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8504(Print)
ISSN : 2287-8165(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Vol.26 No.1 pp.6-10
DOI : https://doi.org/10.12719/KSIA.2014.26.1.6

Effects of Main Yield Constraints on Rice Production in Cambodia

Yun-Ho Lee**, Ji-Eun Seong*, Jin-Ki Bang*, Seuk-Ki Lee, Yang-Hee Cho
Technology Cooperation Bureau, RDA, 441-707, Suwon, Korea
*KOPIA-Cambodia Center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Corresponding Author : (Phone) +855-23-631-96904, bangjkpius@hanmail.net
April 12, 2013 September 25, 2013 February 24, 2014

Abstract


캄보디아 벼 생산의 주요 저해 요인

이 윤호**, 성 지은*, 방 진기*, 이 석기, 조 양희
농촌진흥청 기술협력국
*KOPIA 캄보디아센터
**한국연구재단

초록

Cambodia has undergone dramatic increase in rice production changes since 2005. In particularly, 1994, 2000, 2002, and 2004 were decrease production and yield. In this review was conducted spatial and temporal variability, trend rice production in the Cambodia. We study demonstrated rice production fluctuations by flood and drought. Flood hit harvester area; In contrast, drought is biggest damage production, yield, cultivated area and harvested area. Last 20year statistics have shown that drought is giving low productivity. Long term drought is decrease early rice and medium rice plant area. But, irrigation system of extension and rehabilitation, and wet season of modern variety area is increasing, farmers of continuing innovation. In southern Cambodia, ‘The System of Rice Intensification’ (SRI) introduced this main principal is water and cultivation management. For all these reasons, rice production and cultivated area is progressively increasing.


    캄보디아는

    내전 이후 지속적으로 농업 생산량이 증가하 고 있다. 전체 인구의 약 78%가 농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대 부분 주요 하천인 메콩강, 밧삭강과 톤레삽강 등의 주변에서 작물을 재배하고 있다. 그 중 벼는 캄보디아 농업에 있어서 식 량, 경제 및 영양 공급원으로 매우 주요한 작물 중의 하나다 (Nesbitt et al., 2004). 몬순 아시아 기후지역으로 우기 (5월 ~ 11월)와 건기(12월 ~ 4월)가 뚜렷하게 구분되며, 우기 벼는 캄 보디아 전체 82%를 점유하고 있다(MAFF, 2013). 우기 벼의 경우 생계 유지 및 자급자족을 위해 재배되고 있으며, 대부분 재래종과 일부 육성된 품종을 재배하고 있다(Wang et al., 2012). 우기 벼는 저지대 천수답으로 조생종(27%), 중생종 (47%), 만생종(21%), 부도(2.7%) 및 밭벼(2%) 등의 형태로 재 배되고 있다(MAFF, 2013).

    지난 30년간 벼 총 생산량을 보면 1980년 1,600,550톤에서 2012년 2,512,038톤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2005년 이후부터 생산량 증가와 함께 잉여분도 증가하는 추세다. 이러 한 변화는 2004년부터 정부의 농촌 빈곤 감소, 생산량 증대 및 관개수로 재정비 및 확장 등과 함께 농가의 다수성 품종선 택과 재배방법 개선, 비료 사용량의 확대 등으로 인해 생산량 이 증가된 것으로 보고 있다(MAFF, 2008; Fukai & Ouk., 2012). 그러나 캄보디아는 매년 홍수와 가뭄피해를 받아 벼 생 산량 증가에 저해 요인이 되고 있다(Shimizu et al., 2006; Masumoto et al., 2008; Mainuddin et al., 2012; Fukai & Ouk, 2012). 또한 1960년부터 2005년까지 평균 기온이 0.8°C 상승하였고 우기의 경우도 10년간 0.13 ~ 0.16°C가 올라 갔다 고 보고되었다(Mainuddin et al., 2012).

    이 같은 배경에서 본 연구는 지난 20년간(1990 ~ 2012) 캄보 디아 우기 벼의 시간 및 공간적으로 재배면적, 수확면적, 생산 량, 수확량 그리고 홍수 및 가뭄피해 면적과 하천의 수위 등 자료를 수집하여 벼 생산성 변동 및 그 특징과 저해 요인을 분석하여 캄보디아 벼 안정생산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하 였다.

    강우량, 증발량 및 일조시간

    1980년부터 2012년까지 프놈펜 기상청 자료를 월별로 분석 한 결과 강우량의 78%가 우기인 5월부터 10월까지 집중적으 로 내리며, 건기가 시작되는 11월부터 4월까지는 서서히 감소 하였다(Fig. 1). 증발량과 일조시간은 우기 기간 동안 낮아지 는 경향을 보이다가 건기인 11월부터 4월까지 높아졌다. 특히 3월과 4월은 증발량이 많았다.

    지난 20년간 벼 재배면적, 수확면적, 생산량 및 수확량 변동과 경향

    1990년부터 2012년까지의 생산량은 2,137,500톤에서 7,136,139톤으로 계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재배면 적은 1,740,000 ha에서 2,512,038 ha로 증가하였다. 단위면 적당 수확량은 1.25톤/ha에서 2.88톤/ha으로 증가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1994년, 2002년 그리고 2004년은 생산량, 수 확량 및 수확면적이 감소한 반면, 2000년 대 홍수에 의해 수확면적이 크게 감소되었다. 2002년 가뭄과 홍수피해로 인 해 생산량, 수확량 및 재배면적이 감소하였으며, 2004년 전 국적인 가뭄 발생으로 생산량, 수확량 및 수확면적이 감소 하였다. 2011년 홍수피해 및 홍수 수위가 높았으나, 수확면 적은 감소한 반면 생산량은 증가하였다. 생산량 증가와 안 정성은 2005년부터 지속적으로 보이고 있다(Fig. 1). Mainuddin & Kirby (2009) 보고에 의하면 1993년 이후부 터 인구 증가와 화학비료 사용량의 증가로 인해 생산량이 높아진 것으로 보고있다. Fig. 2

    홍수, 가뭄 및 해충피해 면적과 하천수위

    캄보디아는 매년 홍수, 가뭄 및 충해로부터 벼 생산성 증대 에 저해를 받고 있다. 지난 20년간 전체 홍수피해는 1,831,736ha를 받은 반면 가뭄피해는 907,356ha로 절반 정도 였다. 특히 1994년, 1996년, 2000년, 2001년, 2004년 및 2011년은 홍수, 가뭄의 피해로 생산량과 재배면적 등이 감소 하였다. 1994년은 가뭄과 홍수의 영향으로 농경지의 24%(홍 수: 190,775ha, 가뭄: 230,900ha)가 피해를 받았으며, 1996년 과 2000년의 경우 홍수로 인해 농경지의 15%(281,400 ha), 20%(401,379 ha)가 피해를 받았다. 2001년과 2002년은 두 해 동안 홍수와 가뭄 발생으로 생산성이 떨어졌다. 2004년은 전 국적인 가뭄피해로 인해 농경지의 13%(258,394 ha)가 피해를 받아 생산성 증가에 저해를 주었다(Fig. 3). 충해는 남부 지역 인 베트남 국경지역에서 높으나 생산성 저해 요인으로는 낮은 빈도를 보였다. 최근 2011년 홍수피해를 제외하고는 2005년 이후부터 홍수피해보다는 가뭄피해에 의한 생산성 저해가 증 가하고 있다. 캄보디아에 있어서 홍수피해는 가옥, 농경지 및 인명 피해 등 기반시설에 영향을 주는 반면 가뭄피해는 재배 면적, 수확면적, 생산량, 수확량 등 농업 생산성에 직접적인 영 향을 미치므로 장기간의 가뭄은 품종의 선택, 재배시기 및 물 관리 방법 등에 매우 중요하게 영향을 준다. 가뭄현상은 크게 6월 ~ 7월 모내기 시기, 8월 ~ 9월 재배시기 그리고 10월 ~ 11 월 수확시기로 크게 나누어 진다. 특히 6월 ~ 7월 의 가뭄은 모내기 시기의 연장과 분얼수의 감소를 초래하여 생산량 및 수량에 영향을 미친다.

    Table 1은 캄보디아 주요 하천인 메콩강, 밧삭강 및 톤레삽 강 등의 홍수 수위로서 홍수 발생은 많은 강우량을 동반한 하 천의 범람으로 벼 재배시기인 9월 말이나 10월 초에 발생하 여 1차적으로 수확면적에 피해를 주어 2차적으로 생산량 증대 에 악영향을 주었다. 각 지역별 홍수 범위는 7.9 mm부터 23 mm로 북부지역(Mekong-Stung Treng, Kratie) 수위가 깊 었으며 남부지역(Mekong-Neak Loeung, Bassac-Koh Khel) 으로 내려 갈수록 수위가 낮아졌다. 1996년, 2000년, 2001 년 그리고 2011년은 모든 지역의 하천 수위가 홍수 수위보 다 높았으며, 2000년과 2011년은 남부지역이 홍수 수위가 높은 반면 1996년과 2001년은 북부지역에 홍수 수위가 높았 다. 캄보디아의 홍수피해는 하천의 수위와 밀접한 관계를 가 지고 있으며, ADPC & Hatfied Consultants (2007)에 의하 면 홍수, 가뭄피해의 취약지대는 톤레삽 지역과 메콩 평야라 고 보고하였다. Fig. 4

    지난 20년간 벼 품종의 재배면적 변동과 주요 품종

    우기의 천수답 벼는 조생종, IR 품종(110일-120일), 중생종( 약140일) 만생종, 부도(160일이상)로 구분된다. Fig. 3과 같이 조생종과 중생종 벼는 계속적으로 재배면적이 증가하고 있는 반면, 만생종과 부도의 재배면적은 감소를 보였다. 이는 만생 종과 부도는 재배기간이 길고 수확량이 낮기 때문이며, 농가 가 수확량을 높이고 재배기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조생종, 중 생종 등의 품종을 선택하고 있기 때문이다 (Mak, 2001; Kleinhenz et al., 2013). 그러나 가뭄의 영향이 큰 해에 조생 종 보다는 만생종의 재배면적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원인은 조 생종의 경우 이른 우기(5월 ~ 7월)에 재배를 하지만 장기간의 가뭄으로 인해 물 부족현상이 일어나 농가가 생육기간이 긴 만생종을 선택하였기 때문이다.

    조생종 IR66은 1987년 캄보디아에 처음 도입된 이후 지속 적으로 재배면적이 증가하고 있다 (Mak, 2000; Mak et al., 2001). IR66은 짧은 재배기간 (110-120일) 과 다수성 품종으 로 이른 우기와 건기에 많이 재배되고 있으며 (Nesbitt et al., 2004), 특히 관개수로 보급률이 높은 남부 지역인 Takeo와 PreyVeng주가 전체 캄보디아 조생종의 56%를 재배하고 있다 (MAFF, 2013).

    최근 캄보디아 농림수산부는 장려품종 38개 중 자연재해 및 생산성이 높은 10개 품종을 선정하여 발표하였다(Table 2). 홍 수로부터 중생종, 만생종이 10일에서 13일간 저항성을 나타낸 반면 조생종은 영향을 쉽게 받았다. 가뭄피해의 저항성은 만 생종 CAR4를 제외한 대부분 품종에서 쉽게 영향을 받았다.

    적 요

    본 연구는 지난 20년간(1990 ~ 2012) 캄보디아 우기 벼의 생산성 변동과 특징 및 저해 요인에 대하여 살펴본 바 그 결 과는 다음과 같다.

    캄보디아는 지난 20년 동안 홍수와 가뭄 등이 생산성 증대 의 저해 요인으로 나타났다. 특히 1994년, 2000년, 2002년 그 리고 2004년은 생산성이 심각하게 감소하였다. 홍수피해는 하 천의 수위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으며 재배시기인 9월과 10월 에 하천의 범람으로 수확면적과 생산량 감소를 초래하는 반면 가뭄피해는 국지적인 발생으로 재배면적, 수확면적, 생산량 및 수확량에 직접적인 저해를 주었다. 20년간 자료를 고찰할 때 홍수피해의 발생은 많았지만 실질적으로 가뭄피해가 생산성 저해에 보다 큰 영향을 주고 있다. 장기적인 가뭄은 조생종과 중생종 재배면적을 감소시켰으며, 2005년 이후부터 홍수피해 보다는 가뭄피해로 생산성 저해가 높아지고 있다.

    캄보디아의 벼 생산성 증대를 위해서는 관개수로의 재정비 와 보급이 우선이지만, 그 이전에 홍수, 가뭄피해에 대한 농가 의 대처방법과 재배기술, 품종의 선택 그리고 물 관리 방법 등이 개선되어야 한다고 본다. 최근 캄보디아 남부 천수답을 중심으로 The System of Rice Intensification (SRI)이 확산 되고 있다. SRI는 종래의 재배법을 보다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농가에 보급하고 있으며, 물 관리 방법, 재배 시기 등에 초점 을 두고 있다.

    Figure

    KSIA-26-6_F1.gif

    Monthly rainfall, evaporation and sunshine hours in Phnom Penh.

    KSIA-26-6_F2.gif

    Rice cultivation area, harvested area, production and yield in Cambodia.

    KSIA-26-6_F4.gif

    Temporal changes in cultivated area in Cambodia.

    KSIA-26-6_F3.gif

    Flood, drought and insect of destroyed area in Cambodia.

    Table

    Flood level of the River in Cambodia (Unit: m)

    Source: Ministry of Water Resource and Meteorology (MOWRM)

    Main characterizes of 10 rice varieties

    Source: Cambodian Agricultural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CARDI)

    Reference

    1. ADPC (Asian Disaster Preparedness Centre) and Hatfied Consultants (2007) Development of flood vulnerability GIS application a tool for community self – Reliance and food risk reduction, ADPC. Bangkok, Thailand. and Hatfied Consultants,
    2. Fukai S , Ouk M (2012) Increased productivity of rainfed lowland rice cropping systems of the Mekong region , Crop & Pasture Science, Vol.63; pp.944-973
    3. Kleinhenz V , Chea S , Hun N (2013) Survey of rice cropping systems in kampong chhnang province, Cambodia , Rice Science, Vol.20 (2) ; pp.154-164
    4. MAFF (2008) Agricultural statistics 2005-2006, Ministry of Agriculture Forester and Fisheries,
    5. MAFF (2013) Annual report for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2012-2013, Ministry of Agriculture Forester and Fisheries,
    6. Mainuddin M , Kirby M (2009) Agricultural productivity in lower Mekong Basin: trends and future prospects for food security , Food Sec, Vol.1; pp.71-82
    7. Mainuddin M , Kirby M , Hoanh C.H (2012) Impact of climate change on rainfed rice and options for adaptation in the lower Mekong Basin , Nat Hazards, DOI 10.1007
    8. Masumoto T , Pham T.H , Shimizu K (2008) Impact of paddy irrigation levels on floods and water use in the Mekong River basin , Hydrol Process, Vol.22; pp.1321-1328
    9. Mak S , Meas P , Ty C , Men S , Cox P (2000) Impact of agricultural research on rice-based farming systems in Cambodia , Cambodia journal of Agriculture, Vol.3; pp.1-6
    10. Mak S (2001) Continued innovation in Cambodia rice based farming system: farmer testing and recombination of new elements , Agricultural systems, Vol.69; pp.137-149
    11. Nesbitt H , Johnston R , Mak S (2004) Mekong River water: will river flows meet future agriculture needs in Lower Mekong Basin? Water in agriculture edited by Vang Seng. Eric Craswell, Shu Fukai and Ken Fischer , ACIAR Proceedings No. 116e,
    12. Shimizu K , Masumoto T , Pham T.H (2006) Factors impacting yields in rain-fed paddies of the lower Mekong River Basin , Paddy Water Environ, Vol.4; pp.145-151
    13. Wang H , Pandey S , Velarde O (2012) Procedia Economics and Finance, Vol.2; pp.335-3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