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8504(Print)
ISSN : 2287-8165(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Vol.26 No.4 pp.462-467
DOI : https://doi.org/10.12719/KSIA.2014.26.4.462

Comparison of Seedling Establishment and Early Growth Characteristics as Affected by Seeding Date and Temperature in Water Broadcast-Seeded Whole Crop Silage Rice Genotypes

Woonho Yang†, Junhwan Kim, Jiyoung Shon, Hanyong Jung, Kyung-Jin Choi, Bo-Kyeong Kim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Suwon, 441-857, Korea
Corresponding Author : (Phone) +82-31-290-6716 whyang@korea.kr
October 10, 2014 October 29, 2014 October 30, 2014

Abstract

Seedling establishment and early growth of water broadcast-seeded whole crop silage rice genotypes were characterized by controlling seeding dates in the experimental field and daily mean temperature in the phytotron of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in 2014. Number of seedling stand was similar in the seeding dates of 10 May to 9 June whereas it increased when seeding date was delayed from 30 April to 10 May in the field study. In the phytotron, percentage of seedling establishment was not different in the range of 18 to 24°C and the tested whole crop silage rice demonstrated lower seedling establishment than a japonica variety, Ilpum. Seedling height at 30 days after seeding increased with the temperature rise in the phytotron and the delay of seeding date in the field. With the temperature increase, Mogwoo and Suweon560 showed greater elongation than Nokyang. The greatest extent of seedling elongation was observed when temperature increased from 21 to 24°C for Mogwoo and from 18 to 21°C for Nokyang and Suweon560. Dry weight of a seedling increased with the temperature rise from 18 to 24°C in all genotypes. However, in the range of 24 to 27°C, dry weight was similar in Nokyang and decreased in Mogwoo and Suweon560. Decrement of dry weight at 27°C, compared to 24°C, was the highest in Suweon560. Dry weight-height ratio increased when temperature rose from 18 to 24°C and decreased from 24 to 27°C in all genotypes. Suweon560 showed the greatest decrement of dry weightheight ratio in 27°C compared to 24°C. It is concluded that the most effective temperature for early elongation growth and healthy seedlings in water broadcast-seeded whole crop silage rice would be 21°C for Nokyang and 24°C for Mogwoo and Suweon560.


담수표면산파에서 파종시기와 온도에 따른 총체 사료용 벼 품종의 입모와 초기신장 특성 비교

양 운호†, 김 준환, 손 지영, 정 한용, 최 경진, 김 보경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초록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J00921701

    총체 사료용

    벼 재배는 홍수조절 등 논의 공익적 기능 을 유지하면서 수입사료를 대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논에 서 식용 쌀 생산을 대체할 수 있는 대안으로 제시되어 왔다 (Sung et al., 2004; Kim et al., 2006). 총체 사료용 벼 이외 에도 논에서 사료작물로 재배하기 위하여 옥수수, 수수-수단그 라스 교잡종, 사료용 피, 진주조 등이 검토되었다(Kim et al., 2006; Choi et al., 2006).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7 ~ 8월의 강우에 의한 습해 때문에 대부분의 밭작물이 논에 적응하기 못 하고 생육과 수량이 저조한 양상을 보인다(Lee et al., 1994; Kim et al., 2006). 작물 이외에 미국개기장(Panicum dichotomiflorum Michx.)과 갯겨이삭(Puccinellia coreensis Honda) 과 같은 야생 식물종의 사료작물화도 검토되었으나(Jong et al., 1995; Kim et al., 1994), 그다지 성공적이지 못했다. 이와 같 은 이유로 여름철 논에서 사료작물 생산을 위해서는 총체 사 료용 벼를 재배하는 것이 유리하다 하겠다. 우리나라에서는 벼 재배의 부산물로서 볏짚이 조사료로 이용되고 있으나 영양적 으로 부족한 단점이 있다(Kim, 2004). 반면 총체 사료용 벼는 가소화영양총량이 높은 종실도 함께 이용하므로(Yang et al., 2007), 볏짚만 사료로 사용했을 때보다 양분가치를 높일 수 있 는 장점이 있다.

    Lee et al. (2005)은 총체수량과 가축의 기호성 향상을 위해 총체 사료용 벼는 다얼 수수형, 높은 수확지수와 조단백질 함 량, 낮은 neutral/acid detergent fiber 함량의 특성을 지녀야 한다고 보고하였다. 총체 사료용 벼는 일시에 수확하여 주로 사일리지로 활용되므로(Kim et al., 2008), 총체수량, 영양가치, 기호성 등이 중요하지만, 사료용 작물의 특성상 건물 생산량 이 1차 육종목표가 된다(Yang et al., 2014). 그러므로 총체 사료용 벼는 건물 생산량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육성되어 왔 고, 이를 위하여 인디카 또는 다수성 열대 자포니카인 신초형 (New Plant Type)을 유전적 배경으로 하고 있다(Lee et al., 2013; Yang et al., 2011; Yang et al., 2013). 이와 같이 육 성된 총체 사료용 벼는 2014년 현재 2품종이 국가품종목록에 등재되어 있고, 3품종이 출원되어 있다.

    총체 사료용 벼의 수확적기는 황숙기(Sung et al., 2004)라 는 보고와 호숙기(Kim et al., 2006)라는 상반된 주장이 있으 나, 탈립성이나 영양가치를 고려했을 때 일반적으로 출수 후 30일 경으로 받아들여진다. 한편, 총체 사료용 벼는 보다 쉬운 재배와 노동력 및 자재 투입 경감을 위하여 직파재배하는 것 이 유리하며(Kim et al., 2006), 이를 위해서 직파재배에 적응 하는 특성을 갖추어야 한다(Yang et al., 2007). Park(1999)은 직파재배 적응 품종은 소얼 수중형으로 저온발아성과 출아성 이 높아야 하며, 혐기 조건에서 발아와 신장의 저하 정도가 적고, 식물체의 신장성이 좋아야 하며, 도복에 강한 특성을 가 져야 한다고 요약하였다. 이와 같은 벼의 직파재배 적응성은 총체 사료용 벼 품종의 직파재배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담수표면산파에서 총체 사료용 벼 품종의 파종시 기에 따른 초기 신장성을 비교하고, 입모기간 중 온도변화에 따른 초기 신장성과 생육 및 입모 특성을 비교 검토하기 위하 여 수행하였다.

    재료 및 방법

    본 연구는 2014년 수원 국립식량과학원 답작과 시험포장과 인공기상연구동에서 총체 사료용 벼 품종 및 계통을 공시하여 담수표면산파 조건에서 수행하였다.

    포장시험

    포장시험은 총체 사료용 벼로 등록된 녹양 및 목우와 지적 시험에서 생육이 양호한 수원560을 공시하였으며, 4월 30일에 서 6월 9일까지 10일 간격으로 5회 파종하였다. 전년도에 수 확한 종자를 수선하여 충실한 종자를 가려내고 다시 건조한 후 10a당 4 kg 수준으로 준비하였다. 키다리병 등 종자전염병 방제를 위하여 준비된 종자를 30℃에서 48시간 약제소독한 후 물에 침종하여 최아된 종자를 파종하였다. 시험포장은 파종 6 일 전에 기비를 시용하고 정지·균평한 후 다음 날 담수직파 재배용 파종 전 제초제를 표준량 살포하였다. 이후 제초제의 효과를 유지하기 위하여 포장을 10 cm 이상의 심수상태로 유 지하였으며, 파종 전 1일에 담수심이 1 ~ 3 cm가 되도록 배수 하고 다음 날 손파종하였다. 시험포장은 벼 입모를 위하여 파 종 후 10일간 낙수상태로 유지하였고, 파종 후 10일에 담수하 고 초기 제초제를 살포한 후 20일까지 담수상태로 유지하였으 며, 뿌리 신장을 촉진하기 위하여 파종 후 20일에서 30일까지 낙수하였다. 비료는 총체사료용 벼 재배의 표준 시비량인 질 소 18 kg, 인산 4.5 kg, 칼리 5.7 kg중 질소 50%, 인산 100%, 칼리 70%를 기비로 전층시비하였다. 시험구는 각 파종시기별 로 난괴법에 따라 3반복으로 배치하였다. 입모상태와 초기 신 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파종 후 30일에 각 파종시기와 품종 별로 입모와 생육이 비교적 균일한 곳에서 0.5×0.5m (0.25m2) 의 격자를 이용하여 식물체를 뿌리째 채취한 후 입모수를 세 어 m2당 입모수로 환산하였으며, 그 중 생육이 양호한 10개체 를 선정하여 초장을 측정하였다. 시험성적은 최소유의차 검정 을 통해 품종별 파종시기간 차이와 파종시기별 품종간 차이를 비교하였다.

    실내시험

    총체 사료용 벼 품종 및 계통의 기온에 따른 초기 신장과 입모 특성을 보다 면밀하게 검토하기 위하여, 인공기상연구동 정밀유리실에서 실내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재료는 포장시험 에 사용된 총체 사료용 벼 3품종 및 계통을 공시하였으며, 일 반형 품종인 일품을 추가하여 비교하였다. 일평균기온은 포장 시험의 파종시기 처리별로 입모기간 중 평균기온이었던 18℃ ~ 24℃에 고온 조건인 27℃를 추가하여 3℃ 간격으로 4 처리하였으며, 각 처리 온도별 일교차를 8℃로 변온처리 하였 다. 종자는 포장시험과 같은 방법에 따라 준비하였다. 파종 6일 전 사각 플라스틱 상자(가로 ×세로 ×깊이 = 47 × 30 × 14 cm)에 토양을 7 cm 깊이로 채우고 물을 더해 교반하였다. 토양 교반 후 1일에 벼 담수직파재배용 파종 전 제초제를 토 양표면 처리하고 담수상태를 유지하였으며, 파종 당일 담수심 1 cm로 배수하였다. 시험구는 처리온도별 난괴법 4반복으로 배 치하였으며, 각 시험구당 최아종자 50립을 표면파종하였다. 비 료는 완효성 복합비료의 포장 표준시비량을 상자의 면적으로 환산하여 시비하였다. 초기생육과 입모상태를 검토하기 위하 여, 각 시험구별로 파종 후 30일에 입모수를 세어 입모율로 환산하고, 그 중 생육이 양호한 10개체의 초장을 조사한 후 70℃에서 7일간 건조하여 건물중을 측정하였다. 모 충실도는 건물중을 초장으로 나누어 계산하였다. 시험성적은 최소유의 차 검정을 통해 품종별 파종시기간 차이와 파종시기별 품종간 차이를 비교하였다. 기온 1℃ 증가에 의한 초장, 건물중, 모 충실도의 변화 정도는 조사성적 평균치의 처리간 차이를 처리 온도의 차이로 나누어 계산하였다.

    결 과

    포장시험

    4월 30일부터 6월 9일 파종 처리의 입모기간 중 평균기온 변화는 Fig. 1과 같다. 평균기온은 날짜 경과에 따라 증가하는 추세였는데, 5월 상순의 평균기온은 14.3℃로 낮았고 그 중 6 일은 15℃ 이하를 보였다. 파종시기에 따른 파종 후 30일간의 벼 입모기간 중 평균기온은 4월 30일 파종 18.0℃, 5월 10일 파종 20.8℃, 5월 20일 파종 22.0℃, 5월 30일 파종 22.9℃, 6월 9일 파종 23.8이었다. 5월 10일 이후로는 파종기가 10일 늦어짐에 따라 입모기간 중 평균기온이 0.9 ~ 1.2℃ 증가하였 으나, 4월 30일에서 5월 10일로 늦어진 경우에는 2.8℃ 증가 하여 평균기온이 급격하게 상승하였다.

    파종시기에 따른 입모수는 3품종 모두 5월 10일 파종부터 는 통계적 차이가 없었으나, 4월 30일 파종에서는 낮은 경향 을 보였다(Table 1). 품종에 따른 입모수는 5월 20일 파종에 서 수원560이, 6월 9일 파종에서 수원560과 목우가 다른 품 종에 비해 많았고, 파종기 처리에서는 품종간 통계적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녹양에 비해 목우와 수원560의 입 모수가 많은 경향을 보였다. 파종 후 30일의 초장은 3품종 모 두 파종기가 늦을수록 유의하게 길어졌는데, 목우 및 수원560 과 달리 녹양은 5월 30일과 6월 9일 파종간에는 통계적 유의 차가 없었다. 각 파종시기 처리에서 초장은 품종간에 통계적 차이가 있었는데, 파종기에 따라 차이는 있었으나 전반적으로 수원560, 목우, 녹양의 순으로 긴 경향이었다.

    실내시험

    포장시험의 입모기간 중 평균기온 범위인 18, 21, 24℃에서 검토한 결과, 파종 후 30일의 입모율은 일품에서는 온도 상승 에 따라 높아지는 경향이었지만, 모든 품종에서 처리온도간 차 이를 보이지 않았다(Table 2). 일평균기온 18℃에서 입모율은 일품이 가장 높았고 수원560이 다음이었으며 녹양과 목우에서 는 비슷하였으나, 품종간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평균기온 21℃와 24℃에서 입모율의 품종간 차이는 18℃에서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나, 총체 사료용 벼에 비하여 일품에서 유의 하게 높았고 총체 사료용 벼 품종간에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파종 후 30일에 초장은 4품종 모두 온도가 높을수록 증가하 였는데, 18℃와 21℃에서는 수원560이 가장 길었고 목우, 녹 양, 일품은 비슷하였다(Fig. 2). 그러나 24℃와 27℃에서는 수 원560과 목우의 초장이 녹양과 일품에 비하여 길었다.

    파종 후 30일의 건물중은 공시 품종 모두 24℃까지는 온도 가 높을수록 유의하게 증가하였다(Table 3). 평균기온 27℃에 서 건물중은 24℃와 통계적 차이가 없었으나, 녹양의 경우 24℃와 비슷한 반면 목우, 수원560, 일품에서는 오히려 감소 하였다. 평균기온 18, 21, 24℃에서 품종간 건물중의 유의차는 일정하지 않았으나, 수원560, 목우, 일품, 녹양 순으로 무거운 경향이었다. 그러나 27℃에서는 목우가 수원560보다 건물중이 높았고, 녹양과 일품은 비슷하게 낮았다. 묘 충실도는 모든 품 종에서 24℃까지는 온도가 증가할수록 유의하게 증가하는 경 향이었으나, 27℃에서는 24℃와 통계적 차이는 없었지만 모든 품종에서 감소하였다. 특히 수원560은 24℃에 비해 27℃에서 충실도의 감소가 다른 품종보다 컸다.

    고 찰

    포장시험에서 4월 30일 파종 처리의 벼 입모기간 중 평균 기온은 18℃였고, 이때의 입모수는 입모기간의 평균기온이 20.9℃였던 5월 10일 파종에 비해 낮았다(Fig. 1 & Table 1). 이 결과를 보면 입모기간 중 평균기온이 20℃ 이상 되어야만 총체 사료용 벼의 입모가 안정화되는 것으로 생각되나, 실내 시험에서는 18℃에서도 21℃ 및 24℃에서와 입모율의 차이가 없었다(Table 2). 이와 같은 차이는 포장에서는 파종 후 시일 경과에 따라 기온이 상승한 반면, 실내시험에서는 30일간의 입 모기간 동안 평균기온이 동일하게 유지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4월 30일 파종 처리에서는 특히 파종 후 10일간의 평균기온이 15℃ 이하로 낮아 총체 사료용 벼의 입모에 부정 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포장시험에서 m2당 입모 수는 녹양의 4월 30일 파종에서 80개로 가장 적었고, 수원 560의 5월 20일 파종에서 143개로 가장 많았다(Table 1). Lee et al. (1994)은 벼 담수직파재배에서 m2당 적정 입모수 는 품종에 따라 다르나 78 ~ 120개이고, 이 때 10a당 파종량 은 2.7 ~ 4.0 kg이라고 보고하였다. 이 적정 입모수는 쌀수량을 기준으로 한 것이기 때문에, 총체 수량을 기준으로 하면 달라 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총체 사료용 벼의 적정 입모수가 아직까지 보고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Lee et al.(1994)의 결 과를 기준으로 하면 4월 30일에 파종하여도 적정 입모수 범 위를 충족할 수 있었다. 한편 실내시험에서 총체 사료용 벼 품종간 입모율은 통계적 차이는 없었으나 수원560, 목우, 녹 양의 순으로 높았다(Table 2). 그러나 이들 세 품종은 일반형 품종인 일품에 비하여 입모율이 낮았으며, 평균기온이 18℃보 다 높아져도 입모율이 증가하지 않았으므로 품종 자체가 갖는 발아와 출아성이 개선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포장시험에서 초장은 4월 30일 ~ 6월 9일의 파종기 범위에 서 입모기간 중 기온이 상승함에 따라 유의하게 길어져, 입모 수와는 다른 양상을 보였다(Table 1 & Fig. 1). 5월 30일 파종 에 비해 6월 9일 파종에서 초장은 녹양의 경우 증가정도가 적 었으나, 목우와 수원560의 경우에는 유의하게 길어졌다(Table 1) 또한 상대적으로 저온이었던 4월 30일 파종에서는 목우의 초 장이 녹양보다 짧았던 결과를 감안하면, 목우와 수원560의 초 기 신장성은 녹양보다 고온에서 더욱 크게 발현되며, 특히 목 우는 초기 신장을 위한 고온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보인다. 실내시험에서도 입모기간의 온도 증가에 따른 품종의 초기 신 장성 변화 양상은 포장시험에서와 비슷하였다(Fig. 2). 특히 목 우는 입모기간 중 평균기온 18℃와 21℃에서는 녹양과 초장 이 비슷하였으나 24℃와 27℃에서는 길어졌는데, 이 결과는 포장시험에서의 결론을 뒷받침한다. 실내시험에서 평균기온이 18℃에서 21℃, 21℃에서 24℃, 24℃에서 27℃로 높아질 때 기온 1℃ 증가에 대한 초장 신장 정도는 Fig. 3과 같다. 기온 1℃ 상승에 따른 초장 증가 정도는 18℃에서 24℃까지 상승 할 때는 녹양, 목우, 수원560이 일품보다 월등하게 컸으나, 24℃에서 27℃로 상승할 때는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모든 품 종에서 기온 1℃ 상승에 따른 초장 신장 정도는 18 ~ 24℃ 범위에서 높았고, 24℃에서 27℃로 상승한 경우에는 적어졌다. 이는 초장 신장 효과가 평균기온 24℃ 이하에서 큰 것을 의 미하는데, 총체 사료용 벼 품종에서는 녹양보다 목우와 수원 560의 신장 정도가 커서 직파재배를 위한 초기 신장성 측면에 서 유리한 것으로 생각된다. 녹양과 수원560은 입모기간 중 평균기온이 18℃에서 21℃로 높아질 때가 21℃에서 24℃로 높아졌을 때보다 초장 신장 정도가 컸으나, 목우는 반대의 경 향을 보였다. 이 결과로 볼 때, 목우의 초장 신장은 상대적으 로 고온에서 효과가 크고, 수원560은 비교적 저온에서 초장 신장 효과가 크며, 목우와 수원560이 녹양보다는 전반적으로 초기 신장성이 양호한 것을 알 수 있다. 수원560의 경우 입모 기간의 평균기온이 24℃에서 27℃로 높아질 때는 초장 신장 정도가 다른 품종에 비해 급격하게 적어져, 입모기간 중 평균 기온 24℃ 이상일 때는 초기 신장성 증진의 효과가 적은 것 으로 나타났다.

    실내시험에서 파종 후 30일의 건물중은 평균기온 상승에 따 라 24℃까지는 증가하였으나, 27℃에서는 24℃에서와 비슷하 거나 오히려 감소하였다(Table 3). 평균기온 18℃를 기준으로 온도 1℃ 상승에 따른 건물중 변화 양상을 보면, 녹양은 18℃에서 21℃로 올라갈 때 증가 정도가 가장 컸고 다음이 21℃에서 24℃로 높아질 때였으며, 24℃에서 27℃로 상승할 때는 거의 증가하지 않았다(Fig. 4(a)). 반면, 목우는 평균기온 이 18℃에서 21℃로 높아질 때보다 21℃에서 24℃로 상승할 때 건물중 증가 정도가 컸고, 24℃에서 27℃로 높아질 때는 오히려 감소하였다. 수원560은 18 ~ 21℃와 21 ~ 24℃의 평균 기온 범위에서 건물중 증가 정도가 비슷하여 일반형 품종인 일품과 유사한 양상을 보였으나, 24℃에서 27℃로 온도가 상승 하면서 건물중의 감소 정도가 다른 품종보다 현저히 컸다. 이와 같이 건물중의 변화는 모든 품종의 초장이 27℃까지 기온이 높 아짐에 따라 증가한 결과와는 다른 양상을 보였다(Fig. 2 & 3).

    초장은 건물중과 함께 증가해야만 묘가 충실하고, 초장만 신 장하면 묘가 도장하고 연약해져 그 이후의 생육에 영향을 미 치게 된다. 각 처리 온도에서 평균기온 1℃당 묘 충실도의 증 감 양상은 총체 사료용 벼 품종간 차이를 보였다(Fig. 4(b)). 녹양은 입모기간 중 온도가 18℃에서 21℃로 상승할 때 묘 충실도의 증가 정도가 21℃에서 24℃로 상승할 때보다 컸던 반면, 목우는 반대의 결과를 보였으며, 수원560은 두 온도 범 위에서 비슷하여 일반형인 일품과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기 온이 24℃에서 27℃로 높아질 경우에는 모든 품종의 충실도 가 낮아졌는데, 특히 수원560에서 그 정도가 컸고 녹양에서 가장 적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면, 입모기간 중 평균기온 18 ~ 27℃의 범위에서 벼 담수표면산파의 초기 신장 촉진과 건전한 입모에 가장 효과적인 온도는 녹양에서 21℃, 목우와 수원560에서 24℃이며, 특히 수원560은 온도가 24℃ 이상으론 높아지면 묘 가 도장하여 연약해지므로 지나친 고온에서의 파종은 피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적 요

    총체 사료용 벼의 초기 신장성과 입모 특성을 알아보기 위 하여 수원 소재 국립식량과학원 시험포장 조건에서 파종시기 를 조절하고, 인공기상연구동 정밀유리실에서 입모기간 중 평 균기온을 조절하여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포장조건에서 총체 사료용 벼 품종 및 계통의 m2당 입모 수는 파종시기별로 4월 30일 파종에서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5월 10일~ 6월 9일 파종에서는 비슷하였고, 품종별로는 녹양 에 비해 목우와 수원560에서 많은 경향이었다. 평균기온 18 ~ 24℃ 범위의 실내시험에서는 총체 사료용 벼의 입모율은 처리온도간 차이가 없었으며, 모든 온도 처리에서 일반형 품 종인 일품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다.

    2. 파종 후 30일의 초장은 포장시험에서 파종시기가 늦을수 록, 실내시험에서 처리온도가 높을수록 길어졌다. 목우와 수원 560은 녹양보다 입모기간 중 기온 상승에 따른 초장 신장 정 도가 컸으며, 특히 목우는 초장 신장 효과가 다른 품종에 비 해 고온인 24℃에서 높았다.

    3. 파종 후 30일의 건물중은 입모기간 중 평균기온 24℃까 지는 기온이 높아질수록 모든 품종에서 증가하였다. 반면 기 온이 24℃에서 27℃로 상승했을 때의 건물중은 녹양에서는 비슷하였고 목우와 수원560에서는 감소하였는데 특히, 수원 560의 감소 정도가 컸다.

    4. 모든 품종에서 묘 충실도는 입모기간 중 평균기온 24℃ 까지는 온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반면 24℃에서 27℃로 상승한 경우 묘 충실도가 모든 품종에서 감소하였는데, 특히 수원560에서 감소 정도가 컸다.

    5. 결과적으로, 담수표면산파에서 초기 신장 촉진과 건전한 입모에 가장 효과적인 입모기간 중의 평균기온은 녹양에서 21℃, 목우와 수원560에서 24℃였으며, 수원560의 경우 24℃ 이상의 고온에서는 묘가 연약해졌다.

    Figure

    KSIA-26-462_F1.gif

    Changes of daily mean temperature during seedling establishment periods of different sowing dates. Arrows and temperatures indicate the periods of seedling establishment and mean temperatures during the periods for different sowing dates.

    KSIA-26-462_F2.gif

    Seedling height as affected by daily mean temperature in water broadcast-seeded whole crop silage rice genotypes, Nokyang, Mogwoo and Suweon560, and a japonica rice variety, Ilpum. Data were taken at 30 days after sowing and error bars are standard deviations of four replicates.

    KSIA-26-462_F3.gif

    Increment of seedling height with the rise in daily mean temperature from 18 to 21, 21 to 24 and 24 to 27℃ in water broadcast-seeded whole crop silage rice, Nokyang, Mogwoo and Suweon560, and a japonica rice, Ilpum. Data were taken at 30 days after sowing and each data point was calculated from the mean of four replicates.

    KSIA-26-462_F4.gif

    Increment of dry weight (a) and dry weight-height ratio (b) with the rise in daily mean temperature from 18 to 21, 21 to 24 and 24 to 27℃ in water broadcast-seeded whole crop silage rice, Nokyang, Mogwoo and Suweon560, and a japonica rice, Ilpum. Data were taken at 30 days after sowing and each data point was calculated from the mean of four replicates.

    Table

    Number of seedling stand and seedling height as affected by sowing date in water broadcast-seeded whole crop silage rice genotypes, Nokyang (NY), Mogwoo (MW) and Suweon560 (S560).

    Data were take at 30 days aften sowing.
    †Means with the same letters in a column are not significant according to LSD (0.05).
    ‡LSD values are for the comparison of the three genotypes in each temperature treatment at p = 0.05.

    Percentage of seedling establishment as affected by daily mean temperature (DMT) treatment in water broadcastseeded whole crop silage rice genotypes, Nokyang, Mogwoo and Suweon560, and a japonica rice variety, Ilpum.

    †Means with the same letters in a column are not significant according top LSD (0.05).
    ‡LSD values are for the comparison of four genotypes in each temperature treatment at p=0.05.

    Dry weight and dry weight-height ratio of seedlings as affected by daily mean temperature (DMT) treatment in water broadcastseeded whole crop silage rice genotypes, Nokyang (NY), Mogwoo (MW) and Suweon560 (S560), and a japonica rice variety, Ilpum (IP).

    Data were taken at 30 days after sowing.
    †Means with the same letters in a column are not significant according to LSD (0.05).
    ‡LSD values are for the comparison of four genotypes in each temperature treatment at p = 0.05.

    Reference

    1. Choi J.S , Paek J.S , Jung Y.K , Park K.H , Yang S.J , Kim C.K (2006) Breeding for whole crop rice silage and winter forage crops in Korea, pp.87-105
    2. Jong S.K , Cho D.S (1995) Possible utilization of Panicum dichotomiflorum Michx. as a forage crop , Korean J. Crop Sci, Vol.40 (3) ; pp.351-358
    3. Kim B.W , Kim G.S , Sung K.I (2004) Effect of lactic acid bacteria and formic acid on the silage quality of while crop rice at different maturity , J. Korean Grassl. Sci, Vol.24 (1) ; pp.61-70
    4. Kim C.H (2004) Varietal difference in feed value of rice straw and its relationship with agronomic traits , Korean J. Crop Sci, Vol.49 (6) ; pp.516-521
    5. Kim J.G , Chung E.S , Seo S , Kim M.J , Lee J.K , Yoon S.H , Lim Y.C , Cho Y.M (2008) Effect of growth stage and variety on the quality of whole crop rice silage , J. Kor. Grassl. Forage Sci, Vol.28 (1) ; pp.29-34
    6. Kim J.G , Kim W.H , Seo S (2006) Production and utilization technology of forage crops and whole crop rice in paddy field, Vol.43 (S-1) ; pp.59-85
    7. Kim Y.D , Park T.I , Chae J.S , Chang Y.S , Park K.Y (1994) Study on forage utility of native grasses in polder land, Vol.36 (S-1) ; pp.56-57
    8. Lee H.J , Kim S.H , Lee H.S (1994) Growth of maize and sorghum- sudangrass hybrid affected by soil texture and ground water level , Korean J. Crop Sci, Vol.39 (6) ; pp.585-593
    9. Lee J.H , Jung O.Y , Paek J.S , Hong H.C , Yang S.J , Lee Y.T , Sung K.I , Kim B.W (2005) Evaluation of whole crop rice for animal feed, pp.224-225
    10. Lee S.B , Yang C.I , Lee J.H , Kim M.K , Shin Y.S , Kyu-Seong Lee , Choi Y.H , Jeong O.Y , Jeon Y.H , Hong H.C , Kim Y.G , Jung K.H , Jeung J.U , Kim J , Shon J.Y (2013) A latematuring and whole crop silage rice cultivar 'Mogwoo' , J. Kor. Grassl. Forage Sci, Vol.33 (2) ; pp.81-86
    11. Park S.T (1999) Practical technologies for direct-seeded rice, National Yeongnam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pp.40-43
    12. Sung J.I , Hong S.M , Kim B.W (2004) Plant height, dry matter yield and forage quality at different maturity of whole crop rice , J. Korean Grassl. Sci, Vol.24 (1) ; pp.53-60
    13. Yang C.I , Kim H.Y , Lee J.H , Choi Y.H , Lee G.S , Lee S.B , Choi I.S , Jung O.Y , Hwang H.G , Shin Y.S , Kim M.K , Kim Y.G , Jeon Y.H , Paek J.S , Yang S.J , O M.G , Lee Y.T (2011) A new high biomass yield and whole crop silage rice cultivar 'Nokyang' , Korean J. Breed. Sci, Vol.43 (6) ; pp.519-523
    14. Yang C.I , Lee S.B , Won Y.J , Ahn E.K , Kim M.K , Kim Y.G , Hyun U.J , Jeong J.M , Hwang H.G , Shin Y.S , Hong H.C , Lee J.H , Lee G.S , Choi Y.H , Choi I.S , Jung O.Y , Kim J.H , Chang J.K , Park H.M , Sung N.S (2013) A high biomass yield and whole crop silage rice cultivar 'Mogyang' , Korean J. Breed. Sci, Vol.45 (4) ; pp.405-409
    15. Yang W , Choi K.J , Kwak K.S , Park T.S , Oh M.H , Shin J.C , Kim J.G (2007) Characterization of biomass production and seedling establishment of direct-seeded Nogyangbyeo, a whole crop rice variety for animal feed , Korean J. Crop Sci, Vol.52 (3) ; pp.249-2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