 탑라인(Top-line)회사로부터 페루원산계통(페루 A계통이라 함)을 처음으로 도입하여 약 10 ha 정도 재배하기 시작했다 (Tsukihashi and Nakanishi, 2004; TPRA, 1984).
야콘이 도입된 초기에는 생육특성이 잘 알려지지 않아 전국 각지에서 소규모로 재배되었다. 여름철의 더위가 심한 곳에서는 수량이 줄어들기도 하였고, 품질이 떨어져서 재배를 포기하는 곳이 많았다(Tsukihashi, 1999). 괴근 수량은 42 ~ 52톤/ha을 수확하였다(Table 3). 일본의 야콘 재배면적은 2001년 기준으로 40 ~ 50ha로 추정하였다(Tsukihashi and Nakanishi, 2004).
일본에서 새로운 작물에 흥미를 가진 사람들이 전국 각지에서 재배한 결과, 여름에 서늘한 지역에서 생육이 건전하고 왕성하며 괴근의 수량이 많고 품질이 우수하다는 것이 밝혀졌다(Tsukihashi, 1999). 조직배양을 통한 건전한 묘를 생산하는 대량 번식체계를 시도하였다(Kuroda et al., 1993).
국내 생산 동향
생산 현황
우리나라에서는 야콘이 농촌진흥청에 의해 1985년 처음 도입되어 1986년과 1987년 시험연구를 거쳐 1988년부터 농가에 보급되었는데(Kim and Jeong, 1986), 초창기에는 재배방법이 확립되지 않아 널리 재배되지 못했다. 1999년 상주·영주·강릉·강화 등의 일부 지역에서 8ha정도 재배되었고, 2009년에 이르러서는 전국 각지로 확대되어 재배면적이 166ha까지 약 20배 증가하였다(Kim et al., 1995, 2011; RDA, 2002). 감자나 고구마에 비해 생산량은 55톤/ha으로 2~3배 많고(KREI, 2010; SK, 2010). 소득은 17,748US$로 감자와 고구마에 비해 두 배 이상 높아(Table 4) 고소득 작물로 부상하고 있다(Kim et al., 2011).
Table 4. Comparison of cultivation area, productivity and total production of yacon with potato and sweet potato in Korea.
야콘은 병해충의 피해가 크지 않고 유기재배가 가능하고, 재배관리 노력이 적게 들고 수량이 많은 점 등이 생산자에게 인식되어 최근에는 작목반을 중심으로 전국적으로 재배지역이 늘어나고 있다(Kim et al., 2011; Ryu et al., 1997).
최근 10년간 야콘의 재배면적과 재배농가 수는 급격하게 늘어나서 1999년 8ha, 10여 농가에서 2009년에는 166 ha, 447 농가로 증가하였다(Fig. 1). 지역별 재배면적은 경북 58 ha(35%), 강원 30 ha(18%), 경기 20 ha(12%) 순이다. 재배농가 수는 서울에서 가까운 경기도 지역이 117개 농가(26%)로 가장 많았고, 강원 69농가(15%), 경북 54농가(12%)의 순으로 나타났다(Fig. 2). 야콘 재배농가의 경력은 평균 7년이었으며, 특히 2000년 이후 재배를 시작한 농가가 전체의 68%로 야콘 재배가 최근 들어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Fig. 1).
Fig. 1. The cultivation area (a), farmer number (b), and periodical variation (c) of yacon cultivation in Korea.
Fig. 2. The cultivation area (a), farmer number (b) of yacon according to provinces in Korea.
야콘을 찾는 소비자가 증가하면서 인터넷을 통한 단골 직거래가 증가하고 있고, 야콘즙, 야콘잎차를 비롯한 다양한 가공품들이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어(Kim, 2005; Shin et al., 2007) 소비는 꾸준히 증가하고, 재배면적도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데 이러한 추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재배적지
야콘은 새로 도입된 작물이기 때문에 각 지역에 적용할 수 있는 재배기술이 아직 확립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고품질의 괴근을 생산할 수 있는 재배 적지를 선정하고 재배기술과 수확 후 저장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리라 판단한다. 야콘은 재배가능지역이 해발고도 10 ~ 3,500 m로서 고도 적응이 광범위하다고 보고한 것처럼(Tsukihashi, 1999) 평지에서부터 고랭지까지 재배가 가능하였다. 대표적인 야콘 재배지역으로는 경상북도의 봉화·영주, 강원도의 강릉·철원, 경기도의 여주·양평, 충청북도의 옥천, 전라남도의 나주·진도·순천 등이 있다(Kim et al., 2011). 하지만 야콘은 새로 도입된 작물이기 때문에 각 지역에 적용할 수 있는 재배기술이 아직 확립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고품질의 괴근을 생산할 수 있는 재배 적지를 선정하고 재배기술과 수확 후 저장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일본의 야콘 재배적지는 해발고도 500 m의 준고랭지라고 보고되었는데(Tsukihashi, 1999), 이는 우리나라의 해발고도 500 ~ 600 m사이의 준고랭지에서 품질이 우수하였다고 보고와 일치하였다(Kim et al., 2011). 평난지에서 야콘을 재배하면 여름 고온기에 새로운 잎의 신장이 나쁘고 성숙한 잎이 시들고 마르는 등의 고온장해가 발생하여 괴근의 비대가 현저하게 저해되어 수확량이 떨어지지만 해발고도 500 m 전후의 준고랭지에서는 고온장해가 경미하여 수확량이 많고 열근 현상이 적다고 하였다(Doo et al., 2001; Kim et al., 2011). 더위가 심한 곳에서는 수량이 떨어지고 괴근의 품질이 나쁘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는 여름철 재배로 고품질 생산이 힘들다. 또 바람이 많은 지역에서는 줄기가 쓰러지기 쉬워서 수량이 떨어지며(Kim et al., 1990). 생육 초기인 늦봄이나 수확기인 가을에는 서리 피해를 받아 품질이 나빠지는 경우도 발생하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Kim et al., 1991, 1994, 2011; Park, 1993; RDA, 2002). 우리나라에서도 여름이 서늘한 지역에서 야콘을 재배하면 고품질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된다(Doo et al., 2001; Kim et al., 2011).
기후 조건
최적의 생육 온도는 18 ~ 25℃지만 물만 충분히 공급되면 40℃에서도 커다란 수량 감소 없이 재배가 가능하다. 우리나라는 사계절이 뚜렷하고 여름인 7~8월이 장마기이며, 겨울인 11 ~ 2월에는 건조하며 영하로 떨어지는 날이 많다. 평균기온은 대관령 14.6 ~ 16.3℃, 진부는 16.8 ~ 17.5℃이었고, 철원 19.0 ~ 20.0℃, 여주 20.0 ~ 20.8℃, 강릉 20.3 ~ 21.2℃, 순천 20.4 ~ 21.5℃, 옥천 20.8 ~ 21.7℃이지만 고온기에는 많은 지역이 생육적온을 초과한다(Table 5). 예를 들면, 7~8월 고온기에 순천의 평균온도는 29 ~ 31℃로서 야콘의 생육적온인 18 ~ 25℃보다 4~6℃ 높았다(Grau and Rea, 1997). 진부 또는 봉화의 평균온도는 17.2 ~ 18.5℃로 야콘의 생육적온과 비슷하여 최적 재배지로 판단된다.
Table 5. Meteorological data of major yacon cultivation area for its crop period in Korea.
일반적으로 야콘재배에 적절한 연간 강수량은 800 mm 수준이다. 야콘 묘를 정식하는 5월에는 비가 충분히 내려야 묘가 잘 활착된다. 2010년의 경우 준고랭지와 고랭지의 전체 강수량이 평년보다 적어 초기 활착이 떨어졌다. 일조시수 역시 2010년이 평년보다 적었다.
발전 방안
친환경 농업
환경보전형 친환경 농업은 광범위하고 장기적인 사회 이익추구, 경제개발과 환경지속성의 균형, 순환형 종합농업체계, 생태계 특성을 활용한 전통 농업기술의 현대화, 그리고 소가족농 체계 등이 강조되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 소비자들은 농산물의 안전성을 최우선적으로 요구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안전농산물을 생산하는 친환경농업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실정이다. 더욱이 친환경 안전 농산물에 대해서는 여러 단계에 걸쳐 잔류농약 검사 등이 강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농약 안전성을 중심으로 한 고품질 안전농산물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재배과정에서 여러가지 제약 요인과 어려움이 뒤따를 수밖에 없다.
이와 같은 여건을 고려할 때 야콘은 안전농산물을 생산하기에 최적의 작물이라 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야콘은 다른 작물에 비해 병해충의 발생이 매우 적어 농약을 살포하지 않고도 재배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생육이 왕성하여 화학비료를 많이 주지 않고 유기재배로도 가능하다. 따라서 야콘은 다른 작물에 비해 친환경 안전농산물로서의 재배가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한다.
기능성 식품 개발
현재 야콘에 있어 프락토올리고당, 폴리페놀 등과 같은 기능성 생리활성물질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야콘즙, 야콘차, 야콘과자 등 다양한 가공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야콘은 생활습관병을 천연의 힘으로 예방하고 개선하고자 하는 현대인에게 중요한 작물이다. 야콘에 들어있는 기능성 성분 중의 하나가 프락토올리고당이다. 프락토올리고당을 많이 함유한 식물로는 우엉과 양파가 알려져 있는데, 야콘이 프락토올리고당의 왕이라는 것이 밝혀짐에 따라 기능성 작물로서 각광받고 있다(Tsukihashi, 1999). 프락토올리고당의 첨가는 설탕보다 높은 점도, 다른 당류에 비해 낮은 수분활성, 전분질 식품의 노화방지와 식품 재료의 색을 좋게 하는 효과가 있다(Kim, 2005).
야콘은 섬유질이 풍부한 알칼리성 식물로서 당도가 높고 수분이 많아 깎아서 먹으면 배 맛이 나기 때문에 땅속의 과일이라고 할 수 있다. 땅속의 과일이라는 찬사를 받을 만큼 충분한 가치가 있는 작물로 야콘 추출물은 황색포도상구균, 대장균, 녹농균, 식중독의 원인이 되는 쥐티푸스균에 대해서도 강한 항균력을 나타내었고(Kim, 2005), 콜레스테롤의 저하 및 변비 개선 등의 유익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Anderson et al., 1994).
따라서 야콘은 맛이나 영양가 측면에서 우리 국민의 기호도에 맞아 이용성이 큰 작물이다. 또한 일반인에게는 새로운 기능성 건강식품으로서 개발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농촌 체험과 그린 투어리즘
최근의 농업정책은 과거와는 달리 도시와 시골이 상생하는 도농 교류정책이 점차 강화되고 있다. 또한 귀농귀촌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정책은 지역농업을 특성화 시키고, 농촌 자원에 대한 부가가치를 증진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 농업인의 소득을 높이고 아울러 도시인의 삶의 질을 향상 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농촌체험마을, 1사1촌 맺기, 그린투어리즘 등은 이러한 정책의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최근에 야콘은 이러한 현장체험을 위한 작물로서의 가치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즉, 심고 재배하고 수확하는 즐거움과 더불어 농가현장 즉석에서 야콘을 과일처럼 깎아 먹으면서 현장체험학습을 하기에 가장 좋은 작물이기 때문이다. 또한 현장에서 간편하고 다양한 요리를 통해 음식문화 체험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야콘은 건강 안전 농산물로서의 가치가 높아 소비자 선호도가 가장 높은 작물이기 때문에 농촌현장체험 및 그린 투어리즘을 위한 재배작목으로서 그 가치가 매우 높은 작물이라고 할 수 있다.
Reference
2.Bredemann, G. 1948. Über Polymnia sonchifolia Poepp. and Endl.(Polymnia edulis Wedd.), die Yacon. Erdbirne. Botan. Pecin(About Polymnia sonchifolia Poepp. & Endl. Polymnia edulis Wedd. The yacon. Bot. Oecon), (Hamburg). 1: 65–85 (In German).
3.CIP(International Potato Center). 2010. http://www.cip.potato.org
4.Doo, H.S., J.H. Ryu, K.S. Lee, and S.Y. Choi. 2001. Effect of plant density on growth responses and yield in yacon. Kor. J. of Crop Sci. 46: 407-410.
5.Douglas, J.A., J.J.C. Scheffer, I.M. Sims, and C.M. Triggs. 2002. Maximizing fructo-oligosaccaride production in yacon. Proc. Agron. Soc. NZ 32: 49-55.
6.Endt, A. 1983. The yacon and aniu new from South America. Com-mercial Hort. 32: 14-15.
7.Fernández, C.E., J. Michl, and H. Lipavska. 1997. Determination of saccharides content in different ecotypes of yacon (Polymnia sonchifolia) cultivated under conditions of the Czech Republic. Agricultura Tropica et Subtropica. 30: 79-87.
8.Fernández, C.E., I. Viehmannová, J. Lachman, and L. Milella. 2006. Yacon [Smallanthus sonchifolius (Poeppig and Endlicher). H. Robinson]: a new crop in the Central Europe. Plant soil Envi-ron. 12: 564-570.
9.Franco, P.S. and C.J. Rodriguez. 1997. Caracterizacion y evaluacion del germoplasma de llacon(Polymnia sonchifolia Poepp. And Endl.) del INIA en el valle de Cajamarca. IX Congreso Internacio-nal de Cultivos Andinos: Libro de resumenes, 22-25 de abril. Uni-versidad Nacional de San Antonio Abad del Cusco(UNSAAC), Centro de Investigacion en Cultivos Andinos(CICA), Asociacion ARARIWA, Cusco, Peru p. 55.
10.Fujino, M., T. Nakanishi, J. Ishihara, S. Ono, Y. Doi, M. Sujura, and K. Tomioka. 2008. New yacon cultivars, 'Andes no Yuki' and 'Salad Okame'. Bulletin of the National Agricultural Research Center for Western Region. pp. 131-143.
11.Fukai, K., S. Ohno, K. Goto, F. Nanjo, and Y. Hara. 1997. Seasonal fluctuations in fructan content and related enzyme activities in yacon (Polymnia sonchifolia). Soil Science and Plant Nutrition 43: 171-177.
12.Goto, K., K. Fukai, J. Hikida, F. Nanjo, and Y. Hara. 1995. Isola-tion and structural analysis of oligosaccharides from yacon(Polymnia sonchifolia). Biosci. Biotech. Biochem. 59: 2346-2347.
13.Graefe, S. 2002. Post-harvest compositional changes of yacon roots(Smallanthus sonchifolius Poepp. and Endl.) as affected by storage conditions and cultivar. MS thesis, University of Kassel, Germany. p. 63.
14.Grau, A. and S. Halloy. 1994. Feast or famine tuber tests. Trials of South American varieties could see a much wider selection of tubers on our tables. Growing Today. pp. 28-33.
15.Grau, A. and J. Rea. 1997. Yacon, Smallanthus sonchifolius (Poepp. and Endl.) H. Robinson. In: Hermann M. and J. Heller(eds.): Andean roots and tubers: Ahipa, arracacha, maca and yacon. Pro-moting the conservation and use of underutilized and neglected crops. 21. Institute of Plant Genetics and Crop Plant Research. Gatersieben/ International Plant Genetic Resources Institute. Rome, Italy. pp. 199-242.
16.Grau, A., A.M. Kortsarz, M.J. Aybar, A.N. Sanchez Riera, and S.S. Sanchez. 2001. El retorno del yacon. Ciencia Hoy 11(63):np. http://www.cienciahoy.org
17.Havrland, B. and P. Kapila. 2002. Agricultural Technology Manage-ment Program 'Agro-expert'. Agric. Trop. Subtrop. pp. 3-14.
18.Hermann, M., I. Freire, and C. Pazos. 1999. Compositional diver-sity of the yacon storage root. In: Impact on a changing world: Pro-gram report 1997-98. International Potato Center(CIP), Lima, Peru. pp. 425-432.
19.INE(Instituto Nacional de Estadíistica). 2010. http://www.ine.gov.bo
20.Kakihara, T.S., F.L.A. Câmara, S.M.C. Vilhena, and L. Riera. 1996. Cultivo e industrilização de yacon: uma experiência brasileira. Resumos I Congresso Latino Americano de Raízes Tropicais. CERAT-UNESP, São Pedro, Brasil.
21.Kang, Y.K. and M.R. Ko. 2004. Effect of transplanting date on growth and yield of yacon. Kor. J. Crop. Sci. 49: 188-193.
22.Kim, Y.S. 2005. Antimicrobial activity of yacon K-23 and manufac-ture of functional yacon jam. Kor. J. Food Sci. Technol. 37: 1035-1038.
23.Kim, S.J. and J.H. Jeong. 1986. Development research of new crop. Horticultural Research Institute. Research report of Rural Devel-opment Administraion. pp. 99-101.
24.Kim, C.S., Y.J. Oh, J.H. Kim, and J.Y. Cho. 1990. Testing of the uniforms on the prevention of yacon. International Agricultural Technology Project Report. pp. 72-79.
25.Kim, C.S., M.G. Joo, Y.H. Joo, and K.K. Kim. 1991. Study on improving the quality of yacon. International Agricultural Tech-nology Project Report. pp. 53-58.
26.Kim, C.S. Y. H. Joo, Y.S. Kim, and J.Y. Cho. 1994. Growth charac-teristics of domestic adaptability of yacon. Journal of international Agricultural Development. pp. 121-128.
27.Kim, J.C., J.T. Suh, and J.D. Kim. 1995. Effect of the transplanting date under different location on flleshy root productivity in yacon(Polym-nia sonchifolia POEPP). Korean J. Intl. Agri. 7(1): 59-64.
28.Kim, S.J., H.M. Cho, J.C. Jeong, J.Y. Choi, Y.H. Yoon, and D.C. Chang. 2011. Yacon story. Dongwoosa. pp. 10-50.
29.KREI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10. http://www.krei.ore.kr
30.Kuroda, S., M. Yamashita, J. Ishihara, and M. Iwasaki. 1993. In vitro mass-propagation and variant selection by tissue culture. Bull. Shikoku Nat. Agric. Exp. Sta. 57: 99-110.
31.Lee, H.S., J.C. Jeong, Y.M. Choi, M.J. Kang, J. H. Kang, C.Y. Kim, Y. A. Jeon, and H. J Baek. 2011. Management system of gene bank in International Potato Center(CIP). Korean J. Intl. Agri. 23(1): 30-36.
32.Lizàrraga, L., R. Ortega, W. Vargas, and A. Vidal. 1997. Cultivo de yacon(Polymnia sonchifolia). IX Congreso Internacional de Cultivos Andinos: Resumenes curso precongreso. Universidad Nacional de San Antonio Abad del Cusco(UNSAAC), Centro de Investigacion en Culti-vos Andinos(CICA), Asociacion ARARIWA, Cusco, Peru. pp. 55-70.
33.Meza, G. 1995. Variedades nativas de yacon (Polymnia sonchifolia) en Cusco. Universidad Nacional de San Antonio Abad del Cusco(UNSAAC), Centro de Investigacion en Cultivos Andi-nos(CICA), Cusco, Peru. p. 6.
34.National Research Council. 1989. Yacon. In: Lost crops of the Incas: Little-known plants of the Andes with promise for worldwide cul-tivation.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pp. 114-147.
35.Ohyama, T., O. Ito, S. Yasuyoshi, T. Ikarashi, K. Minamisawa, M. Kubota, T. Tsukihashi, and T. Asami. 1990. Composition of storage carbohydrate in tubers of yacon (Polymnia sonchifolia). Soil Science and Plant Nutrition. 36: 167-171.
36.Park, C.H. 1993. Cultivation technics of yacon. Agriculture and horti-culture. 94: 174-176.
37.Pedreschi, R., D. Campos, G. Noratto, R. Chirinos, and L. Cis-neros-Zevallos. 2003. Andean yacon root (Smallanthus sonchifo-lius Poepp. and Endl.) fructooligosaccharides as a potential novel source of prebiotics. J. Agri. Food Chem. 51: 5278-5284.
38.RDA(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2. New plant Resources. Standard farming handbook-yacon. pp. 217-241.
39.Rea, J. 1997. Genetic resources of yacon (Smallanthus sonchifolius). IIFR. La Paz–Bolivia (In Spanish).
40.Ryu, J.H. G.S. Lee, S.J. Yoon, T.H. Kwon, H.S. Doo, B.G. Choo, K.A. Kim, J.K. Moon, M.G. Kim, and K.T. Jeong. 1997. Devel-opment of cultivation, propagation and manufactured foods of new crop, yacon. Research report of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pp. 10-130.
41.Seminario, J., M. Valderrama and H. Honorio. 2001. Propagacion por esquejes de tres morfotipos de yacon (Smallanthus sonchifo-lius Poepp. and Endl.) H. Robinson. Agronomia XLVII. pp. 12-20.
42.Seminario, J., M. Valderrama, and A. Seminario. 2002. Prueba de rendimiento de dos morfotipos de yacon (Smallanthus sonchifolius Poepp. and Endl.) H. Robinson, propagados por esqueje y cepas. Caxamarca. 10: 99-108.
43.Shin, D.Y., G.L. Choi, Y.S. Cho, Kwon B.S., H.J. Kim, K.H. Hyun, and J.T. Lim. 2007. Development of functional tea made by yacon leaf (Polymina sonchifolia). Kor. J. Plant Res. 5: 144.
44.SK(Statistics Korea). 2010. www.affcensus.go.kr
45.Tjukavin, G.B. 2001. Introduction of yacon in Russia. Vympel, Mos-cow (In Russian).
46.TPRA(Tropical Plant Research Association). 1984. Yacon hand-book of tropical plants. Tropical Plant Research Group. p. 476 (In Japanese).
47.Tsukihashi, T. 1999. Health of the miracle vegetable -yacon. Hiroshi Publication. pp. 10-188. (In Japanese).
48.Tsukihashi, T. and Nakanishi T. 2004. New specialty series yacon-health benefits, cultivation, processing and cooking.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Research Information Association. pp. 5-151 (In Japanese).
49.Tsukihashi, T., T. Yoshida, M. Miyamoto, and N. Suzuki. 1989. Studies on the cultivation of yacon. I. Influence of different plant-ing densities on the tuber yield. Japan J. Farm Work Res. 24: 32-38(In Japanese).
50.Vilhena, S.M.C., F.L.A. Camara, and S.T. Kakihara. 2000. Yacon cultivation in Brazil. Hort. Brasil. 18: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