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8504(Print)
ISSN : 2287-8165(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Vol.27 No.1 pp.15-22
DOI : https://doi.org/10.12719/KSIA.2015.27.1.15

Survey on the Cabbage Seed Market of India, Indonesia, and Vietnam

Mi Young Park, Moo Kyoung Yoon, Jung-Ho Kwak†
Vegetable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RDA, Suwon, Korea 440-706
Corresponding author: (Phone) +82-31-240-3642 jhknest@korea.kr
June 17, 2014 November 26, 2014 February 2, 2015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by the survey of the cabbage seed market of India, Indonesia, and Vietnam with analysis of recent information about production, major market distribution, and leading variety. India is the second largest producer of vegetable. The Indian cabbage cultivation area has steadily increased, and cabbage seed consumption is about 45 to 55 ton. The main cultivation areas are Maharashtra, Nashik, and West Bengal state. And the leading varieties are “Kranti”, “Saint”, “Green Challenger”, and “Summer Queen”. To develop this Indian cabbage market, the favorable weight is about 0.1 to 1kg, and insect resistance is required such as diamondback moth. Indonesia is the world’s fourth-largest population country. Kohlrabi and cabbage show the second largest cultivation area and production after shallot. The favorable shape of cabbage is flat type. Main cultivation states are West Jawa, Central Jawa, East Jawa, and North Sumatra. The leading varieties are “Green Cornet”, “Grand 11”, and “Green Nova”. The most important traits of promising cultivars are greenish-gray color and heat tolerance. The population of Vietnam is two times than that of Korea. And its economic growth rate is above 5.7% in 2011. Cabbage cultivation area is 14,200ha, and seed consumption is 4.3 ton. Northern region accounts for 70% of cabbage production, and main production district is Doan Thuong village. The flat shape is main cabbage type. And Leading varieties are “New Star Cross”, “Grand KK”, and “Green Helmet”.


인도·인도네시아·베트남 양배추 종자 시장 조사

박 미영, 윤 무경, 곽 정호†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채소과

초록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Korea Forest Service
    213003-04-2-SB410

    국내 종자시장 중 채소종자는 2013년 기준 생산량 327톤, 매출액 2,613억 원으로 가장 큰 몫을 차지하고 있으며, 아시아 권 국가 중에서도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등의 신흥 경제발전 국가들의 채소 F1 종자 시장의 규모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Korean Seed Association, 2014b). 양배추는 식생활의 서구화와 건강에 대한 관심, 그리고 외식 수요가 늘어나면서 국내 소비 가 증가하고 있으며(Ko et al., 2013a), 최근 5년 평균 재배면 적 약 5,800 ha, 생산량 약 32만톤에 이르는 주요 배추과 작목 이다. 종자 수출의 관점에서 그 중요도가 더욱 높아 2013년 약 3.8백만불을 수출하였는데, 이는 전체 채소 종자 수출에 있 어 9.3%로 4위에 해당한다(Statistics Korea. 2013b; Korean Seed Association, 2014a). 더욱이 그 수출시장의 확대 폭이 인도와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의 동남아시아 국가들을 중심으 로 급격히 늘어날 전망으로 국내 종묘회사에서는 다양한 수출 시장 맞춤형 품종 육성에 힘을 기울이고 있다. 중국에 이어 세 계 두 번째로 큰 규모의 채소 생산국인 인도는 채소, 과수, 화 훼를 아우르는 원예작물의 생산면적과 생산량이 꾸준히 증가 하고 있다. 주요 채소 작물의 근년도 생산 변화 중 양배추가 약 1.3배 증가하여, 재배면적과 생산량의 가장 큰 증가를 보였 으며, 인도 내 양배추 종자 소요량은 50톤에 달한다(NSAI, 2011). 세계 4위의 인구 대국인 인도네시아는 다양한 기후 조 건과 토양을 형성하고 있기에, 농업이 인도네시아 경제에 있어 상대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인도네시아 채소 생 산량은 국제금융위기 상황 이후 점증 추세를 보이고 있는데, 콜라비와 양배추 재배 면적 및 생산량은 샬롯에 이어 2위를 차 지하고 있다(BPS, 2012). 베트남의 인구규모는 한국의 약 2배 에 해당하며, 경제성장률은 2011년 기준 5.8%로 신흥개도국 중 상위의 경제성장률을 보이는 국가이다. 베트남 채소 생산은 하노이와 홍강을 중심으로 하는 북쪽지역과 호치민시와 메콩 강을 중심으로 하는 남쪽지역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채소 소비의 증대에 따라 재배면적 또한 증가하고 있으며, 채소 생 산의 효율 증가로 생산 단수의 증가는 고품질 F1 종자의 보 급 확대와 재배기술의 발달로 가속화 되고 있다. 이에 본 연 구는 동남아시아 신흥 경제성장국인 인도, 인도네시아, 베트 남 양배추 주산단지 별 재배작형, 주요 품종의 선호 특성, 병해충 발생의 정도 등을 조사 분석하여, 양배추 종자의 수 출확대 및 국제경쟁력 확보를 위한 기반 정보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인도 양배추 종자 시장

    1.양배추 종자 시장 개요 및 규모

    양배추 재배면적은 매년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데, 2007년 249,000 ha에서 2010년도에는 331,020 ha로 약 33%가 늘었고, 생산량은 2007년도 5,583천 MT에서 7,281천 MT으로 약 30% 늘었다(Table 1). 각 주별 양배추 재배면적은 Table 2 와 같으며, 교배종 양배추가 꾸준히 늘면서 F1 종자 시장규모 는 11 ~ 14백만불(115 ~ 150억원)이고, 각 주별 F1 종자소요량 은 약 45 ~ 55톤에 이르고 있다(Table 3).

    2.인도 양배추 재배법

    파종기는 여름 우기인 Kharif season은 6 ~ 7월에, 겨울에 파종하여 이듬해 봄에 수확하는 Rabi season은 10 ~ 11월, 또 는 1 ~ 3월이며, 파종량은 조생계는 180 ~ 200 g/acre, 만생계는 120 ~ 150 g/acre이다. 육묘일수는 약 4주이며 수량성은 조생종 25 ~ 30톤/ha, 중만생종 40 ~ 60톤/ha으로 관수는 3 ~ 4일 간격 으로 실시한다.

    3.인도 양배추 주요 병·해충

    주요 병은 흑부병(Black rot, Xanthomonas campestris), 세 균성 잎마름병(Bacterial leaf blight, Alternaria brassicae), 흑 각병(Black leg, Phoma lingam), 뿌리혹병(Clubroot, Plasmodiophora brassicae), 흰녹가루병(White rusts, Albugo candida) 등이며, 주요 해충은 배추좀나방(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배추순나방(Cabbage webworm, Hellula undalis), 배 추흰나비(Cabbage Butterfly, Pieris brassicae), 양배추가루진딧물 (Cabbage Aphids, Brevicoryne brassicae) 등이다.

    4.양배추 재배단지 현황

    가Maharashtra State 양배추 재배단지

    재배면적은 17,000 ha로 인도 전체 면적대비 5%이며, 양배 추 F1 종자 소요량은 6,000 ~ 6,500kg이고 주요 양배추 품종 군은 Table 4와 같다. 양배추 품종군에 따른 종자 소요량은 원형 45 ~ 50일은 2,000 kg, 원형 55 ~ 65일은 5,000 kg, OP종 도 1,000 kg 소요되고 있는데 이는 각각 25, 62, 13%에 해당 하며, 양배추 F1 종자의 가격분포는 약 160~ 250 $/kg 정도이다 . 주요 양배추 품종의 특성은 Table 5와 같다.

    나Nashik Region 양배추 재배 현황

    Nashik Region의 양배추 종자 소요량은 3,600 kg 으로 주요 품종은 Kranti, Saint, Green challenger계이다(Table 6, Fig. 1).

    조생 원형계인 “Kranti” 품종의 농가당 평균 재배면적은 1 acre이며 파종량은 150 g/acre이다. 파종기는 5 ~ 8월이며 육 묘일은 25일로 정식 후 45 ~ 50일에 첫 수확이 가능하다. 총 수익은 2,600 $/acre 정도이다.

    Saint계 “Saint” 품종은 연중재배가 가능한 품종으로 평균 3,200$/acre의 총 수익을 내며, 판매 및 소비지역은 Mumbai, Pune 등이다. 주요 병해충으로 흑부병이 있다.

    Green Challenger계 품종인 “Green Challenger”, “Green Voyager”의 파종 시기는 6 ~ 8월로 육묘일수 25일을 거쳐 7 ~ 9월 정식한다. 정식 후 첫 수확 시기는 58 ~ 60일 정도이며 수 량성은 20 ~ 30톤/acre이다. 주 재배지역은 Ahmednagar, Narayangaon, Chakan, Nagpur 등지이다.

    다West Bengal State 양배추 재배현황

    양배추 시장구분은 Table 7과 같으며 지역 기후 변화로 인 하여 우기 조생 편형계로 시장을 주도한 Kaneko사의 “KK Cross”에서 최근 Syngenta의 “Summer Queen”이 시장을 확 대해 가고 있으며, 조생 원형계 시장도 극조생 품종인 “Green Express”가 지역 기후변화로 적응력이 급격히 떨어지면서 Takii사의 “T621”, SVS의 “Millenium111” 품종이 시장을 차 지하고 있다. 이는 결국 조생, 내병계가 필수적인 품종 특성이 되어야 하고 열구깨짐에 강해야 시장경쟁에서 살아 남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5.양배추 우량품종 구비조건

    인도 양배추 우량품종 구비조건은 중소형으로 구 무게가 800 ~ 1,000 g 내외로 구깨짐이 늦으며 수송성이 좋은 품종이 어야 하며, 배추좀나방과 같은 해충에 내성이고 내병성 품종 이어야 한다. 또한 인도의 고온, 가뭄, 비 등의 환경변화에 따 른 환경적응성이 우수하며, 북인도 겨울 작형은 낮은 온도에 서도 잘 자랄 수 있어야 한다.

    인도네시아 양배추 종자 시장

    1.양배추 종자 시장 개요 및 규모

    행정통계상 총 재배면적은 67,793 ha이며, 평균 종자 소요량 은 12,000 kg이나 많을 때는 18,000 kg까지 늘어나기도 한다. 지역별 양배추 재배현황은 Table 8과 같으며 서부, 중부, 동부 자바주와 북부 수마트라주의 면적이 전체 인도네시아 양배추 재배면적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2.양배추 유형별 종자 시장 분석

    인도네시아에서 재배되는 양배추 타입은 편형계 한가지로 주 재배지역은 중부 자바, 동부 자바, 서부 자바주로 총 채배 면적은 67,793 ha이며, ha당 종자 소요량은 150 g 이다. 종자 가격은 280 $/kg 으로 주요 품종은 Takii의 “Green Cornet”, “Green Nova”와 Chia Tai의 “Grand 11”이다.

    3.양배추 재배단지 현황

    가Kota country 단지

    평균 재배면적은 0.1 ha로 적은 편이나 많이 재배하는 농가 는 1 ~ 2 ha정도 대면적에 재배하는 농가도 있으며, ha당 평균 파종량은 14 g(약 3,300립)을 9봉씩 파종한다. 육묘방법은 육 묘상에 직파하는 방법이며 포트를 사용하지 않고 있으며 주 작형은 1 ~ 2월 파종이며 관수가 불가능한 지역은 8 ~ 9월 파 종하는 재배형태를 갖추고 있다. ha당 평균 15,000 kg 정도를 수확하나 재배조건이 좋고, 기술이 뛰어난 농가는 ha당 50,000 kg 정도를 수확하는 농가도 있으며, 판매 가격은 kg당 600루피아 정도이나 200루피아에서 2,000루피아까지 변동 폭 이 큰 편이다. 가격이 단지내의 면적, 작황에 따른 영향 보다 는 경합지역인 베트남의 출하량에 따라서 달라지고 있는데, 이 유는 싱가포르 등지로 수출하는 물동량이 많기 때문이다. 가 격결정요인 중 특이사항은 외엽색을 별로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고 있다는 점인데, 원인은 수출 작업시 외엽을 완전히 제거 하기 때문이다. 작업이 용이한 이유로 편구형을 선호하며 원 형은 상대적으로 가격이 낮게 책정된다.

    “Green Nova”가 가장 인기 품종이나 수확시 밑둥(뿌리를 자른 부분)이 깨지는 경우가 종종 있어 수송 시 이 부분부터 부패되는 경우가 생겨 싫어하는 경향이 있다. 뿌리혹병은 15 년 전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현재는 40% 정도의 포장에 발 병되고 있어 그 피해가 심각하다. 인기 품종인 “Green Nova” 의 경우 다른 품종에 비해 좀 강하기는 하지만 내병성 품종은 아니다.

    나East Jawa 단지

    단지의 위치는 자바섬 동쪽지역 1/3정도, 해발 700 m이상 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대부분 화산회토 지역이다. 양배추 총 재배면적은 12,000 ha, 농가당 평균 면적은 1 ha, ha당 평 균 파종량은 150 g정도이며, 지역별 재배면적 및 생산량은 Table 9와 같다.

    해발 700 ~ 1,700 m의 고랭지인 Probolingo 지역은 대부분 자가육묘로 30 ~ 40일간 육묘하고, 해발 700 ~ 1,300 m인 준고 랭지 Malang 지역은 70%정도가 육묘장 묘종을 구입하여 25 일 정도 육묘한다. 정식시기는 우기 직전인 10월이 제일 많으 며 다음은 건기 직전인 2 ~ 3월이 주 정식기이며, 정식 간격은 1m두둑에 2줄 재배, 포기간격 50 cm, 헛골 너비 40 cm이다. 기비는 계분과 녹비를 부숙시킨 것을 ha당 3 ~ 5톤 정도 시용 하는데 전면 시용이 아닌 재식 구덩이 바로 옆을 파고 넣어 준다. 추비는 보통 2회를 실시하는데 첫번째는 ha당 요소 300 kg, 인산질 비료 150 kg을 주고 두번째는 유안비료 300 kg을 시용한다. 농약은 고랭지인 경우 살균제 위주로 5회 정도 살포하고 준고랭지인 경우는 1주일에 한번 살충제 위주 로 살포하며, 주대상 해충은 배추좀나방, 배추순나방이다.

    병해나 충해를 입은 양배추는 낮은 값에 팔리지만 색깔, 맛, 모양 등이 좋다고 더 높은 값에 팔리는 경우는 거의 없으며, 밭에서 수확한 양배추는 바구니에 담아 트럭으로 옮겨지는데 대부분이 Batu산지 집하장으로 모여 이곳에서 40 kg비닐 포대 포장 후 각 지역으로 판매된다.

    각 지역별 주요 품종 현황을 살펴보면 Table 10과 같은데, “Green Cornet”, “Grand 11”, “Green Nova” 품종이 대부분 을 차지하고 있다.

    4.Leading Variety 주요특성 분석

    가품종명: Green Cornet

    인도네시아에 교배종 양배추의 최초 품종은 “KK Cross” 품 종이며, 그 이후 본격적으로 재배된 교배종은 “Green Cornet” 으로 생산성을 높이고, 고품질의 양배추 생산을 위해 주 재배 지가 더 높은 고랭지로 이동하고 있다. 판매량은 3,000 kg으로 약 15% 시장점유를 하고 있으며, 약편형이다. 재포능력이 뛰 어나고 결구 정도가 좋아 수송성도 우수하여 가까운 싱가포르 등에 수출을 할 수 있게 되었으나, 이 품종은 밀식이 어렵고, 중만생종으로 숙기가 다소 늦은 단점이 있어 이런 단점을 보 완할 품종이 절실히 필요하다.

    나품종명: Grand 11

    “Green Cornet”이 고랭지를 위주로 재배가 확산된 후, 준 고랭지 지역에서는 밀식재배가 가능하고 숙기가 다소 빠른 “Grand 11” 품종이 급속도로 재배가 늘어나게 되었다. 이 품 종은 교배종 양배추의 재배지를 해발 400m까지 끌어내려 농 가소득 증대에 크게 기여하였으며, 자바섬 이외의 수마트라, 술라베시섬 등 여러 지역에 폭넓게 재배되고 있다. 북부수마 트라 지역에 주로 재배하던 “KR 1”은 “Grand 11”에 비해 내병성, 내충성이 떨어져서 “Grand 11”에 크게 밀리게 되었다.

    다품종명: Green Nova

    “Green Nova”는 2008년부터 판매가 시작되어 빠른 속도로 확산 재배되고 있는데, 잎곰팡이 병에 강하며 균일도가 가장 우수하며 득묘율도 높은 편이다(Fig. 2).

    상기 3개 품종을 비교시험 재배하면 “Green Nova”가 초기 생육이 가장 빠르며, 근군분포 영역도 토양 깊이 뻗어 내려가 서 결과적으로 가뭄에 견디는 힘도 가장 우수하다. 인도네시 아와 같이 관수시설이 미흡하고 건기가 상존하는 국가에서는 “Green Nova”와 같은 품종특성을 가진 품종이 건기, 우기 시 즌을 막론하고 모두 우수한 작황을 보여 더 많은 지역으로 확 대, 재배될 것으로 보이는데, “Green Nova”의 확산은 곧 “Grand 11” 감소를 의미한다.

    5.우량 품종 구비조건 및 수출용 품종 육성 포인트

    인도네시아 대상 우량 품종 구비 조건은 내서성이 강하며, 회녹색의 외엽색으로 밀식이 가능해야 한다. 또한 단단하며 열 구 및 근류병, 흑부병에 강해야 하며, 포기내부 잎이 가지런해 야 한다.

    수출용 우량 품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내서성이 강한 70 ~ 75일의 중조생계로 외엽은 왁스층이 두텁고, 소엽이면서 또한 입성이어야 한다. 또한 코아가 원형이며 낮고, 잎이 후엽 인 것을 선호한다. 지역별 뿌리혹병의 레이스가 다르므로 균 주를 수집하여 육성에 활용하여야 한다.

    베트남 양배추 종자 시장

    1.양배추 종자 시장 개요 및 규모

    베트남 양배추 재배면적은 14,200 ha이고, 종자 소요량은 4,260 kg이며 종자가격은 145 $/kg이다. 지역별 재배 현황은 Table 11과 같으며 Hai duong을 포함한 북부 지역이 70%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중부, 남부 지역 각각 15%씩 차지 하고 있다.

    2.유형별 시장분석

    편형계 타입은 베트남 시장에서 70% 이상을 차지하는 주력 타입으로, 편형계 품종들은 고온 결구력이 강하고 내서성과 내 병성이 강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주요 품종들은 일본 Tokita 사의 “New Star Cross (NSX)”와 Takii사의 “Grand KK” 그리고 최근 판매되기 시작한 Sakata사의 “Green Helmet”이 다. 중부 달랏 고랭지에서 재배되고 있는 “Green Nova”는 Takii사가 공급하는 품종으로 편원형계이다(Table 12).

    3.양배추 단지 조사현황

    가Doan thuong village (Gia loc district, Hai duong province)

    Doan thuong village (Gia loc district, Hai duong province)는 하노이 근교 중 양배추 재배가 가장 많이 되고 있는 지역 중 하나로써 재배 면적은 약 5,000ha로 매년 비슷한 면적을 유지 하고 있다. “NSX”를 재배하는 농가들은 벼 수확 후 양배추를 재배하고 다시 벼를 재배하는 형태가 많고, “Grand KK”를 재배하는 농가들은 멜론, 오이, 수박 등 박과 채소 재배와 돌 려 짓는 형태가 많다.

    육묘는 25 ~ 30일 내외로, 육묘업자에 의한 공급이 약 70% 로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정식 후 약 75일부터 수확을 시작한다. 두둑은 200 cm 넓이에 3줄 심기를 할 경우 줄 사 이는 60 cm, 포기 사이는 45 cm로 하거나 혹은 150 cm 넓이 에 2줄 심기를 할 경우가 많다.

    기비는 우분 10톤/ha, 석회 500 kg/ha, 복합비료 500 kg/ha, 인산질 비료 600 kg/ha를 넣고, 추비는 정식 15일 후 두둑에 16-16-8 복합비료를 150 kg/ha을 1차 시용하고 정식 후 약 30 일 후 1차 추비와 같은 양을 2차 추비한다. 비가 많은 고온기 재배 시 연부병과 흑부병의 발생이 매우 심하다.

    오래 전부터 6 ~ 7월 파종하여 9월에 수확하는 고온기 재배 는 고온 결구력이 뛰어난 Takii의 “KK-Cross”와 “Grand KK”가 재배되고, 비교적 온도가 떨어지는 8 ~ 11월 파종기에 는 구중이 많이 나가고 맛이 좋은 Tokita의 “NSX”가 많이 재배되고 있으나, 최근 2-3년 전부터 Sakata의 “Green Helmet” 이라는 품종이 내서성과 내병성이 강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NSX”시장을 잠식하고 있다.

    4.Leading Variety 주요특성 분석

    가품종명: Nes Star Cross (NSX)

    하노이 근교 양배추 단지에서 오랫동안 인기리에 재배되는 품종으로, 판매량은 약 2,000 kg 이고 시장 점유율은 27% 정 도이다. 중생종으로 수량은 78,000 kg/ha의 녹색의 편형형이다. 경쟁 품종인 Sakata의 “Green Helmet”이 최근 보급되면서 “NSX” 시장을 대체하고 있다.

    나품종명: Green Nova

    Takii사의 “Green Nova”는 고랭지인 달랏 근교 양배추 주 산 단지들에서 3 ~ 4년 전부터 재배가 되기 시작하여 기존 인 기 품종들인 “Shogun”과 “Green Cornet”을 대체하고 있는 인기 품종이다. 판매량은 600 kg으로 시장 점유율은 18%이다. 숙기는 75 ~ 80일의 중생종으로 수량은 96,000 kg/ha로 구형은 편원형이다(Fig. 3).

    적 요

    본 연구는 양배추 종자의 수출확대 및 국제 경쟁력 확보를 위한 기반 정보를 제공하고자, 동남아시아 신흥 경제성장국인 인도, 인도네시아, 베트남의 양배추 주산단지별 재배작형, 주 요 품종의 선호특성, 병해충 등을 조사 분석하였다.

    인도는 세계에서 두번째로 큰 규모의 채소 생산국으로 양배 추 종자 소요량은 50톤에 달한다. 주 재배지역은 Maharashtra, Nashik, West Bengal주 이며, 주요 품종은 “Kranti”, “Saint”, “Green Challenger”, “Summer Queen”이다. 수출용 우량품종 구비조건은 중소형으로 구무게가 800 ~ 1,000 g 내외이며, 배 추좀나방과 같은 해충에 내충 및 내병성 품종이어야 한다.

    인도네시아는 세계 4위의 인구 대국으로 콜라비와 양배추 재배 면적 및 생산량이 샬롯에 이어 2위를 차지하고 있다. 인 도네시아에서 재배되는 양배추 타입은 편형계 한가지로 주 재 배지역은 중부 자바, 동부 자바, 서부 자바, 북부 수마트라 지 역이며, 주요 품종은 “Green Cornet”, “Green Nova”, “Grand 11” 이다.

    베트남의 인구규모는 한국의 약 2배에 해당하며, 경제 성장 률은 2011년 기준 5.8%로 신흥개도국 중 상위의 경제성장률 을 보이는 국가이다. 양배추 재배면적은 14,200 ha, 종자 소요 량은 4,260 kg이며, Hai duong을 포함한 북부 지역이 70%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편형계 타입이 주력 타입으로 주요 품종들은 “New Star Cross”, “Grand KK”, “Green Helmet” 이다.

    Figure

    KSIA-27-15_F1.gif

    Leading varieties in India (a: Saint, b: Green Challenger, c: NS 25, d: BC 300).

    KSIA-27-15_F2.gif

    Cabbage of Indonesia(a: field of North Sumatra, b: “Green Nova” variety).

    KSIA-27-15_F3.gif

    Leading variety “Green Nova” in Dalat.

    Table

    Cultivation area and production of cabbage in India.

    *Source: NHB (National Horticulture Board

    Current provincial status of cabbage production in India.

    *Source : NHB (National Horticulture Board, 2009-2010)

    Demand of Cabbage F1 hybrid seed in India

    Characteristics of Maharashtra state s cabbage in India.

    Characteristics of major cabbage varieties cultivated in India.

    zFHA : Field Holding Ability

    Leading variety of Nashik region in India.

    Major varieties of West Bengal state in India.

    Cultivation area and production of cabbage in Indonesia.

    Cultivation area and production of East Jawa state in Indonesia.

    Leading variety of East Jawa state in Indonesia.

    Cultivation area of cabbage in Vietnam.

    Seed market analysis on types of cabbage in Vietnam.

    Reference

    1. Ko SB , Kim SB , Kwak JH (2013a) Kor. J. Hort. Sci. Technol, Vol.5; pp.111-114
    2. Statistics Korea (2013b) Survey of agricultural products. December 20. 2013. http://www.kosis.kr, (translated in English)
    3. Korean Seed Association (2014a) Export status of vegetable seeds for 2013 of Korean Seed Association. February 13. 2014. http://www.kosaseed.or.kr, (translated in English)
    4. Korean Seed Association Import status of vegetable seeds for 2013 of Korean Seed Association (2014b) February 18. 2014. http://www.kosaseed.or.krhttp://www.kosaseed.or.kr, (translated in English)
    5. Badan Pusat Statistik (2012) Statistics Indonesia. October 08. 2012. http://www.bps.go.id/eng 2012 http://www.bps.go.id/eng/.%20,
    6. National Seed Association of India (2011) Vol.4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