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8504(Print)
ISSN : 2287-8165(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Vol.25 No.3 pp.277-283
DOI : https://doi.org/10.12719/KSIA.2013.25.3.277

생장억제제 및 건조제 처리가 호밀 생육 및 종자에 미치는 영향

조상균, 박형호, 오영진, 조광민, 장윤우, 송태화, 박태일, 강현중, 노재환, 박광근, 박기훈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뷰
1. Ethephon을 처리하여 호밀의 간장을 단축시켜 도복을 방지하는 방법을 찾기 위하여 시험한 결과는
가. Ethephon 처리시 출수기는 수잉기에 처리했을 경우 무처리에 비해 250 ppm 농도에서는 2일, 1,000 ppm 농도에서는 5일이 늦어졌으나 개화기와 성숙기는 차이가 없었다.
나. 간장은 Ethepon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작아졌고, 간장 단축률은 출수시의 1,500 ppm 처리가 40.1%의 단축률로 처리 효과가 가장 컸으며, 하위절보다 상위절 단축효과가 컸다.
다. 수장, 영화수, 리터중 등에서 무처리와 큰 차이가 없었고, 천립중은 무처리에 비해 약간 무거웠다.
라. 발아율은 차이가 없었으며, 수량은 처리 농도에 관계 없이 모두 증수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최고 8%까지 증수하였다.
마. Ethephon 처리시 출수시에 1,000 ppm으로 처리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2. 발아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수확시기를 앞당길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실시한 건조제 처리 후 수확시기 단축효과와 종자의 품질을 보면
가. 건조제 처리후 수확적기 수분함량에 도달하는 일수는 출수 후 30일 처리가 20일, 출수 후 35일 처리가 15일, 출수 후 40일과 45일 처리는 10일이 걸렸고, 출수 후 50일 처리는 5일이 걸렸다.
나. 건조제 처리 후 수확시기는 출수 후 30일 처리가 관행 재배에 비해 14일, 출수 후 35일과 40일 처리가 9일 빨랐으며, 출수 후 45일과 50일 처리가 4일이 빨랐다.
다. 건조제 처리시 천립중은 출수 후 처리 일수가 늦어질수록 무거웠고, 발아율 또한 출수 후 처리 일수가 늦어질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출수 후 40일 이후에는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라. 수량은 출수 후 30일 처리가 관행재배의 30%, 출수 후 35일 처리는 48%수준, 출수 후 40일 처리는 74% 수준으로 생리적 성숙기 이전에 건조제를 처리하면 품질에 큰 영향을 주었다.
마. 종자의 품질은 약간 떨어지지만 종자로서의 능력을 갖추고 발아에 영향이 없으면서 수확 시기가 가장 빠른 건조제처리시기는 출수 후 40일이었다.

Effect of Ethephon and Diquat Dibromide Treatment for Rye Seed Production on Paddy Field

Sang-Kyun Cho, Hyeong-Ho Park, Young-Jin Oh, Kwang-Min Cho, Yun-woo Jang, Tae-Hwa Song, Tae-Il Park, Hyun-Jung Kang, Jae-Hwan Roh, Kee-Jong Kim, Ki-Hun Park
Department of Rice and Winter Cereal Crop, NICS, RDA, Iksan, 570-080, Korea
Received Mar. 25, 2013/Revised Aug. 27, 2013/Accepted Aug. 30, 2013

Abstract

Desiccant was treated to find a way to shorten clum length and protect lodging of rye withEthephon and a way to advance the harvest time without affecting germination. The results of the desiccantprocess are as follows for the change of harvest time and seed quality. As for Ethephon treatment,the earing date was delayed two days at the concentration of 250 ppm for the booting stage that whenthere is no treatment, 5 days later at the concentration of 1,000 or more ppm but no difference for theflowering and maturity stage. The culm length getting shorter as the concentration of Ethephon is higherand the decreasing rate of culm length damaged is 40.1% for 1,500 ppm of booting stage, which is themost effective processing, and the base part culm length damage rate is bigger than the superior upperpart culm length decrement rate. Ther was no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reatment at the number ofspike, culm and litter weight but one thousand grain weight was slightly higher in the treatment. Therewas no any difference in the rate ratio of germination. Yield tended to increase regardless of processingconcentration. It reached up to 8% at maximum. The treatment with Ethephon turned out to be themost effective at 1,000 ppm during heading date-time. The number of days it takes from the desiccanttreatment to the moisture content for harvesting time is respectively 20 days for seeds of 30 day-treatment,10 days for seeds of 35 to 45 days-treatment and 5 days for seeds of 50 day-treatment.. As for theharvest time after treatment of desiccant, the treatment at 30th days after the earing is 14 days earlierthan the culture by conventional methods, 9 days earlier for the treatment at 35th to 40th day, 4 days earlierfor the treatment at 45th to 50th day. When treatment of desiccant is implemented, the one thousandgrain weight is heavier as the number of days of treatment gets later. The ratio of germination getshigher as the number of days of treatment after heading gets later but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difference treated 40 days after the heading. As for the yield of seeds are 30% compared to the culture byconventional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30 days after the heading, 48% compared to the culture byconventional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35 days after the heading, and 74% compared to the cultureby conventional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40 days after the heading. Seed quality decreased a bit butit had still eligible as seed. The processing timing of desiccant for the earliest harvest was 40 days afterheading date-time during which germination was not affected.

 

9.호밀생육.pdf1.28MB

 호밀의 재배적 특성을 보면 다른 겨울동작물인 보리나 밀에 비해 내한성, 내습성, 내척박성, 소비성(小肥性) 등은 매우 우수하나 키가 커서 도복이 잘되고 수발아가 용이하고 출수는 빠르지만 개화 및 성숙기가 늦고 단위면적당 수량이 매우 낮은 불리한 특성을 가지고 있을뿐 아니라 도복이 되면 수량 감소, 품질저하, 예취시 과다한 노력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가 야기된다. 맥류는 생육 후기에 비와 바람이 동반될 때 도복이 잘 일어나는데 보통 출수 후 10 ~ 20일 이후에 도복이 가장 많고 감수율이 20 ~ 50%까지되며 도복으로 인한 병해라든지 수발아 등이 수반되어 그 피해가 더 크다. 맥류의 도복과 기상과의 관계를 보면 바람은 초속 3 m이상, 비는 5 mm 이상이면 도복에 약한 품종은 쓰러지기 시작하고 기상에 따른 피해는 바람 +비 >비 >바람 순으로 알려져 있다.

 보리에 Ethrel을 처리하면 초장이 작아지는데 농도가 높을수록 효과가 크며 이는 지엽에서 이삭의 기부까지의 길이 즉 출수도가 짧아짐으로서 키가 작아진다. Ethrel 농도가 높아질수록 초장은 물론 수장도 작아지며 1,000립중도 가벼워져 결국 수량감소로 이어지나 적당한 농도에서는 도복도 되지 않고 도복된 무처리에 비해 약 10% 증수를 나타낸다(Kwack & Hong, 1976). 호밀에 Ethephon을 절간 신장기에 살포하면 1, 2, 3, 4, 5절간이 짧아져 도복을 경감 시킬 수 있다(Yoon et al., 1988). 맥류에서 이용 가능한 생장조정제는 B-9, CCC, Ethrel, Ethylene, RH-531, Methionine 등이 있으며(Cathey, 1975), Ethylene 발생물질로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는 Ethrel은 밀과 보리를 효과적으로 왜화시킬 수 있다(Hong et al., 1974, Lee and Yim, 1973).

 참깨의 수확촉진을 위해 Paraquat 와 Diquat를 예취 3일전과 3시간전에 각각 처리하면 참깨 꼬투리의 수분함량은 무처리에 비해 빠르게 감소되어 건조효과가 뚜렷하며 참깨꼬투리의 탈립률은 무처리 관행에 비해 매우 높고 탈곡횟수에 따른 소요노력도 크게 줄일 수 있어(Han et al., 1993) 건조제를 처리하여 수확기를 효과적으로 앞당길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사료용 맥류 종자의 자급률이 낮은 이유는 사료용 맥류는 종자가 성숙하기 이전에 수확하기 때문에 별도로 종자생산 단계를 거쳐야 한다. 또한 우리나라는 맥류의 종자수확시기가 장마와 겹쳐 수발아 등으로 채종이 어렵고, 특히 수확시기가 늦은 호밀은 후작인 벼의 이앙과 노력 경합으로 재배를 기피하여 종자생산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안정적인 종자 채종 재배기술이 반드시 뒤 따라야 하기에 본 연구를 수행했다.

재료 및 방법

1. 생장억제제(Ethephon) 처리가 절간 단축 및 종실수량에 미치는 영향

 본 시험에 사용된 호밀 품종은 ‘곡우’ 품종을 사용하였고, 시험장소는 전북 익산시 평동로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시험포장인 논에서 2010년부터 2012년까지 3년간 수행하였다. 파종시기는 매년 10월 25일을 전후로 파종하였고, 시험구 면적은 길이 600 cm 휴폭은 120 cm에 파종량은 농촌진흥청 표준재배 파종량인 5 kg/10 a를 기준으로 산파를 했으며, 시험구배치는 난괴법 3반복으로 하였다.

 Ethephon 처리농도는 250, 500, 1,000, 1,500 ppm 등 4처리를 하였고, 처리 시기는 수잉기, 출수시, 출수기 등 3시기에 처리하였다.

 그밖의 재배관리는 농촌진흥청 표준재배법에 따랐다. 통계처리는 R 프로그램(ver. 2. 14. 0.)을 이용하여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처리간의 평균비교는 Duncan의 다중검정(Duncan’s Multiple Range Test, DMRT)으로 처리간의 유의성(p < 0.05)을 검정했다.

2. 건조제(Diaquat dibromide) 처리가 수확기 촉진 및 종실에 미치는 영향

 본 시험에 사용된 호밀 품종 및 재배 방법, 시험구 배치, 재배관리 및 시험성적 분석은 시험 1과 동일하게 실시 했다.

 건조제 처리시기는 출수 후 30, 35, 40, 45, 50일 등 5시기에 농도는 500배액으로 처리하였다. 

결과 및 고찰

1. Ethephon 처리시기 및 농도에 따른 호밀 생육 특성

가. 출수기 및 성숙기

 Ethephon(2-Chloroethyl phosphonic acid) 처리에 따른 출수기, 개화기 및 성숙기는 Table 1과 같이 출수기는 출수시 이후에 Ethephon을 처리하면 차이가 없었으나, 수잉기에 처리했을 때는 250 ppm 농도에서는 4월25일로 무처리에 비해 2일이 늦어졌고 1,000 ppm 농도에서는 4월28일로 5일이 늦어졌다. Yoon 등(1988)은 호밀에서 절간신장기에 1,000 ppm을 처리했을 때 출수기가 2일이 늦어졌다고 했는데 이처럼 출수기가 늦어진 원인은 Ethylene 가스의 영향으로 출수도의 신장이 억제되어 출수가 지연된 것으로 생각된다. 개화기와 성숙기는 처리시기와 처리 농도와 관계 없이 같았는데 이는 출수가 지연되어도 화기의 생리적 성장은 정상적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여겨지나, Yoon 등(1988)은 호밀에서 Ethephon 처리시 성숙기가 1일 정도 늦어졌다고 보고해 본 연구와 다소 상이한 결과를 보였는데 차후에 이에 대해 면밀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것으로 생각된다.

Table 1. Effects of ethephon treatment on heading and maturing at different growth stage in rye.

나. 간장 단축률 및 포장 도복 정도

 Ethephon 처리에 따른 간장은 Ethepon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작아졌는데, 간장 단축률을 보면 수잉기의 250 ppm 처리가 3.5%의 간장 단축률을 보여 처리효과가 가장 적었으며, 출수시의 1,500 ppm 처리가 40.1%의 단축률을 보여 처리 효과가 가장 컸다. 처리시기에 따른 간장 단축률을 보면 수잉기의 1,000 ppm 처리가 25.0%의 단축률을 보였고, 출수기의 1,000ppm 처리가 27.3%의 단축률을 보인 반면 출수시의 1,000ppm 처리가 39.5%의 단축률을 보여 Ethephon 처리에 의한 간장을 단축시키고자 할 때는 출수시에 처리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임을 알수 있었다. Kwack(1974)는 Ethrel은 식물에 처리하면 바로 그때부터 식물체내에 침투하여 왜화 반응을 나타내게 하기 때문에 줄기 신장이 억제되고 단자엽식물인 백합에 Ethrel을 처리하면 왜화효과가 약 3개월간 지속되다가 그 후 서서히 소실된다고 했는데 처리농도나 처리시기에 따라 간장 단축률이 달라지는 것은 Ethylene가스의 약효 지속시간과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Ethephon 처리시 간장이 작아지는 것은 Leopold(1972)에 의하면 Ethylene 가스가 Gibberellin의 생합성을 저해하거나 Peroxidase 같은 효소를 활성화시켜 Gibberellin의 역할을 저해하여 키가 작아진다고 했다.

 호밀의 절간장은 상위절간으로 갈수록 길고 하위절간일수록 짧은 특성을 갖고 있다. 호밀에 Ethephon을 처리하면 하위절보다는 절간장이 길었던 상위절의 절간 단축률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Table 2). Hong 등(1974)은 Ethephon을 처리하면 바로 그때부터 식물체내에 침투하여 왜화반응을 나타내기 때문에 초기의 신장이 억제된다고 했으며 특히 제1절인 출수도가 짧아진다고 했듯이 상위절의 단축효과가 컸던 것은 하위절보다 생육이 늦었던 상위절에서 생육억제 효과가 컸던 것으로 생각된다.

Table 2. Effects of ethephon treatment on rate of culm length damaged and lodging at different growth stage in rye.

 포장도복을 보면 Ethephon 처리농도 500 ppm 이상에서는 처리시기와 관계 없이 전혀 도복이 되지 않았다(Table 2). Kwack과 Hong(1976)의 보고에서도 보리에서 Ethrel 500 ppm 이상에서 도복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본 연구와 같은 결과를 발표했다. 일본에서 발행된 기술보급해설서(1972)에 따르면 Ethephon 처리에 의해 도복이 방지되는 것은 완곡(줄기전체가 휘어지는 것), 좌절(줄기 기부에서 부러지는 것), 절손(줄기 상부에서 부러지는 것) 등 모든 사항에 영향을 주어 보리 줄기를 보다 튼튼하게 하기도 하고 줄기가 작은 것이 긴 것보다 기계적으로 강하기 때문이라고 했고, Bopp(1985)은 Ethephon 처리가 밀과 보리의 도복 방지에 효과적이라고 했는데 그 원인은 Ethephon이 줄기를 단단하게 만들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또 Yoon 등(1988)은 Ethephon을 처리하면 줄기벽이 두꺼워졌는데 그 원인은 줄기의 직경이 크지 않고 절간장이 짧아지면서 Cellulose 등과 양분 및 단위건물중이 높아졌기 때문이라고 했다.

다. 수량구성 요소 및 수량

 Ethephon 처리에 따른 호밀의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을 보면 (Table 3), 수장, 영화수, 리터중 등에서 무처리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천립중은 Ethephon 처리가 무처리에 비해 약간 무거웠다. 발아율은 차이가 없었으며, 수량은 무처리에 비해 Ethephon 처리구가 처리시기와 처리 농도에 관계없이 모두 증수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최고 8%까지 증수하였다. 이는 Ethephon 처리로 인하여 도복이 방지되어 천립중이 무거워지는 등 등숙이 양호하여 증수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여진다. Yoon 등(1988)도 Ethephon 처리시 관행과 비교해서 수장, 리터중 등은 비슷했으나, 수량은 18% 증수했다고 했고, Kwack과 Hong(1976) 등도 Ethrel을 처리하면 도복이 방지되고 수량이 무처리에 비해 10% 증수했다고 보고해 본 연구와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호밀에서 Ethephon 처리시기와 농도는 출수시에 1,000 ppm으로 처리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Table 3. Effects of ethephon treatment on ears, litter weight, thousand seeds weight, seed germination and yield at different growth stage in rye.

2. 건조제(Diaquat dibromide) 처리가 수확기 촉진 및 종실에 미치는 영향

가. 종실 수분함량 변화

호밀의 출수 후 경과 일수에 따른 종실 수분함량을 보면 (Table 4) 출수 후 30일에는 63.3%, 40일에는 59.4%었으며 생리적 성숙기인 출수 후 52일에도 40.1%로 곡실 수분함량이 상당히 높았으나, 성숙기 이후에는 급격이 줄어들어 성숙 후 5일 후가 되면 수확하기에 적당한 25% 내외의 수분함량이 되는데(Lee and Park, 1982) 수분함량이 높은 상태로 컴바인수확을 하면 미탈립률이 높아지며, 탈립이 되더라도 손상립이 많이 발생하고 지경이 부착된채로 수확되기 때문에(Kwon et al., 1980, Lee and Park, 1982) 정립작업에 많은 노력이 소요될 뿐아니라 품질도 저하된다. 호밀에 건조제를 처리하면 2일 후부터 잎이 제일 먼저 황색으로 변하기 시작하며 줄기(출수도), 이삭 순으로 색택이 서서히 황색으로 변하기 시작하는데 곡립의 수분함량이 수확적기에 도달하는 시간을 보면(Fig. 1) 출수 후 30일에 처리했을 때는 건조 속도가 서서히 진행되어 약 20일이 걸렸고, 출수 후 35일에 처리했을 경우에는 약 15일이 걸렸다. 출수 후 40일과 45일에 처리했을 때는 약 10일이 걸렸고, 출수 후 50일에 처리했을 경우에는 5일이 걸려다. 출수 후 경과 일수에 따라서 건조 속도가 달랐는데 Lee와 Park(1982)은 출수 후 일수가 짧을수록 식물체의 수분함량이 많고, 근활력 및 식물체조직의 활성도가 높은 점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 했다. 호밀을 수확하려면 관행재배시 출수 후 58일이 걸리지만 건조제를 처리하면 9일 정도 수확기를 앞당길 수 있다. 보리에서 건조제를 살포한 뒤 강우가 있으면 곡립의 변색이 우려되는데, Lee와 Park(1982)의 보고에 의하면 건조제 성분에 의하여 곡립이 변색된 것이 아니라 건조제 매체로 사용된 수분에 의하여 곡립표피에 존재하는 효소가 활성화 되었기 때문에 변색된다고 하였다.

Table 4. The seed moisture content according to the number of days after heading on rye.

Fig. 1. Effects of the lodging restraint on the rye by ethephon treatment at first heading stage.

Fig. 2. Changes of seed moisture content after diquat treatment at heading stage on rye.

나. 건조제 처리시기 및 종자에 미치는 영향

 발아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수확시기를 앞당길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실시한 건조제 처리 후 수확기 단축효과와 종자의 품질을 보면 Table 4와 같다. 건조제 처리시 수확 시기는 출수 후 30일 처리가 6월7일로 관행재배에 비해 14일이 빨랐고, 출수 후 35일과 40일 처리가 6월12일로 9일이 빨랐으며, 출수 후 45일과 50일 처리가 6월17일로 4일이 빨랐다. 건조제의 건조 효과가 아무리 뛰어난다 하더라도 건조제가 호밀 종자의 품질에 영향을 미친다면 종자 생산에 큰 차질을 초래할 수 있다. 건조제 처리가 호밀종자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경수와 영화수는 차이가 없었으나, 천립중은 출수 후 처리 일수가 늦어질수록 무거웠고, 발아율 또한 출수 후 처리일수가 늦어질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출수 후 40일 이후에는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건조제 처리 일수에 따른 수확 립수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수량에서는 큰 차이를 보였는데 출수 후 30일 처리구에서는 10 a당 120 kg으로 관행재배의 30% 수준이었고, 출수 후 35일 처리구에서는 185 kg으로 48%수준이었으나, 출수 후 40일 처리구에서는 289 kg으로 74%이었다. 생리적 성숙기(Table 4)와 비슷한 출수 후 50일 처리구는 390 kg으로 관행재배와 같아 생리적 성숙기 이전에 건조제를 처리하면 품질에 큰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품질은 약간 떨어지지만 종자로서의 능력을 갖추고 발아에 영향이 없으면서 수확 시기가 가장 빠른 건조제 처리시기는 출수 후 40일이었다. 건조제 처리시기와 손실량과의 관계에서 Kwon과 Shin(1981)은 벼에서, Lee와 Park(1982)은 보리에서 건조제(Diaquat)를 처리 했을 때 건조효과가 뚜렸 했으며, 성숙기 이전에 살포하면 수량과 품질이 저하되나 생리적 성숙기 이후에 살포하면 곡립의 품질에는 전혀 영향이 없었다고 보고해 본 시험과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Table 5. Effects of regron(diquatdibromide) treatment for shortening to harvestseeds, and seed germination at different treated time on rye.

Fig. 3. Photo of rye Seeds at different treated time.

Reference

1.Bopp, M. 1985. Plant growth substance springer. Verlag 373-379.
2.Cathey, H. M. 1975. Comparative plant growth-retarding activities of avcymidol with ACPC, Phosfon, Chloromequat, and SADH on ornamental plant species. HortScience 10 : 204~216.
3.Han, S. S., K. H. Park, C. H. Yoo and Y/ K. Lee. 1993. Investigation on the use of paraquat and diquat as a desiccant for sesame harvest- aid. J. Kor. Soc. Weed Sci. 13(1) : 7-13.
4.Hong, Y. K. C. K. Chu, W. S. Kim, and B. H. Kwack. 1974. Effect of certain chemical spray on the barley. Res. Rept. RDA 16 : 97- 105.
5.Jung, J. 1973. On the biological action of new synthetic growth regulators of the onium group. Written paper presented at 8th Int'l. Conf. Plant Growth Substances (Aug 1973, Tokyo)
6.Kwack, B. H and Y. K. Hong. 1976. Studeis on the effect of ethylene- releasing agents in increasing grain yield of barley with higher nitrogen application. J. Kor. Soc. Crop Sci. 21(2) : 222-232.
7.Kwack, B. H. 1974. Effects of ethrel on tobacco-leaf maturity. - Influences by different levels of the chemical, soil nitrogen and time of the chemical application-. Kor. J. Botany 17(1) : 15-21.
8.Kwack, B. H. and Y. K. Hong. 1976. Studeis on the effect of ethylene- releasing agents in increasing grain yield of barley with higher nitrogen application. J. Kor. Soc. Crop Sci. 21(2) : 222-232.
9.Kwon, Y. W. and J. C. Shin. 1981. Effect of application time and rate of diquat on preharvest field drying of rice. J. Kor. Soc. Crop Sci. 26(2) : 147-156
10.Lee, H. S. and B. K. Yim. 1973. Effect of chemical spray on the growth and yield of wheat. Seoul Natl. Univ. (Biol. & Agr.) 23 : 51-63.
11.Lee, K. S. and M. S. Park. 1982. Studies on combine harvesting methods of barley in double cropping paddy. II. Determination of optimum havesting date by combine with desiccant(reglone) application based on grain yield and quality. J. Kor. Soc. Crop Sci. 27(3) : 247-253
12.Leopold, A. C. 1972. Ethylene as a plant hormone. In: Hormonal regulation in plant growth and development. ed. by Kaldwey and Vardar. Verlag Chmie, Weinheim. pp. 245-262.
13.Yoon, Y. H., K. h. Kwon, I. M. Song, S. Y. Kim, J. Y. Lee and K. W. Jung. 1988. Effect on the fertillizer application methods and growth regulator treatments on the lodging and seed yield of seed production culture in rye(Secale cereale L.). Res. Rept. RDA(U&I) 30(1) : 64-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