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8504(Print)
ISSN : 2287-8165(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Vol.26 No.3 pp.258-261
DOI : https://doi.org/10.12719/KSIA.2014.26.3.258

Research on Adaptability of Major Varieties for Whole Crop Silage Rice to Wet Seeding in Newly Reclaimed Tidal Land

Nam-Hyun Back, Kwang-Min Cho†, Chang-Hyu Yang, Pyeong Shin, Tae-Hwan Noh, Geon-Hwi Lee, Ki-Hun Park
Department of Rice and winter Cereal Crop, NICS, RDA. Iksan 570-080, Korea
Corresponding Author : (Phone) +82-63-840-2143 k.cho@korea.kr
June 5, 2014 August 21, 2014 September 1, 2014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daptability of major whole crop silage rice varities to the wet seeding in the new reclaimed land during 2012 to 2013. Seeding stand ratios were 48% for Nokyang and Suweon 552, and 40 ~ 42% for Mogwoo, Mogyang and Suweon544. The heading dates were August 26 ~ 27 for Nokyang and Mogyang, September 1 ~ 5 for Suweon 552 and Suweon544, and September 15 for Mogwoo. Number of panicles per square meter varied 278 ~ 333 depending on the tested varieties. Lodging occurred in Suweon552 slightly, and did not occur in the other varieties. Dry matter yield per ha was 15.8 ~ 16.8 tons for Mogwoo and Suweon552, and 13.1 ~ 14.3 tons for Suweon 544, Mogyang and Nokyang. Crude protein content of varieties was 4.5 ~ 6.4%; ADF, 27.1 ~ 30.1%; NDF, 49.2 ~ 53.9%; TDN, 65.1 ~ 67.4%. These results suggest that Mogwoo and Suweon 552 are the whole crop silage rice varieties suitable for wet seeding in the new reclaimed tidal land.


신간척지에서 총체사료용 벼 주요 품종의 담수직파 적응성에 관한 연구

백 남현, 조 광민†, 양 창휴, 신 평, 노 태환, 이 건휘, 박 기훈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초록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J00867905201

    우리나라는

    1965년 이후 서남해안을 중심으로 94천 ha의 간척지가 개발되었으며, 현재 개발중인 41천 ha의 간척사업이 완료되면 135천 ha의 간척지가 조성된다. 그 동안 간척사업으 로 조성된 농지는 대부분 벼농사 위주로 이용되어 쌀 생산증 대에 기여하였으나, 최근에는 쌀 생산성 향상과 소비량 감소로 매년 쌀 재고량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에서는 쌀 생산조정과 국내 조사료의 자급률 향상을 위하 여 간척지에서 사료작물의 확대재배를 추진하고 있다. 간척지 에서는 여름철 사료작물로 총체사료용 벼가 염 피해를 가장 적 게 받기 때문에 안정적인 수확량 확보가 가능할 것이다. 우리 나라와 유사한 상황에 있는 일본의 경우 1971년부터 쌀의 생 산조정을 위해 총체사료용 벼 전용품종을 다수 개발하였을 뿐 만 아니라, 정부에서 지속적으로 정책적인 지원을 추진하고 있 다(Masao 및 Takeshi, 1990; Sakai, 2003). 우리나라에서 총체사 료용 벼 전용품종은 2006년 ‘녹양’을 비롯하여 2009년 ‘목우’, 2010년 ‘목양’등이 개발되었다. 총체사료용 벼에 대한 연구는 파 종시기, 수확적기 및 사료가치 등 여러 분야에서 수행되어 왔 다(Kim et al.,2007; 2008; 2009; Lee et al., 2005; Sung et al., 2004). 그러나 간척지에서 총체사료용 벼의 재배기술에 대한 연구는 없다. 간척지에서 총체사료용 벼 이앙재배의 경우 염분 때문에 못자리를 설치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담수직파 재배가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담수직파는 입모불안정이 우려되나 파종 후 입모기간동안에 담수관리하면서 2일 간격으 로 환수해 주면 안정적인 입모수 확보가 가능하다(Back et al., 2007). 본 연구는 신간척지에서 총체사료용 벼 주요 품종의 담 수직파 적응성을 평가하고자 수행하였다.

    재료 및 방법

    본 연구는 2012 ~ 2013년에 영산강간척지(미사질식양토)에서 녹양, 목우, 목양, 수원544호, 수원552호를 공시하여 5월 21일 에 ha당 각 100 kg씩 담수직파하였다. ha당 시비량은 N-P2O5- K2O = 200-51-57 kg으로 하여 질소는 기비-분얼비-수비를 40- 30-30%로 분시 하였고, 인산은 전량기비, 칼리는 기비-수비를 70-30%로 분시 하였다. 파종 후 입모기간(20일)의 물 관리는 2일 간격 환수방식으로 하였다. 기타 본답관리는 국립식량과 학원 표준재배법에 준하였다. 시험토양의 화학성 분석은 토양 시료를 채취한 후 건조·조제하여 농촌진흥청 표준분석법 (NIAST, 2000)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pH와 EC는 토양과 증 류수의 비율을 1 : 5로 하여 초자전극법(Orion 520A, Boston, USA)으로 측정하였고, 유효인산함량은 NH4F이 함유한 침출 액을 사용하여 Lancaster법에 따라 비색계(UV-1650PC, Shimadzu Co., Japan)로 측정하였다. 토양유기물은 Tyurin법으 로 측정하였다. 치환성양이온은 1N-NH4OAc (pH 7.0)를 첨가 한 후 30분간 진탕 여과하여 ICP (Varian,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시험 전 토양의 화학적 특성은 Table 1과 같다. 입모특성은 파종 후 25일에 조사하였으며, 출수기에 초장과 도 복 등을 조사하였다. 건물수량은 황숙기(출수 후 30일)에 수확 하여 생초중량을 칭량한 후 공시품종별로 시료 500g을 건조 기에서 70°C로 72시간 건조하여 건물중을 산출한 다음 ha당 건물수량으로 환산하였다. 생육조사는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 술연구조사분석기준(2003)에 준하였다. 사료가치 분석은 건조 시킨 시료를 분쇄하여 사용하였다. 사료가치 분석 중 조단백 질(Crude protein; CP)은 AOAC(1995) 방법으로 질소함량을 구하여 조단백질 함량을 계산하였고, 중성세제불용섬유소 (Neutral detergent fiber; NDF), 산성세제불용섬유소(Acid detergent fiber; ADF) 함량은 Goering & Van Soest(1970)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가소화양분총량(Total digestible nutrient; TDN)은 조사료의 소화율 및 섭취량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으 므로 ADF, NDF 측정값을 이용하여 TDN(%) = 88.9 - (0.79 ×%ADF) (Holland, 1990)의 등식을 이용하여 값을 구 하였다.

    결과 및 고찰

    입모 특성

    신간척지에서 총체사료용 벼 담수직파재배시 공시품종의 입 모특성은 Table 2와 같다. m2당 입모수는 수원552호가 184개 로 가장 많았으며, 수원544호, 목우 및 녹양은 150 ~ 168개 범위였으며, 목양이 136개로 가장 적었다. 입모율은 녹양과 수 원552호는 48%, 목우, 목양 및 수원544호는 40 ~ 42%였다. 입모균일도는 품종에 따라 21.1 ~ 24.3을 보였다. 이는 계화간척 지에서 담수직파시 일반벼의 경우 적정 파종량은 70 ~ 90 kg/ 10 a, 이때의 입모수는 152 ~ 194개/m2, 입모율은 60 ~ 61% (Back et al., 2006)이었다는 보고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이 었다. 또한, 향후 안정적인 입모수 확보를 위해서는 총체사료 용 벼의 발아특성, 최아방법 및 적정 파종량 등에 대한 연구 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출수기 생육 특성

    신간척지에서 총체사료용 벼 담수직파재배시 공시품종의 출 수기 생육특성은 Table 3과 같다. 공시품종의 출수기는 녹양 과 목양이 8월 26 ~ 27일로 가장 빨랐으며, 수원552호와 수원 544호는 각각 9월 1일과 9월 5일이었으며, 목우는 9월 15일 로 가장 늦었다. 이와 같이 공시품종의 출수기를 감안해 볼 때 남부지방인 영산강간척지에서 총체사료용 벼를 5월 하순까 지 담수직파한 후 황숙기인 9월 하순 ~ 10월 중순에 수확한 다음 겨울철 청보리, 이탈리안라이그라스(IRG) 등을 11월 상 순까지 파종하는데 전혀 지장이 없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 러나 중북부지방에서는 총체사료용 벼의 수확시기가 남부지방 보다 더 늦어져 겨울철 청보리, 이탈리안라이그라스 등을 파 종하는데 지장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이모작 작부체계를 고려 한 품종선정과 파종기 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 된다. 초장은 목양, 수원544호 및 목우가 118 ~ 122 cm, 수원 552호는 106 cm, 녹양은 95 cm로 가장 짧았다. m2당 수수는 수원552호가 가장 많은 333개, 녹양, 수원544호 및 목우는 313 ~ 316개, 목양은 278개로 가장 적었다. 도복은 수원552호 에서 경미하게 발생하였으며, 그 외 시험품종에서는 발생하지 않았다.

    건물수량 및 사료가치

    신간척지에서 총체사료용 벼 담수직파재배시 공시품종의 건 물수량 및 사료가치는 Table 4와 같다. ha당 건물수량은 목우 16.8톤≥ 수원552호 15.8톤 >수원544호 14.3톤≥ 목양 14.2톤 > 녹양 13.1톤 순으로 많았다. 이는 Kato (2006)가 일본에서 총체사료용 벼 전용품종인 하마사리를 재배한 결과 ha당 건물 수량이 19톤이었다는 보고보다 낮은 수준이었다. 한편 Lee et al., (2005)은 다수성인 소비벼, 다산벼 및 계통 등 15 품종을 재배한 결과 ha당 건물수량이 13.2 ~ 17.8톤, Kim et al., (2009)은 남일벼로 건답직파재배에서 ha당 건물수량이 15.2톤, 이앙재배에서 15.8톤이었다는 보고와는 비슷한 경향이었다. Lee 등(2005)은 총체사료용 벼 선발을 위한 목표 건물수량을 ha당 20톤으로 기준을 정하고 Biomass가 우수한 열대자포니 카형인 SR22060(17.66ton/ha)이 알맞다고 보고한 바 있다. 따 라서 본 연구에서는 총체사료용 벼 건물수량 목표치에는 미치 지 못하지만 목우와 수원 552호가 수량측면에서 간척지에서 가장 유리한 것으로 생각된다. 사료가치를 분석하기 위하여 수 확적기(Sung et al., 2004)로 보고되어 있는 황숙기에 품종별 로 CP, ADF, NDF, TDN을 조사하였다. 조사료의 사료가치를 평가하는 중요 항목인 조단백질 함량은 목우가 4.5%로 가장 낮았는데, 이는 다른 품종에 비해 출수기가 늦어 알곡의 성숙 이 충실하지 못했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그 외 공시품종들은 5.4 ~ 6.4% 분포를 보였는데 품종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 었다. 한편 Sung et al., (2004)은 황숙기에 일품벼 돌연변이 계통의 조단백질 함량이 6.5%이었다는 보고에 비해 낮은 경 향이었다. 사료가치에 큰 영향을 미치는 성분중 ADF와 NDF 는 오래전부터 조사료의 품질평가에 이용되어 왔다(Rohweder et al., 1978). 조사료의 소화율에 관여하는 ADF는 27.1 ~ 30.1% 범위를 보였으며, 공시품종 중에서 목양과 수원544호가 다른 공시품종보다 ADF가 낮아 조사료의 소화율이 높을 것 으로 판단된다. 조사료의 섭취량에 관계하는 NDF는 49.2 ~ 53.9% 범위였는데 목양과 수원544호가 다른 품종들에 비해 낮았다. TDN 함량은 65.1 ~ 67.4% 범위였는데 품종 간 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한편 Sung et al., (2004)은 일 품벼 돌연변이 계통의 TDN 함량이 황숙기에 가장 높은 59.7%이었다고 하였으며, Lee et al., (2005)이 소비벼, 한강찰 벼, 수원468호, 수원498호, 수원490호 등의 TDN 함량이 57.1 ~ 62.3%이었다는 보고에 비해 높은 경향이었다.

    적 요

    신간척지에서 총체사료용 벼 주요 품종들의 담수직파 적응 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2012 ~ 2013년에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 면 다음과 같다.

    1. 입모율은 녹양과 수원552호 48%, 목우, 목양 및 수원 544호 40 ~ 42%이었다.

    2. 출수기는 녹양과 목양 8월 26 ~ 27일, 수원552호와 수원 544호 9월 1 ~ 5일, 목우 9월 15일이었다.

    3. m2당 수수는 278 ~ 333개였으며, 도복은 수원552호에서 경미하게 발생하고, 그 외 공시품종에서는 발생하지 않았다.

    4. ha당 건물수량은 목우와 수원552호 15.8 ~ 16.8톤, 수원 544호, 목양 및 녹양 이 13.1 ~ 14.3톤이었다.

    5. 조단백질 함량은 4.5 ~ 6.4%, ADF 함량은 27.1 ~ 30.1%, NDF 함량은 49.2 ~ 53.9%, TDN 함량은 65.1 ~ 67.4%이었다.

    6. 따라서 신간척지에서 총체사료용 벼의 담수직파재배에 가 장 적합한 품종은 목우와 수원552호 이었다.

    Figure

    Table

    Soil chemical properties before experiment.

    Seeding stand characteristics of Whole crop silage rice under wet seeding cultivation in reclaimed tidal land.

    *Means with same letter in a column are not significant by DMRT (p<0.05).

    Growth characteristics of whole crop silage rice at heading stage under wet seeding cultivation in reclaimed tidal land.

    *Means with same letter in a column are not significant by DMRT (p<0.05).

    Dry matter yield and feed value of whole crop silage rice under wet seeding cultivation in reclaimed tidal land.

    *Means with same letter in a column are not significant by DMRT (p<0.05).

    Reference

    1. AOAC (1995) Official Method of Analysis, Association &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2. Back N.H , Ko J.C , Lee J.H , Kim B.K , Park H.K , Kim S.S , Kim C.K (2007) Optimum Water Management Practices for Direct Seeding on Paddy Surface of Saline in Soils in Reclaimed Tidelands , Korean. J. Crop Sci, Vol.52 (2) ; pp.204-207
    3. Back N.H , Choi W.Y , Ko J.C , Park H.K , Nam J.K , Park K.G , Kim S.S , Kim B.K , Kim C.K (2006) Optimum Seeding Rate in Different to Soil Salinity for Broadcasting on the Rice Flooded Paddy Surface at South-western Reclaimed Saline Land of Korea , Korean. J. Crop Sci, Vol.51; pp.47-51
    4. Goering H.K , Van Soest P.J (1970) Forage Fiber Analysis. USDA Agric. Handbook 37, US Gov. Print. Office,
    5. Holland C , Kezar W , Kautz W.P , Lazowski E.J , Mahanna W.C , Reinhart R (1990) Pioneer Hi-Bred International, INC,
    6. Kato Hiroshi (2006) Development of New Varieties for Whole Crop Rice Silage in Japan,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pp.53-66
    7. Kim J.G , Chung E.S , Lee J.K , Lim Y.C , Yoon S.H , Kim M.J (2009) Comparison of Yield and Quality of Direct-Seeded Whole Crop Rice , J. Kor. Grassl. Forage Sci, Vol.29 (1) ; pp.25-30
    8. Kim J.G , Chung E.S , Ham J.S , Seo S , Kim M.J , Yoon S.H , Lim Y.C (2007) Effect of Growth Stage and Variety on the Yield and Quality of Whole Crop Rice J , Kor. Grassl. Forage Sci, Vol.27 (1) ; pp.1-8
    9. Kim J.G , Chung E.S , Lee J.K , Lim Y.C , Yoon S.H , Kim M.J (2009) Comparison of Yield and Quality of Direct-Seeded Whole Crop Rice , J. Kor. Grassl. Forage Sci, Vol.29 (1) ; pp.25-30
    10. Kim J.G , Chung E.S , Seo S , Kim M.J , Lee J.K , Yoon S.H , Lim Y.C , Cho Y.M (2008) Effect of Growth Stage and Variety on the Quality of Whole Crop Rice Silage , J. Kor. Grassl. Forage Sci, Vol.28 (1) ; pp.29-34
    11. Lee J.H , Jeong O.Y , Paek J.S , Hong H.C , Yang S.J , Lee Y.T , Kim J.G , Sung K.I , Kim B.W (2005) Analysis of Dry Matter Yield and Feed Value for Selecting of Whole Crop Rice , J. Anim. Sci. & Technol, Vol.47 (3) ; pp.355-362(Kor.)
    12. Masao O , Takeshi H (1990) Effects of Cropping Season and Soiling Time and Height on Herbage and Grain Yield and Feeding Value , Japan Jour. Crop Sci, Vol.59 (3) ; pp.419-425
    13. NIAST (2000) Analytical Methods of Soil and Plant,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RDA,
    14. RDA (2003) Standard of Analysis and Survey for Agricultural Research,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5. Rohweder D.A , Barnes R.F , Jorgensen N (1978) Proposed Hay Grading Standards Based on Laboratory Analyses for Evaluating Quality , Journal of Animal Sci, Vol.47 (3) ; pp.748-759
    16. Sakai M (2003) New Rice Varieties for Whole Crop Silage Use in Japan , Breed. Sci, Vol.53 (3) ; pp.271-276
    17. Sung K.I , Hong S.M , Kim B.W (2004) Plant Height, Dry Matter Yield and Forge Quality at Different Maturity of Whole Crop Rice , J. Korean. Grassl. Sci, Vol.24 (1) ; pp.53-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