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8504(Print)
ISSN : 2287-8165(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Vol.25 No.1 pp.29-40
DOI : https://doi.org/10.12719/KSIA.2013.25.1.029

주요 채소의 국제 경쟁력 비교 분석

김윤두, 이철희*†
건국대학교 국제비즈니스대학, *농촌진흥청
본 연구에서는 국내 농산물 중 주요 채소(9개 품목)에 대한세계 속에서 한국 농업의 위치를 파악함으로써 개방화시대에국내 농업현장에서 경쟁력 제고를 위한 방안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품목별 국제경쟁력(RCA, RC, 수출비율지수), 국내시장에서 수입품과의 경쟁력(역RCA, 수입품 국내시장점유율) 및 경쟁국 수입품과의 가격경쟁력을 비교분석하였다.16) 더불어 농산물 유통전문가 설문분석을 통하여 질적인 경쟁력수준을 분석하였다.분석결과 조사대상 품목 대부분의 수출경쟁력은 매우 취약하였으며, 특히, 2010년 RCA지수는 마늘이 0.004, 양파0.0238, 멜론 0.1060, 고추(건고추) 0.3637 등으로 비교우위를나타낼 수 있는 수치인 1보다 현격히 낮아 수출경쟁력의 어려움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조사대상 품목 중 착색단고추(파프리카)는 일본시장에서 수출경쟁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가격경쟁력은 일본 등 일부국가를 제외하고는 경쟁력이 약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가격비교에 있어서 관세가 포함될경우에는 고율의 관세가 부과되는 마늘, 고추(건고추) 등에서는 국내시장에서 수입품과의 경쟁력을 나타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농산물 전문 유통인들을 대상으로 한 품질경쟁력 설문조사결과 국내 채소의 전반적인 품질경쟁력은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과중, 과형, 색깔, 당도, 육질 등 부문별 품질수준에서도 높게 평가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국산 딸기의 경우 과중, 색깔, 향기 등에 있어 조사대상 품목 중 가장 높은평가를 받았으며, 파프리카는 당도와 육질에서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국내 농산물이 국제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최우선 고려사항으로는 고품질 브랜드화를 최우선 과제로 지적하고 있으며,다음으로 신품종 개발, 생산비 절감을 통한 가격경쟁력 제고,유통구조 합리화 등을 지적하였다. 더불어 보다 현실적 대안으로써 품목특성에 따른 유통단계의 차별화, 즉, 국내산 유통단계와 수입산 유통단계를 달리 시도하는 방안을 강구함으로써 국민의 식생활 안전성을 지키는 방안도 모색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결과적으로 국내 채소류의 경우 FTA 등 수입개방의 확대속에서 가격경쟁을 통한 경쟁력 확보에는 한계가 따르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어 차별화된 품질향상 등 품질경쟁력 제고를 통한 경쟁력 확보 방안에 주력하는 것이 우리 농업의 유지·발전을 위한 최선의 방안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16) 본 연구에서는 가격경쟁력이 없는 품목에 대한 구체적인 경쟁력 제고 방안과 품질경쟁력을 제고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완성도가 미흡한 부분이 있으나 현재 우리나라 주요 채소의 국제경쟁력 분석을 통하여 현 위치를 정확히 밝히는데 주안점을 두었음.

Analysis for Global Competitiveness of Agricultural Products (Vegetable)

Cheol-Hi Lee*†, Yoon-Doo Kim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College of International Business, Konkuk Univ
Received Nov. 25. 2012, Revised Jan. 29. 2013, Accepted Mar. 7. 2013

Abstract

Increased input costs and pressure to reduce agricultural commodity prices continue tomake agricultural sector suffer from stagnance. This has been augmented by decline in the populationand rapid aging in rural area. Things have gone from bad to worse due to the market opening for offshoretrade. The opening will continue with the Korea-US FTA and Korea-EU FTA and therefore ahigher level of agricultural market liberalization is expected. In addition, increase in grain and oil prices,unstable exchange rate market, food safety-related incidents also affect the agricultural sector in Rep.Korea. The mentioned circumstances suggest reduced ability to protect our agricultural sector and moredependence on several international norms. Thus, it is highly required to evaluate the competitiveness ofour agricultural products in the international market and to seek for a scheme to improve the competitiveness.The objective of this study lies in analysis on the present status of domestic agricultural sectorand its competitiveness in the world market. With the analysis, we are trying to search practical and reasonablemeasures t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in the agricultural sector and market. This study analyzesthe competitiveness with respect to price and quality of our agricultural products (vegetable)compared with other countries’ products. The main goal of the analysis is to provide policy measures toincrease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agricultural products, which will be a basis for the sustainablegrowth of our rural area.

ksia- 4 f 1.jpg96.5KB

1. 서 론

우리나라는 지난 수년간 개방화 추세에 대응하기 위하여 우리 농산물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 왔으나 일부품목을 제외하고 대다수 품목이 국제경쟁력 측면에서 주요 경쟁국 수준에 가격 및 품질 경쟁력이 떨어진다. FTA/DDA 등 국제화로 대변되는 무한경쟁시대에 접어듦에 따라 우리 농업의 위기의식과 피해는 확산되고 있어, 우리 농업의 유지·발전을 위해서는 산업적인 경쟁력 제고가 시급한 과제이다. 

우리 농업은 시장개방으로 인한 가격인하와 생산비 증가 압력이 지속되고, 농촌은 인구감소와 함께 급속한 노령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더 나아가 한·미 FTA 및 한·EU FTA 등으로 인하여 더욱 높은 수준의 농산물 시장 개방이 추진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또한 전 세계적으로 곡물 및 유가 급등, 불안정한 환율 변동, 식품안전성 등 농축산업을 둘러싼 급격한 환경변화를 겪고 있어 우리 한국농업은 큰 난관에 봉착해 있는 현실이다. 

이러한 여건의 변화는 우리 농업을 보호하기 위한 여러 가지 수단의 상실과 함께 우리나라도 국제규범에 종속될 상황을 의미하는데, 이에 따라 우리 농산물에 대한 객관적인 국제경쟁력 수준을 평가함과 더불어 향후 우리 농산물의 경쟁력을 제고시킬 수 있는 실천적인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농산물에 대한 경쟁력 제고방안의 일환으로 국내 채소 품목 중 9개 품목1)  고추, 마늘, 양파, 오이, 토마토, 딸기, 배추, 멜론, 파프리카를 대상으로 이들 농산물의 국제경쟁력 중 가격경쟁력과 품질경쟁력 수준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해 세계 속에서 한국 농업의 객관적 위치를 파악함으로써 농업현장에서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실천적이고 합리적인 방안과 정책대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1) 조사대상 9개 품목은 국내 채소부류 중 국내 생산량과, 수출량, 수입량 비중을 감안하여 선정하였음. 국내 채소 생산량 중 배추(1위), 양파(2위), 토마토(6위), 오이(7위), 마늘(9위) 등이 상위에 위치하고 있으며, 채소 수출량 중에서는 파프리카(1위), 양파(3위), 딸기(4위), 멜론(9위) 등이며, 채소 수입량 중에서는 고추(1위), 마늘(3위) 등이 상위에 위치하고 있음.

본 연구에서는 국제경쟁력 비교분석을 위하여 가격경쟁력(생산자가격/수입가격, 생산비/수입가격, 생산자가격/관세포함수입가격), 국제경쟁력(RCA(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 RC(Revealed Competitive), 수출비율지수), 국내시장에서 수입품과의 경쟁력(역RCA, 수입품 국내시장점유율) 등 경쟁력 평가지수 분석법을 통한 거시적 측면에서의 품목별 국제경쟁력을 분석하였으며, 더불어 농산물 유통전문가 설문분석을 통하여 질적인 경쟁력수준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2. 채소의 가격경쟁력 분석

2.1. 고추(건고추)

건고추의 RCA지수2) 는 지속적으로 1보다 작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어 수출경쟁력이 매우 취약함을 보이고 있으며, 역RCA지수3) 도 1995년 이후 1을 넘거나 1에 가까운 수치를 보여 국제경쟁력이 취약하게 나타나고 있다. RC지수4) 는 0보다 작은 수치를 나타나기 때문에 수출경쟁력이 매우 취약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순수출비율지수(무역특화지수)5) 도 0보다 작은 −0.5 내외의 수치를 나타내고 있어 수입특화 품목에 가까운 것을 알 수 있다. 국내시장에서의 수입건고추 시장점유율은 2004년 0.0994로 상승하였으나 2010년 0.0740로 다소 감소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2) 세계 전체수출시장에서 특정상품의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과 특정국의 수출에서 동 상품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사이의 비율로 특정 상품의 비교우위를 판단하는 데 널리 쓰이며 이 지수가 1보다 크면 비교우위가 있다고 판단됨.
3) 역RCA는  로서 국내수입에 대한 해당 품목의 수입 비율을 나타내며 1보다 크면 경쟁력이 매우 취약함.
4) RCA-역RCA지수로 1보다 크면 경쟁력 확보, (−)이면 경쟁력이 매우 취약한 것으로 RCA지수에서 수입구조를 감안하여 보완한 지수임.
5) 수입과 수출의 절대 크기 비교로 1이면 수출특화, −1이면 수입특화임. 

Table. 1. Price competitiveness of chilies pepper dry.

가격비율6)  살펴보면 모두 1보다 큰 수치를 나타내고 있어 국산 건고추가 수입산 건고추에 비해 가격경쟁력이 열악한 것을 알 수 있으며, 특히 관세를 포함한 가격비율2에서도 가격 경쟁력이 약한 것으로 나타나 관세인하 및 관세가 철폐될 경우 국내 고추농가의 큰 피해가 예상되고 있다. 하지만 2010년 이후 가격비율 2, 3은 수입가격의 상승으로 인하여 2009년 대비 가격비율이 감소하여 일정부분 경쟁력을 나타내고 있다.

6) 가격비율 1은 (생산자가격)/(수입가격), 가격비율 2는 (생산자가격)/(관세포함수입가격), 가격비율 3은 (생산비)/(수입가격)이며, 가격비율이 1보다 적을수록 가격경쟁력이 확보된 것으로 볼 수 있음. 

Table. 2. Price competitiveness of garlic.

Table. 3. Price competitiveness of onion.

2.2. 마늘

마늘의 RCA지수는 매년 0에 가까운 수치로 수출경쟁력이 매우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세계 마늘수출총액대비 한국의 마늘수출총액이 매우 미미한 비율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마늘의 역RCA지수는 2009년까지 점진적으로 0에 가까운 수치로 나타내고 있어 경쟁력이 제고된 것으로 나타나고 있었으나 2010년 0.9489로 급격한 상승을 보이고 있다. 이는 2010년 국내 마늘가격이 전년도 대비 2배이상 폭등함에 따라 마늘 수입이 급격히 증가한데서 오는 현상으로 판단된다. 

RC지수는 매년 0보다 작은 마이너스(−) 수치를 나타나고 있어 경쟁력이 매우 취약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순수출비율지수 또한 −1에 가까워 마늘이 수입특화 품목으로 나타나고 있다. 수입마늘의 국내시장 점유율은 2010년 8.77%로 2009년 대비 약 7배 증가하였다. 

마늘은 국내 생산자가격과 수입가격의 가격비율이 2010년 2.77로 가격경쟁력이 매우 열악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관세 360%가 적용될 경우에는 가격비율2에서 보듯이 1보다 낮은 수치를 나타내어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2.3. 양파

2010년 양파의 RCA지수는 0.0238로 나타났으며, 이는 2008년 한국양파 수출총액이 $1,000이었던 반면, 2010년 $2,171,000로 증가해 RCA지수가 급격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 역RCA지수는 2010년 0.0858로 2006년이후 지속적으로 감소세를 나타내고 있어 국내시장에서 수입품과의 경쟁력 수준이 높아진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4. Price ratio between Rep. Korea and the countries of cucumber

양파의 RC지수는 1995년을 제외하고는 모두 (−)수치를 나타내고 있어 수입구조를 감안했을 때 경쟁력이 매우 취약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순수출비율지수도 최근 수년동안 −1에 가까운 수치를 나타내고 있어 수입특화가 확연한 품목임을 알 수 있다. 

가격비율은 가격비율1에서 보듯이 국내산 양파의 생산자가격이 수입가격보다 현격히 높아 경쟁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관세가 포함된 수입가격과의 비교에서는 일정부분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2.4. 오이

현재 신선오이는 식물방역법상 국내 수입이 금지되어 있어 RCA지수를 제외한 역RCA지수, RC지수, 순수출지수, 수입품시장점유율, 가격비율 등을 분석하는 의미가 없으나, FTA, DDA 등 지속적인 시장개방 논의에 따라 향후 국내시장이 개방되어 수입이 허용될 가능성에 초점을 두고 대비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되어 국내산 오이에 대한 주요 예상경쟁국의 수출가격을 기준으로 가격경쟁력만을 가늠해보고자 하였다7) . 

7) 오이의 경우 식물방역법상 국내 수입물량이 없음으로 인한 수입가격 산출의 어려움으로, 주요 국가의 오이 평균수출가격을 국내 수입가격으로 가정하여 가격비율을 계상하였음.

일본과의 가격비율을 보면 우리나라의 오이가 상대적으로 가격경쟁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지만8)  중국, 미국의 오이가격에 비해서는 가격경쟁력이 약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중국과의 비교에서는 현격히 가격경쟁력이 취약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8) 2009년 일본으로부터 오이 54톤이 국내가격의 1/3가격으로 수입되었으나 신선채소로서의 소비를 위한 것으로는 판단되지 않음으로써 해석상의 오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가격비율에서 배제하였음.

또한, 오이 생산량이 많은 터키, 러시아와와 가격 경쟁력을 분석한 결과 터키는 2007년 이후 국내산 오이가격보다 낮아져 국내산 오이의 가격경쟁력이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러시아와 비교해서는 2004년까지 가격경쟁력이 취약하였으나 점차 개선되어 2009년 이후 급격하게 국내산오이의 가격경쟁력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러시아에서는 2008년 오이 수출가격이 1 kg당 $0.91에서 2009년 $4.96로 급격하게 상승하여 한국산 오이에 비해 가격경쟁력이 낮아진 것으로 판단된다. 

2.5. 토마토

토마토 RCA지수는 0에 가까워 수출경쟁력이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선토마토는 식물방역법상 일본지역 이외에서의 수입이 금지되어 있기 때문에 역RCA지수, RC지수, 순수출지수, 수입품 시장점유율, 가격비율 등을 분석하여 의미를 부여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Table. 5. Price ratio between Rep. Korea and the countries of tomatoes.

따라서 토마토의 가격경쟁력 비교를 위하여 향후 토마토 예상수입국가의 평균수출가격을 수입가격으로 간주하여 국가별 가격비율을 비교한 결과 일본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우리나라 토마토의 가격경쟁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중국과 러시아, 미국, 터키의 토마토 가격과 비교해서는 경쟁력이 취약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터키와 비교하여 2006년 까지는 가격경쟁력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2006년 이후 국내산 토마토 생산자 가격의 상승과 동시에 터키의 수출가격 하락으로 인하여 국내산 토마토의 가격경쟁력이 낮아지고 있다. 

2.6. 딸기

딸기의 RCA지수는 다른 품목과 마찬가지로 0에 가까워 수출경쟁력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2000년 이후 동남아시아 등으로의 수출확대로 일부분 수출경쟁력이 제고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현재 신선딸기는 식품방역법상에 일본지역 외에서 수입을 금지하고 있기 때문에 2000년과 2001년 수입된 것을 제외하고는 수입이 없어 역 RCA지수, RC지수, 순수출지수, 수입품 시장점유율 등의 수치에 큰 의미를 부여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예상수입국가의 평균수출가격을 수입가격으로 간주하여 국가별 가격비율을 비교한 결과 일본의 딸기보다는 국내산 딸기가 가격경쟁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중국 및 미국산 딸기 수입가격보다는 비싼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관세를 포함할 경우에도 중국산과는 큰 가격차이로 경쟁력이 매우 낮은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2.7. 배추

배추의 경우 수출규모는 매년 큰 변동폭을 보이고 있으나 2006년부터 2010년까지 수출물량은 연평균 21.8%의 증가를 나타내고 있으며, 수출액은 연평균 24.27% 증가를 나타내고 있다. 2009년 배추 수입량은 111톤으로 2008년부터 급격한 감소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전적으로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수출경쟁력과 국내시장에서 수입품과의 경쟁력을 계산하기 위한 세계 총수입액과 총 수출액 자료를 FAO에서 제공하고 있지 않아 RCA지수, RC지수, 역RCA지수 등을 산출할 수 없어 주요 국가들과의 가격비교를 통한 가격경쟁력만을 분석하였다. 

국산 배추의 가격은 일본의 배추가격과 비교하여 상당히 경쟁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중국의 배추가격과 비교해서는 국내산 배추가격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2009년은 국내 배추가격의 상승에 따라 가격경쟁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배추의 경우 국내의 작황에 따른 가격변동이 심하여 가격경쟁력의 변동이 심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2.8. 멜론

멜론의 RCA지수는 0에 가까워 수출경쟁력이 취약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이는 세계 멜론수출총액에 비해서 한국 멜론 수출총액이 매우 작기 때문이다. RC지수는 0이상으로 경쟁력이 제고되었으며, 한국멜론 수출총액이 수입총액에 비해서 높기 때문에 수출에 경쟁력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순수출비율지수도 멜론이 수출특화된 품목에 가깝게 나타나고 있다. 멜론은 2005년까지 꾸준한 수출물량의 증가를 보이다 점차 감소하는 추세로 2010년 수출물량은 2,028톤이며 수출금액은 4,689천 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우리나라 멜론의 최대 수출국은 일본으로 2010년기준 물량 1,006톤(총수출의 49.6%), 금액 2,862천달러(총수출의 61.0%)를 수출하였으며, 다음으로 대만으로의 수출이 물량 714톤(35.2%), 금액 1,168 천달러(24.9%)를 나타내고 있다.

Table. 6. Price ratio between Rep. Korea and the countries of strawberry.

Table. 7. Price ratio between Rep. Korea and the countries of Chinese cabbage.

반면에 멜론 수입은 2004년까지 수입량이 서서히 감소하다가 2005년을 기점으로 소폭 증가세를 보여 2010년 수입물량 1,074톤, 수입금액 891천달러를 나타내고 있으나 국내 멜론시장에서 차지하는 수입멜론 시장점유율은 0.5%에 불과하다.

Table. 8. Price competitiveness of cantaloupe.

Table. 9. The ration of price in the major exporting countries of Paprika in Japanese market.

멜론의 가격비율은 다른 국가와 비교하여 2007년까지 1보다 낮게 나타나 가격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나 2008년 이후 가격비율이 증가하여 가격비율 1, 2, 3 모두 1보다 높게 나타나 가격경쟁력이 취약해졌음을 알 수 있다. 

2.9. 착색단고추(파프리카)9)

9) FAO에서는 착색단고추에 대한 통계자료를 제공하고 있지 않음으로 국내산 파프리카의 주요 수출국인 일본시장에서의 국가별 가격비율을 통한 가격경쟁력만을 분석함. 

국내 착색단고추 수출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일본은 2007년 착색단고추 총 수입량 21,811톤 중 66.2%인 14,447톤을 한국에서 수입하였고 뉴질랜드와 네덜란드에서는 각각 17.1%, 16.6%를 수입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일본시장으로의 한국 수출은 2000년부터 2007년까지 연평균 27.9%의 증가를 보인 반면 뉴질랜드는 8.2% 증가에 그쳤으며, 네덜란드는 6.5%의 감소를 나타내고 있다. 

Table. 10. An evaluation of quality competitiveness of domestic vegetable.

Table. 11. A quality level of imported vegetable salable.

일본시장 내에서 착색단고추의 국가별 가격비율을 보면, 한국은 일본의 착색단고추에 비해 34%정도(가격비율1) 낮은 가격으로 경쟁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네덜란드와 뉴질랜드의 착색단고추 가격은 일본보다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관세를 포함한 가격비율2에서도 한국산 착색단고추의 가격이 30% 저렴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네덜란드와 뉴질랜드의 착색단고추 가격은 일본 착색단고추보다 가격경쟁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3. 품질경쟁력 분석10,11)

10) 각 설문조사 문항별 Total의 차이는 각 시장도매인별로 취급품목이 다르기 때문에 해당취급 품목에 대해서만 응답하였음. 시장도매인 중 과일 및 과채류(토마토, 멜론, 딸기)를 취급하는 시장도매인은 30개소이며, 나머지 채소류(고추, 마늘, 오이, 양파 등)를 취급할 수 있는 시장도매인은 22개소임.
11) 품질경쟁력 분석에 있어 건고추는 시장도매인이 거의 취급하지 않는 품목이기 때문에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국내산 주요 채소의 국제경쟁력 중 품질경쟁력 분석 및 대응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유통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유통전문가로는 국내에서 청과물의 수집과 분산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고 있는 강서 도매시장내 시장도매인(도매상)을12)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함으로써 현장의 의견을 수렴13) 하고자 하였다. 국내 도매시장 유통 주체의 하나인 시장도매인을 대상으로 대표자와 대면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들은 현재 국내 32개 농산물공영도매시장 중 수입품 거래실적 2위를 나타내고 있는 강서도매시장 시장도매인이다. 설문은 시장도매인 총 52개소 중 채소를 취급하는 22개소와 과채류를 취급하는 30개소가 조사에 응답하였으며, 주요 조사내용은 국내산 채소의 품목별 품질경쟁력과 우리 농산물의 취약점 및 경쟁력 확보 방안에 대하여 조사하였다.14) 

12) 시장도매인은 법률상 매수와 위탁이 가능한 도매상으로 국내 타 도매시장에서는 수집기능은 도매시장법인이 담당하고 있으며, 분산기능은 중도매인이 담당하고 있어 수입농산물에 대한 정확한 품질을 판별할 수 있는 대상으로 수집기능과 분산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고 있는 시장도매인을 설문조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13) 수입농산물의 최대 유통경로인 농산물도매시장 유통주체 가운데 중도매인은 분산의 주체로서 수입농산물에 대한 수집기능을 직접 담당할 수 없음으로써 의미 있는 조사결과를 얻기에 부적합하여 제외하였다.
14) 품질경쟁력 분석을 위한 설문대상인 시장도매인의 경우 현재 국내에 오이, 풋고추, 토마토 등이 수입되지 않고 있어 이들 품목에 대한 정확한 평가에는 한계가 있는 것이 사실이나 현재 시장도매인은 법률(농수산물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률)상 도매시장에서 수집기능과 분산기능을 함께하는 거의 유일한 주체로서 수입을 통한 매출확대를 위하여 많은 시장도매인이 중국과 유럽 등 해외견학 및 연수를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기회가 된다면 해외 농산물을 수입하고자 하는 의도를 가지고 있음에 설문대상으로 선정하였음.

Table. 12. Compare items by quality.

Table. 13. Week point of domestic vegetables.

3.1. 국내산 농산물 품질경쟁력 평가

우리 농산물을 수입농산물과 비교할 경우 품질측면에서 어느정도 경쟁력이 있다고 평가하는지 조사한 결과 토마토, 딸기, 멜론은 ‘매우 높음’과 ‘높음’이라는 긍정적인 응답의 누적비율이 86.2%~ 93.1%로 조사되었으며 나머지 품목에 있어서도 ‘매우 높음’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41.2% ~ 52.9%로 유통전문가들은 품질 면에서 경쟁력이 있다고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3.2. 수입 판매가 가능한 수입채소 품질수준

가격수준이 동일하다고 가정할 경우 수입판매가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우리 농산물 대비 수입품의 품질수준은 어느 정도인지 조사한 결과 수입 농산물이 국산품과 동일한 수준에서는 판매에 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판단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즉, 수입채소를 국내 유통인들이 취급하여 판매하기 위해서는 동일가격이라면 국내산 채소보다 높은 품질이 요구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3. 품목별 품질 비교

국내 채소와 외국 채소와의 부문별 품질수준(과중, 과형, 색깔, 당도, 육질, 향기 등)을 5점 척도를 통해 조사하여 가중평균한 점수로 환산한 결과 전반적으로 4점 이상(평균 3점)의 점수를 나타내고 있어 국내 채소의 부문별 품질수준이 상대적으로 우수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딸기와 오이의 부문별 품질수준이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Table. 14. The importance about “How to make competitiveness”.

Fig. 1. Priority point as competitiveness securing methods.

3.4. 국내산 농산물의 취약점15)

15) 앞의 채소 품목에 대한 설문은 채소부류 취급 시장도매인 30개 법인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국산 농산물의 취약점’ 및 ‘경쟁력 확보방안에 대한 중요도’는 과일 및 채소 시장도매인 52개 법인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입채소와 비교하여 국산채소(토마토, 딸기, 멜론, 고추, 마늘, 양파, 오이, 배추, 파프리카)가 갖는 취약점 및 예상되는 문제점에 대하여 유통전문가들은 품질과 계절성에 있어서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으나, ‘품질대비 높은 가격’과 ‘심한 가격변동’ 등은 국내 농산물이 상대적인 경쟁력을 확보하는데 취약한 부분으로 생각하고 있다. 

3.5. 경쟁력 확보 방안에 대한 중요도

국내산 채소가 수입채소와 비교하여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개선방안 가운데 그 중요도를 조사해 본 결과 모든 항목에 대해 ‘매우 중요’와 ‘중요’라는 응답이 75%이상을 나타내고 있어 모든 항목에 대한 개선노력이 필요함을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고품질 브랜드화를 통한 경쟁력 제고’가 중요하다고 응답한 비율은 약 90%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3.6. 최우선 고려 경쟁력 확보방안

최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경쟁력 확보 방안은 무엇인지 5점 척도를 통해 조사하여 부문별로 점수화 한 결과 고품질브랜드화를 통한 경쟁력 제고가 4.44점으로 가장 최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꼽았으며, 다음으로 신품종 개발(4.33점), 생산비 절감을 통한 가격경쟁력 제고(4.23점), 유통구조의 합리화(4.21점) 순으로 조사되었다. 

Reference

1.Agriculture, Forestry,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Committee. 2006. A Study on the Analysis of International Price Competitiveness of Domestic major Agricultural Products. Gwacheon, South Korea. pp. 1-97.
2.Choi Chang Youl. 2004. The Comparative Analysis on the determinant of Export Competitiveness Power of Korea Firm in EU Market. Dongguk University, Seoul, South Korea. pp. 38-54.
3.Choi Jung Sup. 2008. Promoting Competitiveness of Agricultural Food and Life Industry. Basis materials of presentation in Agricultural Food and Life Sciences symposium.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Seoul, South Korea. pp. 182-212.
4.Choi Sei Kyun, Tai Hoon Kim, Kyung Phil Kim, Seong Hun Kim, Yean Jung Kim, Seung Yong Gouk, Oh Bok Kwon, Dea Hee Jung. 2008. Analysis on World Agricultural Products Expert Potential Market. Materials of presentation in Agri-food export symposium.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Seoul, South Korea. pp. 3-39.
5.Choi Sei Kyun, Myong Keun Eor, and Joo Nyung Heo. 2003. WTO Agricultural Negotiations and the Food Industry : International Comparison for Tariff Reduction and TRQ Administration.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Seoul, South Korea. pp. 76-146.
6.Eor Myong Keun, Sei Kyun Choi, Chung Kil Chung, Tai Hoon Kim, Joo Nyung Heo. 2003. Analysis of Northeast Asian Agricultural Structure and Trade.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Seoul, South Korea. pp. 46-117.
7.FAO(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Homepage (www.fao.org).
8.Han Eung Soo. 2005. Analysis of Food Export Competitiveness in Korea, Korean Journal of Food Marketing Economics. 22(3): 123- 154.
9.Han Jae Yoon, Jin Ki Hong, Yoon Lee, Hyo Jong Chio. 1989. A Measurement Way of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 Trade. Seoul, South Korea. pp. 36-94.
10.Kim Bea Sung. 2009. Prospects of Fruit and Demand and Supply. Prospect of Agriculture 2009(II).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Seoul, South Korea. pp. 709-764.
11.Kim Jeong Ho and Tae Jin Kwon. 1994. Promoting Competitiveness of Rice industry. Korean Rural Economic Institute. Seoul, South Korea. pp. 27-55.
12.Kim Jeong Ho, Sei Kyun Choi, Su Suk Kim, Byeong ll Ahn. 2001. Analysis on the International Korea, Korean Rural Economic Institute. Seoul, South Korea. pp. 17-63.
13.Kim Jin Suk. 1999. All-round Strategies for Increasing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Agricultural Products, 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and Business. 12(4): 191-211.
14.Kim Jin Suk. 2000. Structure Factor of Agricultural Products`s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and direction to enhance. rural development and research. 19(1): 85-107.
15.Kim Yean Jung, Oh Bok Kwon, Jun Ho Seung, Seong Hwan Song. 2008.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 Agriculture based on International Agricultural Statistics. Korean Rural Economic Institute. Seoul, South Korea. pp. 11-177.
16.Korea Argo-Fisheries & Food Trade Corporation Homepage (www.kamis.co.kr).
17.Korea Customs and Trade Development Institute Homepage (www.kctdi.or.kr/service/pub/IntroServlet).
18.Korea International Trade Association Homepage (www.kita.net).
19.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Agricultural outlook service. Each month.
20.Korea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Homepage(www.kosis.kr).
21.Kwon Yong Dea and Yong Gil Shin. 2005. Analysis of Chinese Vegetable Industry`s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32(2): 197-203.
22.Lee In Kyu, Bok Nam Ko, Soo Gon Woo. 2008. Competitiveness and Enhancing Strategy for Korean Apple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22(3): 184-189.
23.Lee Jong Woong, Chang Gon Jeon, Hyung Mo Kim. 1991. The Selection of Strategic Crops and Promoting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after UR.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Seoul, South Korea. pp. 18-124.
24.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1994. Promoting Competitiveness Measure of Horticultural Industry. Seoul, South Korea. pp. 31-143
25.Ministry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Japan. 2010. Yearbook of Sales of Tokyo's Central Wholesale market. Tokyo, Japan.
26.Ministry of Finance Japan. 2010. Yearbook of Finance Statistics. Tokyo, Japan.
27.Oh Sea Hwan. 2003. Analysis of major countries export competitiveness in USA market. Institute for International Trade. Seoul, South Korea. pp. 1-36.
28.Park Chang-Suh. 2008. Methods of Measuring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 A Case Study of Textile Industry of Deagu City Using CAC Index, Korean Journal of Economic Education. 15(1): 89-109.
29.Park Jin Soo. 1994. Analysis on the Competitiveness of Korean Industry for Internationalization.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 Trade. Seoul, South Korea. pp. 29-43.
30.Park Moon Ho, Kyung Phil Kim, and Hye Sung Han. 2006. Strategies of the domestic fruit industry after the FTA and DDA negotiations.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Seoul, South Korea. pp. 9-86.
31.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5. Possibility of improvement on Agricultural products Competitiveness to cope with FTA and DDA. Suwon, South Korea. pp. 79-143.
32.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7. The Strategies of Technology of Major Agricultural products for agricultural° §marin°§livestock products`s competitiveness reinforcement to cope on FTA. Suwon, South Korea. pp. 55-127.
33.Seoul Argo-Fisheries & Food Corporation Homepage (www.garak.co.kr).
34.Song Kyung Hwan and Byung Moo Kim. 2004. A Study on the Plan for the Development of Export Competitive Power of Domestic Apple to Taiwa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16(4): 310-319.
35.Song Myung Kyu. 1994. Fruit Export Trend and the Strategy for its Improvement in Kor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6(3): 265-272.
36.The Bank of Korea Homepage(www.bok.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