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8504(Print)
ISSN : 2287-8165(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Vol.26 No.4 pp.372-377
DOI : https://doi.org/10.12719/KSIA.2014.26.4.372

Analysis on Technical Support of Soybean Integrated Mechanization in Zimbabwe

Tea Gyoung Kang†, Kyu Hong Choi, Hyeon Jong Jun, Yong Choi, Iil Soo Choi, Duk Kyu Choi, Che Yun Eom, Angela Msipha*
Department of Agricultural Engineering,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DA
*Scientific Industrial Research & Development Centre, Zimbabwe
Corresponding Author : (Phone) +82-31-390-1872 tkkang@korea.kr
July 16, 2014 November 19, 2014 November 25, 2014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the agricultural status of the Republic of Zimbabwe, which located in the south of Africa. Agricultur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sectors to many African economies as the majority of people depend on farming activities for their living. Statistics from the Ministry of Agriculture (MOA) show that an estimated 70% of the country’s population lives in the rural areas and is therefore directly or indirectly dependent on agriculture for employment and food security. The total area of the land available for cultivation in Zimbabwe is 393,000 km2. It is estimated that agriculture contributes 20.4% of the country’s gross domestic product. All these factors show that agriculture plays a significant role in Zimbabwe. In this paper, the overview of the current state and the agricultural environment in Zimbabwe was introduced. Then, implementation availability of the Korean-made agricultural machine to Zimbabwe’s agriculture was discussed by analyzing the results of soybean harvesting performed by small agricultural machines imported from Korea.


짐바브웨에서 콩 일관기계화 기술 지원 효과분석

강 태경†, 최 규홍, 전 현종, 최 용, 최 일수, 최 덕규, 엄 채윤, Angela Msipha*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짐바브웨 과학산업연구개발청

초록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역할이 급부상하였으며, 농업기술의 세계화(Global Networking)를 통해 국가 경쟁력과 국격 제고를 위하여 G20 정상회의 개최 및 DAC (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 개발원조위원회)가입 등으로 ODA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공적개발원조) 확대가 요구되고 있다(’09, G8확대정상회의, '10 FAO 아·태총회). 따라서 우리나라는 원 조를 받던 나라에서 베풀어 주는 나라로 변모하고 있다. 이러 한 대내외적인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농촌진흥청을 중심으 로 아프리카 농업생산성 향상 및 농촌소득 증대를 위한 농업 연구 개발 및 농촌지도 경험전수를 목적으로 한·아프리카 농식 품기술협의체(Korea-Africa Food & Agriculture Cooperation Initiative, KAFACI)를 2010년에 설립하였다(Heo, 2012). 현재 KAFACI 정식회원국은 아프리카 53개국 중 18개국이 가입되 어 있다. 국가별과제는 회원국가 전문가를 초청하여 직무연수 를 통하여 국가별로 1과제를 발굴하였고, 발굴된 과제는 2011 년에 시작되어 2014년에 3년차로 종료하게 된다.

    대부분의 아프리카 국가는 농업이 중요한 한 부분을 차지하 며, 많은 사람들이 농업에 의존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Heo, 2012). 아프리카 남부에 위치한 짐바브웨는 국토면적 39만 km2 중 경작 가능한 농지는 약 50% 정도이며, 농업이 국가 전체 GDP의 20.4%, 농가인구는 66%로 농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 우 크다(Kwaramba, 2012). 이러한 농업·농촌의 어려움을 해소 하기 위하여 짐바브웨는 KAFACI 국가별과제로 “콩 재배 일 관 기계화 시스템 적용 및 개발” 과제를 선정하여 짐바브웨 과 학·산업연구개발청(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SIRDC)을 중심으로 과제를 수행하였다.

    본고에서는 KAFACI 국가별과제 수행 중 습득한 짐바브웨 의 현황 및 농업환경 등을 소개하고, 짐바브웨 농업현장에 국 산 소형 농기계를 투입하여 콩 수확작업을 수행한 후 짐바브 † 웨에서 농업산 농기계의 적용가능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일반현황

    짐바브웨의 정식명칭은 짐바브웨공화국(Republic of Zimbabwe)이고, 아프리카 남부의 내륙국가로 남위 15° ~ 22°, 동경 26° ~ 34°에 위치하고 있다. 북쪽으로는 잠비아와 국경을 접하고 있고, 동쪽에 모잠비크, 남쪽에 남아프리카공화국이 있 으며, 서쪽에는 보츠와나 및 나미비아와 인접하고 있다.

    짐바브웨는 영국계 백인이 다수의 아프리카 흑인을 지배하 고 극심한 인종차별 정책을 취해 국제적 비난을 받았으며, 1980년의 총선을 치른 후 국제승인을 받아 1980년 4월 18일 정식으로 독립하였다. 국명은 쇼나어(語)로 ‘돌집(houses of stone)’을 뜻하는 ‘dzimba dzemabwe’에서 유래, 행정구역은 8 개 주(province)와 2개 특별시(city)로 되어 있으며, 수도는 하 라레(Harare)로 해발 1,472 m에 위치해 있다(Wikipedia, ko.wikipedis.org/wiki/Zimbabwe).

    짐바브웨의 면적은 390,762 km2, 총 인구는 13,000 천명이 며 15세 미만의 인구는 전체의 41.9%, 65세 이상은 전체의 3.8%이다. 인종분포는 아프리칸이 98%, 혼혈 및 아시안은 1% 그리고 백인 1%로 구성되어 있다(2011, CIA). 사용언어는 영 어 및 토착어를 사용하고 있고, 1인당 국민소득은 500US$ 이 다. 수도는 하라레로서 인구 1,600천명이 거주하고 있고, 해발 1,472 m에 위치하고 있다.

    한국과의 관계는 1994년 11월 18일 짐바브웨와 수교했고, 1995년 10월 9일 하라레에 대사관을 개설, 짐바브웨는 한국을 경제발전 모델로 삼아 양국 간 경제교류에 많은 관심을 기울 이고 있다. 한-짐바브웨 수교 15주년인 2009년에는 도시ㆍ농 촌개발장관과 경제기획장관, 에너지장관 등 고위 각료들이 잇 달아 한국을 방문한 데 이어, 2010년 5월에는 모간 창기라이 총리가 한국을 방문하여 양국 간 투자보장 협정에 서명하는 등 양국의 우호 관계가 진전되고 있다(Embassy of Zimbabwe, zwe.mofa.go.kr/korean).

    농업환경

    지형, 지세 및 기후 조건

    아프리카 남부의 내륙국가인 짐바브웨는 일반적으로 강수가 불규칙한 탓에 가뭄이 잦으나, 태풍과 같은 기상재해는 거의 없는 지역이다. 기후특성은 아열대 기후로서 매년 11월에서 4 월까지가 우기이다. 또한 전국이 사바나로 덮여 있고, 강수량 은 연평균 700 mm 정도로 적다. 따라서 농업생산은 주로 가 뭄에 의해 크게 제약을 받아 관개가 성공적인 농작물 생산의 관건이라 한다.

    짐바브웨는 1997년에 추진한 토지개혁을 통해 백인들로부 터 환수한 대규모 상업농장을 흑인 소농들에게 재분배하였고, 현재 농업생산성 향상 및 안정화를 위한 정책에 역점을 두고 있다. 농장의 형태는 A1과 A2 지구로 구분하고 있고 그 특징 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A1 지구 : 다수의 소작농을 정착시키기 위하여 소규모 농지 로 분할하여 다수의 소작농들에게 나누어준 지구로서 면적은 4.2백만ha(전국토의 11%)이다.

    A2 지구 : 백인들이 소유하였던 상업용 농장의 규모를 그대 로 유지하면서 새로 주인이 된 기업농으로 하여금 기계화를 추진하여 농산물 생산을 종전 수준 이상으로 회복시키려는 지 구로서 면적은 2.2백만ha(전국토의 6%)이다.

    1997년 토지개혁이후 정치 불안, 외부원조 및 농업기술력 등 으로 생산성이 크게 낮아져 농업 수출국에서 수입국으로 전환 되었다. 주식은 옥수수(Maize)로 2010년 예상 소비량이 1,800 천톤 정도이나 1,328천톤이 생산되어 472천톤 부족하며, 주요 곡물 생산량은 Table 1과 같다.

    강우 형태와 기후, 토양 및 지형 등이 농사에 적합한지에 따라 Table 2 및 Fig. 1과 같이 5개의 자연지구(NR; Natural Region)로 구분하고, NR 5로 숫자가 커질수록 농업에 적합도 가 떨어지며, 남부지방으로 갈수록 부적합하다.

    현황조사

    KAFACI 국별과제 수행기관은 짐바브웨 과학·산업연구개발 청(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SIRDC)로『짐바브웨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기술적 인 해결책 제공』을 위하여 1993년에 설립되었다.

    SIRDC는 짐바브웨 수도 하라레의 북쪽 외곽에 위치하며, 11개 연구조직에 직원이 340여명으로 연구직(200여명), 행정직 및 기능직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생물학, 건축, 전기통 신, 에너지, 환경, 식품, 정보, 생산공학 등 과학, 산업 및 농 업을 총괄적으로 연구하는 국가 기관이다. 시험포장 면적은 160 ha로 옥수수, 감자, 콩 등의 식량작물과 양파, 양배추, 상 추 및 허브 등의 원예작물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Mupereki, 2012).

    시험 포장 준비 및 결과

    과제 개요

    KAFACI 국별과제의 과제명은 “콩 재배 일관 기계화 시스 템 적용 및 개발”로, 한국산 소형농기계를 짐바브웨의 농업현 장에 투입하여 현지에 적용가능성과 기계화 효과를 분석하고 문제점을 발굴 보완하여 짐바브웨 농업생산성 향상을 목적으 로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투입한 기종은 Table 3와 같이 15기종의 한국산 농기계가 투입되었다. 투입기종은 짐바 브웨의 A1 지구의 기계화를 위하여 현지 담당자와 협의하여 주로 소형기종으로 선정하였다. 대상작물은 현지의 재배면적 이 넓고, 우리나라에서 파종에서 수확까지 일관기계화가 완성 되어 현지에 바로 적용이 가능한 콩으로 정하였다.

    시험포장

    현지의 콩 재배는 물 빠짐이 좋고 여름철 습도가 낮아 두둑 을 만들지 않는 평면 줄뿌림 방식이다. 시험포장은 SIRDC의 구내시험포장으로 2013년 12월에 경운기 +로타리로 경운정지 작업을 수행하였고, 관리기부착형 파종기로 파종하여 재배하 였다. 조간거리가 45 cm로 우리나라의 70 ~ 90 cm에 비해 매우 좁게 밀식재배하고 있다. 콩의 생육상태는 Table 4와 같다. 파종시기에 가뭄이 심하여 입모가 평년에 비하여 약간 낮고, 중기에는 잦은 강우로 제초작업이 늦어져 예년에 비하여 생육 이 약간 저조한 상황이라고 하였다.

    콩 예취시험

    콩 예취시험에 사용한 예취기는 농촌진흥청에서 개발한 기 종으로 예취, 이송, 수집, 배출작업을 일관작업으로 수행할 수 있는 기종을 이용하였다. 주요 재원은 Table 5에 나타내었다. 콩 예취 실험에 사용된 콩 예취기(BH-710A, 한서 정공, 대한 민국)의 주요 특징 중 예취부는 가이드로 콩을 안내하여 원형 톱날로 지면에서 30 mm 높이로 예취할 수 있고, 작업속도 0.7 m/s일 때 작업능률은 7.5시간/ha로 관행(인력) 89 시간/ha 에 비해 92% 노동력으 절감시킬 수 있다(Jun et al., 2006).

    콩 예취시험은 Fig. 2와 같이 콩 재배포장으로 이동하여 예 취작업 연시와 SIRDC 직원 여러 사람이 실습을 하였다. 예취 높이는 Table 4의 콩의 탈협고를 고려하여 8cm 정도로 조절 하였으며, 저속 1단으로 작업한 결과 예취상태, 수집배출 및 절단상태가 모두 양호하였다. 콩 예취작업 성능은 예취기 이 용 및 관행작업 모두 0.3 ha(100 × 30, m) 포장 작업시간을 측정하여 작업성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콩 예취기로 작업 을 수행할 경우 12 시간/ha이 소요되었고, 인력으로 콩을 예 취 할 경우 240 시간/ha이 소요되어 20배 정도 작업속도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전조작이 편리하여 여성도 손쉽게 작업할 수 있었다. 그러나 콩의 숙기가 지났고, 건조한 기후로 완전히 말 라서 수확손실이 많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내년에 콩의 숙기별 로 예취시험을 실시하여 적정 예취시기를 구명할 예정이다.

    콩 탈곡시험

    콩 탈곡 시험에 사용된 콩 탈곡기는 콩 재배포장에서 전기 이용이 어려운 현지사정을 고려하여 엔진 부착형으로 제작하 였다. 콩 탈곡기(BHD-2000, Buheung Machinary Ind, Republic of Korea)의 주요사양은 Table 6에 나타내었다. 콩 탈곡 과정은 콩을 줄기 채 투입하면 탈곡드럼에 부착된 급치에 의하여 탈 곡되며, 탈곡된 콩은 탈곡망을 통하여 떨어지고, 송풍기에서 생성된 강한 바람으로 선별된다. 선별된 콩은 이송 오거에 의 해 한쪽 방향으로 이송되고, 버킷엘리베이터로 포대에 자동으 로 담기는 방식이다. 콩 탈곡 시험은 콩 탈곡기의 각 부 조정 방법, 시동 및 콩대 투입요령 등 작업방법에 대한 설명 후 콩 재배포장으로 이동하여 콩 예취기로 수확된 콩으로 탈곡작업 을 실시하였다.

    콩 탈곡작업 성능은 탈곡기 이용 및 관행작업 모두 0.3 ha (100 × 30 m) 포장 작업시간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탈곡기를 이용할 경우 14시간/ha로 막대기로 두드려 탈곡하는 관행 작업의 450 시간/ha보다 30배 이상 작업속도가 빨랐다. 특히 여성들의 고역작업을 탈피할 수 있어서 현지에 가장 시 급히 보급되어야할 기계라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콩 탈곡작업 과정은 Fig. 2에 상세히 나타내었다.

    농가포장 수확 연시회 개최

    한국의 소형 농업기계를 농가에 소개하고, 현지 농가 적용 가능성 및 농가반응을 분석하기 위하여 농가포장 연시회를 2014년 5월 27일 하라레 시에서 70 km 북쪽의 Glendale 지 역 농가포장에서 개최하였다(Fig. 3. 참석자는 농업인, 연구 및 지도공무원 등 70명 이었고, 연시기종은 한국산 수확용 기 계인 콩 예취기, 탈곡기, 정선기 등 3기종이었다. 연시회는 Fig. 4와 같이 SIRDC 과제담당자가 농기계의 원리 및 특징을 소개하고, SIRDC 기계원이 시범작업 후 농업인이 직접 작업 을 수행하였다. 연시회 후 토론회에서의 농가 의견은 한국의 소형농기계의 성능이 매우 우수하지만, 현지의 인건비가 매우 저렴하여 예취기와 정선기는 경제성이 낮을 것으로 의견을 피 력하였고, 탈곡기는 인력에 비하여 성능이 매우 높아 현지에 아주 필요한 기계라고 평가하였다. 특히 여성농업인이 탈곡기 에 관심이 많았으며, 즉시구입하고 싶다는 의견이었다.

    경제성 분석

    콩 수확작업에 대한 현지의 물가와 인건비를 고려한 경제성 분석 결과를 Table 7에 나타내었다. 콩 예취작업의 경우 관행 인력작업의 105 US$/ha에 비하여 콩 예취기를 이용하면 작업 성능은 인력의 20 배로 매우 우수하였으나, 현지의 인건비가 하루에 3.5 US$로 낮았던 관계로 총 126 US$/ha가 소요되어 오히려 비용적인 측면에서는 20%정도 상승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콩 탈곡의 경우는 관행 인력작업의 197 US$/ha에 비하여 30배 정도로 매우 우수하여 콩 탈곡기를 이용할 경우 164 US$/ha로 14%의 비용절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지 경제 사정이 열악하고 인력이 풍부하여 인건비가 저렴하지만 추후 경제사정이 개선되어 인건비가 상승한다면 비용이 절감될 것 으로 판단되었다.

    적 요

    아프리카 남단의 짐바브웨는 남한 면적의 4배의 드넓은 국 토를 보유하고 비옥한 농토를 보유하여, 한때는 아프리카의 식 량창고로 불리었으나, 농업정책의 실패로 이제는 식량 수입국 가로 전락하여 농업의 부활이 절실한 나라이다.

    2011년부터 시작된 KAFACI 국가별과제인 “콩 생산일관기 계화 적용 및 실증” 과제를 추진하기 위하여 콩 예취기, 콩 탈곡기 및 콩 정선기 등 한국의 소형 농기계를 현지에 투입하 여 콩 수확작업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였다.

    콩 예취작업은 콩 예취기를 이용할 경우 작업시간이 12 시 간/ha로서 인력작업시간 240시간/ha에 비해 20배정도 작업속 도가 빠르고, 운전조작이 편리하여 여성도 손쉽게 작업할 수 있었다. 콩 탈곡작업은 틸곡기를 이용할 경우 14 시간/ha로 관행 인력으로 탈곡작업을 수행할 경우 소요되는 약 450 시 간/ha에 비해 30배 성능이 높게 나타났다.

    경제성 분석력과 현지의 인건비가 매우 저렴하여 콩 예취작 업의 경우 관행 인력작업의 비하여 콩 예취기를 이용하면 20%정도 비용이 상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콩 탈곡의 경우 는 작업성능이 인력의 30배 정도로 매우 우수하여 관행 인력 작업에 비하여 콩 탈곡기를 이용할 경우 14%의 비용절감 효 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현재는 아프리카 국가 들이 경제적으로 열악하고 인 력이 풍부하여 인건비가 저렴하여 농기계 수요가 낮지만, 농 기계에 관심이 높았고 경제발전이 급속히 진행될 여지가 크므 로 향후 식량기지화 및 농기계 수출 등을 고려한다면 아프리 카 국가 특히 짐바브웨에 대한 지속적인 원조 및 투자가 필요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Figure

    KSIA-26-372_F1.gif

    5 Natural Region in Zimbabwe.

    KSIA-26-372_F2.gif

    Description of soy bean cutter and practice in the field

    KSIA-26-372_F3.gif

    Process of soybean threshing in the field.

    KSIA-26-372_F4.gif

    Annual performance of soybean harvesting in farm house.

    Table

    The output of agricultural product of Zimbabwe

    Source : Kwaramba, 2012

    Suitability of farming and 5 Natural Region

    Source : C. Rukuni, 2012

    Applied agricultural machines (Korean Small size agricultural machine)

    Result of farm survey

    Specification of soybean cutter

    Specifications of thresher

    Analysis of economic analysis in soy bean harvesting

    Reference

    1. Embassy of Zimbabwezwe.mofa.go.kr/Korea,
    2. Heo S.W (2012) Project Evaluation of Korea-Africa Food&Agriculture Cooperation Initiative (KAFACI) Focused on Relevance and Efficiency ,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3. Jun H.J , Hong J.T , Choi Y , Kim Y.K , Lee C.K Development of a bean cutter , Proceedings of the KSAM winter conference,
    4. Kwaramba P (2012) Agriculture in Zimbabwe, Overview Agricultural mechanization in Zimbabwe ,
    5. Mupereki S (2012) Soybean production in Zimbabwe, Overview Agricultural mechanization in Zimbabwe ,
    6. Rukini C (2012) Status of Agricultural Mechanization in Zimbabwe Overview Agricultural mechanization in Zimbabwe ,
    7. Wikipediako.wikipedis.org/wiki/Zimbabw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