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8504(Print)
ISSN : 2287-8165(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Vol.25 No.4 pp.432-436
DOI : https://doi.org/10.12719/KSIA.2013.25.4.432

복숭아 수분용 품종의 드릴 접목에 따른 생육특성 비교

김익제, 권의석, 이성희, 이기열
충청북도농업기술원 원예연구과
본 연구는 드릴을 이용하여 화분 공급이 용이한 위치에 수분용 품종을 편리하게 접목시키는 적기 구명을 목적으로 접목된 수분용 품종들의 생육특성을 검토하여 동해에 강하고, 다량의 화분을 공급하는 수분용 품종 선발로 이어지는 일련의 연구를 통해 반영구 안전착과 기술을 확립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1. 드릴을 이용한 접목 유합율은 3월 13일에 40.0 ~ 44.5%로 가장 높았고, 접목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품종에 따른 접목 유합율의 차이는 없었다.
2. 가지의 길이는 3월 13일 접목에서 길었고, 품종간에는 수미와 이즈미백도가 짧았다. 화아 수도 3월 13일 접목에서 많았고, 품종간에는 수미와 이즈미백도가 적었다.
3. 엽 중 질산태질소 함량은 수미와 이즈미백도가 낮았고, 기타 품종은 비슷하였다. SPAD 값과 엽 중 질산태질소 함량은 비슷한 경향으로 수미와 이즈미백도가 낮았고, 기타 품종들은 차이가 없었다.
4. 가지 전분 함량은 월동 전에는 이즈미백도가 가장 적었고, 기타 품종은 비슷하였다. 월동 후에는 장택백봉과 진미가 높았고, 기타 품종은 차이가 없었다. 월동 후와 월동 전의 가지 전분함량의 비율은 유명과 천홍이 낮았고, 기타 품종은 비슷한 경향이었다.
5. 접목된 수분용 품종의 화아 동해 비율은 수미와 진미가 21.7 ~ 23.1%로 높았고, 유명과 천홍은 9.4 ~ 12.5%로 낮았으며, 기타 품종은 17.6 ~ 19.4%였다. 수술 당 화아 수는 유명과 진미가 많았고, 이즈미백도가 가장 적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접목 후 생장은 중간 정도이지만 동해에 강하고, 화아수가 많은 유명이 최근 월동 중 이상저온에 적합한 수분용 품종으로 유망하였다.

Comparison of Growth Characteristics of Pollenizer Cultivars by Top-grafting Using Drill in Peach

Ik-Jei Kim, Yeu-Seok Kwon, Sung-Hee Lee, Ki Yeol Lee
Horticultural Research Division, Chungcheongbuk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 46 Gagog-gil, Ochang-eup, Cheongwon-gun, Chungcheongbuk-do, 363-883, Korea
Received Jul. 15, 2013/Revised Nov. 13, 2013/Accepted Nov. 19, 2013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scions which was topgraftedas the pollenizer for the increase of pollen supply. The scions for pollen supply were 7 cultivarsincluding ‘Soomee’ and rootstock was ‘Kawanakajima Hakuto’ which was scheduled to receive pollens.The diameter of scion was 7 ~ 10mm and the top-grafting were done three times about one month intervalsfrom March 13th in 2012. The top-grafting union ratio was higher when that time was earlier, butnot shown to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pollenizer cultivars, therefore, there was no graft incompatibilitybetween pollenizer cultivars and ‘Kawanakajima Hakuto’. When the top-grafting time was earlier,the shoot lengths of pollenizer cultivars were longer and the number of flower buds increased. Thenitrate content of leaves was the highest in ‘Jinmi’. The SPAD value was the highest in ‘Cheonhong’. Thereduction ratio of starch was the highest in ‘Cheonhong’. The ratio of freezing injury of flower buds wasthe lowest in ‘Yumyeong’. The number of flower buds per a stamen of ‘Yumyeong’ and ‘Jinmi’ werehigher than other cultivars. In conclusion, ‘Yumyeong’ was the suitable and promising pollenizer cultivaragainst the unusually cold temperature during winter season, because this cultivar was resistant tothe freezing injury and had a lot of flower buds despite the midium growth vigor after top-grafting usingdrill.

0010-01-0025-0004-17.pdf852.7KB

 복숭아 주요 재배지역인 중부지방에서는 개화기간인 4월 중·하순의 이상저온으로 인한 수술의 피해로 착과율 저하가 초래되고, 이로 인한 감수와 신초 생육의 교란은 복숭아 안정 생산에 제한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최근 지구온난화 과정 중의 이상기상은 이상저온의 빈도를 높이고 있는 실정이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인공수분은 화분 구입이라는 재료비 추가와 인공수분 작업으로 인한 노력비의 증가로 복숭아 재배 농가의 생산비를 가중시키고 있다. 또한 복숭아 주요 품종 중 천중도백도와 미백도는 화분이 없는 품종으로 수분수 없이는 착과를 기대할 수 없다. 따라서 반영구적으로 인공수분을 대체할 수 있도록 개화기간에 안정적으로 화분을 공급하는 새로운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개화기간의 이상저온은 지구온난화가 본격적으로 문제되기 이전인 1960년대에도 빈도는 낮았지만 복숭아 과원에 피해를 주었다. Kim(1969)은 이상저온을 회피하기 위해 아교가용 석회백도제를 조제하여 2월 20일에 수체에 살포함으로써 개화기 지연이 가능하다고 하였다. 최근에는 개화기간에 이상저온의 횟수가 증가하는 추세로 인공수분이 재배과정에 포함되어 가는 실정으로 이를 극복하기 위해 화분의 장기저장 온도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Choi et al., 2007).

 또한 접목방법으로는 깎기접, 눈접 등 다양한 접목법이 소개되어 있으며, 각각의 접목방법을 그대로 활용하거나 약간씩 응용해가면서 접목 유합율을 높일 수 있도록 적용하고 있다. 복숭아의 깍기눈접은 3월 중순 접목이 효과적이라고 하였고(Kim et al., 2004), Choi 등(2011)은 배 고접을 위한 드릴 접목기술로 3월 중순 ~ 4월 중순에 접수보다 1 ~ 1.5mm 작은 드릴로 25 mm 깊이로 천공한 후 접목하면 83.9% 성공했다고 보고하였다.

 과원의 공간 활용도를 제고하기 위해 수분용 품종을 별도 식재하는 대신 원하는 위치에 접목할 수 있는 드릴 접목의 적기를 구명하고, 접목 후 수분용 품종의 생육특성을 검토하여 내재해성이 확보된 화분이 많은 품종을 선발하면 개화기간에 다량의 화분 공급이 가능하여 인공수분을 대체하는 반영구적인 안정착과가 가능하다고 판단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재료 및 방법

 본 시험은 2012년부터 2013년 5월까지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연하리 소재 복숭아 과원에서 수행하였다. 시험품종은 대목 성격의 주품종으로 ‘천중도백도’(7년생 이상)로 하였고, 접수인 수분용 품종은 화분이 많은 ‘수미’ 등 7품종으로 하였다. 접목은 30개를 3반복으로 하여 2012년 3월 13일부터 약 1개월 간격으로 3회 실시하였고, 접수는 직경이 7 ~ 10 mm, 길이는 10 cm정도로 하였으며, 형성층 부분이 10 mm 정도 노출되도록 휴대용 연필깍기로 도려내어 조제하였다. 접목방법은 휴대용 전동드릴을 이용하여 대목 주지 기부에서 50 ~ 100 cm 부위에 접수에 비해 1 mm 정도 적은 드릴 날을 이용하여 원형 구멍을 뚫고 접수를 삽입한 후 대목과 접수가 맞닿는 부위 및 접수의 상단부 절단면에 친환경 목공용 접착제를 도포하였다(Fig. 1).

Fig. 1. Top-grafting process using drill.

 접목 후 생육기간 중 품종 간 세력을 비교하기 위해 엽 중질산태질소 농도는 MERCK RQflex plus 10를 이용하여 수체 영양진단기인 7월 18일에 조사하였고, 같은 시기에 Chlorophyll meter(SPAD-502, MINOLTA)로 엽색도를 조사하였다. 저장양분 축적정도를 검토하기 위해 Megazyme kit(AOAC Method 996.11)을 이용하여 전분 함량은 분석하였고, 화분량은 100개의 약을 3반복으로 채취하여 각각 10배로 희석 후 Hemacytometer로 조사하였다. 기타 조사는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 연구조사 분석기준(RDA, 2003)에 의하여 수행하였다.

결과 및 고찰

드릴 접목 적기 및 접목 후 생육

 드릴을 이용한 접목 유합율은 3월 13일에 40.0 ~ 44.5%로 가장 높았고, 4월 11일에는 20.4 ~ 22.8%로 감소하였으며, 5월 8일에는 10.2 ~ 11.6%로 더욱 감소하여 접목시기가 빠를수록 유합율이 높았고, 품종에 따른 통계적 차이는 없어 접목 불친화성은 보이지 않았다고 판단되었다(Table 1).

Table 1. Comparison of top-grafting union ratio of pollenizer cultivars as affected by top-grafting dates using drill in 2012.

 이상의 결과는 복숭아의 깍기눈접 적기가 3월 중순이라는 보고(Kim et al., 2004) 및 배 고접을 위한 드릴 접목은 3월 중순 ~ 4월 중순이라는 보고(Choi et al., 2011)와 일치하여 드릴을 이용하여 복숭아를 고접할 때는 월동후 수액이 원활하게 이동을 시작하는 3월 중순이 접목 유합율을 높일 수 있는 적기라고 판단되었다.

 드릴 접목 후 수분용 품종들의 생육특성은 Table 2와 같다. 가지의 길이는 접목이 가장 빨랐던 3월 13일에서 길었고, 품종 간에는 장호원황도, 진미 및 천홍이 길었으며, 수미와 이즈미백도가 짧았다. 화아 수는 3월 13일 접목에서 많았고, 품종 간에는 진미와 천홍이 많았으며, 수미와 이즈미백도가 적어 가지의 생장과 비슷한 경향이었고, 5월 9일 접목에서는 화아 형성이 없었다.

Table 2. Comparison of growth characteristics of pollenizer cultivars as affected by top-grafting dates using drill in 2012.

 이상의 결과는 자두를 대목으로 하여 접수인 복숭아 가지의 생장을 조사한 결과 품종에 따라 생장량이 틀리다는 보고(Moing et al., 1987)와 일치하여 복숭아 간의 접목에서도 가지 생육 및 꽃눈 형성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유추되었다.

질산태질소 함량 및 전분 함량의 변화

 드릴을 이용한 접목 후 수분용 품종들의 엽 중 질산태질소 함량은 이즈미백도 724 ppm, 수미 875 ppm으로 낮았고, 기타 품종은 비슷한 경향이었다. SPAD 값도 유사하여 이즈미백도 30.3, 수미 35.2로 낮았으며, 기타 품종들은 차이가 없었다(Table 3).

Table 3. Comparison of leaf nitrate content and SPAD value of pollenizer cultivars as affected by top-grafting using drill on march 13th in 2012. Data collected on Jul. 18th in 2012.

 이상의 결과는 Moing & Gaudillere(1992)가 자두 대목에 복숭아 품종을 접목한 결과 복숭아 품종에 따라 엽 중 질소 함량이 틀리다는 보고와 일치하였다. 사과에서 질소시비 수준이 높아지면 엽 중 질소함량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SPAD 값이 높아진다는 보고(Park et al., 2007; Porro et al., 2001)와 오이에서 엽 중 질소 함량과 SPAD 값은 정의 상관관계라는보고(Kim et al., 2003)와 유사하여 생육이 왕성한 수분용 품종 선발을 위해서는 Table 2에서 가지 생육과 꽃눈 형성이 부진하였고, 엽 중 질산태질소 함량과 SPAD 값이 낮았던 수미와 이즈미백도는 배제되어야 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드릴 접목 후 수분용 품종들의 월동 전후 전분함량의 변화는 Table 4와 같다. 월동 전인 2012년 12월 14일의 가지 전분 함량은 이즈미백도가 1.84 g·100 g−1로 가장 적었고, 기타품종은 비슷하였다. 월동 후인 2013년 3월 8일의 가지 전분함량은 장택백봉 0.64 g·100 g−1, 진미 0.61 g·100 g−1로 높았고, 기타 품종들은 차이가 없었다. 월동 후의 가지 전분함량 비율은 월동 전의 25 ~ 31% 수준으로 유명 25%, 천홍 26%로 낮았고, 기타 품종들은 비슷한 경향이었다.

Table 4. Change of shoot starch content of pollenizer cultivars as affected by top-grafting using drill.

 이는 전분 축적이 월동 전에 최고로 많고, 저온으로 경과함에 따라 저당류로 분해되어 세포의 결빙을 억제하면서 감소된다는 보고(Crandall et al., 1974; Jennings & Carmichael, 1975; Palonen, 2000)와 일치하였고, 품종간의 전분 함량과 월동기간 중의 저당류로의 분해 정도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수분용 품종 동해 정도 및 화분 수

 드릴 접목된 수분용 품종들의 월동 후 화아의 동해 비율은 Fig. 2과 같다. 화아의 동해 비율은 수미와 진미가 21.7 ~ 23.1%로 높았고, 유명과 천홍은 9.4 ~ 12.5%로 낮았으며, 기타 품종은 17.6 ~ 19.4%였다. 수술 당 화아 수는 유명과 천홍이 많았다(Fig. 3).

Fig. 2. Ratio of freezing injury of flower bud of pollenizer cultivars as affected by top-grafting using electric power drill in 2013.

Fig. 3. Mean number of pollen during flowering period as affected by top-grafting using electric power drill in 2013.

 이는 Table 4에서 월동 후와 월동 전 가지의 전분 함량 비율이 수미와 진미가 높았던 것을 고려할 때 동해를 입었을 경우 전분이 저당류로의 분해가 원활하지 않다는 보고(Kim et al., 2013)와 일치하여 전분 분해가 원활하였고, 화분 수가 많았던 유명과 천홍이 내동성 수분용 품종으로 유리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사 사

 본 연구는 농촌진흥청 공동연구사업(과제번호 : PJ0087682013)의 지원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

Reference

1.Crandall, P. C., D. F. Allmendinger, J. D. Chamberlain, and K. A. Biderpost. 1974. Influence of cane number and diameter, irrigation, and carbohydrate reserves on the fruit number of red raspberries. J Am. Soc. Hortic. Sci. 99: 524-526
2.Choi, J. J., J. H. Cho, S. H. Yim, J. H. Han, M. S. Kim, J. H. Park, H. C. Lee, and H. S. Hwang. 2011. The development of laborsaving top-grafting method using electronic power drill in the peach tree. Kor. J. Hort. Sci. Tech. 29(SUPPLE) :124.
3.Choi, S. Y., Y. G. Sim, D. J. Choi, J. W, Cho, I. S. Kim, and P. H. Park. 2007. Effect of storage temperature on viability changes of long-tern storge peach pollen. Kor. J. Hort. Sci. Tech. 25(SUPPLE) :88.
4.Jennings, D. L., and E Carmichael. 1975. Some physiological changes occurring in overwintering raspberry plants in Scotland. Hortic. Res. 14:103-108
5.Kim, C. C. 1969. Studies on delaying peach blooming in order to avoid from spring frost damage. Kor. J. Hort. Sci. 5:7-10.
6.Kim, I. S., C. D. Choi, and J. W. Cho. 2004. Effect of graftage on graft union ratio and growth characteristics in peach. Kor. J. Hort. Sci. Tech. 22(SUPPLE) :75.
7.Kim, I. J., Y. S. Kwon, S. H. Lee, and K. Y. Lee. 2013. Effect of additional fertilization freezing injury in peach tree. International Peach Symposium:27
8.Kim, K. R., and K. H. Kim. 2003. Rapid nutrient diagnosis of cucumber by test strip and chlorophyll meter. J. Kor. Soil. Sci. Fert. 36:272-279.
9.Moing, A., G. Salesses, and P. H. Saglio. 1987. Growth and the composition and transport of carbohydrate in compatible and incompatible peach/plum grafts. Tree Physiology 3:345-354.
10.Moing, A., and J. P. Gaudillere. 1992. Carbon and nitrogen partitioning in peach/ plum grafts. Tree Physiology 10:81-92.
11.Palonen, P. 1999. Relationship between seasonal changes in carbohydrates and cold hardiness in canes and buds of three red raspberry cultivars. J. Am. Soc. Hortic. Sci. 124:507-513
12.Park, J. M., J. G. Park, and I. B. Lee. 2007. Seasonal diagosis of nitrogen status of 'Fuji'/M.26 apple leaves using chlorophyll meter. Kor. J. Hort. Sci. Technol. 25(1):59-62.
13.Porro, D., C. Dorigatti, M. Stefanimi, and A. Ceschini. 2001. Use of SPAD meter in apple and grapevine. Acta Hort. 654:243-252.
14.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RDA). 2003. Analysis standard of agricultural test and research. RDA. pp. 527-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