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8504(Print)
ISSN : 2287-8165(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Vol.24 No.5 pp.518-521
DOI : https://doi.org/10.12719/KSIA.2012.24.5.518

파종시기가 삼백초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남상영, 김인재, 김영호, 최성열, 전종옥, 이정관, 임상철, 김태중, 박충범*
충북농업기술원, *국립원예특작과학

Effects of Seeding Date on Growth and Yields of Saururus chinensis Baill.

Sang Young Nam, In Jae Kim, Young Ho Kim, Seong Yel Choi, Jong Ock Jeon, Joung Kwan Lee, Sang Cheol Lim, Tae Jung Kim, Chung Berm Park*
Chungbuk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Abstract

Studies were carried out to evaluate the growth and productivity of Saururus chinensisBaill. under the seeding dates. Sprouting of the seedlings started early and the numbers of plants in finalgrowth stage increased as 22.7 unit/m2 on October 20 seeding compared with 12.0 unit/m2 on April 10.The plant length, stem diameter and the number of branches increased on Oct. 20 seeding. The commercialleaf numbers also enhanced on Oct. 20 seeding,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afweight, leaf width and non-commercial leaf numbers among seeding dates. The commercial dry mattersincreased as 77% in stem, leaf and root weight, 36% in tuber dry matters on Oct. 20 seeding comparedwith April 10 seeding.

24(5)_n518_table 1.jpg60.0KB

 삼백초는 후추목 삼백초과 삼백초속에 속하는 식물이다. 삼백초과 식물은 5속 7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Tutupalli and Chaubal, 1975), 주로 북미와 아시아에 분포되어 있다. 전 세계적으로 삼백초속은 삼백초(Saururus chinensis Baill.)와 서양삼백초(Saururus cernuus)가 있다.

 삼백초의 주성분은 quercetin, quercitrin, isoquercitrin, rutin 및 수용성 tannin 등이고(Fromica and Regelson, 1995). 약리작용으로는 소종(消腫), 해독(解毒) 작용이 있어 수종(水腫), 각기(脚氣), 황달(黃疸)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김 등, 1998).

 삼백초는 잎, 줄기 및 뿌리 등 전초를 이용하며, 종자가 맺히지 않아 근경으로 영양번식을 하는 작물이다. 삼백초는 병충해에 강하고 무농약으로 재배할 수 있으며, 건강 보조식품으로서 차나 채소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높아 기능식품으로의 전망이 기대된다. 최근 약리작용이 알려지면서 여러 농가에서 재배를 시도하고 있지만 아직 체계적인 재배관리가 어려워 이에 대한 기술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파종기에 관한 연구에서 지황은 4월 10일 파종 1,150 kg/10a에 비하여 4월 25일은 8% 증수되었지만, 5월 10일 파종에서는 2% 감수되었다고 하였으며(Choi et al., 1994), 백수오는 3월 20일 파종 207 kg/10a에 비하여 3월 30일 파종은 18%, 4월 10일, 4월 20일 파종은 10%가 각각 증수되었고, 4월 30일 파종은 14%가 감수되었다고 하였다(Choi et al., 1996).

 이외에도 약용작물의 파종기에 대하여 많이 발표된 바 있으나(Yu et al., 1998; Park et al., 1995; Kang et al., 1995), 다년생 식물의 추파와 춘파에 따른 생산성에 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으로 이에 대한 재배기술을 확립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이다.

 따라서 파종시기에 따른 삼백초의 생육 및 수량을 구명하여 체계적인 재배기술을 확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시험재료

 시험 전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은 Table 1과 같고, 토양분석은 농촌진흥청 토양화학분석법(농촌진흥청, 1988)에 의하여 실시하였다.

Table 1. Chemical properties of the experimental field.

 시험품종은 재래종이었으며, 재식거리는 휴폭 40 cm, 주간거리 10 cm로 하여 파종기를 10월 20일(전년), 3월 20일, 3월 30일, 4월 10일 등 4처리를 두었고, 시비는 질소 −인산 −가리 = 7 − 3 − 6 kg/1,000 m2과 퇴비 1,000 kg/1,000 m2을 전량 기비로 시용하였다. 기타 재배방법은 충청북도농업기술원 표준재배법에 준하였고, 시험구배치는 난괴법 3반복으로 하였으며, 각 시험구 면적은 30.0 m2로 하였다.

생육조사

 생육조사는 수확시기에 실시하였으며, 건물중은 시험구의 생육을 대표할 수 있는 중간정도의 개체를 채취하여 시료를 5 cm 정도로 잘게 썰은 후 45˚C에서 6 ~7시간 건조 후 50˚C로 올려 경엽을 완전 건조하여 전자저울(스위스 메틀러사제, M-29582)로 측정하였다. 그 외의 형질은 농촌진흥청 농사시험연구조사기준에 준하였고(농촌진흥청, 1995), 시험결과는 PC용 통계팩키지인 MYSTAT(최, 1998)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및 고찰

삼백초 파종 시기별 출아수

 파종시기가 빠를수록 출아가 빨리 시작되었고, 출아수도 많았으며(Table 2), 출아가 완료된 6월 24일의 최종 출아수도 많아, 4월 10일 파종(관행) 12.0 개/ 대비 10월 20일(전년)에서는 22.7 개/로 89% 많았으며, 3월 20일과 3월 30일 파종에서도 각각 31%, 25% 많았으나, 춘파인 3월 20일~4월 10일의 파종기에 따른 최종 출아수의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이는 홍화에서 파종기가 10일 빠를수록 출아소요일수는 3~4일 빨리 시작되고, 최종 출아 수도 많다는 결과(Kang et al., 1995)와 비슷한 경향 이었다.

Table 2. Effect of seeding date on budbreak number of Saururus chinensis Baill. (Unit : no./m2)

삼백초 파종 시기별 줄기와 엽의 생육특성

 줄기의 생육은 Table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초장, 분지수 그리고 경태가 3월 20일 파종까지는 파종시기가 빠를수록 크거나, 많거나, 굵어 양적인 증가를 가져와, 10월 20일과 3월 20일 파종에서 초장은 각각 67.8 cm, 63.0 cm, 분지수는 주당 2.5개, 1.6개, 경태는 6.5mm, 6.4mm로 파종기 간에 차이가 있는 경향이었으며, 3월 20일 이후의 파종에서는 다소 작거나, 적거나, 가늘었으나,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Table 3. Effect of seeding date on stem growth of Saururus chinensis Baill.

 절수와 분얼수는 파종시기가 빠를수록 많은 경향으로 4월 10일 파종과 10월 20일 파종에서 각각 절수는 주당 8.8개, 10.3개, 분얼수는 1당 114.3개, 58.0개로 차이가 많았으며, 절간간격은 파종기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황기에 있어서 입모수, 경태, 분지수 그리고 초장 등 지상부 생육이 4월 상순을 기준으로 이전 파종에서는 파종시기가 늦을수록 이후 파종에서는 빠를수록 생육이 왕성하다는(Kim et al., 2001) 보고와 차이가 있어 작물별로 파종시기에 따른 생육상황 등을 정립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되었다.

 파종시기가 빠를수록 상품엽수가 많은 경향으로 4월 10일 파종 997개/m2 대비 10월 20일에서는 1,871개/m2로 88% 많았으며, 3월 20일과 3월 30일 파종에서도 각각 73%, 8% 많았다. 춘파인 3월 30일 ~ 4월 10일의 파종시기에 따른 최종 상품엽수의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고(Table 4), 파종시기에 따른 엽장, 엽폭 그리고 비상품 엽수는 파종시기가 빠를수록 다소 양적인 증가를 보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Table 4. Effect of seeding date on leaf growth of Saururus chinensis Baill.

삼백초 파종 시기별 경엽 건물수량 및 근 건물중

 경엽 건물중은 Table 5에서와 같이 봄 파종에 비하여 가을 파종에서 수량이 높은 경향이었다. 4월 10일 파종 299 g/m2에 비하여 10월 20일 파종에서는 528 g/m2으로 77% 중량이 무거웠는데, 이러한 결과는 Kwon et al. (2005)의 유채 파종 시 봄 파종에 비하여 전년도 가을 파종에서 초장 13 cm, 주당 분지 수 32개 많은 등 전반적으로 경엽생육의 양적인 증가를 가져온 것과 같은 결과였다. 봄 파종 간에는 파종시기가 빠를수록 무거운 경향이었으나, 4월 20일과 30일 간에는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이는 피망 재배 시 파종기가 빠를수록 경엽 생육이 왕성하다는 보고와 유사한 결과였다(Kim et al., 1993).

Table 5. Effect of seeding date on top dry weight of Saururus chinensis Baill. (Unit : g/m2)

 상품엽과 줄기도 경엽 건물중과 같은 경향으로 파종시기가 빠를수록 수량이 많아 4월 10일 파종 엽 217 g/m2, 줄기 299 g/m2에 비하여 10월 20일 파종에서는 엽 360 g/m2, 줄기 163 g/m2으로 각각 66%, 209% 증수 되었다. 상품 경엽 수량도 4월 하순 파종에 비하여 10월 20일 파종에서 77% 증수되었다.

 비상품 엽 건물중은 가을파종에 비하여 봄 파종에서, 봄 파종에서는 파종시기가 빠를수록 적은 경향이었다.

 파종시기에 따른 근경 건물중은 7.1 ~ 11.0 mm 굵기는 파종시기가 빠를수록 무거운 경향이었으나(Table 6), 7.0mm 이하와 11.1 mm 이상은 일정한 경향없이 다양한 변화를 보였고, 총근경 건물중은 봄 파종에 비하여 가을 파종에서 무거워 봄 파종의 91.0 ~ 120.2 g/m2에 비하여 가을파종에서 3.3 ~ 32.5 g/m2 무거웠다. 봄 파종 간에는 파종시기가 빠를수록 무거워 4월 10일 파종 91.0 g/m2에 비하여 3월 20일과 30일 파종에서는 각각 29.2 g/m2, 21.2 g/m2 무거웠다.

Table 6. Effect of seeding date on tuber dry weight of Saururus chinensis Baill. (Unit : g/m2)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삼백초 재배 시 파종시기는 10월 20일경 가을이고, 봄에 파종할 경우에는 3월 20일을 기준으로 빨리 파종하는 것이 생육이 왕성하여 수량이 증가된다고 할 수 있다.

적 요

 파종시기에 따른 삼백초의 생산성을 구명하여 재배법 확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10월 20일 파종 등 4처리를 두어 2010년부터 3년간 시험한 결과를 요약 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아는 10월 20일(전년) 파종에서 빨리 시작되었으며, 최종 출아수도 4월 10일의 12.0개/m2에 비하여 10.7개/m2 많았다.
 2. 줄기의 생육도 10월 20일 파종에서 초장과 경태가 길거나, 굵었으며, 분지와 분얼수도 많았다.
 3. 엽의 생육 중 상품엽수는 10월 20일 파종에서 많았으나, 엽장, 엽폭, 비상품 엽수는 파종시기 간에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4. 상품 경엽 건물수량과 근경 건물중은 10월 20일 파종에서 많아, 4월 10일 파종 대비 경엽수량 77% 증수되었고, 근경 건물중 32.5 g/m2 무거웠다.

사 사

 본 연구는 농촌진흥청 공동연구사업(과제번호 PJ906938)의 지원에 의해 이루어진 것으로 이에 감사드립니다.

Reference

1.Choi, I.S., Park, J.H., Cho, J.T., Hong, Y.K., Song, I.K., Park, S.K. and S.Y. Son. 1994. Effects of planting date and mulching material on yield of Rehmannia glutionosa Libosch. Kor. J. Medicinal Crop Sci. 2(2): 127-132.
2.Choi, I.S., Son, S.Y., Cho, J.T., Park, J.S. and D.H. Han. 1996. Effect of seeding date on the growth and yield of Cynanchum wifordii Hemsley. Kor. J. Medicinal Crop Sci. 4(2): 114-118.
3.Formica, J.V. and W. Regelson. 1995. Review of the biology of quercetin and related bioflavonoids. Food and Chemical Toxicology 33: 1061-1080.
4.Kang, S.W., Lee, J.W. and K.Y. Park. 1995. Effect of sowing date planting density on growth and yield in safflower. Kor. J. Medicinal Crop Sci. 3(3): 200-206.
5.Kim, S.B., Choi, K.S., Suh, J.T., Kim, W.B. and S.Y. Ryu. 1993. Effect of sowing date on the growth and yield of bell pepper(Capsicum annuum L.) in alpine area. RDA. J. Agri. Sci. 35(1): 495-500.
6.Kim, Y.G., Bang, J.K., Park, H.W., Yu, H.S., Seong, N.S. and Y.H. Ryu. 2001. Comparison of the growth and yield at different seeding time of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Kor. J. Intl. Agri. 13(2): 143-148.
7.Kwon, B.S., Choi, S.S., Hyun, K.H., Jung, D.S., Jang, Y.S. and J.K. Bang. 2005. Effect of sowing date on yield of rapeseed with intimate environment substitute energy sources in Gyeongsangbug-Do, Chungcheongnam-Do and Jeonlabug-Do region Korea. Korean J. Plant Res. pp. 85-91.
8.Park, G.C., Park, T.D., Park, I.J., Choi, K.J., Kim, S.C., Kim, M.S., Her, G.H. and B.J. Chung. 1995. Effect of sowing date and mulching materials on growth and yield of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 Kor. J. Medicinal Crop Sci. 3(3): 165-172.
9.Tutupalli, L.V., and M.G. Chaubal. 1975. Saururaceae. V. composition of essential oil from foliage of H.cordata cordata and chemosystematics of Saururaceae. Lloydia. 38: 92-96.
10.Yu, H.S., Bang, J.K. and Y.G. Kim. 1998. Seedling quality and bolting response by seeding time in Angelica gigas Nakai. Kor. J. Medicinal Crop Sci. 6(2): 160-164.
11.김창민, 신민교, 안덕균, 이경순. 1998. 정담 중약대사전. pp. 2752-2754.
12.농촌진흥청. 1988. 토양화학분석법(토양, 식물체, 토양미생물). pp. 450.
13.농촌진흥청. 1995. 농사시험연구조사기준. p. 485-552.
14.최봉호. 1998. NEW MYSTAT. 충남대학교 p. 36-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