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8504(Print)
ISSN : 2287-8165(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Vol.27 No.1 pp.1-6
DOI : https://doi.org/10.12719/KSIA.2015.27.1.1

Present Condition of Major Field Crop Production and Strategy for Korea-Cambodia Agricultural Cooperation

Do-Won Chong, Jong-San Choi*
Agri-Business Development Center, KOTRA, Phnom Penh, Cambodia
*College of Agricultural Life Sciences, Chonbuk National Univ., JeonJu, 561-756, Korea
Corresponding author: (Phone) +82-10-8267-2918 choijongsan@hotmail.com
April 8, 2013 February 12, 2014 February 24, 2015

Abstract

Cambodia is an agrarian country and emerges one of major rice export countries in Southeast Asia. Due to the big problem Cambodian farmers faced known as shortage of irrigation to improve their crop productivity,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has focused on making new irrigation systems or rehabilitating them. However, the donor countries have met difficulties in not only adapting to the rapidly changing agricultural circumstances but also managing machinery, selling their products and introducing new field crops due to an asymmetrical information and insufficient agricultural educ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a long-term strategy of Korea-Cambodia agricultural cooperation to increase a sustainable agricultural productivity and stable farmer’s income. In company with investing in irrigation systems in order to improve agricultural productivities, Korea-Cambodia agricultural cooperation strengthens the farmers’ training and the reform of agricultural marketing in rural area. To achieve these goals, Korea needs to seek to establish a link between farmers and agricultural research organizations like General Directorate of Agriculture (GDA) and Cambodian Agriculture and Rural Development Institute (CARDI) in Cambodia and support these organizations to educate production technologies and agricultural machinery maintenance for male/ female farmers. The study suggested that Korea should extend its support to improve the marketing channels consisting of processing, distribution and selling and build agricultural processing facilities to help them make a stable income. Moreover, it is important to promote farmers’ groups to manage these facilities and effectively export their products to other countries. In the far-reaching perspective, Korea- Cambodia agricultural cooperation considering these strategies would make a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Cambodia agriculture and amicable relations between Korea and Cambodia.


캄보디아 주요 밭작물의 생산 현황과 한국-캄보디아 협력 방안

정 도원, 최 종산*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캄보디아무역관 농산업개발센터
*전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초록


    캄보디아 인구의 80%는 농촌에 거주하며, 이중 73%는 농 업에 종사하고 있다(FAO, 2011). 벼 이외 주요 밭작물은 카사 바, 옥수수, 대두 등이다. 1999년부터 2011년까지 캄보디아 농 림수산부(Ministry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MAFF)에 발행한 연간보고서를 살펴보면 이들 주요 밭작물의 생산면적은 지난 1999년 167,956ha에서 2011년 853,109ha로 5배 증가했다. 이의 주요 원인은 밭작물생산에 적합한 환경이 외에 지속적인 농업발전을 위한 공공투자활동을 한 결과이며, 농업의 개인투자 또한 증가되고 현대화된 농업기술이 전파되 었기 때문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2010년 기준으로 전체 캄보디아 인구는 1,420만 명으로 이 중 대부분의 생계는 농업, 가축사양, 어업, 임산물 수집에 의존 하고 있으며 농업생산에서 곡물은 60%의 비중을 차지하고(이 중 벼는 40%) 축산 27%, 어업 10%, 임업 3%의 비중을 보 인다(FAOSTAT, 2013).

    캄보디아 농업인구의 65%는 여성이고, 이중 80%가 실제 영 농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통적으로 벼 생산의 경운과 관개와 같은 노동은 남성의 활동이었으나, 남성의 농 외 취업으로 인해 점차 여성의 역할로 전환되고 있다. 또한 여성은 농작물을 지역시장에 판매하는 역할도 담당하고 있다 (FAO, 2013). 따라서 인력을 대체할 농기계 보급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고, 아울러 여성농민에 대한 교육에 대한 필요성도 대두되고 있다.

    작물생산의 주체는 어디까지나 개별농가이고 이들은 시장의 가격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이러한 의사결정의 총합은 전 체 재배규모로 나타난다(Lee, 1981). 일반적으로 시장가격은 주로 전년도(직전 작기) 시장가격에 의한 것으로, 이러한 시장 가격은 환경요인에 의한 작황의 변화, 전년도 작물재배 면적, 시장 수요 변화에 따라서 결정되지만 캄보디아에서는 변화하 는 농업현실에 비해서 농민들은 교육과 정보의 부재로 재배작 물에 대한 의사결정이 왜곡되고, 시장판매가격을 주도하지 못 해서 실질적인 소득은 크게 늘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캄보디아는 쌀 생산을 위한 벼가 핵심 재배작물인 관계로 자국의 농업관련 기관뿐만 아니라 공여국(donor country)의 농 업관련 학자 및 농업관련 NGO들은 쌀 생산증대를 위한 방안, 관리, 협력방안 등 연구에 치중해 왔으며 관련연구가 많이 축 적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반면에 주요 밭작물을 중심으 로 한 협력방안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다.

    따라서 캄보디아 주요 밭작물의 생산현황분석을 통해 농가소 득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찾고, 문제점 분석과 대안 파악을 통 해 한국의 대 캄보디아 농업분야 협력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캄보디아 농업환경 및 주요 밭작물의 생산 현황

    1.농업환경

    캄보디아는 열대 몬순(monsoon)기후로 강수량의 변화에 따 라 건기(12 ~ 5월)와 우기(6 ~ 11월)로 확연하게 구분된다. 건기 와 우기는 다시 기온변화에 따라 12 ~ 2월 냉건기(Cool Dry), 3 ~ 5월 온건기(Hot Dry), 6 ~ 8월 온우기(Hot Rain), 9 ~ 11월 냉우기(Cool Rain)으로 4계절로 나뉜다.

    캄보디아의 주요 밭작물에 생육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기상 환경을 설명하기 위해 관련 기후인자의 자료가 필요하지만 캄 보디아 수자원 기상부(Ministry of Water Resources and Meteorology, MWRM)는 관련 자료를 공개하지 않고 있다. 대신에 연도별, 기후인자별, 기상대가 속해있는 지역별 구매 (purchase)를 통해 관련 자료를 수집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는 프놈펜 포첸동(Pochendong)기상대에서 관측한 2001년부터 2010년까지의 강수량(rainfall)과 최고/최저 온도(temperature)에 대한 일일기후자료를 기후연산프로그램(WXPm3020)을 이용 하여 월평균 기후 값으로 생성하였다.

    건기의 끝인 2월은 최저의 강수량을 기록하고 있으며 우기 의 시작인 3월부터 강수량이 증가하기 시작하여 10월에 최고 의 강수량을 보인다(Fig. 1).

    월 평균 최고/최저온도는 건기의 12월부터 상승하여 4월에 최고치에 이른 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월의 최고온도 는 36.1°C에 이르며 12월에 최저온도는 22.5°C로 관측되었다 (Fig. 2).

    이러한 연중 고온다습한 기후와 우기의 풍부한 강수량은 최 적의 작물생육 환경을 제공하고 있으며 연중 재배하는 카사바 를 제외하고 지역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지만 Fig. 1에서 살 펴본 것 같이 주로 강수량이 증가하기 시작하는 3월에 농민들 은 옥수수와 콩을 파종해서 8월에 수확한다(Belfield & Brown, 2008; Belfield et al., 2011). 우기에 재배하여 수확되 는 양보다는 적지만 건기에도 재배를 하고 있다.

    캄보디아의 주요 수자원 공급처는 국토의 중심부에 위치한 뚠레삽과 동북부에서 남쪽으로 국토를 가로지르는 메콩 강이 다. 캄보디아에서 연간 사용되는 물의 양은 약 7억5천만 m3이 고 관개수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데 2003년 기준 관개수 면적 은 2,700 km²에 달하고 있다. 농업, 산업, 양어와 생활용수에 사용되는 지표수와 지하수의 양은 증가하고 있고 농업에서 가 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캄보디아는 대략 176억 m3의 지하수 를 가지고 있다. 지표에서 5 ~ 10미터에 위치하고 있는 지하수 는 48만ha의 경작지에서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 세계식량계획 (World Food Programme, WFP)은 보고하고 있다.

    주요 지표수는 Table 1과 같다. 메콩 강(Mekong River)은 총연장 약 4,000 km이고 총 유역이 795,000 km2에 달한다. 중국 티베트고원에서 발원하여 미얀마, 태국, 라오스, 캄보디 아를 거치면서 바삭 강과 합쳐져 베트남으로 흘러들어간다.

    뚠레삽 호수(Tonle Sap Lake)은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큰 자 연호수로 메콩 강에서 뚠레삽 호수로 흘러들어가는 물의 양은 9월에 8,900 m3/s이다. 표면적은 2,600 km2에서 최대 약 15,000 km2까지 증가하며 수위는 8 ~ 10미터 증가한다. 유입량 의 62%는 우기 유입에 의한 것이고 38%는 저수에 의한 것 이다. 캄보디아의 대표적인 두 수자원 이외에 세콩 강(Sekong River), 베트남에서 발원하는 세산 강(Sesan River), 스레포 강 (Sre Por River)이 있다. 우기동안 내리는 강수량은 전체 강수 량의 약 80%를 차지하고 있어 강수량 또한 유용한 수자원이 되고 있다.

    캄보디아 국토 전체 면적은 181,035 km2이다. 캄보디아는 농지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현재 55,000 km2 이상이다. 농지 의 면적은 1992년 25% 수준에서 2010년 현재 32% 수준으 로 증가했고, 같은 기간 산림면적은 71%에서 57%로 계속 감 소했다(Fig. 3). 특히 71년부터 84년까지 농지 면적은 70년에 비해 7% 가량 감소 이유는 크메르루지에 의한 농경지 파괴로 생각된다.

    연중 고온 다습한 기후와 우기에 내리는 강수량, 메콩 강을 비롯한 풍부한 수자원은 캄보디아 농업분야 발전가능성을 엿 보게 한다. 더구나 산림이 줄어들고 있는 반면에 농지가 늘어 나는 추세여서 늘어나는 농지에서는 주로 밭작물을 재배하게 될 것이다.

    2.주요 밭작물 생산 현황

    캄보디아 농림수산부(MAFF) 연간보고서의 통계자료를 보 면 1999년에서 2011년 동안 전체 국토 중 경작지는 증가했고 특히 카사바와 주요 3대 곡물 재배 면적은 5배 증가했다. 카 사바는 1999년 14,039 ha에서 2011년 391,714 ha로 증가했고, 같은 기간 옥수수는 92,020 ha에서 322,700 ha로 증가했고, 대 두는 35,085 ha에서 70,584 ha로 증가했다(Fig. 4(a)). 하지만 동기간의 상기 밭작물 간 재배면적의 비중을 살펴보면 카사바 는 9.95%에서 49.9%로 크게 증가한 반면 옥수수는 65.20% 에서 41.11%, 대두는 24.86%에서 8.99%로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Fig. 4(b)).

    특히 2010년을 기점으로 카사바의 재배면적이 급격하게 증 가하고 같은 농지에서 재배되는 다른 작물의 재배비중은 상대 적으로 감소했다. 이는 2009년 세계적인 바이오에너지 원료의 수요증가로 인한 가격상승과 함께 태국의 카사바 작황 불량으 로 캄보디아산 카사바의 수요가 크게 늘어났기 때문으로 보인다.

    농지 면적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반면, 쌀 공급은 초과 하여 해마다 많은 양을 주변국에 수출하고 있다. 재배기술의 보 급, 밭작물 재배에 적합한 기후환경, 풍부한 수자원, 농지의 증 가는 캄보디아 주요 밭작물의 생산량을 지속적으로 증가 시킬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라 현시점에서 주요 밭작물에 대한 생산 현안을 진단하고 농업협력 방안을 모색할 필요성이 있다.

    밭작물 생산 현안 및 농업협력 방안

    1.밭작물 생산 현안

    농작물의 재배 의향은 수확기를 지난 뒤 가격요인에 의해 크게 결정된다. 따라서 수확기 가격 예측을 정확히 해야만 적 절한 재배면적과 생산량을 유지하게 되는데 보통 농민들은 이 런 정보에 접근하기가 어렵다. 장기간 가격이 상승하거나 하 락할 경우 큰 어려움이 없지만, 급격히 가격이 변동될 경우 농민들은 대처하지 못한다. 특히 위에서 언급했듯이 카사바의 경우 재배일수가 350일 이상으로 유동적으로 대응하는데 어려 움이 있다.

    시장 여건이 계속 변하고 있음에도 농산물 거래형태는 수십 년간 같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상인들은 여전히 농산물 가 격 및 수요 정보를 독점하고 있다. Table 2를 보면 농민들은 상인들이 제공하는 정보에 절대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격결정을 위한 농민들의 정보습득은 갈수록 중요 해지고 있는 반면에 10%의 농민들만이 대중매체를 통해 정보 를 얻고 있었다. 농민 스스로 농산물 가격 및 수요에 대한 정 보를 얻기에는 충분치 못하며 정보의 비대칭성으로 인해 시장 에서 상인과의 교섭 능력이 떨어져 좋은 가격을 받기 힘들다. 또한, 교섭능력을 갖추기 위해서 농산물을 장기 저장할 수 있 어야 하지만 기술과 자금 부족은 시장에서 농가수익하락을 가 져오는 원인이 되고 있다(TWGAW, 2010).

    가격 파동은 시장에서 가장 큰 문제이다. 캄보디아는 이웃 국가들에 대한 공급처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국제가격동향 을 통해서 장기적인 캄보디아 농산물 가격변화를 알 수 있다. 하지만 일일가격변동은 국경지대의 무역을 통해 결정된다. 따 라서 캄보디아 농산물 생산·가공업자들 보다는 태국이나 베트 남 시장의 수요에 따라 전적으로 가격이 결정된다.

    시장가격은 농민들이 농산물을 판매할 때 가장 고려하는 부 분이다. Table 3을 보면 약 45%의 농민들은 가격에 대해서 신뢰하지 않고 있다. 또 28%의 농민들은 중간상인을 신뢰하 지 않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시장가격과 농가수취가격이 명 확하게 나타나지는 않고 작물에 따라서 차이를 보이지만, 농 민들은 프놈펜 판매가격이나 수출가격(태국, 베트남)의 80%를 최종 수취가격으로 받게 된다.

    살펴본 바와 같이 농민의 재배 의향은 전적으로 시장가격에 의존하고 있지만 농업의 특성상 부족한 수요에 대한 공급의 반응은 옥수수의 경우 3개월, 카사바의 경우 1년 후에 나타나 기 때문에 시장의 급격한 변화로 인한 작종전환이 농가소득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기 어렵고 오히려 공급과잉 으로 인한 부정적인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공급측면에서 작물재배는 자본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되는데, 낮은 관개수로 보급은 농업확장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EIC (Economic Institute of Cambodia)가 5개 지역에서 실시한 설 문에 따르면, 농부들은 가장 큰 문제로 꼽는 것은 농경지 관 개수 부족으로 나타났다. 복수응답으로 84%의 농부들이 물 문 제에 직면했다고 말했고, 29%가 농기계 부족에 문제가 있음 을 응답했다. 비료와 농약 부족에 대해서는 18%의 농민들이 응답을 했으며, 기술 부족과 농지 부족도 각각 4%와 5%의 비율로 응답했다(Fig. 5).

    물 문제 해결방안에 대한 농민의견은 지역마다 다르게 나타 나는데 관개수로 보급률이 높아 물을 끌어오기 쉬운 따께오 지방에서는 펌프 등 물 관련 기계의 정비기술을 보급받기를 바라고 있다. 반면 깜퐁참 지역의 관개수로가 부족한 농지에 서는 농업용 관정 설치를 원하고 있다.

    2.한·캄 농업 협력의 필요성 및 협력방안

    우리나라는 1991년 이후 2010년까지 캄보디아의 개발을 위 해 총 35,686만 불(무상 6,797만불/유상 28,889만불)을 지원했 다(ODA KOREA, 2013). 농림수산 분야는 관개수로개발사업, 농촌개발사업과 같은 주로 농촌인프라 구축에 집중하고 있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실제 농가 수취소득은 카사바 외 대 두 등의 작물에서 높게 나오지만, 안정적인 수요처를 확보하 지 못하여 재배가 장려되지 않고 있다. 또한 농업 노동력 구 조의 변화에 따른 대응이 미흡하여 장기적으로 생산과 판매활 동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농업분야 지원 사업에 있어서 농촌인프라 확충과 더불어 다음과 같은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전통적으로 육체노동이 많이 필요한 농업에서, 농기계 보급 의 증가와 남성농업인의 도시취업은 여성인력의 농업노동력 편입 증가라는 결과를 가져왔다. 반면 이런 갑작스럽게 편입 된, 여성농업인구는 경험과 교육의 부족으로 남성 농업 인력 에 비해 농업에 대한 이해가 부족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지속적인 농업성장을 위해서는 이런 여성 농업 인력을 대상으 로 농업기술 및 농기계 사용법을 교육해야 한다. 또한 농기계 보급이 확대되면서 농기계 사용법에 대한 교육과 함께 농가 자가 농기계 경정비가 가능하도록 정비기술교육이 필요하다 (Chao, 2009). 이를 위해서 GDA (General Directorate of Agriculture), CARDI (Cambodian Agriculture and Rural Development Institute)와 같은 농업연구기관의 순환교육프로그램을 적 극 지원하여 방문 교육을 활성화시켜, 교육에 대한 접근성을 높여야 한다.

    지금까지 농업분야의 해외원조방향은 농업생산향상을 위한 농 촌인프라 확충과 생산 활동지원에 머문 경우가 대부분이다. 본 연 구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생산 뿐 만 아니라 유통과정에서 부족 한 정보력이 농가소득을 감소시키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생산 후 가공, 저장, 유통분야에 해외원조 지원을 늘릴 필요성이 있다.

    태국, 베트남과 국경을 접하고 있는 캄보디아는 다양한 경 로로 두 국가에 접근할 수 있으며, 자국 내 가공시설 부족으 로 산물상태의 많은 농산물을 중간상인을 통해 집중적으로 유 통시키고 있다. 이 때문에 실제 판매가에 비해서 농가가 얻는 수익이 현저히 떨어진다. 이는 비가공 농산물의 국경무역에 대 한 의존도가 높기 때문인데, 유통체계 개선을 통해 인접국 위 주의 농산물의 수출 시스템에서 탈피하여 장거리 수출이 가능 하도록 지원해야 한다. 이러한 유통체계 개선을 위해서는 지 역별, 작목별로 농민조합육성이 필요하다. 농민조합육성을 통 해 조합단위별 시장정보제공시스템을 도입하고, 작황에 따른 가격변동 조기 경보를 통해 농민들의 가격정보에 대한 접근성 을 높여 시장 가격 경쟁력을 갖추어야 한다. 또 이런 생산자 조합에 가공시설 지원을 통해 1차생산물이 아닌 2차가공물 판 매를 유도하고, 고부가가치를 얻을 수 있도록 독려해야 한다. 앞과 마찬가지로 한국의 캄보디아 농업지원은 유통체계개선을 위한 전문가파견과 농민조합육성을 장려하는 방향으로 설정되 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한국과 캄보디아의 농업 협력방안 을 계획적이고 종합적 수행을 통해서 UN의 MDGs 중 첫 번 째 빈곤과 기아 퇴치, 일곱 번째 환경지속가능성 보장 두 가 지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협력 사업에 대한 정기 적인 모니터링과 평가를 통해 지속 운영이 가능하도록 해야 하며, 특히 자립 가능하고 지속 성장 가능한 농촌 개발을 핵 심전략으로 세워야 한다.

    적 요

    1. 캄보디아는 전통적으로 벼가 농업에서 가장 우선시 재배되 는 작물인 관계로 쌀 생산증대를 위한 재배방법의 개선과 관리, 공여국과 수혜국간의 협력방안 등 많은 연구가 축적된 반면에 밭작물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다. 연중 고온다습한 기후와 우기 의 풍부한 강수량은 최적의 작물생육 환경을 제공하고 있고 메 콩 강과 뚠레삽 호수를 비롯하여 3개의 강을 보유하고 있어 앞 으로 수자원 활용이 가능해지면 지속적인 농업분야의 발전가능 성을 엿보게 한다. 산림이 줄고 늘어난 농지에서는 밭작물을 재 배하게 될 가능성이 커 현시점에서 주요 밭작물에 대한 생산 현 안을 진단하고 농업협력 방안을 모색할 필요성이 있다.

    2. 현재 캄보디아는 우기와 건기가 뚜렷이 구분되는 열대몬 순지역으로 풍부한 수자원이 우기에 집중되고 있어서 수자원 배분(water allocation)에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점차 개선되고 있는 관개수로로 인해 관개농 면적이 증가 추세에 있다. 주로 고지대(upland)에 위치한 밭작물 재배농지의 경우, 부족한 관 개수로는 농촌 인프라 확충을 위한 협력사업의 증대로 개선될 여지가 있다.

    3. 농촌인프라 확충을 위한 협력 사업을 계속 유지하면서 캄 보디아 농업관련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기술변화와 세대변동 에 따른 다양한 농업 및 농기계 기술 교육제공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농업전문가 파견과 같은 인력제공을 통해 가 공시설확충과 유통체계개선을 통해 유통단계에서 농민들이 불 이익을 받는 일을 줄여야 할 것이며 협동조합과 같은 농민조 직의 육성을 통해 생산, 유통, 판매과정에 농민이 중심이 되고 주도적으로 경제활동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할 것이다.

    Figure

    KSIA-27-1_F1.gif

    Monthly Rainfall from 2001 to 2010.

    KSIA-27-1_F2.gif

    Monthly High/Low Temperature from 2001 to 2010.

    KSIA-27-1_F3.gif

    Changes of Agricultural Land(1961 ~ 2001) and Forest Area (1990 ~ 2011) Compared with Total Land Area in Cambodia.

    KSIA-27-1_F4.gif

    Cultivated Area of Major Field Crops and Changes from 1999 to 2011.

    KSIA-27-1_F5.gif

    Farmer survey : Percentage of Farmers facing Problems in Production.

    Table

    Summary of Cambodia's Water Resources.

    Source : World Food Program (WFP)

    Source of Information for Farmers.

    Source: EIC, 2006

    Percentage of Farmers Facing Problem in Selling Products.

    Source : EIC, 2006

    Reference

    1. Lee YY (1981) Cultivated Area of Major Crops and Forecast of Material Requirement , Journal of Rural Development, Vol.4 (1) ; pp.42-52
    2. ODA KOREA (2013) http://www.odakorea.go.kr/ODAPage_2012/ T02/asia/Cambodia.jsp. [accessed 11. March. 2013],
    3. Belfield S , Brown C (2008) Field Crop Manual: Maize , A Guide to Up land Production in Cambodia. NSW Department Primary Industries. http://www.aciar.gov.au/files/node/8919/maize%20manual%2072dpi.pdf. [accessed 4. April. 2013],
    4. Belfield S , Brown C , Martin M (2011) A guide to upland cropping in Cam bodia: soybean , ACIAR Monograph No. 146, Australian Centre for International Agricultural Research,
    5. Chao L (2009) Agriculture Mechanization and Agricultural Development Strategies in Cambodia , Country Report. http://www.un-csam.org Activities%20Files/A09105thTC /PPT/kh-doc.pdf. [accessed 25. February. 2013],
    6. (2006) Economic Institute of Cambodia (EIC) , Cambodia Agriculture Development Report. http://www.ilearnincambodia.org/ra/ content/ANR306.pdf. [accessed 15. December. 2012],
    7.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FAO) (2011) Cambodia and FAO Achievements and success stories. http://www.fao.org/fileadmin/ templates/rap/files/epublications/CambodiaedocFINA pdf. [accessed 29. December. 2012],
    8.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FAO) (2013) http://www.fao.org/sd/WPdirect/WPre0106.htm [accessed 11. March. 2013],
    9. FAOSTAThttp://www.faostat3.fao.org/home/index.html VISUALIZE_BY_AREA. [accessed 1. March. 2013],
    10. Ministry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MAFF) (2012) Annual Report 2011. MAFF Conference,
    11. Ministry of Water Resources and Meteorology (MWRM) (2011) Internal Data,
    12. Technical Working Group on Agriculture and Water (TWGAW) (2010) Program Design Document Annexes for Strategy for Agriculture and Water 2010-2013,
    13. World bank (2013) http://www.data.worldbank.org/indicator/AG LND.AGRI.ZS/ and http://www.data.worldbank.org/indicator/AG.LND.FRST.ZS/ countries. [accessed 2. March. 2013],
    14. World Food Program (WFP) (2013) http://www.foodsecurityatlas.org/khm/country/availability/agricultural-production [accessed 8. January.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