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8504(Print)
ISSN : 2287-8165(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Vol.25 No.4 pp.341-345
DOI : https://doi.org/10.12719/KSIA.2013.25.4.341

캄보디아의 카사바 생산 및 전망

방진기*†, 김민재*, 이윤호**, 이석기, 배영석, 김현순
농촌진흥청 기술협력국, *KOPIA 캄보디아, **한국연구재단
캄보디아의 카사바는 최근 벼 다음으로 매우 중요한 작물로 부상하고 있다. 국내 소비와 수출이 증대됨에 따라 지난 10년동안 급성장을 하고 있다. 최근의 재배면적 변화를 보면 2000년 16,279 ha에서 2012년 361,854 ha로 급격하게 증가되었다. 생산량도 2000년 147,763톤에서 2012년 7,613,698톤으로 약 52배 늘었다. 단위면적당 수확량을 보면 ha당 2000년 10톤 내외에서 최근 우기재배의 경우 21톤, 건기의 경우 약 29톤에 이르고 있다. Battambang, Kampong Cham 및 Banteay Mean Chey 등이 주산지이며, 이들 지역의 생산량은 전체의 48%를 차지하고 있다.
수량 감소 주요인은 토양 양분결핍, 재배기간의 단축, 잡초피해 등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생산성이 저조한 지역에서도 수량 감소 요인을 개선하게 되면 금후 수량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세계 시장에서 캄보디아의 카사바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수량성 증대와 생산비 절감이 절실하다. 영양적 측면에서 전분함량 증대, 전분의 기능성 확대, 영양가치의 향상 등도 요구된다. 가공면에서는 가공공장의 확대, 가공효율 개선, 새로운 가공기술과 상품 개발 등도 개선되어야 한다. 특히 새로운 시장 개척과 생산, 가공 및 유통 등의 긴밀한 협력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하겠다. 이 밖에도 높은 인플레이션에 대한 인건비, 농산물 및 서비스가격의 상승 등도 해결되어야 한다. 또한 다수확 품종의 지속적인 공급과 농가의 기술 평준화가 선행되어야 한다. 지역 및 국제시장에서의 카사바 가격에 대한 정보도 충분하지 않다. 그리고 농가의 관개시설 미비에 따른 천연강수량 의존성과 설비 보완업체 부족 등도 문제다.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카사바에 대한 명확한 정책 및 관련기관의 설립 기반이 마련되어야 하고 기관과 재정의 강화뿐만 아니라 효율적인 마케팅 체계를 다양화하고 카사바 부가가치의 향상이 필요하다고 본다.

Status of Cassava Production and Prospect in Cambodia

Jin Ki Bang*†, Min Jae Kim*, Yun Ho Lee**, Seuk Ki Lee, Yeoung Seuk Bae, Hyun Soon Kim
*KOPIA Cambodia
Technology Cooperation Bureau, RDA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Received Apr. 12, 2013/Revised Sep. 23, 2013/Accepted Nov. 19, 2013

Abstract

In Cambodia, cassava is currently the second most important crop after rice. Productionof the crop has greatly increased during the past 10 years due to a combination of increased demand forboth domestic consumption and for export, and associated high price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 about the status of cassava production and prospect in Cambodia. Thearea planted to cassava has expanded dramatically from 16,279ha in 2000 to 361,854ha in 2012, whileannual production has increased from 147,763 ton in 2000 to 7.6 million ton in 2012. Average cassavacrop yield has also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about 10 t/ha in 2000 to 21~29 t/ ha in 2012. Much of thisimprovement reflects the expansion into new production areas where soils are relatively fertile, combinedwith the adoption of new higher yielding varieties. Cassava has now become an important cashcrop as resource for poor farmers in Cambodia. The three main provinces that occupy the 48% of thetotal production in Cambodia are Battambang, Kampong Cham, and Banteay Mean Chey. The mainyield constraints identified were soil nutrient deficits, short crop duration and weed competition. In thefields with lower yields should be increase with improvement of the main yield constraints. To maintaincassava’s competitiveness in world markets,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increase yields, reduce productioncosts, broaden the range of starch functional properties and increase the starch content or nutritionalvalue of roots. In addition, processing efficiency needs to be improved, new processes and productsdeveloped, and new markets for cassava-based products identified. This can only be achieved by theintegration of production, processing and marketing, by the active collaboration of the various institutionsinvolved, and through an effective partnership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

0010-01-0025-0004-3.pdf511.7KB

 카사바(Manihot esculenta Cranz)는 과테말라, 멕시코, 페루 등이 원산지로 약 1억 년의 재배역사를 지니고 있다. 본격적인 재배는 5,000년 전 미국에서 시작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16세기에 아프리카와 아시아로 전파되면서 캄보디아에 도입된 것으로 보고 있다(Jonas, 2011). 카사바는 기본적으로 덩이뿌리를 이용하지만 식물 전체를 활용할 수 있는 작물이다. 즉 다양한 형태로 사용할 수 있는데 칩, 펠렛, 전분(Asia Cassava Resources Holdings Limited. 2012), 바이오연료(Orkide et al, 2011; Suvisanna et al, 2013) 및 동물사료(Anaeto, 2013; Olarinmoye, 2013) 등으로 이용된다(Hing and Thun, 2009). 특히 열대와 아열대 지역에서 높은 소득을 올릴 수 있는 탄수화물이 많은 작물이다. 카사바는 매우 넓은 범위의 농업 생태환경에서 적응이 가능하다. 카사바는 단작 또는 다른 식량작물과 간작형태로 재배되고 있다. 아시아, 아프리카와 남미 등 7억 명의 식량자원으로 매우 중요한 작물 중 하나다(Philipp, 2005). 아프리카, 카리비안, 태평양 등 몇몇 국가에서는 식량작물로 카사바가 주목 받고 있다. 2010년의 경우 이들 국가의 1인당 카사바 소비량은 115 kg을 보여 세계 평균 18 kg보다 무려 6.4배나 많았다. 특히 카사바 재배는 단위면적당 수량이 많고 생산비가 저렴하며 가뭄 등 재해에 강한 이점을 가지고 있다(Nyerhovwo, 2004). 반면 단점으로는 수분함량(일반적으로 60 ~ 65%)이 높아 쉽게 부패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생산지 인근에서 가공해야 한다. 또한 건조된 후 부서지기 쉬운 특성을 지녀 물류 이동 시 손실 우려가 있어 금후육종적 측면에서 품종개량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MAFF, 2013)라 할 수 있겠다.

 2011년 세계 재배면적은 약 2천만ha, 총 생산량은 약 2억4천만 톤, 단위면적당 생산량은 약 13톤/ha이었다(FAOSTAT, 2012). 이 가운데 아프리카의 재배생산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나이지리아(Sangoyomi and Ayandiji, 2013), 콩고, 앙골라, 가나, 모잠비크 등이 주요 생산국가다(Onoja et al., 2009). 이와 같이 아프리카는 식량원으로, 아시아에서는 산업용 등으로 재배가 확대되고 있는 추세다. 이러한 재배생산 및 유통의 증가요인으로는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 등에서 카사바의 수요가 늘어나기 때문인데, 특히 바이오에탄올 생산과 더불어 아프리카 대륙에서의 폭발적인 식량수요가 그 원인으로 보고 있다(Nyerhovwo , 2004; Mkamilo, 2005).

 세계 최대 수출국가인 태국은 최근 병해, 가뭄 등 재해를 입어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요구량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캄보디아는 이 틈새를 공략할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캄보디아 내 카사바 농업은 계속적인 국제가격 상승과 가공의 다양성으로 자국 경제발전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

 이 같은 배경에서 캄보디아의 카사바 생산과 유통 및 전망 등을 살펴 봄으로서 농가소득 증대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와 캄보디아에 진출예정이거나 진출해 있는 한국농산업체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생산 현황

세계 현황

 2011년 세계 총 생산량은 Table 1에서와 같이 약 2억4천만톤이었다. 그 중 약 5천2백만 톤은 나이지리아에서 생산되고 있다. 세계 최대 생산국인 나이지리아는 전세계 카사바 생산량의 22%를 차지하였다. 2위인 인도네시아는 약 2천4백만 톤, 3위인 태국은 약 2천2백만 톤 등 3개국이 세계 생산의 41%를 차지하고 있다. 반면 캄보디아는 약 4백4십만 톤으로 13위를 나타내어 전세계의 2%를 생산하고 있다. 최대 생산국가인 나이지리아는 캄보디아의 약 12배를 생산하고 있다.

Table 1. Cassava total production in the world, 2011

캄보디아 현황

 캄보디아의 카사바는 최근 벼 다음으로 매우 중요한 작물로 부상하고 있다. 국내 소비와 수출이 증대됨에 따라 지난 10년동안 급성장을 하고 있다(Sopheap et al, 2012). Table 2에서와 같이 최근 30년의 재배면적 변화를 보면 2000년 16,279 ha에서 2012년 361,854 ha로 급격하게 증가되었다. 생산량도 2000년 147,763톤에서 2012년 7,613,698톤으로 약 52배 늘었다. Ha당 수확량을 보면 2000년 10톤 내외에서 최근 우기재배의 경우 21톤, 건기의 경우 약29톤에 이르고 있다(FAOSTAT, 2012). 이와 같이 재배면적 확대는 토양비옥도가 좋은 새로운 지역으로 재배가 확산된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수량성 증대 요인으로는 신품종의 보급과 재배기술의 신속한 접목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따라서 카사바는 캄보디아 농민에게 환금작물로 매우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Sopheap, et al, 2012).

Table 2. Cassava cultivated area and production in Cambodia(1980~2012)

 Table 3에서와 같이 바탐방주는 35톤/ha(2012)의 생산성을 보여 금후 캄보디아는 증수 요건만 갖추면 수량을 높일 수 있는 잠재력이 충분하다고 보여졌다.

Table 3. Cassava cultivated area and production in three provinces in Cambodia (2012)

 Sopheap et al.,(2012)는 깜퐁짬주의 4개 지역, 45농가를 대상으로 재배실태를 조사 분석한 바 있다. 그 결과 수량변이는 12.7 ~ 37.2톤/ha를 보였다고 한다.

 수량 감소 주요인은 토양 양분결핍, 재배기간의 단축, 잡초피해 등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다수확지역은 토양개량을 적극 시도하여 땅심을 높이고 재배기간도 300일 정도로 표준재배를 적용하였으며, 잡초방제도 철저하게 하는 등 경영관리에 최선을 다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생산성이 저조한 지역에서도 금후 수량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UNDP Cambodia. 2010).

 Table 3은 2012년 캄보디아의 카사바 주산 3개 주의 재배면적, 생산량 및 생산성을 나타낸 것이다. 바탐방, 캄퐁짬 및 반테이민체이 등 3개 주의 재배면적은 총 171,442 ha로 전체 면적의 약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 생산량의 경우 바탐방주는 다른 2개 주보다 월등히 높았는데, 이는 단위면적당 생산성이 높기 때문이었다.

유통 현황

 캄보디아의 카사바 무역은 농가, 수집상, 상인, 공장 중개상, 가공공장을 포함한다. Fig 1과 같이 카사바 판매는 농가에서 가공공장까지 여러 과정을 거친다. 외국 가공공장으로 팔기 위해 많은 양의 카사바를 구입하는 외국상인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Fig. 1. Diagram of trade procedure for Cambodian cassava.

 Kamrieng과 Battambang 등의 경우 농가의 61%는 상인에게 가공되지 않은 생 카사바로 판매하고 수확과 운송을 포함한 모든 비용은 상인들이 부담한다. 또한 상인은 공장 중개의 창고에서 가공되지 않은 생 카사바를 가져가고 수확과 운송비용은 농가가 지불한다. 한편, 상인에게 건조된 카사바를 판매하는데 농가가 수확비용을 부담하고 상인은 운송비용을 지불한다.

 Kampong Cham과 Memut 등의 경우 ha당 총생산량으로 값을 정하며 상인은 생산량을 계산하고 대금을 지불하기 위해 농장을 방문하여 대금과 운송비 등을 지급한다.

개선사항

 세계 시장에서 캄보디아의 카사바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수량성 증대와 생산비 절감이 절실하다(Reinhardt, 2006). 영양적 측면에서 전분함량 증대, 전분의 기능성 확대, 영양가치의 향상 등도 요구된다. 가공면에서는 가공공장의 확대, 가 공효율 개선, 새로운 가공기술과 상품 개발 등도 개선되어야 한다. 특히 새로운 시장 개척과 생산, 가공 및 유통 등의 긴밀한 협력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하겠다. 이 밖에도 높은 인플레이션에 대한 인건비, 농산물 및 서비스가격의 상승인데 이들 요인의 안정화도 중요하다. 또한 다수확 품종의 지속적인 공급과 농가의 기술 평준화가 해결되어야 한다. 지역 및 국제시장에서의 카사바 가격에 대한 정보도 충분하지 않다. 그리고 농가의 관개시설 미비에 따른 천연강수량 의존성과 설비보완업체 부족 등도 개선되어야 한다. 부족한 마케팅 정보는 물론 외국상인들에 의해 카사바 가격이 책정되고 가격관련 지식이 많지 않은 농가들은 현재의 시장가격에 의해 현지의 거래가격이 불리하게 결정된다. 부족한 기반시설, 열악한 도로사정은 카사바를 구입하려는 외국 상인들의 접근을 저해하고 있다. 카사바의 부가가치는 매우 낮은 것이 사실이고 대부분의 카사바는 제3국으로의 수출을 위해 가공하는 태국과 베트남으로 수출된다.

전 망

 카사바 재배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생산성 향상이다. 우량품종의 개발과 선택, 제초제 사용에 대한 이해 및 농산품에 대한 가격상승 등은 생산성과 직결된다. 정부와 NGO는 농가에 우수한 선진기술을 보급하여 다수확과 고품질의 카사바를 생산할 것으로 보고 있다. 새로운 재배지를 확보할 토지는 충분하다. 새로운 지역의 토지는 더욱 비옥하고 고소득을 창출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카사바의 생산과 무역에 있어서 주변국가와의 긴밀한 협력은 캄보디아 농가에 유익하게 될 것이다. 태국과 베트남과의 협력으로 카사바 무역량 증가와 품종선택 및 적정 재배기술 적용 등 상호 긴밀한 협조가 좋은 사례라 할 수 있다.

 한편 카사바의 국제가격은 지난 7년간 연평균 12%씩 꾸준히 오르고 있다. FAO의 국제 상품가격에 따르면 타피오카(건조시킨 것)의 가격은 톤당 2000년에 USD55에서 2007년 USD113로 상승되었다. 이와 같은 수요 증가에 따라 카사바의 가격은 더욱 오를 가능성이 있으며 수출증가와 시장 다양화가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비록 현재 수출은 많지 않을지라도 세계시장 수요증가와 국내 공급능력 상승으로 인해 수출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보여진다. 캄보디아의 카사바 수출은 자유무역협정뿐만 아니라 우선권의 일반화 시스템을 통해 아세안, 유럽연합, 중국으로부터 세금 우선권을 받고 있다. 카사바의 다양한 가공으로 인해 식품가공, 의약품, 바이오연료, 동물사료, 주류 등으로 투자 유치가 가능하고 부가가치 창출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농산업의 발전은 카사바의 생산과 농민들의 소득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Reference

1.Anaeto, M., Sawyerr A.F., Alli, T.R., Tayo, G.O., Adeyeye, J.A., and Olarinmoye, A.O. 2013. Cassava leaf silage and cassava peel as dry season feed for West African dwarft sheep. Global J. of Sci. Frontier Resear. Agri. And Veterinary Sciences. 13(2) : Online ISSN : 2249-4626 & Print ISSN : 0975-5896.
2.Asia Cassava Resources Holdings Limited. 2012. Annual report 2012 : 1-81.
3.FAOSTAT, 2012. Food and Agricultural Commodity Production.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http://faostat.fao.org/site/339/default.aspx.
4.Hing Vutha and Thun Vathana, 2009. Agricultural Trade in The Greater Mekong SUB-Region : The Case of Cassava and Rubber in Cambodia.
5.Jonas Osei-Adu, 2011. Cost minimization for cassava production in the Transition and Forest Agro-Ecological Zones, Ghana.
6.MAFF, 2013. Annual Report for the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2012-2013. 24-26 April, 2013 : 1-99
7.Mkamilo G.S. and S.C. Jermiah. 2005. Current status of cassava improvement in Tanzania. African Crop Science Conference Proceedings 7 : 1311-1314.
8.Nyerhovwo John Tonukari, 2004. Cassava and the Future of starch. April 15, 2004.
9.Olarinmoye, A.O. 2013. Cassava leaf silage and cassava peel as dry season feed for west African dwarf sheep. Global Journal of Science Frontier Research Agriculture and Veterinary Sciences 13(2) : 1-4.
10.Onoja Anthony O, Ibrahim, M.K and Achike, A.I. 2009. Econometric analysis of credit and farm resource technical efficiencies Determinants in Cassava farms In Kogi state, Nigeria : A Diagnostic and Stochastic Frontier approach. African Econometric Society. 14th Annual Conference on Econometric Modelling for Africa, 8- 10 July 2009, Abuja, Nigeria.
11.Orkide Akgun Mika Korkeakoski, Suvisanna Mustonen, and Jyrki Luukkanen. 2011. Theoretical bioenergy potential in Cambodia and Laos. World Renewable Energy Congress 2011-Sweden 8-13 May : 335-342.
12.Philipp Aerni, 2005. 9th ICABR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gricultural Biotechnology : Ten years later. July 6 to July 10, 2005.
13.Reinhardt Howeler. 2006. Cassava in Asia: Trends in cassava production, processing and marketing. Workshop on "Partnership in Modern Science to Develop a Strong Cassava Commercial Sector in Africa and Appropriate Varieties by 2020", held in Bellagio, Italy, May 2-6, 2006 : 1-38.
14.Sangoyomi T.E. and Ayandiji A. 2013. Status of cassava production, distribution and utilization Osun State, Nigeria. International Jour. of Agri. Science and Research 3(1) : 1-6.
15.Sopheap,U., A. Patanothai, and T.M. Aye. 2012. Unveiling constraints to cassava production in Cambodia: An analysis from farmers' yield vari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Plant Production 6(4): 409-428.
16.Suvisanna Mustonen, Risto Raiko, and Jyrki Luukkanen. 2013. Bioenergy consumption and biogas potential in Cambodian households. Sustainability 5 : 1875-1892.
17.UNDP Cambodia. 2010. Trade an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in Cambodia : A case study of rice, cassava, and fish. Asia-Pacific Research and Training Network on trade Working Paper Series, No.90, December 2010 : 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