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8504(Print)
ISSN : 2287-8165(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Vol.27 No.1 pp.23-29
DOI : https://doi.org/10.12719/KSIA.2015.27.1.23

Content Analysis of the Fellowship Program in KOICA International Agricultural Development Cooperation

Sang-jin Ma†, Ki-yong Kim*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KMPLUS Consulting
Corresponding author: (Phone) +82-2-3299-4258 msj@krei.re.kr
July 28, 2014 January 13, 2015 January 13, 2015

Abstract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ellowship program contents in KOICA international agricultural development cooperation during the time span from 2010 to 2012. In terms of program offering institute, the recipient country, program period and program budget as well as education and training contents, the fellowship programs were analyzed. As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following conclusions: the education and training contents were rather general agricultural or rural policies and broad themes than specific skills, which could limit the performance of the fellowship program; the programs were offered mainly by colleges, government-affiliated organizations and research institutes, which of them the share of private sector was increasing; and while the recipient countries were mainly located at Africa, Asia and South America, many programs were operated during one month or less, in which program preparation including needs analysis should be carried out for the program elaboration and substantiality.


한국국제협력단(KOICA) 국제농업협력분야 연수생 초청 프로그램 내용 분석 연구

마 상진†, 김 기용*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케이엠플러스컨설팅

초록


    우리나라의 공적개발원조(ODA)는 규모가 크게 증가하면 서 농업·농촌부문 국제협력사업도 확대되고 사업의 종류 및 대 상국가도 다양해지고 있는 상황이다(Heo et al., 2012). 농림수 산분야의 ODA 사업은 개발협력 대상국의 빈곤퇴치와 경제개 발을 위해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농림수 산분야 발전은 대부분의 개발협력 대상국이 국가경제발전의 토 대로 삼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매우 중요하다(Lee et al., 2012).

    농업분야에 대한 국제협력개발에 있어서 인적자원개발을 위 한 연수생 초청 프로그램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연수생 초청 프로그램은 일반적으로 개발도상국가의 연수생들 을 선진 공여국이나 제3국으로 초청하여 개인이나 조직, 기관 및 수원국가의 역량을 개발하여 그들이 자국으로 돌아가 자국 의 빈곤을 퇴치하고 국가발전을 이룩하게 하는 것을 의미하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개발원조회의(DAC)에서는 초청 프 로그램을 기술협력(Technical Cooperation)의 일환으로써 개발 도상국의 역량개발을 주목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연수 생 초청 프로그램은 수원국의 정책개발 및 산업발전에 일정 부 분 기여하고 있다(Bae & Noh, 2011).

    우리나라는 인적자원개발 대한 관심과 투자를 통해 자원빈국 에서 인재부국으로 발전하였고(Kim, 2007), 이를 바탕으로 수 원국에서 공여국으로 발전할 수 있었다. 우리의 경험에 비추어 볼 때 개발도상국의 농업발전을 지원함에 있어 인적자원개발 관점에서 연수생 초청 프로그램을 체계화·효율화할 필요가 있다.

    최근 한국행정연구원(Hong et al., 2013)이 수행한 우리나라 초청연수사업에 대한 평가 결과 일회성·단기연수 위주 추진, 단 순 국제교류 목적 지양 등 연수내용의 내실화 필요, 강의방식 의 다양성·체계성 부족 등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었다. 현재 국제농업협력 분야에 대한 연수생 초청 프로그램은 다양한 주 체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농 업분야 연수생 초청 프로그램이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 제대 로 된 현황 파악이 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농업분야 전반에 대한 국제개발협력을 연구하는 선행연구와 일부 연수 프로그 램 중심의 효과성 평가 연구(Bae & Noh, 2011; So et al., 2012)가 수행되었지만, 농업분야 연수생 초청 프로그램의 내 용 및 운영방식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 연구가 부재한 상황이 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제농업협력분야 연수생 초청 교 육훈련 프로그램 내용분석을 통해 현재의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연수생 초청 프로그램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 를 제공하고자 한다.

    국제농업협력 및 연수생 초청 동향

    농업분야 국제협력동향

    우리나라의 농업분야 국제협력은 농정당국에 국제협력 예산 이 확보되던 2006년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되어 왔다(Heo et al, 2012). 무상원조의 경우 인도적 지원을 우선으로 하고, 유 상원조의 경우 빈곤의 근본적 해결을 위한 경제성장의 초점을 두고 있다. 이에 따라 농업분야에서도 인프라 구축을 중심으 로 하는 원조전략을 채택하고 있으며, 한국의 개발경험 전수 를 위해 새마을운동 등을 지속적으로 전수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한국국제협력단(KOICA)에서는 농림수산분야 원조 계획 에 있어 농·축·수산업 생산성 향상, 농·축·수산물 시장접근성 강화, 농어촌 생활환경 개선 및 소득증대라는 세 가지 목표를 가지고 있다(Song, & Im, 2012).

    KOICA에서 실시하고 있는 농업분야 국제협력을 살펴보면, 2009 ~ 2012년을 총괄적으로 프로젝트, 물자지원, 연수생초청, 해외봉사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 가운데 프로젝트가 60.2% 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해외봉사단 13.2%, 연수생 초청 11.8%로 나타났다. 한편, 국제협력 전체 항목별로 농림수 산 분야가 차지하는 비율을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11.1%로 나타 났으며, 이 가운데 전문가 25.7%, NGO 18.9%, 연수생 초청 15.2%로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Table 1).

    농업분야 국제협력 연수생 초청 동향

    농업분야에서 연수생 초청 동향을 살펴보면 예산을 기준으 로 2005년부터 2011년까지 매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 다. 특히, OECD DAC 가입 이후인 2010년부터 농업분야 연 수생 초청에 지원된 예산이 급격히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농업분야에 대한 원조형태가운데 연수생 초청이 차지하 는 비율은 13%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프로젝트 (57%)와 해외봉사단(16%)에 지원되는 예산 다음으로 높은 비 중을 차지하고 있었다(Song et al., 2012).

    2013년을 기준으로 국제농업협력 차원에서 농림수산 분야 연수생 초청을 살펴보면 전체 연수생 초청에서 농림수산 분야 가 12%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이는 인원기준으로 전년대비 4% 높은 비중으로 설정하고 있었다. 전체적으로 볼 때 공공 행정 분야를 제외하고 산업에너지와 함께 농림수산 분야의 비 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able 2). 이는 개발도상국의 경우 식량문제 등이 이슈가 되고 있기 때문에 원조 차원에서 농림수산 분야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2013).Fig .1

    국제농업협력 연수생 초청사업에 참여한 비중이 높은 상위 국을 살펴보면 캄보디아, 미얀마, 가나, 라오스, 에티오피아, 탄 자니아, 우간다, 알제리, 세네갈, 필리핀, 베트남, 케냐, 네팔, 인도네시아, 방글라데시 등 아프리카와 동남아시아가 주를 차 지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아프리카와 동남아시아 지역 에서 농림수산분야에 대한 요구가 많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 다. 또한 농림수산분야 연수는 농축수산업 생산성 향상을 목 적으로 하지만, 기술지원보다는 정책역량 강화와 농촌개발에 보다 중점적으로 지원하고 있는 상황이다(Song et al., 2012).

    한편, 국제농업협력 연수생 초청 프로그램에 참가한 연수생 들은 연수 과정에 대해 매우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OICA에서 2011년과 2012년에 실시한 연수생 만족도 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전체적인 만족도가 4.27 ~ 4.57로 매우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2012년 만족도 조사에서 연수 과정, 교육환경, 연수내용, 성과, 지속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보아도 대체로 4.5 이상의 높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었다 (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2012).

    연수생 초청 프로그램 내용분석

    내용분석 자료 및 틀

    국제농업협력 분야 연수생 초청 프로그램 내용분석은 OECD DAC 가입 시기인 2010년부터 진행된 연수생 초청 프로그램 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KOICA 통계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연수생 초청 사업 통계 원자료(2010, 2011, 2012)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농림수산 분야로 분류된 연수 프로그램 을 중심으로 데이터를 정리한 후 연수 프로그램 내용, 운영주 체(기관), 국가지역, 기간 및 예산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연수생 초청 프로그램의 내용과 관련하여 KOICA에서 제시 하고 있는 원조목적 코드를 분석한 결과 코드명과 연수내용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아 내용분석을 실시하는데 한계가 있었 다. 따라서 원조코드명과 함께 연수목적 및 내용을 검토하여 농림어업 정책 및 행정, 농업·농촌개발, 농림어업기술, 농림어 업자원관리, 농업연구, 농림어업서비스의 여섯 가지 영역으로 재분류하였다(Table 3).

    그 외 국제농업협력 분야 연수생 초청 프로그램의 운영주 체, 국가지역, 기간 및 소요예산에 대한 분석을 위한 분류는 Table 4와 같이 설정하였다. 운영 주체는 정부부처 및 지자체, 정부부처 산하 및 출연기관, 공기업, 대학, 민간협회 및 단체 등으로 구분하였고, 국가지역은 아시아, 아프리카, 중동, 남아 메이카 등으로, 연수기간은 15일, 1개월, 2개월, 3개월, 6개월 을 기준으로 나누고, 예산은 국별연수, 공동연수, 특별연수, 기본연수, 스칼라쉽 등으로 나누었다. 이러한 예산 항목을 제외한 나머지 분류 기준은 국제농업협력 분야 연수생 초청 프로그램 원자료의 분포를 근거로 귀납적으로 설정한 것이 었다.

    내용분석 결과

    일반 현황

    국제협력분야 연수생 초청 프로그램의 경우 전체적으로 2010년부터 263개 과정에서 2011년 287개 과정, 2012년 293 개 과정으로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었으며, 참여인원 및 사 업비 역시 매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참여 인원은 2012년을 기준으로 4,699여명이었으며, 소요예산 (사업비)은 약 350억원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농림수산 분 야 연수생 초청 프로그램의 경우 2010년 28개 과정에서 2011 년과 2012년에는 각각 39개 과정이 운영된 것으로 나타나 역 시 증가하고 있었다. 과정 수를 기준으로 전체 과정에서 농림 수산 분야가 차지하는 비중은 10.6 ~ 13.6% 정도의 수준이었 다. 국제농업협력 분야 연수생 초청 프로그램의 참여인원은 2012년을 기준으로 586명이었으며, 소요예산(사업비)은 약 53 억원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Table 5).

    연수내용

    연수내용에 대한 분석 결과 전체적으로 볼 때 농업·농촌개 발 관한 연수가 전체의 40.6%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농림어업 정책 및 행정에 관한 연수가 22.6%로 나 타났다. 그리고 농림어업기술 전수 17.9%, 농림어업자원관리 10.4%, 농림어업서비스 4.7%, 농림어업연구 3.8% 순으로 나 타났다.

    연도별 동향을 살펴보면 1차적인 농업 생산을 위한 기술전 수의 내용이 다소 위축되고, 농업 정책 및 행정과 그리고 농 림어업, 농어촌 거시적인 관점에서 산업·지역개발 및 운영에 필요한 역량을 다루는 연수생 초청 프로그램의 비중이 확대되 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녹화사업, AI 확산 방지, 농업 및 수산정책 등에 관한 연수와 함께 농업 개발, 농촌개발, 새마을운동, 지역공동체 활성화 등 거시적인 관점에 초점을 맞춘 리더 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연수 프로그 램들의 비중이 확대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송유철 외(2012) 에서도 지적하고 있는 것처럼 연수생 초청 사업에서 연수 대 상자들이 주로 자국농업 관련 부처 공무원들을 중심으로 이루 어지고 있어 정책이나 거시적 관점의 주제를 중심으로 연수가 운영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Table 6).

    연수주체

    국제농업협력 분야 연수생 초청 프로그램은 대학교 및 소속 기관과 정부부처 산하 및 출연기관의 비중이 각각 26.4%와 23.6%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또한 정부부처 및 지자체, 민간협회 및 단체의 비중 역시 각각 17.9%로 높 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대학교의 경우 대학 자체에서 운 영 프로그램 혹은 석박사학위과정과 더불어 대학소속기관에서 연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었다. 강원대학교(아시아태평양협 력아카데미), 경북대학교(농업과학기술연구소, 국제농업훈련련 원), 한경대학교, 부경대학교(어업분야), 경원대학교(새마을 아 카데미), 단국대학교(산학협력단), 연세대학교(정경대학원) 등 이 연수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었다. 정부부처 산하 및 출연 기관으로는 산림교육원, 산림인력개발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수산인력개발센터, 국립종자원 등이, 정부부처 및 지자체로는 농촌진흥청과 아산시청 등이 연수를 운영하고 있었다. 그 외 공기업으로는 한국농어촌공사와 대한지적공사 등과 순수 민간 기관으로는 (재)가나안복민회, (사)해외어업협력센터, APEC물 류센터, 새마을운동중앙연수원 등이 농림수산 분야 연수생 초 청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었다.

    연도별 동향을 살펴보면 정부부처와 부처 산하기관에서 운 영하는 연수 과정은 감소하고 있는 반면, 대학교에서 운영하 는 과정의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는 국제농업협 력 분야 연수생 초청 프로그램이 정부 중심에서 민간 중심의 운영 체제로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Table 7).

    국가지역

    국제농업협력 분야 연수생 초청 프로그램에 참가한 연수생 들의 국가를 살펴보면 아프리카(45.5%), 아시아(33.8%), 남아 메리카(12.9%) 지역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Table 8). 이 는 대체로 개발도상국이나 수원국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연수 생 초청 프로그램이 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주요 참가국 으로 아프리카는 에티오피아, 가나, 세네갈, 알제리 등의 국가 들이 참여하였으며, 아시아의 경우 캄보디아, 라오스, 몽골, 방 글라데시 등이 참가하였다. 그리고 남아메리카에서는 칠레, 과 테말라, 볼리비아, 에콰도르, 엘살바도르 등이 참가하였다. 기 타 분석 대상 연수 프로그램에서 유럽의 아제르바이잔이 참가 한 프로그램이 있었다.

    연수기간 및 예산

    연수기간은 국제농업협력 분야 연수생 초청 프로그램의 경 우 16일 이상 1개월 이하의 단기 프로그램이 전체의 74.5%, 15일 이하의 프로그램 역시 16.0%로 나타났다. 즉 1달 이하의 프로그램이 90%를 넘었고, 1개월 이상의 장기적인 연수 프로 그램의 경우 석·박사학위과정인 Scholarship 프로그램을 제외 할 경우 10%도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9). 연도별 경향성을 보면 1개월 이하 단기 프로그램 비중은 점차 증가하 고 있었다. 구체적인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겠지만, Hong et al. (2013)이 지적했듯이 단기위주의 연수가 농업분야 가 팽배해 있어, 프로그램의 내실화를 위한 연수이전의 사전 활동의 중요성이 크다고 하겠다.

    소요예산을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예산의 규모가 2010년부터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라고 할 수 있다. 그 가운데 국별연수의 비중이 42.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연도별로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동연수, 특별연수, 기본연수 등은 상대적으로 비중이 낮으며, 해마다 비중이 감소하거나 다소간의 증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는 국제농업협력 분야 연수생 초청 프로그램이 원조가 필요한 특정 국가에 맞춤형으로 운영되는 방향이 강화되고 있는 것으 로 사료된다(Table 10).

    결 론

    이 연구에서는 국제농업협력분야 연수생 초청 교육훈련 프 로그램에 대하여 연수 내용, 제공 주체, 수원국, 프로그램 기 간과 예산 등의 측면에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고, 분석 결과 를 토대로 몇가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농림수산 분야 연수생 초청 프로그램은 아직까지 농 업·농촌개발, 농림어업 정책 및 행정 등 다소 일반적이고 거 시적인 교육?훈련 내용의 연수 비중이 높았다. 이는 아직 우 리의 연수 프로그램이 초기 단계이고, 연수 대상자가 역시 대 체로 해당 국의 농업 관련 부처 공무원이기 때문인 것으로 사 료된다. 향후 보다 구체적인 농업·농촌 분야의 농업기술 및 우 수사례 전수를 통해, 농·축·수산업 생산성 향상, 농·축·수산물 시장접근성 강화, 농어촌 생활환경 개선 및 소득증대라는 구 체적인 연수 사업의 성과 창출을 위해서는, 실제 농업기술을 습득 및 전파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더불어 해당 국의 관련 대상자들이 연수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분야별 전문 연수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연수생 초청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기관은 대학교와 정 부부처 산하 및 출연기관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점차 민간기관(대학교 포함)의 비중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국 제농업협력 연수생 초청 프로그램에 대한 민간의 참여가 확대 될 경우 그동안 다소 획일화 되어 있는 교육훈련 프로그램 내 용이 보다 다양해지고, 특성화될 가능성이 높다는 측면에서 바 람직한 현상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민간의 참여가 가속화될 경우 교육 프로그램 운영 및 성과에 있어 기관간 내용 중복과 더불어 프로그램의 질 확보가 되지 않을 가능성 또한 높아진 다. 국제농업협력 연수생 초청 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 질 관 리가 필요한 시점이라 할 수 있다.

    셋째, 연수 참여 국가는 아프리카, 아시아, 남아메리카 지역 이 많았고, 연수기간은 1개월 이하의 단기연수 중심으로 운영 되고 있었다. 또한 연수생 초청 프로그램에 대한 예산은 전체 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국별연수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었다. 이는 농업 후진국을 대상으로 한 국별 연수가 활성화되고 있 지만, 일회성·단기연수가 주를 이루고 있다는 것인데, 보다 수 원국의 수요를 면밀히 파악하여 교육·훈련 프로그램이 보다 알 차고 유기적으로 구성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사전 노력이 필요 하리라 생각된다.

    이 연구에서는 지난 2010년부터 2012년에 이루어진 국제농 업협력 연수생 초청 프로그램에 대한 개괄적인 내용 분석에서 몇가지 문제점과 더불어 제언을 도출하였다. 내용분석 연구의 특성상 100여개 넘는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분석을 하였기에 프로그램별 구체적 접근에 한계가 있었다. 후속 연구에서는 국 제농업협력분야 연수생 초청 프로그램 운영 실태에 대한 보다 정교한 접근과 교육 프로그램 효과성에 대한 보다 체계적 평 가가 시도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국제농업협력분야 연 수생 초청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교육 내용 영역별, 그리고 주 요 제공 주체별로 교육생 및 관련자 조사 등을 통한 양적?질 적 분석이 필요하다.

    Figure

    KSIA-27-23_F1.gif

    Budget of the Fellowship Program in International Agricultural Development Cooperation.

    Table

    General Information on KOICA International Agricultural Development Cooperation (2009 ~ 2012). (Unit: 1000 won, %)

    Source: KOICA (2013)

    KOICA Fellowship Program by sector in 2013.

    Source: KOICA(2013)

    A Education & Training Contents Classification Standard.

    A Fellowship Program Offerer, Country, Period, and Budget Classification Standard.

    A General Information on the Fellowship Program of International Agricultural Development Cooperation.

    Education & Training Contents or the Fellowship Program.

    Program Offerer Type of the Fellowship Program.

    Recipient Country of the Fellowship Program.

    *Some raw data does not have specific country information such as developing countries or just recipient counties, which were omitted from analysis

    Program Period of the Fellowship Program.

    Budget of the Fellowship Program. (unit: million won(%))

    Reference

    1. Bae JH , Ko WY (2011)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n KOICA's Training Program: focus on KOICA’s Country Training Program for Tanzania , International Development and Cooperation Review, Vol.3 (1) ; pp.223-255
    2. Heo JD , Lee S , Jung SE (2012) A Basic Model of Korean International Agricultural and Rural Development Cooperation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Vol.24 (2) ; pp.116-128
    3. Hong JH , Choi SY , Park SC , Oh YY (2013) An Evaluation of Training Program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4. Kim CH (2007) Efficiency Measures for ODA in Human Resource Development Sector , the HRD Review, Winter, pp.52-61
    5. 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2010) 2012 KOICA Fellowship Program Data Base,
    6. 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2012) 2012 Beneficiary Satisfaction Survey on KOICA's ODA,
    7. 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2013) Handbook of KOICA Fellowship Program,
    8. Lee DS , Heo J , Kwon TJ (2012) An Evaluation of ODA on Agirulculture , Forestry & Fishery Sector, KREI,
    9. So JK , Im KS , Im HB , Jung JC (2012) How to Advance the Effectiveness of ODA Fellowship Program on Saemaeul Movement , Research Report of Korean Association for Local Government Studies,
    10. Song YC , Im JB (2012) International Cooperation for Agricultural Development ,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