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2287-8165(Online)
DOI : https://doi.org/10.12719/KSIA.2013.25.4.358
캄보디아 천연고무산업의 현황과 전망
1. 재배현황-국가적 혼란(크메르루주 치하) 이후 저조하던 고무산업은 2005년부터 재배면적이 증가하기 시작하여 2011년에는 213,104 ha를 기록했다. 2011년 주별 총재배면적은 Kampong Cham 주가 가장 넓었고 생산자별로는 소규모 자작농 고무 플랜테이션이 전체의 45%를 차지했다. 2010년에는 천연고무 생산국 중 총생산량이 17위, 수량은 7위였다.
2. 유통 및 가공-농업인이 라텍스를 추출하면 수집상이나 도매상이 사들여 고무 공정공장으로 보내거나 곧장 외국무역상에 판매한다. 대규모 회사의 경우 자체공정공장에서 직접 가공한다. 건조 고무가 2010년 캄보디아 주요 수출품목 3위를 차지했고 8천만 달러 이상의 외화를 벌어들였다. 압도적으로 수출액 1위를 달성하며 수익성과 캄보디아 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이 입증되었다.
3. 발전저해요인-재배적 관점에서 질 낮은 품종의 불가피한 선택, 초기투자비용 부담, 재배지식 부족 그리고 수요에 맞지못하는 고무의 생산 등이다. 유통의 관점에서는 인프라부족, 수출경험부족과 열악한 수출 여건 등이었고 제도적 관점에서는 품질인증제도 운영부실, 토지보유권 보호 미흡, 수출비용과다부과 등으로 나타났다.
4. 금후 발전과제-세계수요에 대응할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국제기구의 협력을 얻어 수출국을 확대하고 유통과정을 간소화하여 비용을 낮춰야 한다. GDR(General Directorate of Rubber)은 고무연구 및 개발에 힘쓰고, 농민들을 위한 무상교육을 해야 한다. 허울뿐인 고무품질인증제도를 개선하고 토지침범에 대한 즉각적이고 엄중한 조치가 요구된다. 고무나무 부산물을 이용해 부가적인 이익도 창출할 수 있다.
고무 자작농의 확대는 가계수입을 창출하고 고용을 증대함으로써 농촌경제에 이바지하고, 국내외기업의 투자는 국가 경제 활성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환경조건과 노동력을 갖춘 캄보디아의 고무 플랜테이션에는 기술과 자본의 투입이 절실하다. 투자자 입장에서 저비용으로 장기소득을 낼 수 있는 친환경적인 농업이다. 국민들의 생활 수준이 높아지고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천연제품을 찾는 사람들이 늘고있다. 천연고무는 합성고무로 대체 할 수 없는 본연의 이점을 지니기 때문에 더욱이 천연고무산업의 전망은 매우 밝다고 볼 수 있다.
Current Situation and Prospect of Natural Rubber Industry in Cambodia
Abstract
- 0010-01-0025-0004-6.pdf1.00MB
현재 상업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고무나무는 파라고무나무로 학명은 Heveabrasiliensis이고 브라질의 아마존 열대우림이 원산지이다(Wikipedia, 2007). 1876년 영국이 고무나무 묘목을 동남아시아 지역에 처음 도입하였고, 캄보디아로 고무나무가 들어온 것은 1910년 프랑스에 의해서였다(Saing, 2009). 1914년 소규모로 고무 플랜테이션(Plantation)이 시작된 이래 현재까지 계속되고 있다. 천연 고무는 수송, 산업, 소비, 위생·의료 분야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중요한 원자재로서 매우 가치가 있다.
2011년 세계천연고무 총생산량은 약 1100만 톤에 달했다(IRSG, 2012). 그중 캄보디아에서 생산된 고무의 양은 약 5만톤으로 세계천연고무 생산의 0.5%를 차지했다. 2011년 기준캄보디아 내 고무나무 재배면적은 약 21만ha로 조사되었다(MAFF 2012). 캄보디아 왕실 정부는 2020년까지, 29만 톤의 수량을 낼 수 있도록 고무나무 재배면적을 30만ha까지 늘리는 데에 목표를 두고 있다(Ly Phalla, 2011).
캄보디아와 국경을 맞대고 있는 태국은 현재 세계 천연고무 생산량 1위 국가이다. 연 생산량이 305만 톤으로(FAO STAT, 2010) 세계 고무 생산량의 29%를 차지하며 세계 고무산업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인접국 베트남 또한 천연고무 75만 톤을(FAO STAT, 2010) 생산함으로써 캄보디아에 앞서있다. 특히 베트남은 헥타르 당 라텍스1)수량이 1,720 kg으로 캄보디아의 1,050 kg보다 현저히 많다(FAO STAT, 2010). 캄보디아는 기후, 토질 등의 환경이 태국, 베트남과 유사하지만, 생산성 면에서 뒤떨어진다. 고무나무가 자라기에 적합한 환경과 넓은 땅을 가지고 있지만, 재배효율이나 기술적인 부분이 미비하다는 점에서 캄보디아 고무산업의 성장 잠재력은 주목해볼 만하다.
1)고무나무 껍질을 칼로 그으면 흘러나오는 끈적한 액체로 단백질 층에 싸인 천연고무의 입자가 물속에 떠 있는 상태의 액체. 여기에 폼산, 아세트산을 가하여 고형분을 응고시키면 생고무가 된다.
본 연구는 캄보디아 고무산업의 일반현황, 고무나무의 재배현황, 고무 유통과 고무산업의 저해요인을 파악하고 금후 발전 가능성을 전망해 봄으로써 캄보디아 농업발전 가능성을 살펴보고 아울러 한국 기업이 캄보디아의 고무산업에 진출할 때 참고 할 수 있는 기초 정보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고무산업의 일반현황
캄보디아 최초의 고무 플랜테이션은 1914년 Kampot 주에서 150ha의 규모로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헥타르 당 약 200kg의 고무가 생산되었다. 1920년, 프랑스 회사의 대규모 고무 플랜테이션을 기점으로 점차 생산량과 생산성이 증가하였다(Khun et al., 2008b). 1960년대 중반에는 연 생산량이 50,000톤을 넘었고 헥타르 당 약 1.5톤의 수량을 기록하며 고무 생산의 정점에 이르렀다(CDRI, 2009). 그러나 1970년대에 베트남 전쟁이 발발하고 크메르루주 정권이 들어서면서 생산이 중단되었다. 그 당시 나라 전체가 황폐해져 1980년에 공식 산출된 고무나무 총재배면적은 5,000 ha로 1967년 대비 92% 감소하였다. 생산량 또한 1,300톤으로 98% 감소하였다(MAFF 2011).
캄보디아에서 고무나무는 Kampong Cham, Ratanakiri, Kratie, Kampong Thom, Mondulkiri 주(州) 등에서 주로 재배된다. 월평균 기온이 25℃ ~28℃이고 강우량이 연중 고르게 2,000 ~ 3,000 mm이면 적합하다. 습도는 80%, 일사량은 하루 평균 6시간 정도로 강한 바람이 없는 곳이어야 한다(Rao and Vijayakumar, 1992).
고무나무 재배에서 토양의 물리적 성질이 화학적 성분보다 중요하다(Verheye, 2010). 적색토가 보수력이 좋고 단립구조가 안정적이기 때문에 고무재배에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천연고무는 생고무 그대로 보다는 가황고무2)형태로 가공되어 널리 쓰이고 있다. 이용 분야는 수송, 산업, 소비, 위생·의료 등이다. 수송분야는 타이어 제품과 튜브 등, 산업분야는 컨베이어 등 자재관리에 필요한 제품과 호스, 벨트 등 산업용 제품 등이다. 소비분야는 의류, 신발, 지우개 등, 위생분야는진찰, 수술용 장갑 등으로 이용되고 있다.
2)생고무에 유황을 넣고 가열하여 탄력성 있게 만든 고무.
고무나무의 재배현황
2004년 이전까지 캄보디아 내 고무나무 총재배면적은 55,000ha 정도였으나 2005년에는 60,000 ha 정도로 재배면적이 약간 증가하였고, 2011년에는 213,104 ha로 2004년 대비 287% 증가하였다. Fig. 1에서와 같이 어린 고무나무 재배면적의 증가로 인해 총재배면적이 매년 증가하지만, 라텍스를 생산하는 성숙한 고무나무 재배면적은 2001년부터 2010년까지 큰 변동이 없었다.
Fig. 1. Area of rubber plantation in Cambodia, 2000-2011.
대규모 플랜테이션 지역은 몇 개 주로 한정된다. Table 1에서와같이 Kampong Cham 주의 재배면적이 가장 넓다. 태핑면적(고무 수확 가능 면적)이 37,049 ha, 어린나무 면적이 54,710 ha, 총면적이 91,759 ha로 압도적이다. 이어서 Ratanakiri, Kratie, Kampong Thom, Mondulkiri 등의 순으로 나타났고, 이 5개 주에서 캄보디아 내 전체 고무나무의 88%를 차지하고 있다.
Table 1. Area of rubber plantation by province, 2011
캄보디아의 고무 생산량은 Fig. 2에서와 같이 2000년부터 2005년까지 천연고무 총생산량은 감소 추세를 보였다. 총재배면적에 포함된 고무나무 중에서 더는 라텍스를 생산할 수 없는 오래된 나무들이 21,798 ha를 차지하고 있었기 때문이다(MAFF, 2006). 2005년 이후로 생산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2011년에는 5만 톤을 넘어서면서 최고치를 기록했다. 2010년 어린나무 재배면적의 증가량이 47,242 ha로 가장 큰 것으로 보아 고무 수확이 가능한 2017년 이후 라텍스 생산량의 증가폭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Fig. 2. Natural rubber production in Cambodia, 2000-2011.
세계적으로 천연고무를 생산하는 나라는 40여 개국이다. 그중 상위 17개국의 2010년 생산량을 비교해보면 Fig. 3과 같다. 태국이 1위, 인도네시아가 2위로 3위와는 격차가 컸다. 1991년 이전까지는 인도네시아가 1위 생산국이었으나 현재는 태국이 앞서있다. 전 세계 천연고무 생산량의 93%가 동남아시아에서 생산되고(ETRMA, 2011) 그중 56%가 태국과 인도네시아가 차지하고 있다. 두 나라에 비해 캄보디아의 고무 생산량은 세계 17위로 저조하였다. 캄보디아와 국경을 맞대고 있는 태국의 연 생산량은 약 300만 톤으로 캄보디아의 약 80배, 5위에 있는 베트남은 75만 톤으로 캄보디아의 20배에 달했다.
Fig. 3. Production of natural rubber producing countries, 2010
Fig. 4에서와 같이 필리핀은 생산량으로 세계 7위이지만 ha당 수량은 2,860 kg으로 가장 높다. 캄보디아의 수량은 1,050 kg/ha로 필리핀의 절반에 못 미치고 세계 평균 1,140 kg보다도 조금 낮다(FAO STAT, 2010). 그 이유는 25년 이상 오래된 고무나무가 많아 수량이 높지 않은 것으로 보고 있다(CDRI, 2009). 생산량 1위인 태국의 수량은 1,580 kg/ha로 세계 7위에 그쳤다. 수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는 환경, 고무나무의 수, 품종선택 및 재배기술 등으로 알려졌다.
Fig. 4. Yield of natural rubber producing countries, 2010.
고무의 유통현황
생산된 라텍스는 Fig. 5와 같이 세 경로로 이동된다. 곧장 고무 공정공장으로 가는 경우, 수집상에게 넘겨지는 경우, 도매상에게 인도되는 경우이다. 공정 공장으로 보내지는 비율이 30%, 수집상에게 넘어가는 비율이 7%, 도매상에게 인도되는 비율이 63%를 차지하고 있다(CDRI, 2009). 대규모 플랜테이션을 하는 회사들은 보통 자체 고무 공정공장을 가지고 있지만, 소규모 자작농의 경우 라텍스를 추출하면 수집상을 거쳐 공정공장으로 보낸다. 캄보디아에서는 추출한 라텍스 상태 그대로 수출하는 것이 금지되어 있다.
Fig. 5. Flow chart of rubber marketing in Cambodia.
2010년 캄보디아에서 생산된 고무의 64%가 한국 등 아시아의 여러 나라를 포함한 13개국으로 수출되었다. 나머지 36% 중 약 10%를 캄보디아에서 사용했고 나머지는 비공식 수출량으로 추산된다(Business Press, 2006). 1위 수출국은 베트남으로 전체 생산량의 46%, 약 2만 톤에 해당하는 고무를 수출한바 있다. 베트남은 고무산지와 가깝고, 육로로 수출이 가능하며 등급이 낮은 고무도 판매할 수 있다.
고무는 천연 라텍스, 스모크 시트, 공업 규격화된 천연고무(TSNR) 등의 형태로 수출되고 있으며, 가장 많이 수출되는 것은 천연고무 형태이다.
고무 제품과 부산물로서 목재의 수출도 캄보디아 농촌경제에 이바지하고 있다. 농가소득을 창출하여 빈곤을 감소시키고 농촌에서의 고용을 증대하며 고무농장 주변 지역의 개발을 촉진한다고 알려졌다(Dourng and Sok, 2005). 2010년의 경우 건조 고무는 캄보디아 주요 수출품목 3위에 올랐으며 수출량으로 보면 쌀과 옥수수에 이어 세 번째지만 26,631톤을 수출하였다. 수출액은 8,178만 달러로 1위를 차지하였다. 수출량 1위인 쌀은 건조 고무의 두 배에 가까운 양을 수출했지만, 수출액은 건조 고무의 절반 이하였다. 즉 다른 품목에 비해 고무는 수익성이 크기 때문에 캄보디아 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이 매우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고무산업발전의 저해요인
재배적 측점
캄보디아 고무가 다른 나라 고무보다 경쟁력이 떨어지는 이유는 품종의 선택에서 시작된다. 전체 생산자의 45%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소규모 자작농의 경우에 특히 그러하다. 소규모 자작농의 절반 정도는 회사로부터 좋은 종자나 묘목을 구매하여 사용하지만, 나머지 절반은 금전적인 여유가 없어 다른 농장으로부터 잡종 종자를 구매한다. 후자의 경우 초기비용은 적게 들지만, 환경 저항성이 약하고 적은 수량을 낸다.
소규모 자작농이 초기자본을 감당하기 어렵다. 고무나무 특성상 식목 후 6 ~ 7년이 지나 라텍스를 채취할 때까지 수익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농민들의 재배적 지식이 부족하다. 수익을 위해 플랜테이션을 시작하더라도 올바른 재배지식 없이는 생산성을 장담할 수 없다. 품종선택, 비료 시용, 고무 수확 시 유의사항 등 기본정보를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유통 · 가공의 측점
고무산업에 기본적인 수송 인프라가 부족하다. 수도 프놈펜과 유동인구가 많은 일부 주를 제외하고 대부분 비포장도로로 되어있어 고무를 수송할 때 긴 시간이 소요된다. 라텍스를 필요한 형태로 가공하지 못해 위법 수출이 불가피하다. 대규모 플랜테이션 회사는 자체 공정공장을 소유하고 있지만, 캄보디아에서 생산되는 라텍스를 충당할 공장이 부족하다. 라텍스 추출이 활발한 시기에는 하루 약 500 kg의 가공되지 않은 고무가 베트남으로 비공식 수출되는 것으로 추산된다(CDRI, 2009). 공장을 가동하는 데 필요한 전력과 디젤연료 공급 등 비용 발생이 크기 때문에 주변 국가들에 비해 높아 공장 운영에 어려움이 있다.
캄보디아의 고무 수출 여건이 열악하다. Table 2를 보면 다른 동남아시아 고무 수출국들의 수출 여건을 한눈에 비교해 볼 수 있다. 시간과 비용 면에서 태국이 월등하게 앞서있고 나머지 나라들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문서의 개수에서 차이가 크다. 태국은 4개, 베트남은 6개가 필요하지만, 캄보디아는 11개가 필요하다. 그만큼 절차가 복잡하다는 의미이고, 대량 수출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공식 절차를 거치지 않는 것이 수고를 덜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 된다. 세관의 효율성이나 수송의 질 면에서도 캄보디아는 하위 수준에 머물러있다.
Table 2. Regional comparison of cross-border export
제도 및 기술적 측면
캄보디아에는 고무품질인증제도가 있지만 제 역할을 하지못하고 있다. 캄보디아 시장의 가격동향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데다가 일정한 규격으로 가공되지 않은 고무의 경우 객관적으로 그 가치를 평가하기가 어렵다(MAFF, 2007). 외국 무역상과의 가격 협상에서 우위를 점하지 못하고 대부분의 경우 자작농이 통상적인 고무 수출가격의 10 ~ 20%를 손해를 보게된다.
국가에서 농민들의 토지보유권을 보호해 줄 제도적 지원이 부족하다. 토지보유권자의 동의 없이 막무가내로 침범하여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많고 분쟁이 해결되기까지 절차가 복잡하며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
고무 수출 시 필요한 비용이 과다하다. 국가로부터 허가를 받은 모든 고무판매자는 국내에서 판매할 때 10%의 부가가치세를 내고 수출할 경우 추가로 세금을 내야 한다(Saing, 2009). 베트남의 경우 국내 판매 시 5%의 부가가치세를 내고 수출에 대한 별도의 세금은 내지 않는다(SOFRECO and CEDAC, 2005). 고무가 수출될 때 Sihanoukville 항구나 베트남 국경을 통하는데 두 곳에서 모두 전체 본선인도가격3)의 약 5%의 숨은 비용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Khun et al., 2008a).
3)FOB(Free On Board) 가격이라고도 한다. 해당 물품을 본선에 인도하는 조건으로 실제로 지급하였거나 지급하여야 할 가격으로서 최종 선적항 또는 선적지까지 운송하는데 소요되는 운송비를 포함한 가격.
고무산업의 개선방안 및 전망
세계시장에서 경쟁력을 얻기 위해서는 멀리 내다보고 고무플랜테이션에 투자가 이루어져야 한다. 새로운 수출경로를 모색하여 수출국 확대에 집중해야 한다. 현재는 캄보디아산 고무 대부분이 베트남으로 수출되고, 공정을 거쳐 다른 나라로 재수출된다. 베트남을 거치지 않고 직접 수출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운다면 큰 경제적 이익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캄보디아는 ASEAN과 Association of Natural Rubber Producing Countries (ANRPC)4) 가입국으로서 세계 주요 고무 시장에 진출할 기회가 열려있다고 본다.
4)Association of Natural Rubber Producing Countries(ANRPC) : 천연고무 생산국 연합. 가맹국은 캄보디아,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파푸아뉴기니, 필리핀, 싱가포르, 스리랑카, 태국, 베트남으로 11개국.
고무수출에 드는 비용을 절감해야 한다. 수출에 드는 숨은 비용을 포함한 높은 세금은 고무산업의 발달을 저해하는 주요요인 중 하나이다. 수출과정을 투명하게 하고 세금을 낮춘다. 통관 및 검열절차를 간소화하거나 전산화한다면 장기적으로 비용을 줄일 수 있다.
고무나무 부산물로 부가적인 이익을 창출해야 한다. 25년 전만 해도 장작이나 숯으로 사용할 나무가 충분하여 목재산업에 서 고무나무가 필요하지 않았다(Laura, 2006). 하지만 캄보디아 정부에서 산림벌채를 엄격히 제한하면서 고무나무가 자재로서 가치를 갖게 되었다(Akira et al., 2010). 더는 라텍스를 얻을 수 없거나 수량이 저조한 고무나무를 베어내어 목재로 사용하거나 수출할 수 있다. 펄프나 가구, 펠릿 등을 만드는데 사용된다. Delabarre andSerrier(2000)는 30년 된 고무나무 1 ha에서 150 ~ 200톤의 목재를 얻을 수 있다고 추정한 바 있다.
자본이 부족한 캄보디아로의 외국자본 투입이 확대될 것으로 본다. 우선 캄보디아의 농업 부문에서 외국 회사의 투자에 대한 진입 장벽이 상대적으로 낮다. 그리고 캄보디아는 태국이나 베트남보다 인건비가 저렴하다. 노동집약적인 고무 플랜테이션의 특성에 비추어 볼 때 큰 수익을 내기에 유리하다. 또한 고무나무 재배면적의 확대 가능성이 있는 캄보디아 토지이용상황으로 보아 외국자본의 투자는 앞으로 지속해서 증가할 것으로 생각된다.
세계적으로 환경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 가운데, 고무 플랜테이션은 생태 효율성이 높고 탄소배출이 적은 농업으로 지속가능하다.
캄보디아 정부 계획대로 2020년까지 고무생산량 29만 톤을 달성한다면 세계 예측 소비량의 2%가량 조달할 수 있게 된다. 정부에서 농업분야에 예산을 좀 더 할당하여 체계적으로 운영하고 고무 관련 국제기구와 협력한다면 점진적으로 생산량이 늘어나 세계 고무시장에서의 입지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Reference
2.Business Press. 2006. Rubber Development Progresses with Difficulty, Business Press: The Weekly Business Press Review: 124 (23-29 Oct.) 8-9.
3.Cambodian’s leading independent Development policy Research Institute(CDRI).2009. “Agricultural Trade in the Greater Mekong Subregion: The Case of Cassava and Rubber in Cambodia”, CDRI Working Paper Series No. 43, p.33.
4.Cambodian’s leading independent Development policy Research Institute (CDRI). 2009. “Agricultural Trade in the Greater Mekong Subregion: Synthesis of the Case Studies on Cassava and Rubber Production and Trade in GMS countires”, CDRI Working Paper Series No. 46, p.16.
5.Delabarre, M. A. and Serrier, J. B. 2000. “Ecology, history, botany and husbandry of rubber”, p168, The Tropical Agriculturalist, Macmillan education Ltd., London.
6.Dourng K. and H. Sok. 2005. Non-tariff measures facing Asia Pacific exporters, Cambodian case study. Economic Institute of Cambodia, Phnom Penh, Cambodia.
7.Economic Institute of Cambodia (EIC). 2007. Expert Diversification and Value Addition for Human Development, Phnom Penh, Cambodia.
8.European Tyre & Rubber Manufacturers Association (ETRMA). 2011. Position paper: An effective and delivering raw materials policy: A cornerstone for industry competitiveness andthe EU resource-efficiency targets.
9.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Statistics (FAO STAT). 2010. Food and Agricultural commodities production, http://faostat.fao.org/site/339/default.aspx.
10.International Rubber Study Group (IRSG). 2012. “Statistical summary of world rubber situation”, http://www.rubberstudy.com/statistics.aspx.
11.Khun Kakada, Chhe Pitou and Hun Kimsan. 2008a.“Quality standards and returns for natural rubber export”, Trade Analysis and Reform Project, AusAID.
12.Khun K, Mizoue N, Yoshida S, Murakami T. 2008b. Stem volume equation and tree growth for rubber trees in Cambodia, J for Plan 13:335-341.
13.Laura Rantala. 2006. Rubber plantation performance in the Northeast and East of Thailand in relation to environmental conditions, Viikki Tropical Resources Institute(VITRI), University of Helsinki, Finland p.22.
14.Ly Phalla. 2011. Speech at the opening ceremony of the Global Rubber Conference 2011, Phnom Penh November 25.
15.Ministry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MAFF). 2006. “Agricultural Statistics”, Phnom Penh, Cambodia.
16.Ministry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MAFF). 2007. “Key Regulatory Constraints in the Marketing of Processed and Unprocessed Rubber in Cambodia”, Phnom Penh, Cambodia.
17.Ministry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MAFF). 2011. “Annual report for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Phnom Penh, Cambodia.
18.Ministry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MAFF). 2012. “Annual report for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Phnom Penh, Cambodia.
19.Rao, P. and Vijayakumar, K.R. 1992. Climatic Requirements, p. 200-220. In: Sethuraj, M.R.& Mathew, N.M. 1992. Natural Rubber: Biology, Cultivation and Technology. Developmentsin Crop Science 23.Elsewier, Netherlands. p. 610.
20.Saing Chan Hang. 2009. “Export competitiveness of Cambodian rubber sector relative to other Greater Mekong Subregion suppliers: A simple descriptive analysis”, ARTNeT Greater Mekong Subregion(GMS) Initiative Discussion Paper Series, No.1; p. 5.
21.SOFRECO and CEDAC. 2005. “Study on the evolution of the Cambodian rubber sector”, Draft report, Clichy-Cedex France and Phnom Penh.
22.Verheye, W. 2010. Growth and production of rubber. In: Verheye, W. (ed), Land Use, Land Cover and Soil Sciences. Encyclopedia of Life Support Systems(EOLSS), UNESCO-EOLSS Publishers, Oxford, UK. http://www.eolss.net.
23.Wikipedia. 2007. History of rubber tree, http://en.wikipedia.org/wiki/Main_Page.
24.World bank. 2008. World Trade Indicators, http://web.worldbank.org/WBSITE/EXTERNAL/TOPICS/TRADE/0,content-MDK:22421950~pagePK:148956~piPK:216618~theSitePK:239071,00.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