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8504(Print)
ISSN : 2287-8165(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Vol.26 No.4 pp.325-336
DOI : https://doi.org/10.12719/KSIA.2014.26.4.325

Agricultural Status in Kazakhstan Republic and Korean Strategies for Agriculture Technical Cooperation with Kazakhstan

Jung-Ro Lee, Ho-Cheol Ko, Gyu-Taek Cho, Kyung-Ho Ma, Sok-young Lee, Hong-Jae Park, Jae-Gyun Gwag†
National Agrobiodiversity Center of NAAS, RDA, Suwon 441-707, Korea
Corresponding Author : (Phone) +82-31-299-1802 jg1000@korea.kr
December 18, 2013 October 14, 2014 October 23, 2014

Abstract

Kazakhstan is situated in the north of Central Asia and shares borders with Russia, China, Uzbekistan, Kyrgyzstan, and Turkmenistan. The total land area of the republic is 2,742.9 thousands km2 and more than 80% of the territory is desert and steppe. Agriculture accounts for approximately 5.2% of GDP in 2011 and 25.9% of the work force is engaged in agricultural production in 2010. Because of a little amount of precipitation, almost of arable land, especially in southern Kazakhstan, should be irrigated for crop cultivation. Important crops in Kazakhstan are wheat, barley, vegetables, fodder crops, cotton, maize, rice, potato, fruits and oilseed crops. Because of wheat production oriented agriculture, Kazakhstan import many agricultural products including potato, maize, rice, vegetables, fruits and sunflower. The livestock industry occupied 38.9% of total agricultural product but import considerable amount of chicken, pork, milk and eggs. Important livestock are cattle, sheep, pig, chicken and horse. More than 400 floral species are wild ancestral forms of crops including Triticum aestivum L. in Kazakhstan. Kazakhstan is center of origin for many crop species including domesticated apple, pistachio, vine and wild garlic etc, and, conserved 75,000 accessions of plant genetic resources samples. At present, though there is no actual technical cooperative project for agriculture between Korea and Kazakhstan, it will be needed to develop cooperative projects in various field of agriculture such as, improvement of crop productivity, effective irrigation methods, cultivation of vegetables and poultry farming etc,. Plant genetic resources can be a good example of cooperative project on the basis of mutual profit.


카자흐스탄의 농업현황 및 금후 농업기술 협력분야

이 정로, 고 호철, 조 규택, 마 경호, 이 석영, 박 홍재, 곽 재균†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초록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J00937303

    중앙아시아의

    북쪽에 동서로 길게 위치한 카자흐스탄은 러시아, 중국,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즈스탄 및 투르크메니스탄 등 5개국과 국경을 접하고 있다. 국토면적은 2,724.9천 km2로 서 한반도의 12.3배 이고. 국토의 80% 이상이 사막과 스텝으 로서 불모지가 많으며, 사람이 거주하는 지역은 주로 국토의 가장자리에 흩어져 있다. 국토의 최저점과 최고점의 차이는 7,000m 이상이고 광대한 스텝지대가 서쪽의 볼가산맥에서부터 동쪽의 알타이산맥까지 뻗쳐있으며, 북쪽의 서 시베리아 부터 의 평원이 남쪽 중앙아시아의 사막까지 뻗쳐 있다. 카자흐스탄 은 다른 중앙아시아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바다와 멀리 떨어져 있어서 적은 강수량과 많은 일조량을 갖는 대륙성 기후를 가 지고 있는데(Gwag et al., 2004, 2012; Ko et al., 2013) 겨 울은 건조하고 추우며 여름은 고온 건조하다. 연평균 기온은 해발 300 m 이하인 지역은 9.4℃ ~ 12.2℃이고, 해발 500m 이 상인 지역은 8.6℃(Almaty, 해발 847m) ~ -1.9℃(Mynzhilky, 해발 3,017 m)이다. 연간 강우량은 국토 전체 평균은 250 mm 가량이고 사막지대는 100mm 정도이며, 동남부의 산악지대는 1,600 mm 정도이다. 인구는 1,752만 명이고(CIA, 2013) 인구 의 약 26%가 농업 및 축산업에 종사하고 있다. 카자흐스탄은 광활한 경지를 기반으로 세계 10위의 밀 생산국이자 세계 7위 의 밀 수출국이지만 단위 면적당 생산성이 낮고 밀과 보리를 제외한 일부 곡물, 과일, 채소 및 유료작물은 상당량 수입하 고 있는 실정이다. 본고에서는 카자흐스탄의 농업환경과 농 업생산 ·가공 및 교역, 우리나라와 농업기술 협력현황을 소 개하여 카자흐스탄의 농업에 관심 있는 독자의 이해를 돕고 자 한다.

    일반현황

    카자흐스탄은 1991년 12월 16일 구소련으로부터 독립하였 으며, 면적이 2,724,900 km2로 세계 9위이고, 인구는 17,522 천 명으로서 세계 60위, 인구밀도는 km2 당 6.4명이다. 행정 구역은 14개주로 구성되어있다(CIA, 2013). 인종구성은 카자 흐인 63.1%, 러시아인 23.7%, 우즈벡인 2.8%, 우크라이나인 2.1%, 위구르인 1.4%, 타타르인 1.3%, 독일인 1.1% 및 기타 인종 4.5%로 되어있다(Table 1). 사용 언어는 카자흐어가 국 어이고 러시아어는 사업상 일상적으로 통용되는 언어이다.

    정부형태는 공화정이고 대통령이 국가원수이며 임기는 5년 이다. 국민 총생산액은 2012년 기준 구매력가격으로 2,323억 달러(교환가격 2,006억 달러)이고 1인당 GDP는 13,900달러 (구매력가격)이며, 수출액은 886.1억 달러이고 수입액은 428.2 억 달러로서 다른 중앙아시아 국가들과는 달리(Gwag et al., 2004, 2012, Ko et al., 2013) 수출액이 수입액보다 2배 이상 많다. 주요 수출품은 석유 및 석유제품(59%), 철금속(19%), 화학제품(5%), 기계류(3%), 곡물, 양모, 육류 및 석탄 등이고 주요 수출대상국은 중국(21.7%), 프랑스(9.4%), 독일(8.3%), 러시아(5.3%), 이태리(5.2%), 캐나다(4.5%) 및 루마니아(4.5%) 이다. 주요 수입품은 기계 및 장비류, 금속제품, 식료품 등이 고 주요 수입대상국은 중국(30.1%), 러시아(20%), 독일(7.4%), 우크라이나(5%) 등이다. 통화는 텡게(tenge)이고 환율은 1 달 러에 148.6 텡게이다(2012년). 카자흐스탄은 전통적인 농업국 가 이었지만 최근 석유산업의 발달로 농업생산이 GDP에 기 여하는 비율이 5.2%로 낮아졌으나 경제 활동인구 중 농업종 사자 비율이 25.9%로 높은 편이다(Table 2).

    농업환경

    지형 및 지세

    카자흐스탄은 동서길이 2,280 km, 남북길이가 1,600 km 이 고, 동경 46.36 ~ 87.27°, 북위 41.14 ~ 55.57° 사이에 위치하 며 동쪽과 남동쪽은 중국, 남쪽은 우즈베키스탄과 키르기즈스 탄, 남서쪽은 투르크메니스탄과 카스피해, 북서쪽과 북쪽은 러 시아와 국경을 접하고 있어 육지로만 둘러싸인(Fig. 1) 중앙아 시아에서 가장 큰 나라이다. 전체 국경선은 총 12,185 km이고, 국토의 최저점(−132 m, Vpadina Kaundy)과 최고점(6,995 m, Khan Tangiri Shyngy, 남동부의 텐산산맥에 위치)의 차이는 7,000 m를 상회한다. 사막과 스텝이 국토면적의 80% 이상을 차지하며 국토의 중앙부는 Kazakh Melkosopochnik라 불리는 모래 고원으로 되어 있는데 북쪽과 북서쪽은 시베리아 평원, 남쪽은 Turan 평원, 서쪽은 카스피해로 둘러싸여 있다. 동쪽과 동남쪽은 Altay, Djungar Alatau, Tien Shan과 같은 산맥과 Sary-Ishikotrau 및 Muynkum 사막을 구성하는 저지대(Zaisan, Balkhash-Alakol, Ili and Chu-Talas)가 교호로 오르고 내림이 반복된다(FAO, 2013). 텐산(天山)산맥의 북단이 위치해 있는 동·남부 지역은 해발 4,000 m 이상의 산악지대이다. 동부지역 은 알타이산맥 남단에 위치하고 있어 해발 2,000 ~ 3,000 m에 이르는 산악지대와 계곡으로 이루어져 있다. 북부지역은 대부 분 스텝지역으로서 수목이 자라지 못하는 곳이나, 일부는 1950 년대 말부터 추진된 소련의 ‘처녀지 개간정책(Virgin Land)’으 로 현재는 밀 등 곡물재배가 이루어지고 있다(Park et al., 2009).

    기후

    카자흐스탄은 겨울은 건조하고 추우며 여름은 고온 건조한 전형적인 대륙성 기후이다. 카자흐스탄의 장기간[지역별 51(Issyk) ~ 155년(Fort Shevchenko)] 연 평균기온은 해발 300m 이하 인 지역은 9.4℃ (Kyzyl-orda) ~ 12.2℃ (Turkestan) 로서 서울과 같거나 다소 낮고, 영농철인 4월부터 10월까 지 기온 중 4월부터 9월까지는 비슷하나 10월은 낮은 분포를 보였다. 해발 500 m 이상인 지역은 연 평균기온이 8.6℃ (Almaty, 해발 847m) ~ -1.9℃(Mynzhilky, 해발 3,017m)로서 현저히 낮고(Williams and Konovalov, 2012) 영농을 할 수 있는 기간이 Almaty와 Issyk를 제외하고 3(Verhniy Gorelnik) ~ 5개월(Karagada) 정도밖에 되지 않으며 특히 Mynzhilky (해발 3,017 m)에서는 영농이 전혀 불가능 하다. 또, 농 한기인 1 ~ 3월 및 11 ~ 12월 동안은 Turkestan의 3월을 제외 하고 전 지역이 전 기간 동안 서울보다 낮은 분포를 보인다 (Table 3). 무상기간은 남부지방은 195 ~ 265일, 북부지방은 245 ~ 275일이다(FAO, 2013). 구름이 적고 일조량이 많아 연 간 일조시수는 북부가 2,000시간, 남부가 3,000시간으로 남부 의 경우 한국(연평균 약 2,300시간)에 비하여 많은 편이다.

    국토 전체의 년간 평균 강수량은 250 mm 가량이며 전체 강수 총량은 6,810.2억 톤이다. 국토의 중동부에 있는 저지대 사막인 Balkhash-Alakol과 남부의 아랄해 근처는 100 mm정도 이고 동부 및 남동부의 산악지역에는 1,600 mm이다. 각 지역 별 기상 데이터가 유효한 최근 5년간 연간 평균 강수량을 자 세히 보면 적게는 67 mm (Fort Shevchenko, 해발 25 m)에서 많게는 1,067mm (Verhniy Gorelnik)이나(Williams and Kono- valov, 2012) 전 지역이 2003년 서울(1,994 mm)보다 훨씬 적 었고, 해발 1,900 m 이상의 고지대인 Ust'-Gorelnik, Verhniy Gorelnik 및 Mynzhilky 세 지역을 제외한 전 지역이 세계평 균(880 mm)에도 훨씬 미치지 못한다. 더구나 영농이 어려운 해발 1,900 m 이상인 지역을 제외하고는 인근 중앙아시아 국 가들과 같이(Gwag et al., 2004, 2012; Ko et al., 2013) 강 우가 봄철에 집중된다(Table 4).

    수자원 현황

    카자흐스탄에는 약 39,000개의 강과 시내가 있지만 지표수 자원은 지역과 년차 및 계절별로 극심하게 불균형한 분포를 보인다. 국토의 중앙부는 국토 전체 수자원의 단지 3% 뿐이 다. 이 나라에는 Syr Darya 강유역 등 8개의 주요 강유역이 있는데, ① Syr Darya 강 유역은 345천 km2를 차지하며 남카 자흐스탄주와 Kyzylorda주를 포함한다. ② Balkhash-Alakol 유역은 남동부 카자흐스탄의 거대한 지역과 중국과 키르기즈 스탄의 일부 지역을 포함하는데 총 면적은 413천 km2 이다. ③ Chu-Talas-Assa 유역은 Chu, Talas 및 Assa 강으로 구성 되고 면적은 키르기즈스탄 부분까지 포함하여 64.3천 km2 이 다. ④ Irtysh 강 유역은 동카자흐스탄주와 Pavlodar주를 포함 하고 면적은 316.5천 km2 이다. Irtysh 강의 전체 길이는 4,280 km이고, 수자원 면에 있어서 가장 안정적이다. ⑤ Nura- Sarysu 유역은 Nura강 및 Sarysu강 유역과 Tengiz 및 Karasor 호수 유역을 포함한다. ⑥ Ishim 유역은 Akmola주와 북카자흐스탄주를 포함하고 면적은 245천 km2 이다. Ishim 강 물은 Astana, Kokshetau, Petropavlovsk 및 kmola 지역의 마 을과 북카자흐스탄주에 용수로 공급될 뿐만 아니라 관개수로 도 이용된다. ⑦ Tobol-Torgai 유역은 Tobol, Torgai 및 Irgiz 강을 포함하며 카자흐스탄에서 수량이 가장 빈약하다. ⑧ Ural-Caspian 유역은 415천 km2 이고, 서카자흐스탄주와 Atyrau주 및 일부 Aktobe주를 포함한다. 이 유역의 주요 지류 는 러시아에서 발원하는 Ural 강이다(FAO, 2013).

    카자흐스탄의 전체 수 자원은 년 996억 3천만 톤이며 이중 국내생성 자원이 565억 톤이고 이웃 국가로부터의 유입량이 431억 3천만 톤으로서 외부 의존도가 약 43%이다. 동부 및 북동부 지역인 Balkhash-Alakol 와 Irtysh (Ertix) 강 유역에 서 약 75%의 지표수가 생성된다(Table 5). 카자흐스탄에는 48,262개의 호수, 연못 및 저수지가 있는데, 전체 면적은 약 45천 km2 이고 용량은 약 1,900억 톤이다. 이 중 45%는 북부 에 있고, 36%는 중부와 남부에 나머지 19%는 기타 지역에 산재한다. 카자흐스탄에서 가장 큰 호수는 Balkhash호 인데 면 적이 18천km2 이고 수량은 1,120억 톤이다. 다음이 Zaisan호 로서 면적은 5.5천 km2 이다(FAO, 2013). 카자흐스탄에서 전 체 950억 5천만 톤 용량을 갖는 200개 이상의 저수지가 건설 되었다(UNDP, 2003). 저수용량이 1억톤 이상인 저수지가 19 개인데 전체저수량의 95%를 차지한다. 대부분은 수력발전, 관 개 및 홍수조절 등 다목적이다. 가장 큰 저수지는 Irtysh 강에 있는 Bukhtarma 이고 저수량은 496억 톤이며 그 다음이 Ili 강에 있는 Kapchagay 로서 저수용량이 186억 톤이다. 동부와 남동부에 있는 저수지들은 주로 관개가 목적이고, 중부, 북부 및 서부에 있는 것들은 식수 및 산업용으로 이용된다(UNDP, 2003 and 2004). 카자흐스탄에서도 다른 중앙아시아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빙하가 물 순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대부분 의 빙하는 동부와 남부의 해발 4,000m 이상에 있다. 총 빙하 숫자는 2,724개이고 그 면적은 1,963km2 이며 950억 톤의 물 을 가지고 있어 이 나라 모든 강의 1년치 수량과 거의 맞먹 는다(UNDP, 2003).

    국토이용 및 관개

    카자흐스탄의 전체 국토면적 272,490천 ha 중 269,970천 ha 가 육지 면적이고 나머지 2,520천 ha는 강과 호수 등 내수 면 적이 차지하고 있다. 전체 국토면적의 76.7%인 209,115천 ha 가 농업생산에 이용되고 있고 이중에 24,035천 ha(전체면적 대 비 8.8%)는 경지면적이며, 185,000천 ha는 영구목초지로서 전 체면적 대비 67.9%를 차지한다(Table 6).

    카자흐스탄의 2010년 물 사용량은 211.4억 톤으로 평가되는 데 이 중 66%인 140억 톤은 관개, 가축 및 양식을 포함하는 농업에, 8.8억 톤(4%)은 생활용수로, 62.6억 톤(30%)은 산업용 으로 사용되었다. Syr Darya, Ili, Chu, Talas 및 Irtysh 강물 은 주로관개에 이용되며, 남부 카자흐스탄의 Kyzylorda주와 Almaty 주에서 관개수를 가장 많이 쓰며 전체 사용관개수의 90%를 차지한다. 2010년 관개 시스템이 갖춰진 면적은 1,199.6천ha로 평가되고 이 중 96.6%는 고랑관개를, 2.5%는 스프링클러, 0.9%는 부분관개를 한다(Table 7) (Kazgiprovodkhoz, 2010).

    완전 관개조절 장치가 설비된 지역은 주로 남부 4개주에 집 중되어 있는데(전체의 약 93%), 특히 Syr Darya, Chu-Talas- Assa 및 Ili 강 유역에 집중되어 있다. 관개수는 대부분 (99.8%) 지표수가 공급되며 이중 강에서 물줄기를 직접 돌린 물과 저수지 물이 각각 32%, 강에서 양수한 물 26%, 지하수 8% 및 기타 2%이다. 이 나라 전체 관개면적 중 700천 ha 이 상이 배수장치가 필요하나 농업부문의 배수 시스템은 설계와 시공의 부족으로 적절하게 운용되지 못하고 있다. 2010년 배 수장치가 된 관개면적은 343천 ha이다. 또한 지나치게 부영양 화된 물의 처리도 문제가 된다. 1993년 약 242천 ha (전체의 11%)의 관개면적이 중앙아시아 기준(독성이온 함량이 토양 무 게의 0.5% 초과)으로 염류집적 토양으로 분류되었고 이러한 지역은 주로 남부지방에 집중되어 있다. 2010년에는 염류집적 면적이 404.3천 ha로 급증하였다(FAOSTAT, 2013).

    농업생산 및 교역

    농업생산

    카자흐스탄에서 2011년 총 20,286천 ha에 작물을 재배하여 47,068천 톤을 생산하였다. 작목별 재배면적은 식량작물(화곡 류, 두류, 서류)이 16,110천 ha(79.4%)로서 대부분을 차지하였 고, 사료작물 2,569천 ha(12.6%), 특용작물 1,355천 ha(6.7%), 채소 193천 ha(1%) 및 과수 59천 ha(0.3%) 순이었다. 식량작 물에서 작물별로 재배면적과 생산량을 보면 밀수출 대국답게 밀 재배면적이 많은데 밀은 13,694천 ha(총 작물재배면적의 67.5%) 면적에서 22,732천 톤(총 작물생산량의 48.3%)을 생산 하였고, 보리는 1,516천 ha에서 2,593천 톤을 생산하였다. 귀 리는 144천 ha에서 258천 톤을, 옥수수는 97천 ha에서 482천 톤을, 벼는 93천 ha에 재배하여 347천 톤을 생산하였으며, 감 자는 184천에서 3,076천 톤을 생산하였다.

    이외에도 완두(78천 ha), 메밀(67천 ha), 조(39천 ha), 병아리 콩(26천 ha), 콩(25천 ha) 이 중요한 작물로서 재배되었다. 특 용작물로는 대부분 기름작물이 재배되고 있는데 해바라기가 891천 ha(특용작물 재배면적의 65.8%)에서 409천 톤을 생산하 였고, 목화는 154천 ha에서 336천 톤을 생산하였으며, 유채는 121천 ha에서 73천 톤을 생산하였고 그 외에 아마(90천 ha)와 잇꽃(77천 ha)이 많이 재배되었다. 채소는 과채류가 많이 재배 되는데 수박이 48천 ha(채소 중 24.6%)에 재배되어서 875천 톤을 생산하였고, 토마토는 27천 ha에서 662천 톤을 생산하였 으며, 양파는 22천 ha에서 492천 톤, 멜론은 20천 ha에서 373 천 톤, 양배추와 기타 배추속은 18천ha에서 460천 톤을 생산 하였다. 과수는 타 작물에 비하여 재배면적이 현저히 적은데 총 59천 ha에서 235천 톤을 생산하였으며 과종별로 보면 사과 가 재배면적이 가장 많아 30천 ha에서 114천 톤을 생산하였고, 포도는 10천 ha에서 57천톤을 생산하였다. 사료작물은 전체 2,569천 ha에서 11,597천 톤을 생산하였는데, 이 중 호박은 2,500천 ha에서 11,000천 톤을 생산하여 재배면적과 생산량을 가장 많이 차지하였으며 옥수수는 69천ha에서 590천 톤을 생 산하였다(Table 8).

    2011년에 생산된 농산물(사료작물 제외)을 가격으로 보면 총 10,149.8백만 불인데 이 중 식량작물(화곡류, 두류, 서류)이 4,714.4백만 불(전체대비 46.4%), 과수가 118.5백만 불(1.2%), 특용작물 425.4백만 불(4.2%), 채소 948.1백만 불(9.3%) 및 가축과 낙농이 3,943.3백만 불(38.9%)이다. 품물별로 보면 10 억불 이상인 품목이 세 가지 인데 그 중 밀이 3,586.7백만 불 (전체대비 35.3%)로서 생산액이 가장 많고, 그 다음이 우유로 서 1,622.7백만 불(16.0%)이며, 이어서 쇠고기가 1,060.5백만 불이다. 1억 ~ 10억불인 품목은 11품목이고 이 중 감자가 519.2백만 불로서 가장 많고 이어서 양고기(349.2백만 불), 돼 지고기(328.2백만 불), 보리(308.5백만 불), 토마토(244.7백만 불), 계란(171.8백만 불), 조면(168.6백만 불), 닭고기(138.9백만 불), 말고기(117.7백만 불), 해바라기(112.6백만 불), 양파(103.4 백만 불)이다. 이 외에도 수박(99.6백만 불)과 벼(96.6백만 불) 가 생산액이 1억불에 근접한 중요한 품목이다(Table 9).

    카자흐스탄의 곡물, 과일, 채소, 기름작물, 식용유, 당류 등 에 대한 수요와 공급 수지는 28,693천 톤을 생산하고 1,881천 톤을 수입 및 7,058천 톤을 수출하여 총 20,658천 톤을 국내 에 공급하였다. 식량, 과일, 채소, 식용유를 포함하여 전체적으 로 자급율은 138%로서 중앙아시아의 다른 국가들과는 달리 (Gwag et al., 2004, 2012, Ko et al., 2013) 많은 량의 농 산물 특히, 밀과 보리를 수출하고 있다. 식량작물은 생산이 23,579천 톤, 공급은 14,552천 톤으로서 자급율이 162%이며, 이중 이 나라의 주곡인 밀의 자급율은 196%(생산 17,052천 톤, 공급 8,698천 톤)이고 수출은 6,276천 톤으로서 농산물 수 출의 대부분(88.9%)을 차지한다. 보리도 중요한 작물로서 자 급률이 130.7%(생산 2,519천 톤, 공급 1,927천 톤)이고 355 천 톤을 수출하였다. 이외에도 쌀, 귀리, 호밀, 조, 콩 기타 두 류 및 감자는 생산이 공급보다 많은 작물이고, 옥수수, 기타 곡류는 국내생산이 수요량에 비하여 적어 일부를 수입하여 공 급한다. 과일은 생산량이 수요량의 34.6%(생산 235천 톤, 공 급 679천 톤)에 지나지 않아 사과, 포도 등 대부분의 과일을 수입하고 있다. 채소는 전체적으로 보면 생산량이 공급량보다 많으나 토마토는 60천 톤을 수입하고 있다. 기름작물은 771천 톤을 생산하고 702천 톤을 공급하여 자급율이 110%이나 면 실은 자급이 되지 않는다. 식물성 기름(자급율 66.6%), 알콜 음료(자급율 79.2%), 사탕수수(자급율 76.1%) 및 설탕과 당류 (자급율 7.8%)는 자급이 되지 않아 상당량 수입하여 국내수요 를 충당한다(FAOSTAT. 2013).

    농산물 가공

    다른 중앙아시아 국가들과 마찬가지로(Gwag et al., 2004, 2012, Ko et al., 2013) 카자흐스탄에서도 농산물 가공은 매우 단조로운데 맥주 및 와인 제조, 기름작물의 착유, 조면 및 마 가린 제조가 가공품의 대부분이다. 품목별로 보면 맥주, 해바 라기유, 조면 및 면실 생산이 많으며, 2009년부터 2011년까지 추이를 보면 전체적으로는 계속 증가추세를 보이나 일정하게 증가하는 품목(와인, 해배라기유, 유채유, 홍화유, 마가린)과 일 정한 경향이 없는 품목(맥주, 대두유, 아마인유, 옥수수유, 면 실, 원당, 당밀) 및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품목(면실유, 조면)이 공존하였다(Table 10).

    농산물 교역

    카자흐스탄의 20대 농산물 수입 및 수출품을 금액으로 보면 수입은 1,425,607천불, 수출은 1,761,957천불로서 다른 중앙아 시아 국가들과는 달리 수출이 수입에 비하여 336,350천불 많 다. 주요 수입 농산물을 품목별로 보면 설탕이 원당을 포함할 경우 253,472천불로서 20개 품목 전체의 17.8%를 차지하여 가장 많았고 이어서 가공식품 161,755천불, 초콜렛 108,360천 불, 차 105,203천불 및 닭고기 105,000천불 순 이었다. 이 외 에도 과자(80,642천불), 치즈(73,544천불), 사과(73,129천불), 해바라기유(54,413천불), 담배원료(52,036천불) 및 탈지우유 (51,075천불) 등이 수입액 50,000천 불 이상인 품목이다. 수출 은 밀과 밀가루를 합친 금액이 1,447,355천불로서 20개 품목 전체 수출액의 대부분인 82.1%를 차지하며 조면이 82,171천 불로서 그 다음이고 그 외 품목들은 수출액이 그다지 많지 않 다(Table 11).

    축산물 생산, 가공 및 교역

    2009년부터 2011년까지 가축 두수의 변동을 보면 전체적으 로 년차간 증가추세를 보였는데, 2009년(124,318천두) 대비 2010년(134,125천두)은 7.9%로 대폭 증가하였으나 2011년 (135,045천두)은 8.6%로 증가 폭이 미미하였다. 년차간 감소 없이 꾸준히 증가된 축종은 낙타, 소, 염소, 말, 양, 가금류이 고, 당나귀와 물소는 년차간 변화가 없으며, 돼지는 2010년에 감소되었다가 2011년에는 다시 증가되었다. 숫자가 가장 많은 토끼는 2010년 9.5%가 증가하였으나 2011년에는 2010년과 변화가 없었다. 숫자가 증가된 가축을 축종별로 보면 낙타는 2009년 대비 2010년에 4.9%증가 하였으나 2011년에는 무려 14.4%로 증가하였다. 소는 년차간 증가율이 각각 1.7%와 3.1%로서 낮은 편이었고, 염소, 말, 양 및 가금류는 비교적 증 가 폭이 컸다. 반면 돼지는 감소폭은 미미하나 꾸준히 감소하 였다(Table 12).

    축산물의 생산, 수출입 및 공급량은 총 7,283천 톤을 국내 에서 생산하였고 863.8천 톤을 수입 및 75.4천 톤을 수출하여 총 8,071.4천 톤을 국내에 공급하였다. 품목별로 보면 육류는 1,004.6천 톤을 생산 및 173.5천 톤을 수입, 285톤을 수출하 고 1,177.8천 톤을 공급하여 자급율이 85.3%이다. 소고기, 돼 지고기를 비롯한 모든 종류의 육류가 자급이 되지 않아 상당 량을 수입하여 공급하였다. 우유와 유제품은 5,724.4천 톤을 생산 및 593.5천 톤을 수입, 53.7천 톤을 수출하고 6,264.2천 톤을 공급하여 자급율이 91.4%이다. 우유를 비롯하여 모든 품 목을 수요량의 일부를 수입하여 공급한다. 계란과 벌꿀 또한 상당량을 수입하나 소가죽과 양모는 자급을 하고 일부를 수출 한다(FAOSTAT. 2013).

    농업기술 협력 현황 및 금후 추진방향

    농업기술 협력 현황

    카자흐스탄은 구소련으로부터 독립하기 이전부터 중요한 농 업생산 지역으로서 구소련 농업생산의 26%와 밀수출의 1/3을 차지했다. 2011년 경작지 면적이 24,035천 ha, 밀생산량이 22,732천 톤이며 세계 10대 밀 생산국으로서 무한한 농업생산 의 잠재력을 가진 나라이므로 식량자급도가 낮은 우리나라는 식량안보를 위한 해외 식량기지 확보 차원에서 농업생산 기술 협력, 교역 등 여러 분야에서 협력을 고려할 수 있는 대상국 이다. 이에 따라 지자체나 중앙정부차원에서 투자환경조사나 (Park et al,, 2009), 농업교류제안(The Jeonbuk Maeil Shinmun, 2008) 및 농업협력에 관한 양해각서 체결(Agriculture & Fishery Trade News, 2011) 등의 활동이 이루어 졌으나, 한 중소기업의 감자농사(Jo and Lee, 2010) 외에는 현재 양국 간 실질적인 농업기술협력은 미미한 실정이다. 농업부문 투자도 2002년에 1건 50만 불이 전부이다(Korea Exim Bank, 2009)

    농업기술 협력분야

    ·농업생산 기술 분야

    카자흐스탄은 국토가 방대하고(2,724.9천 km2, 세계 9위) 경 작지 면적이 넓으며(24,035천 ha) 일사량도 풍부하여 외형적 으로는 농업생산 여건이 좋아 보인다. 농업부문의 생산증대, 인프라 확대 및 경쟁력 향상을 위해 농업프로젝트를 추진하여 외국으로부터 투자를 유치하고 있으며 향후 세계 주요 곡물수 출국으로의 부상을 계획도 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카자흐스 탄-2050 전략”에 따라 농업 현대화의 일환으로 농업과 농가공 및 유통 분야 중소기업을 발전시키고자 노력하고 있다. 그러 나 밀과 보리를 제외한 곡물, 과수, 채소, 식물성 기름, 알콜 음료 및 설탕을 자급하지 못하고 많은 양을 수입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으나 농업을 위한 사회간접자 본의 부족, 수자원 부족 및 부영양화, 배수시설 부족, 염류집 적 토양, 농기계와 기계설비의 노후화로 볼 수 있다(Jo and Lee, 2010). 또한 밀은 생산량으로서는 2011년에 세계 10위이 지만 생산성이 ha당 1.66톤으로서 독일(7.02톤/ha)의 23.7%, 중국(4.84톤/ha)의 34.3%이고, 조방적 밀재배를 하는 미국(2.94 톤/ha)에도 56.5%에 지나지 않은 낮은 실정이다(FAO, 2013). 따라서 향후 카자흐스탄과의 농업기술 협력대상은 자급이 되 지 않아 해외에서 수입하고 있는 작물의 재배나 생산성향상 기술, 밀 생산성 향상 기술 전수, 관수량을 절감할 수 있는 관개방법, 채소재배 시설 확충, 농산업용 간접자본 확충, 농기 계 사업 등이 유망할 것으로 예상된다. 농산물 가공도 맥주와 와인 제조, 착유, 조면 마가린 제조 등이 거의 전부이므로 농 산물 가공분야도 협력사업 대상으로 유망할 것으로 생각된다. 육류로서는 닭고기를 년 1억불 이상 수입하므로 육계사업도 협력사업의 대상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농산물 교역분야

    카자흐스탄은 광대한 농토를 바탕으로 2010년 밀 수출 7위 (물량 5,066천 톤, 금액 911백만 불)의 국가이며(FAO, 2013) 향후 이란, 흑해, 중국과의 국경 등에 새로운 수출터미널을 건 설할 계획이다. 전통적으로 이란과 중앙아시아 국가에 곡물을 수출하여 왔으나 새로운 수출시장 개척에 나서고 있는데 농업 기반 육성 관련 국영기업인 “카즈아그로사”는 한국이 자국 곡 물 70만 톤을 구입하게 될 것이라고 밝히기도 하는 등(Jo and Lee, 2010) 밀 수출확대에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그러나 국경이 다른 국가들로 둘러싸인 내륙국으로서 밀의 해상운송 이 가능한 항구까지는 운송비가 많이 들므로 수출비용 증대에 따라 우리나라에 수출이 현실적으로 쉽지 않은 실정이다. 농 산 물 중 밀과 보리를 제외하고는 수출물품이 거의 없는 실정 으로 우리가 수입할 품목도 없어 보인다. 마찬가지로 우리나 라 농산물의 대 카자흐스탄 수출도 과다한 운송비와 운송에 걸리는 시간으로 인하여 수출이 여의치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다만, 종자수출은 양파와 같은 채소 종자를 위주로 검토할 여 지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유전자원 분야

    카자흐스탄에는 210종 이상의 현화식물의 선조종, 29속 70 종의 야생 사료작물, 야생양파와 마늘 등 120종의 알리움속 선조종 및 9속 13종의 약용작물이 자생하며 사과·살구 등 6 과수 종의 원산지인 유전자원 원산부국이다. 또한 종자은행에 는 75,000점의 자원을 수집하여 현지외 보존하고 있다 (Alimgazinova and Yessimbekov, 2013). 특히 카자흐스탄에 자생하는 Malus. sieversii는 현재 사과 재배종의 모계선조종이 고 (Robinson et al., 2001; Harris et al., 2002; Coart et al., 2006) 또 자생하는 M. sieversii 는 야생종 중에서 과일의 크기가 가장 크고 또 종 내에서 매우 다양한 유전적 다양성을 보인다(Luby et al., 2001). 또한 카자흐스탄에 자생하는 상추 재배종의 야생종인 Lactuca serriola는 노균병에 저항성 유전 자를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Beharav et al., 2006). 따라서 보존 유전자원의 유전적 다양성이 부족한 우리나라는 과수와 채소를 중심으로 카자흐스탄의 유전자원을 적극 도입하여 활 용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자원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우 리나라가 상대적으로 앞서 있는 유전자원 평가 및 관리기술의 노하우와 정보화 경험을 공유하면서 확보하는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적 요

    1. 카자흐스탄은 중앙아시아의 북쪽에 동서로 길게 위치한 국가로서 러시아, 중국, 우즈베키스탄 등 5개국과 국경을 접하 고 있고 사막과 스텝이 국토면적의 80%이상을 차지하며, 동 남부 지역은 4,000 m 이상의 산악지대 이고 국토의 최저점과 최고점의 차이가 7,000 m 이상이다.

    2. 카자흐스탄은 전통적인 농업국가 이었지만 최근 석유산 업의 발달로 농업생산이 GDP에 기여하는 비율이 5.2%로 낮 아졌으나 경제 활동인구 중 농업종사자 비율이 25.9%로 높은 편이다.

    3. 카자흐스탄은 경지면적이 24,035천 ha로 넓지만 농업생 산이 밀 위주로 되어 있어서 밀 생산량이 세계 10위, 수출은 7위이나 과일, 채소 및 유료작물은 상당량 수입하고 있으며, 강우량이 적고 건조한 기후조건 때문에 주로 관개농업에 의존 하고 있다. 주요 농작물은 밀, 보리, 채소, 사료작물, 목화, 옥 수수, 벼, 감자, 과수, 유료작물이다.

    4. 축산업이 농업전체 생산액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38.9%로 서 높은 편이나 많은 량의 닭고기, 돼지고기, 우유 및 계란을 수입하고 있으며 유우, 육우, 면양, 돼지, 닭 및 말이 주된 가 축이다.

    5. 카자흐스탄은 야생 양파와 마늘 등을 포함한 400여 작물 의 선조종이 자생하며 사과·살구 등 6 과수 종의 원산지이고 종자은행에는 75,000점의 자원을 수집하여 현지외 보존하고 있는 자원부국이다.

    6. 현재 카자흐스탄과는 농업기술협력이 미미한 실정이나 카 자흐스탄과의 현 실정으로 볼 때 농업기술 협력은 자급이 되 지 않아 해외에서 수입하고 있는 작물의 재배나 생산성향상 기술, 관개방법, 채소재배 시설 확충, 농기계, 농산물 가공분야, 양계 및 유전자원 교환 등이 협력 사업으로서 유망할 것으로 사료된다.

    Figure

    KSIA-26-325_F1.gif

    Map of Kazakhstan.

    Table

    Ethnic composition in Kazakhstan in 1999

    *Sources : CIA World Factbook entry on Kazakhstan, 2013

    GDP composition by sector and labour force by occupation

    *Sources : CIA World Factbook entry on Kazakhstan, 2013

    Long term monthly mean air temperature at nine meteorological observation stations in Kazakhstan

    *Source : USA National Snow and Ice Data Center and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Monthly precipitation at nine meteorological observation stations for recent five years in Kazakhstan

    *SSource : USA National Snow and Ice Data Center. Digital media
    *Amount of precipitation in Seoul in 2003 is 1,994mm, and world s average precipitation is 880mm

    Long-term average annual renewable surface water resources (RSWR) by river basin in Kazakhstan in km3/year (adapted from UNDP, 2003, 2004 and 2008)

    aEqual to inflow from Kyrgyzstan (27.42), Tajikistan (1.01) and Uzbekistan (4.84)
    bChu (5.0) and Talas-Assa (1.74), c: Chu (1.24) and Talas-Assa (0.79)
    cChu (1.24) and Talas-Assa (0.79)
    *Source : FAO aquastat 2013

    The structure of land in Kazakhstan in 2011

    Source : FAOSTAT. 2013
    *% of area compare to total country area
    Fm = Manual Estimation

    Irrigation techniques on area equipped for full control irrigation in 2010

    Agricultural production in Kazakhstan in 2011

    Sources: FAOSTAT. 2013
    *Unofficial figure, F : FAO estimate, Fc : Calculated data, Im : FAO data based on imputation methodology

    Agricultural production values of Kazakhstan in 2011 (1,000 Int. $)

    Sources: FAOSTAT. 2013

    Agricultural processing in Kazakhstan in 2011 (M/T)

    Source : FAOSTAT. 2013. * = Unofficial figure, F = FAO estimate, Fc = Calculated data

    Top twenty agricultural products trade in Kazakhstan in 2010

    Source : FAOSTAT. 2013

    Numbers of livestock and poultry in Kazakhstan (1,000 Head)

    Source : FAOSTAT. 2013. ( ) : increased or decreased rate(%) compare to in 2009
    *= Unofficial figure, A = Aggregate, may include official, semi-official or estimated data, F = FAO estimate

    Reference

    1. Agriculture & Fishery Trade News (2011)
    2. Alimgazinova B. Sh , Yessimbekova M. A (2013) Plant Genetic Resources of Kazakhstan: Status and Prospects , Russian Journal of Genetics: Applied Research, Vol.3 (1) ; pp.21-25
    3. Beharav A , Lewinsohn D , Lebeda A , Nevo E (2006) New wild Lactuca genetic resources with resistance against Bremia lactucae , Genetic Resources and Crop Evolution, Vol.53; pp.467-474
    4. CIA World Factbook entry on Tajikistan (2013)
    5. Coart E , Van Glabeke S , De Loose M , Larsen A. S , Roldan-Ruiz I (2006) Chloroplast diversity in the genus Malus: new insights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uropean wild apple (Malus sylvestris (L) Mill) and the domesticated apple (Malus domestica Borkh) , Mol Ecol, Vol.15; pp.2171-2182
    6. FAO (2013) AQUASTAT-FAO’sinformation system on water and agriculture,
    7. FAOSTAT (2013)
    8. Gwag J. G , Cho E. G , Kim H. H , Yun M. S , Seok S. J , Kim C. Y (2004) Agricultural status in Republic of Uzbekistan , Korean J. Intl. Agri, Vol.16 (2) ; pp.150-161
    9. Gwag J. G , Ko H. C , Kang M. J , Hur O. S , Ro N. Y , Rhee J. H , Cho G. T , Oh S. J , Baek H. J , Kim Y. G (2012) Agricultural Status in Kirgyz Republic and Korean Strategies for Agriculture Technical Cooperation with Kirgyzstan , Korean J. Intl. Agri, Vol.24 (2) ; pp.188-202
    10. Harris S. A , Robinson J. P , Juniper B. E (2002) Genetic clues to the origin of the apple , Trends Genet, Vol.18; pp.426-430
    11. Jo Y. G , Lee S. Y (2010) Agriculture policies in Central Asia and Korean strategies for agriculture cooperation improvement with Central Asia: Kazakhstan, Uzbekistan, and Kirgyzstan , Korean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12. Kazgiprovodkhoz Institute (Production Cooperative) (2010) The General Scheme integrated use and protection of water resources of the Republic of Kazakhstan, Summary
    13. Ko H. C , Kang M. J , Cho G. T , Ma K. H , Lee S. Y , Chung H. G , Park H. J , Gwag J. G (2013) Agricultural Status in Tajikistan Republic and Korean Strategies for Agriculture Technical Cooperation with Tajikistan , Korean J. Intl. Agri, Vol.25 (1) ; pp.8-21
    14. Korea Exim Bank (2009) Overseas Direct Investment Statistics Yearbook,
    15. Luby J , Forsline P , Aldwinckle H , Bus V , Giebel M (2001) Silk road apples—collection, evaluation, and utilization of Malus sieversii from Central Asia , HortScience, Vol.36; pp.225-231
    16. Park P. S , Park S. Y , Yu H. S , Park H. J (2009) Survey on the Agricultural Situation of Kazakhstan for Food Production Base , Korean J. Intl. Agri, Vol.21 (2) ; pp.111-119
    17. Robinson J. P , Harris S. A , Juniper B. E (2001) Taxonomy of the genus Malus Mill. (Rosaceae) with emphasis on the cultivated apple, Malus domestica Borkh , Plant Syst Evol, Vol.226; pp.35-58
    18. The Jeonbuk Maeil Shinmun (2008)
    19. UNDP (2003) Review of water situation in Kazakhstan. Kazakhstan: National Human Development Report. Chapter 3,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20. UNDP (2004) Water resources of Kazakhstan in the new millennium,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21. Williams M. W , Konovalov V. G (2012) Central Asia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Data , 1879-2003, Boulder, National Snow and Ice Data Center, Digital m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