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8504(Print)
ISSN : 2287-8165(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Vol.27 No.1 pp.59-62
DOI : https://doi.org/10.12719/KSIA.2015.27.1.59

Optimal Transplanting Time for ‘Sukwang’ (Oryza sativa L.) in the Southwestern Plain Area of Korea

Young-Doo Kim, Shin-Gu Kang, Bon-Il Ku, Wan-Gyu Sang, Seo-Ri Jo, Hong-Kyu Park, Woon-Chul Shin, Jong-Cheol Ko, Woon-Ho Yang, Bo-Kyeong Kim, Jeom-Ho Lee, Sun-Lim Kim†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Wanju 565-851, Korea
Corresponding author: (Phone) +82-63-238-5311 kim0yd@korea.kr
February 2, 2015 March 16, 2015 March 16, 2015

Abstract

A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optimal transplanting date for ‘Sukwang’, a high grain quality japonica rice, in the southwestern plain area in South Korea. 25-day-old seedlings were transplanted four times by 15 days interval on May 16, June 1, 16, and 30 in 2013 and 2014. Heading dates were August 12 and August 29 in the first and the last transplanting, respectively. Ripening ratio was highest in June 1 and June 16 plots at range of 93 - 94%, and was lowest in 16 May plot. Milled rice yield was the highest in June 1 and June 16 at rage of 538 - 555 kg/10a, and was the lowest in May 16. Head rice yield showed same tendency to milled rice yield. Protein conten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reatments except June 1, however, it was slightly increased in the later transplanting plots. Amylose content was increased in the later transplanting plots. According to the regression curve of transplanting dates and grain yield, the optimal transplanting date of ‘Sukwang’ was June 10 in the southwestern plain area in Korea.


남부평야지에서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수광’의 적정 이앙시기

김 영두, 강 신구, 구 본일, 상 완규, 조 서리, 박 홍규, 신 운철, 고 종철, 양 운호, 김 보경, 이 점호, 김 선림†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초록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J0092652014

    최근 소비자의 고품질 쌀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으며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해서는 그 지역에 맞는 적정 품종을 적기 에 이앙하는 것이 필요하다. 벼 재배에서 이앙시기에 의한 미 질 변동은 품종, 재식밀도, 시비조건 및 기상환경에 따라 결정 되는데 동일 품종을 같은 재배 기술로 재배하여도 기상환경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Choi, 1966; Shozo, 1982). 기상환경은 등 숙기간 중의 기온이나 일조변화에 따라 나타나는 것으로 이앙 시기가 빠르면 고온에서 등숙되기 때문에 유백미, 동할미 등 불완전립이 증가되여 미질이 떨어지며(Ku et al., 2003), 이앙 시기가 너무 늦어지면 등숙기 저온으로 인한 등숙장애로 품질 이 크게 떨어지므로 품질 고급화를 위하여는 좋은 기상조건에 서 생육 및 등숙이 될 수 있도록 이앙시기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Aimi (1976)은 등숙에 적당한 온도는 21 ~ 25°C라고 하였으 며, 등숙기간의 평균온도가 1°C 올라감에 따라 등숙기간은 1.73일 단축된다(Lee, 1983)고 하였다. 벼의 안전성숙 한계온도 는 출수 후 40일간의 평균기온이 20 ~ 22°C인데(Tsumori, 1957), 일반계 품종의 안전출수 한계기는 840°C, 출수 만한기 는 800°C로 볼 때, 전북 평야지에서의 안전출수 한계기는 8월 31일이며, 출수 만한기는 9월 3일이다(Kim et al., 1986). Lee et al. (1988)은 전북지역의 기상으로 볼 때 8월 21일에서 8월 25일에 출수하는 것이 기상생산력이 가장 높다고 하였다.

    이앙시기가 늦어지면 심복백이 많아지고(Oh et al., 1991), 호화온도가 낮아져(Choi & Choi, 1980; Heu et al., 1976) 식미가 저하된다(Matsue et al., 1991). 또한 쌀의 외관상 미질 은 등숙기간의 평균기온과 관련이 있어 23 ~ 26°C에서는 완전 미가 많아지나, 22°C 이하에서는 복백미, 착색미, 미숙미, 사미 등이 증가하며, 27 ~ 28°C에서는 복백미, 동할미가 증가 하였다 (Hwang, 1992). 또한 단백질 함량은 품종간에는 조생종이 만생 종 보다 단백질 함량이 높고(Kido & Yanatori, 1965; Honjo, 1971), 기온 또는 물의 온도가 단백질 함량을 증가(Kataoka, 1975)시킨다고 하였으나, Heu & Moon(1974)는 온도는 단백 질 함량에 영향이 적다고 보고하였다. 그리고 파종시기가 늦 어짐에 따라서 중만생종에서는 증가되나 조생종에서는 감소되 는 것으로 보고 되어있다(Moon & Heu, 1975).

    최근 지구온난화 영향으로 기상이 많이 변화되고 있는데, 이 에 알맞은 재배법을 구명하기 위하여 호남평야지에 알맞은 적 정 이앙시기를 구명한바 있다(Choi et al., 2005). 지금까지의 기계이앙적기는 수량성 위주로 설정되어 호남평야지의 기계이 앙 적기는 5월 중하순(Kim et al., 1986)으로 되어 있으므로 쌀 품질 향상을 위한 이앙적기의 재설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국립식량과학원에서 2011년에 육성한 최고품질 중만 생종 ‘수광’ 품종의 이앙적기를 구명하고자 이앙시기에 따른 생 육, 쌀 수량 및 품질변화를 검토한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본 연구는 남부평야지에서 중만생종인 ‘수광’의 적정 이앙 시기를 구명하고자 2013 ~ 2014년에 미사질양토(전북통)인 익 산 시험포장에서 5월 16일부터 15일 간격으로 4회 이앙하여 수행하였다. 육묘일수는 25일간 육묘하여 재식거리 30 × 14 cm (78주), 주당 4본 내외로 기계이앙 하였으며, 시험구는 난괴법 3반복으로 배치하였다.

    10a당 시비량은 질소 9 kg, 인산 4.5 kg, 칼리 5.7 kg을 시 용하였으며, 분시방법으로 질소는 기비 50%, 분얼비 20%, 수 비 30%로 분시 하였으며, 인산은 전량기비, 칼리는 기비 70%, 수비 30%로 분시 하였다.

    출수 후 적산온도 1,100°C 내외가 되는 날에 수확하여 정조 수분이 15 ~ 16% 정도가 되도록 통풍 건조 후 도정하여 쌀 품 질, 수량 등을 조사하였다. 단백질 분석은 RN-500(Kett, Japan) 으로 현미 및 쌀의 품위는 근적외선분석기인 AN-700(Kett, Japan)으로 하였다. 기타 물관리, 병해충 및 잡초방제 등은 표준 재배법에 준하였고, 벼 생육 및 수량조사 등은 농업과학기술 연 구조사분석기준(RDA, 2012)에 따라 조사하였다.

    결과 및 고찰

    이앙시기에 따른 출수기, 간장 및 수확기(출수 후 적산온도 1,100°C 되는 일수)와 등숙기 적산온도의 변화는 Table 1과 같다. 출수기를 보면 이앙시기가 늦을수록 출수기도 늦어졌으 나 5월 16일 이앙은 8월 12일, 6월 30일 이앙은 8월 29일로 안전출수기 이내에 출수되었다. Kim et al. (1995)은 호남평야 지인 익산에서 8월 23일경에 출수되어야 등숙비율이 높고 현 미천립중이 무겁다고 하였는데 본 시험에서도 6월 16일경 이 앙에서 8월 23일경에 출수되었고, 6월 30일 이앙에서는 이보 다 다소 늦은 시기에 출수되었다.

    간장은 5월 16일, 6월 1일 이앙보다는 6월 16일 이앙에서 컸으나 6월 30일 이앙에서는 93 cm로 6월 16일 이앙과 차이 가 없었다. 또한 수장은 이앙시기간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 았으나 5월 16일 및 6월 16일 이앙에서 다른 이앙시기보다 다소 길었다. 또한 포장도복은 6월 1일 및 6월 30일 이앙에서 다른 이앙시기 보다 심했는데, 이는 출수 이후 생육기간 중에 폭우 및 강우기간이 긴 기상환경에 따른 결과로 보여 진다. 출수 후 수확시기(출수 후 적산온도 1,100°C 되는 일수)는 이 앙시기가 늦어질수록 길었는데, 5월 16일 이앙은 48일로 가장 짧았으며, 6월 1일 및 6월 16일 이앙은 50 ~ 52일 사이이고 6월 30일 이앙은 57일로 가장 길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5월 16일 ~ 6월 16일 까지의 이앙에서는 중만생종의 수확적기 는 50 ~ 55일 사이에 있었으나 6월 30일 이앙에서는 중만생종 의 수확적기 보다 다소 늦어졌다.

    등숙기간(출수 후 40일) 적산온도는 이앙시기가 늦어질수록 낮았으며 5월 16일과 6월 1일 이앙에서는 925 ~ 942°C 그리 고 6월 16일과 6월 30일 이앙에서는 840 ~ 884°C 사이였다. 또한 등숙기의 기온 및 일조시수는 등숙에 크게 영향을 주는 데, 출수후 40일간의 평균기온이 22.3°C 일 때 등숙비율이 높 고 현미 천립중이 무거워 수량 및 품질 향상에 유리하다는 보 고가 있는데(Lee & Ahn, 1984), 본 연구에서는 6월 1일과 6 월 16일 이앙에서 22.1 ~ 23.1°C 범위를 나타내었다. 일조시수 는 6월 16일 이앙에서 199시간으로 다른 이앙시기의 206 ~ 219시간 보다 적었는데, 이는 출수후 생육기간 중에 강우기간 이 길어 일조시수가 적었다고 판단된다.

    이앙시기에 따른 벼 품종별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을 보면 Table 2와 같다. m2당 수수는 이앙시기가 늦어질수록 많아지 는 경향이었고, 6월 16일 이앙에서 324개/m2로 다른 이앙시 기의 306 ~ 318개/m2 보다 많았다. 수당립수는 5월 16일 ~ 6 월 16일 이앙에서 104 ~ 110개로 이앙시기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6월 30일 이앙에서는 98개로 가장 적었다. 등숙비 율은 6월 1일과 6월 16일 이앙에서 93 ~ 94%로 가장 높았 고 5월 16일 이앙에서는 87%로 가장 낮았다. 이와 같이 조 기 출수에 의한 고온기의 등숙으로 기상생산력이 낮고 소모 도장이 크기 때문으로 생각 되며, 이러한 결과는 Choi (1966)의 보고와 비슷하였다. 현미 1,000립중은 6월 16일과 6월 30일 이앙시기에는 다소 무거웠으나, 이앙시기별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이앙시기에 따른 쌀수량 및 완전미 수량의 변화를 보면 쌀 수량은 조기 이앙과 만기 이앙에서 감소되는 경향이었는데, 6 월 1일과 6월 16일 이앙에서 538 ~ 555 kg/10a로 수량이 높고 6월 30일 이앙, 5월 16일 이앙 순이었다. 완전미수량은 쌀수 량과 비슷한 경향으로 이앙시기가 빠르거나 늦을수록 감소하 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이앙시기에 따른 단위면적당 수수, 수 당립수 및 등숙율 차이로 보여 진다.

    이앙시기에 따른 쌀의 외관상 품위 및 미질특성은 Table 3 에서와 같다. 완전미 비율은 이앙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높아 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6월 30일 이앙에서는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불완전립 비율의 싸라기나 분상질립 비율이 높았기 때문으로 보여 진다. 쌀의 화학적 특성인 단백 질함량은 이앙시기에 관계없이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늦 게 이앙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이며, 또한 Juliano (1985)는 밥 맛의 경우 아밀로오스 함량이 낮을수록 찰지고 부드러운 밥이 된다고 하였는데 이앙시기가 늦을수록 증가하여 쌀의 품질을 고려해 볼 때 품종 특성에 따라 적기에 이앙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또한 이앙시기에 따른 수량과의 관계를 회귀식으로 나타 낸 결과 이앙시기가 6월10일이었을 때 최대수량을 보였으 며(Fig. 1), 본 연구 결과 최고품질 중만생종 품종인 ‘수광’의 이앙적기는 쌀 수량, 완전미 수량 및 품질 등을 고려해 볼 때 남부 평야지에서는 6월 10일 경에 이앙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판단된다.

    적 요

    남부 평야지에서 최고품질인 중만생종 ‘수광’ 품종의 적정 이앙시기를 구명하고자 5월 16일, 6월 1일, 6월 16일, 6월 30일에 4회 이앙하여 이앙시기별 벼 생육, 수량구성요소, 수량 및 품질 관련형질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이앙시기별 출수기는 이앙시기가 늦을수록 출수기도 늦 어졌으나 5월 16일 이앙은 8월 12일, 6월 30일 이앙은 8월 29일로 안전출수기 이내에 출수되었다.

    2. 등숙비율은 6월 1일과 6월 16일 이앙에서 93 ~ 94%로 가장 높았고 5월 16일 이앙에서는 87%로 가장 낮았다.

    3. 쌀수량은 6월 1일과 6월 16일 이앙에서 538 ~ 555 kg/ 10a로 수량이 높고 6월 30일 이앙, 5월 16일 이앙 순이었고 완전미수량은 쌀수량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4. 단백질함량은 이앙시기에 관계없이 큰 차이를 보이지 않 았지만 늦게 이앙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이며, 아밀로오스 함량 도 이앙시기가 늦을수록 증가하였다.

    5. 따라서 ‘수광’의 이앙적기는 쌀수량, 완전미수량 및 품질 등을 고려해 볼 때 남부 평야지에서는 6월 10일 경에 이앙하 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Figure

    KSIA-27-59_F1.gif

    Relationship between transplanting date and grain yield of ‘Sukwang’ rice.

    Table

    Heading dates, growth, accumulative temperatures during ripening period and harvesting time of ‘Sukwang’ under different transplanting dates.

    †During 40 days after heading.
    ‡Days required to reach 1,100oC of accumulative temperature after heading.
    ♪Means with the same letters in a column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DMRT

    Yield and yield components of ‘Sukwang’ according to transplanting dates.

    ♪Means with the same letters in a column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DMRT.

    Quality and chemical components of milled rice of ‘Sukwang’ under different transplanting dates.

    ♪Means with the same letters in a column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DMRT.

    Reference

    1. Aimi R (1976) Cell-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aspects in the physiological of ripening , Intern. Rice Comm. Newsletter (special issue), pp.106-111
    2. Choi HO (1966) Studies on the ecological variations of rice plant under the different seasonal cultures , RDA, Vol.9 (1) ; pp.1-38
    3. Choi SJ , Choi HO (1980) Ingeritance and variability of alkali digestion value in rice kernels , J. Korean Soc. Crop Sci, Vol.25 (2) ; pp.15-22
    4. Choi WY , Nam JK , Kim SS , Lee JH , Kim JH , Park HK , Back NH , Choi MG , Kim CK , Jung KY (2005) Optimum transplanting date for production quality rice in honam plain area , Korean J. Crop Sci, Vol.50 (6) ; pp.435-441
    5. Heu MH , Moon HP (1974) Basic studies for the breeding of high protein rice. Effect of short-day and high-tenperature treatment on the amylose and crude protein content of rice , J. Korean Soc. Crop Sci, Vol.14; pp.129-133
    6. Heu MH , Suh HS , Kim KH , Park SZ , Moon HP (1976) The environmental variation of protein content, amylose content and alkali digestibility of rice grain , Seoul Natl. Univ. Coll. of Agric. Bull, Vol.1 (1) ; pp.21-37
    7. Honjo K (1971) Studies on protein in rice grains. 2. Effects of fertilization on protein content and protein production in paddy rwains , Proc. Crop Sci. Soc. Japan, Vol.40; pp.183-189
    8. Hwang HG (1992) The environmental variation and varietial classification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 related with grain quality of rice(Oriza sativa L) , Kyungpook Univ, pp.-81
    9. Juliano BO (1985) Criteria and tests for rice gain qualities, Rice: Chemistry and technology, The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Inc, pp.43-524
    10. Kataoka K (1975) Studies on chemical quality of rice kernel. 6. Effects of temperature on protein content , Bull. Faculty Agri. Tamagawa Univ, Vol.15; pp.96-100
    11. Kido M , Yanatori S (1965) Histochemical studies of protein accumulation process in rice grains , Proc. Crop Sci. Soc Japan, Vol.34; pp.204-209
    12. Kim SS , Back NH , Seok SJ , Lee SY , Cho DS (1995) Effect of seeding times on growth and yield of rice in puddled drill seeding at southern plain area , Korean J. Crop Sci, Vol.40 (2) ; pp.212-220
    13. Kim SS , Lee SY , Kim JH , Bae SH (1986) Optimum transplanting time for double cropping in the southern plain area , Res. Rept. RDA, Vol.28 (1) ; pp.256-259
    14. Ku JO , Lee DJ , Huh SM (2003) Rice quality and taste , RDA, pp.-276
    15. Lee JC , Ahn SB (1984) The Climatic influence on spikelet formation and yield of lowland rice , Korean J. Crop Sci, Vol.29 (4) ; pp.366-375
    16. Lee SS (1983) Utilization of growing degree days as an index of growth duration of rice varieties , Korean J. Crop Sci, Vol.28 (2) ; pp.173-183
    17. Lee SY , Kim SS , Choi JS , Choi YK , Lee KY , Lim MS , Murakami T (1988) Influence of Cultural Methods and Climatic Condition on Rice Yield in the Southern Plain Area and Alpine Area , Res. Rept. RDA, Vol.30 (2) ; pp.25-31
    18. Matsue Y , Mizuta K , Furuno K , Yoshida T (1991) Studies on palatability of rice grown in Northern Kyushu : I. Effects of transplanting time and lodging time on palatability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illed rice , Jap. J. Crop Sci, Vol.60 (4) ; pp.490-496
    19. Moon HP , Heu MH (1975) Basic studies for the breeding of high protein rice. V. Effect of planting and harvesting date on the amylose and protein content in rice grain , Korean Soc. Crop Sci, Vol.19; pp.14-20
    20. Oh YB , Kim JI , Park JW , Lee SJ , Oh YJ , Park RK (1991) Studies on rice grain quality. 1. Effect of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occurrence of chalkines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halky kernels , Res. Rept. RDA(R), Vol.33 (3) ; pp.91-98
    21.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2) Research and analysis standards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pp.317-338
    22. Shozo M (1982) Establishment of rice direct seeding in submerged soil , J. Agri. Sci, Vol.37 (7) ; pp.294-298
    23. Tsumori J (1957) Actual Problems in Rice Early Cultivation , Agriculture Horticulture, Vol.32 (7) ; pp.2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