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8504(Print)
ISSN : 2287-8165(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Vol.25 No.2 pp.153-158
DOI : https://doi.org/10.12719/KSIA.2013.25.2.153

벼 포트묘의 이모작 이앙시기별 생육 및 수량변화

김영두, 강신구, 구본일, 최민규, 박홍규, 상완규, 이민희, 김보경
청보리와 밀을 재배한 후 벼 이앙시기를 6월 10일 및 6월 25일로 달리하여 포트육묘의 재배적인 효과를 검토하고자 친농 품종을 공시하여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이앙시기별 생육상황을 보면 경직경은 두 시기 모두 관행재배보다 포트재배가 굵었으며, 초장 및 유효경비율도 같은 경향이었으나, LAI, 완전미비율 및 단백질함량은 이앙시기간 차이가 인정되었다. 간장, 수장 및 등숙비율은 두 시기 모두 관행재배보다 포트재배에서 컸으나, 수수는 관행재배가 포트재배 보다 많았고, 천립중은 비슷한 경향이었다. 백미수량은 6월 10일 이앙에서는 관행재배보다 포트재배가 544 kg/10a, 6월 25일 이앙에서 513 kg/10a로 관행재배보다 각각 4%로 증수하였다. 수량과 수량구성요소와의 상관관계를 보면 두 시기 모두 관행재배는 수수 및 등숙비율에서, 포트재배는 1수립수에서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또한 기여도를 보면 두 시기 모두 관행재배는 수수 및 천립중이, 포트재배는 1수립수 및 수수의 기여도가 높았다. 주간과 분얼간 분포도는 두 시기 모두 관행재배는 1차, 주간, 2차 분얼 순이었고, 포트재배는 1차 분얼이 많았으나 주간이나 2차 분얼은 비슷하였다.

Growth and Yield of Pot Seedling Rice as Affected by Different Transplanting Times in Double Cropping

Young-Doo Kim, Shin-Gu Kang, Bon-Il Ku, Min-Kyu Choi, Hong-Kyu Park, Wan-Gyu Sang, Min-Hee Lee, Bo-Kyeong Kim
Department of Rice and winter Cereal Crop, NICS, RDA. Iksan 570-080, Korea
Received Jan. 7, 2013/Revised May. 1, 2013/Accepted May. 11, 2013

Abstract

The healthy rice seedling (Oriza sativa L.) for optimal yield in rice-winter cereals doublecropping system is required to enhance the agronomic and economic sustainability of crop production inthe southern plain area of Korea. Performance of the pot seedling and conventional tray seedling(control)methods using Chinnongbyeo was compared at two transplanting times of June 10 and June 25 in2011 following forage barley and wheat cultivation, respectively. Culm diameter, plant height, and productivetillering ratio were higher in pot seedling in both transplanting times than those of the conventionaltray seedling. However, leaf area index(LAI), perfect grain ratio, and protein content in milled ricewere different by transplanting time. Milled rice yields of pot seedling were 544 kg/10a in June 10 and513 kg/10a in June 25, respectively, which were 4% higher than the tray seedling. In both transplantingtime, panicle number and ripened grain ratio were correlated with milled rice yield in conventional trayseedling, and number of spikelet per panicle in pot seedling. Path coefficients showed higher direct effectof panicle number and 1000-grain weight on yield in tray seedling, and spikelet number per panicle andpanicle number in pot seedling. Number of tillers of each order in tray seedling for both transplantingtime were different with the order of primary tiller, main stem, and secondary tiller. Pot seedling hadmore primary tiller than main stem and secondary which were similar in both transplanting time.

7. 김영두.pdf433.7KB

 논의 활용도 측면에서 벼와 보리, 밀의 이모작체계는 곡물자급률을 높이고 경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재배법으로 최근 청보리와 우리밀의 재배면적이 늘어 가는 추세이다. 이모작체계로 재배되는 작물은 생육기간이 겹치지 않아야 하는데 논에서 보리나 밀 후작으로 벼를 재배할 경우에 보리와 밀의 성숙기와 벼의 이앙기가 겹쳐 이모작의 제한요인이 된다(Kim & Rha, 1997).

 또한 친환경 고품질 쌀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과 취반용 수입쌀에 대한 가격 차별화 및 특성화를 통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하여 친환경 벼 재배가 늘고 있고 벼에서 친환경적인 잡초문제 해결을 위해 우렁이 농법을 하고 있으나 현재 사용하고 있는 산파상자 육묘로 재배한 중묘는 묘소질이 약하고 활착이 지연되며 우렁이가 벼를 가해하는 피해가 발생하기도 한다(Kim et al., 2006; Moon et al., 1998). 어린모는 육묘기간이 8 ~ 10일로 중묘(35일묘)에 비하여 현저히 짧기 때문에 모를 일찍 본답으로 이앙하므로 저온에 의한 활착장해 및 냉해가 우려되며 중묘를 이모작으로 재배하는 경우에도 초기생육이 불균일하면 등숙의 안전성이 크게 떨어져 수량감소를 초래하기도 한다(Kim et al., 1993).

 따라서 이모작재배에서는 포트묘 육성으로 벼의 이앙기와 보리, 밀의 수확기의 노동력 경합을 피하고 친환경재배에서는 우렁이가 벼를 가해하는 단점을 보완하며 내충, 내병 및 잡초와의 경합성을 증대시키고자 최근 묘령을 증가시켜 이앙할 수 있는 포트묘 이앙기가 일본에서 고안된 후 우리나라 전국의 논벼 재배지역에 200여대가 보급되어 있다. 이에 대한 연구는 일본 동북 및 북해도지방의 저온지대에서 포트묘의 기계이앙효과에 대한 연구가 추진되고 있으며(Saigusa et al., 1996; Hossain et al., 1998; Matsushima, 1980; Sato & Shibuya, 1986; Akita & Tanaka, 1992; Hoshikawa, 1989), 우리나라에서도 포트묘의 묘령 및 묘의 종류별 연구가 있으나(Kim et al., 1993; Kim et al., 1988; Lee et al., 1992) 재배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으로 본 연구는 청보리와 밀을 재배한 후 벼 이앙시기를 달리하여 포트육묘의 재배적인 효과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재료 및 방법

 본 연구는 2010년에 청보리와 밀을 동계에 파종하여 2011년 수확한 후 공시 벼품종인 친농을 공시하여 전북 익산시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시험포장인 미사질양토(전북통)에서 시험을 수행하였다. 모 종류별 상자당 파종량은 중묘(관행)는 130 g, 포트묘는 448공 폿트에 구멍당 2 ~ 3립씩 파종하였다. 6월 10일 이앙은 청보리 수확후에 관행인 중묘(30일묘)는 3.3 m2당 80주(30 × 14 cm), 포트묘(30일묘)는 m2당 60주(33 × 16 cm)로 이앙하였다. 또한 6월 25일 이앙은 밀 수확후에 중묘는 3.3당 90주(30×12 cm), 포트묘는 m2당 60주(33 × 16 cm)로 이앙하였다. 시비량은 6월10일 이앙시 질소 7 kg/10a을, 6월 25일 이앙시 8 kg/10a를 각각 기비:분얼비:수비로 50 : 20 : 30%를 분시하였으며, 인산은 4.5 kg/10a을 전량 기비로 시용하였고 칼리는 5.7 kg/10a을 기비 :수비로 70 : 30%를 분시하였다. 병해충 및 잡초방제는 기본방제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기타 재배 및 생육조사 등은 호남농업연구소 표준재배법(농촌진흥청, 2008)과 농촌진흥청 시험연구 조사기준(농촌 진흥청, 2003)에 의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및 고찰

1. 이앙시기 및 육묘방법별 벼 생육

 최고분얼기와 출수기에 이앙시기 및 육묘방법별 생육을 Table 1에서 보면 최고분얼기의 초장은 이앙시기에 관계없이 포트재배가 53 ~ 56 cm로 관행재배의 48 ~ 51 cm에 비하여 큰 반면 분얼경수는 관행재배가 포트재배보다 많았다. 또한 출수기의 경직경은 지상부에서 10 cm 부위를 측정한 것으로 관행재배가 7.1 mm, 포트재배가 8.1mm로 포트재배가 두꺼웠으며, 6월 25일 이앙도 같은 경향이었다. 엽면적지수는 육묘방법에 관계없이 6월 10일 이앙에서 6월 25일 이앙보다 많았다고 유효경비율은 최고분얼기에 분얼경수가 많았던 관행재배가 포트재배보다 6월 10일 이앙에서는 4.9%, 6월 25일 이앙에서는 6.2%가 떨어졌다.

Table 1. Growth of rice according to seedling raising methods and transplanting dates.

 관행재배에 비하여 포트재배가 초장이 큰 이유는 이앙시 묘소질이 양호하여 초기 활착이 양호하였던 결과로 보이며 분얼경수가 적었던 이유는 이앙시 재식본수가 관행재배는 4 ~ 5본인 반면 폿트재배는 2 ~ 3본으로 재식본수가 관행이 많았던 관계로 관행재배는 3 ~ 4절위에서 분얼을 하지만 포트재배는 5 ~ 6절위에서 분얼하여 분얼경수가 적었던 것으로 생각되며이는 Lee et al.(1992)의 보고와 같은 경향이었다. 또한 분얼경수가 적은 관계로 경직경이 두껍고, 유효경비율도 포트재배가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출수기는 6월 10일 이앙에서 관행재배가 포트재배보다 1일, 6월 25일 이앙에서 2일 정도 지연되었는데 이러한 결과는 Saigusa et al.(1996); Hossain et al.(1999)의 결과와 같은 경향으로, 관행재배 이앙시 엽수가 적었고 또한 활착이 불량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되나, 3 ~ 5일 지연된다는 Yun & Lee(1978)의 보고와 다소 차이가 있었다.

2. 이앙시기 및 육묘방법별 벼 군락구조

 이앙시기 및 육묘방법별 군락구조를 보면 Fig. 1과 같다. 이앙시기간 개체별 군락구조를 보면 6월 10일 이앙에서 개체당엽량은 포트재배에서 29.4 g으로 관행재배의 18.8 g에 비해 엽이 많고 또한 넓게 분포되었고, 6월 25일 이앙에서는 관행 및 포트재배의 엽분포는 비슷하였으나 엽량은 포트재배가 많았으며, 개체당 이삭의 무게는 이앙시기에 관계없이 포트재배에서 14.4 ~ 16.9 g으로 관행재배의 9.4 ~ 11.4 g 보다 무거웠다.

Fig. 1. Productive structure of rice plant according to seedling type and transplanting date(upper: Jun. 10, below: Jun. 25).

 이러한 결과들은 관행재배의 재식본수는 6월 10일 이앙 80주/3.3 m2, 6월 25일 이앙 90주/3.3 m2로 포트재배는 6월 10일 및 6월 25일 이앙 60주/3.3 m2보다 재식본수가 많고, 또한 재식거리도 관행재배는 30 × 14 cm, 포트재배는 33×16 cm로 주간 및 조간거리의 차이로 보여 지며, 따라서 생육기간중에 수광태세가 관행재배보다 포트재배가 양호한 결과로 생각된다.

3. 이앙시기 및 육묘방법별 주간과 분얼간의 분포도

 이앙시기 및 육묘방법별 분얼간 분포도를 Table 2에서 보면 관행재배에서는 6월 10일 이앙은 1차 분얼이 48%, 주간이 38%, 2차 분얼이 14%를 차지했으며, 6월 25일 이앙에서도 6월 10일 이앙과 마찬가지로 1차 분얼, 주간 및 2차 분얼 순이었다. 그러나 포트재배에서는 6월 10일 이앙에서 1차 분얼, 2차분얼 및 주간 순이었으며, 1차 분얼은 58%로 관행재배의 48% 보다 많았다. 2차 분얼과 주간 순이었으며, 6월 25일 이앙에서 1차 분얼이 53%로 주간이나 2차 분얼보다 월등히 많게 분포하였으나, 주간과 2차 분얼은 비슷한 분포를 나타내었다.

Table 2. Main stem and tillering distribution of plant according to seedling raising methods and transplanting dates.

 이러한 결과는 재식본수, 재식거리 및 육묘방법간 차이로 보이는데, 특히 포트재배에서 2차 분얼의 분포비율이 관행재배보다 많은 분포비율을 보여 수량이나 미질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포트재배를 6월 25일과 같이 늦게 이앙 할 때에는 재식밀도를 좁히고 재식본수를 늘려 2차 분얼경수를 억제시키는 재배방법에 관한 연구가 추후 필요하다고 보인다.

4.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

 육묘방법 및 이앙시기에 따른 간장, 수장, 수량구성요소와 수량은 Table 3과 같다. 간장은 이앙시기에 관계없이 포트재배가 컸는데 6월 10일 이앙보다는 6월 25일 이앙에서 관행재배가 62 cm, 포트재배가 68 cm로 6 cm가 더 컸다. 수장도 간장과 같은 경향이었다. m2당 수수는 어느 이앙시기에서나 관행재배가 포트재배 보다 많은 반면, 수당립수는 6월 10일 이앙에서 포트재배가 관행재배보다 15개, 6월 25일 이앙에서 18개가 많았다.

Table 3. Yield and yield components according to seedling raising methods and transplanting dates.

 또한 등숙율 및 1000립중은 모두 이앙시기에 관계없이 포트재배에서 많거나 무거웠는데 이앙시기에 따른 유의성을 보여주지 않았고 육묘방법간에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백미수량도 6월 10일 이앙에서 관행재배 525 kg/10a, 6월 25일 이앙에서도 관행재배 495 kg/10a보다 포트재배가 각각 4%의 증수를 보여주었으며 이앙시기별로는 6월 10일 이앙이 6월 25일 이앙보다 관행 및 포트재배에서 모두 수량이 많았는데, 이러한 경향은 이앙시기가 늦어질수록 수량이 떨어진다는 Kang et al.(2005); Jung et al.(2003); Ko(1997) 등의 시험결과와 비슷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간장은 관행 및 포트재배 모두 6월 10일 이앙보다 6월 25일 이앙에서 더 짧아지는 경향으로 Yun & Lee(1978)의 보고와 같이 늦게 이앙하면 영양생장기간이 충분하지 못한 가운데 단일에 의해 유수 분화가 촉진되어 생식생장으로 전환이 이뤄진 결과로 보인다. 이삭수도 간장과 같은 경향으로 이앙시기가 늦을수록 감소하였으나 포트재배가 관행재배보다 많았으며, 또한 등숙율과 1000립중은 이앙시기보다는 육묘방법간에 유의성이 인정되었는데, 이러한 결과는 포트재배가 관행보다 출수기 1 ~ 2일 빠르고, m2당 수수가 적지만 반대로 수장이 길고 1000립중이 무거워져서 포트재배에서 수량을 증수 효과를 가져 온 것으로 보인다(Matsushima, 1980; Sato & Shibuya, 1986; Akita & Tanaka, 1992; Hoshikava, 1989; Kim et al., 1988).

5. 수량구성요소와 수량에 대한 상관 및 기여도

 이앙시기와 육묘방법별 수량과 수량구성요소와의 상관관계를 Table 4에서 보면 이앙시기에 관계없이 관행재배에서는 수량과 수수 및 등숙비율에서, 포트재배에서는 수당립수에서 유의적인 상관이 인정되었다. 또한 수량에 대한 수량구성요소들간에 기여도를 보면 6월 10일 이앙의 관행재배에서는 수수 및 1000립중이 35.6%, 28.1%로 높았으나, 포트재배에서는 수당립수 및 수수의 기여도가 43.8%, 28.3%로 높았으며, 6월 25일 이앙에서도 관행 및 포트재배 모두 6월 10일 이앙과 비슷한 기여도를 보여 주었다.

Table 4.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path analysis between yield components and yield according to seedling raising methods and transplanting dates(n=18, p(0.05) > 0.468).

6. 미질 및 외관상 품위

 쌀의 품질을 평가하는 요소 중에서 외관 및 쌀의 품질을 결정하는 이화학적 주요인자로는 단백질과 아밀로스 함량을 들 수 있고(Choi et al., 2005; Ebata & Shibata, 1981), 이앙시기 및 육묘방법에 따른 미질 및 외관상 품위는 Table 5와 같다.

Table 5. Quality and chemical components of grain according to seedling raising methods and transplanting dates.

 완전미율은 6월 10일 이앙이 6월 25일 이앙보다 관행재배가 89.7%, 포트재배가 91.3%로 6월 25일 이앙구보다 다소 높았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그러나 육묘방법간에는 관행재배보다 포트재배가 유의성인 증가를 가져왔다. 또한 불완전전립율을 보면 동할미나 피해립은 이앙시기나 육묘방법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복백미 및 기타(착색립)는 통계적인 유의성이 인정되었고 6월 10일이앙보다 이앙시기가 늦어진 6월 25일 이앙에서 많았고 육묘방법에서는 포트재배보다 관행재배에서 많아졌다. 또한 단백질 및 아밀로스 함량은 6월 10일 이앙에서 각각 6.4%, 17.9 ~ 18.2%이었고 6월 25일 이앙에서 각각 6.7 ~ 7.0%, 18.4 ~ 18.9%로 이앙시기에 따라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나 육묘방법간에는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이앙시기가 빠를수록 완전립율이 다소 높아지나 이앙시기에 따른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는다는 Yoon et al.(2011)의 보고와 일치하며, 복백립이나 착색립 등은 이앙시기가 늦어질수록 많아져 완전미율이 다소 낮다는 Back et al.(2005)의 결과와, 이앙시기가 늦어질수록 단백질 및 아밀로오스 함량이 증가한다는 Matsue & Ogata(1999); Yoon et al.(2011)의 보고와 일치하나 이앙시기에는 별 차이가 없다는 Back et al.(2005) 보고와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7. 주간과 분얼간의 완전립비율과 단백질함량

 이앙시기 및 육묘방법별 주간과 분얼간 완전립율 및 단백질함량 변화를 보면 Table 6과 같다. 완전립율은 주간의 경우 이앙시기에 관계없이 관행재배보다 포트재배에서 많았으며, 1차 분얼은 육묘방법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6월 10일 이앙이 6월 25일 이앙보다 다소 높았다. 2차 분얼은 오히려 6월 10일 이앙에서는 관행 93.2%, 포트 88.7%, 6월 25일 이앙에서는 관행 89.3%, 포트 85.6%로 관행재배가 포트재배보다 많은 결과를 보였다.

Table 6. Perfect grain and protein content of main stem and tillering according to seedling raising methods and transplanting dates.

 또한 단백질 함량을 보면 주간의 경우 6월 10일 이앙에서는 관행과 포트재배에서 큰 차이가 없었으나 6월 25일 이앙에서는 관행재배가 6.8%로, 포트재배 6.4% 보다 함량이 많았다. 1차 분얼에서는 이앙시기간에는 차이는 있으나 육묘방법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2차 분얼에서는 오히려 이앙시기 모두 관행재배보다 포트재배에서 단백질 함량이 많았다.

 이러한 단백질 함량의 차이는 관행재배에서 재식본수가 많아 주간의 분포비율이 높게 나타난 결과이고, 포트재배는 재식본수가 적고 재식거리가 넓기 때문에 개체간 생장량이 왕성하여 2차 분얼분포 비율이 다소 높아서 나타난 결과로 생각된다. 이러한 이유로 포트재배가 관행재배보다 완전립율은 유리하나 미질에 있어서는 관행재배와 큰 차이를 보여주지 않으므로 이에 대한 추후 자세한 연구 검토가 필요하다고 본다.

Reference

1.Akita, K. and N. Tanaka. 1992. Effects of planting density and planting patterns of young seedlings transplanting on the growth and yield of rice plants. Japan J. Crop Sci. 61(1) : 80-86.
2.Back, N.H., W.Y. Choi, J.C. Ko, J.K. Nam, H.K. Park, J.I. Choung, S.S. Km, and K.G. Park. 2005. Proper transplanting time for improving the rice quality at reclaimed saline land in the southwestern area. Korean J. Crop Sci. 50(S) : 41-45.
3.Choi, W.Y., J.K. Nam, S.S. Kim, J.H. Lee, H.K. Park, N.H. Bark, M.G. Choi, C.K. Kim, and K.Y. Jung. 2005. Optimum transplanting date for production quality rice in honam plain area. Korean J. Crop Sci. 50(6) : 435-441.
4.Ebata, M. and S. Shibata. 1981. Some experiments on the texture evaluation of cooked rice. Report Tokai Branch Crop Sci. Soc. Japan. 91 : 27-34.
5.Hossain, Md.Z., M. Saigusa, and K. Shibuya. 1998. Establishment of the no-tillage transplanting cultivation of high quality rice "Hitomebore" with a single basal application of controlled availability fertilizer in pot seedling box in cold regions. Tohoku Journal of Agricultural Research. 48(3-4) : 85-92.
6.Hoshikawa, K. 1989. The growing rice plant. An Anatomical Monograph. Nobunkyo, Tokyo. 310p.
7.Jung, M.S., D.K. Jun, and J.C. Chae. 2003. Effects of transplant and harvest time on grain quality of rice in reclaimed paddy field. Korean J. Crop Sci. 48(6) : 534-539.
8.Kang, R.K., J.T. Kim, I.Y. Beg, and J.I. Kim. 2005. Effect of transplanting times on rice quality in midmountainous area. Korean J. Crop Sci. 50(S) : 33-36.
9.Kim and Rha. 1997. Potential yielding of rice grown after barley. Chonbuk Univ. 28: 1-13.
10.Kim, J.K., J.C. Shin, M.H. Lee, and Y.J. Oh. 1993. Growth characteristics of rice seedlings influenced by different nursing periods and temperatures after transplanting. RDA. J. Agri. Sci. 35(2) : 1-6.
11.Kim, S.S., S.Y. Lee, M.S. Lim, and H.J. Kim. 1988. Effects of mechanical transplanting of potted adult rice seedling on seedling characters and yield in second crop field and polder land . Res. Rept. RDA(Rice) 30(1) : 69-82.
12.Kim, S.W., O.D. Kwon, S.N. Yoo, S.R. Suh, Y.S. Choi, and G.I. Lee. 2006. Raising pot seedling for mechanical weeding in environmental- friendly rice culture. Korean Soci. for Agri. Machinery. 11(2) : 68-72.
13.Ko, K.K. 1997. Characteristics of grain quality at different transplanting times among rice cultivars. Variation of heading and yield related characteristics. Korean J. of Plant Resources. 10(4) : 386-391.
14.Lee, B.C., Y.H. Choi, K.H. Lee, and T.S. Kwak. 1992. Several agronomic traits and yield of rice(Oryza sativa L.) under different seedling raising methods at high mountainous area. Res. Rept. RDA(Rice) 34(2) : 69-77.
15.Matsushima, S. 1980. Rice cultivation for the million. Japan Sci. Soc. Press, Tokyo. p. 276.
16.Matsue & Ogata. 1999. Influences of environmental conditions on the protein content of grain at different positions within a rice panicle. Japan J. of Crop Sci. 68 : 370-374.
17.Moon, Y.H., D.H. Oh, J.S. Choi, J.S. Na, and S.S. Han. 1998. Properities and effects of utilizable materials for organic farming in rice. Korean J. of Envi. Agri. 17(4) : 319-323.
18.Saigusa, M., Md.Z. Hossain, T. Sato, and K. Shibuya. 1996. Establishment of cultivation methods of Hitomebore rice in cold regions. Tohoku Journal of Agricultural Research. 46(3-4) : 114- 123.
19.Sato, T. and K., Shibuya. 1986. Study on the safety high yield of rice culture in cold northern district of Japan. Concentrating on the effect of planting density of rice culture. Report of the Tohoku branch. The Crop Sci. Soc. of Japan 29 : 43-47.
20.Yoon, S.T., N.I. Kwak, H.E. Shin, S.I. Shim, and Y.B. Kim. 2011. Optimization of Rice Cultivation Method for Double Cropping in Cheonan Area. Korean J. Intl. Agri. 23(4) : 402-409.
21.Yun, Y.D. and J.H. Lee. 1978. Rice seeding establishment for machine transplanting . Effect of seeding rate and fertiliza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seedings. 1978. Korean J. Crop Sci. 23(2) : 68-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