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8504(Print)
ISSN : 2287-8165(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Vol.27 No.2 pp.158-161
DOI : https://doi.org/10.12719/KSIA.2015.27.2.158

Variation of Grain Characteristic and Quality in Rice Varieties by Developed Cambodia

Yun-Ho Lee, Dan-Bee Woo, Jin-Ki Bang†, Woon-Goo Ha*, Byeong-Yong Park**
KOPIA-Cambodia Center
*Rice Research Division, NICS, RDA, Suwon 441-857, Korea
**Technology Cooperation Bureau, RDA, Jeonju, 560-500, Korea
Corresponding author: (Phone) +855-23-631-9691 bangjkpius@hanmail.net
October 8, 2014 April 21, 2015 April 21, 2015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imate the seed characteristics and quality of rice 36 varieties developed in Cambodian Agricultural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CARDI). Most Cambodia rice varieties were photosensitive. The thousand grains weight was range 24-31 g, and nonphotosensitive medium rice was higher in 31.4 g, while late rice lowers in 24.2 g. In the grain length was from 7.9 to 10.6 mm, most varieties were extra-long grain type. Grain width was range in 1.77- 2.03mm.The head ric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varieties. The head rice rations were ranged 31-66%. In particular, the Aromatic medium rice was higher of 66.9%, and other varieties were under of 50%. Chalky rates were range of 1.1 - 19.4%. Aromatic medium rice was lower of 1.1%. In contrast, late rice was higher of 3.5%. The protein content range was of 7 - 8%. Overall, most rice were not a significant among varieties. The amylose content range was from 17.2% to 27.3%. Particular, medium rice aroma was lower of 17.2% than in other varieties.


캄보디아 육성 주요 벼 품종의 종실 및 이화학적 특성

이 윤호, 우 단비, 방 진기†, 하 운구*, 박 병용**
KOPIA 캄보디아센터
*국립식량과학원
**농촌진흥청 기술협력국

초록


    캄보디아는 농촌 인구의 78%가 메콩강과 톤레샵 지역을 중심으로 벼 재배를 하고 있는 전형적인 농업국가이다. 캄보디 아에 있어서 벼는 생계 유지와 상업용으로 재배되는 주요 식 량 작물로서 우기와 건기로 나뉘어 재배되고 있다.

    벼 재배의 78%가 우기에 재배되고 있으며, 재배환경에 따라 육도 1.9%, 조생종 25.7%, 중생종 48.1%, 만생종 21.7% 및 부도 2.6%로 구분된다(MAFF, 2014).

    조생종은 건기(11월 ~ 3월)와 이른 우기(5월 ~ 7월 중순)로 관 개수로 지역과 감수지역에서 재배되고 있으며, 생육기간이 짧 은 비감광성 품종인 IR66과 베트남 남부로부터 도입된 IR504 (남꽁바) 가 주로 재배되고 있다. 반면, 중생종과 만생종은 우 기 벼(7월 ~ 12월)로 생육기간이 다소 긴 감광성 품종으로 구분 되어 재배되고 있다. 1990년 후반부터 조생종과 중생종의 재배 면적이 급속하게 증가하는 반면 만생종과 부도는 줄어들고 있 다(Lee et al., 2014).

    캄보디아는 1960년대 주요 쌀 수출국가이었지만, 1970년대 내전으로 인하여 쌀 수출과 생산량이 낮았으나, 1980년대 부터 정치적 안정과 지속적인 5개년 정책 시행으로 경제 발전이 이루어지면서 1980년 1,600,550톤을 시작으로 2014년에는 7,143,521톤이 생산되었으며, 같은 기간 재배면적은 1,346,000 ha 에서 2,564,572 ha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2005년 이후부터 캄보디아는 쌀 자급자족을 달 성하는 동시에 남는 벼가 생산되고 있다(MAFF, 2006). 캄보다 아 정부는2015년까지 쌀 100만톤 수출 목표를 계획으로 2014 년 387,061톤을 수출하였다(Mekong Oryza and Cambodia Rice Federation, 2015). 이러한 결과 생산량 증가와 쌀 수출 증가에 따른 품질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지난 2010년 국 가 연구기관인 캄보디아농업연구개발원(CARDI)에서 육성된 38 개의 벼 품종 중 10개의 장려 품종을 선정하여 농가에 보급하 고 있다(CARDI, 2011).

    본 연구는 캄보디아에서 육성된 벼 품종을 대상으로 종실 특성과 이화학적 분석을 통해 금후 캄보디아 고 품질 벼 품 종개발과 수출방향에 있어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 였다.

    재료 및 방법

    품종별 특성분석을 위한 시료는 2012년 CARDI 시험포장에 서 재배된 캄보디아 36품종을 캄보디아농업개발연원으로부터 분양 받아 종실과 이화학적 특성 등을 조사하였다. 종실의 외 형특성은 종실수분 함량(GMK-303 HC, Korea), 1,000립중, 종실 입장과 입폭 등을 3반복으로 측정하였다.

    백미의 특성 분석을 위해 도정은 고무롤러식(MTH 35A, Rice machinery supply corp)과 도정된 백미는 연삭식 정미기 (60-115-60-2ADT,Grain machinery mfg corp)을 이용하였다.

    백미의 미질특성 분석은 S21 (Rice Statistical Analyzer, Agromay Souluciones Tecnicas Sl)을 이용하여 50g씩 2반복으로 완전미, 착색립, 분상질립 부분분상질립 그리고 싸라기로 분류 하여 분석하였다.

    아밀로스 함량은 Juliano의 비색정량법(1971)에 따라 쌀가루 호화액의 요드정색도에 따라 함량을 측정하였다. 단백질함량 은 습식 분해한 시료를 Micro-Kjeldahl (Foss Co., Model 2300 Kjeltec Analyzer)장치를 이용하여 분석한 전 질소함량에 5.95를 곱하여 계산하였다. 재배기간 동안의 기상자료는 캄보 디아농업개발연구원으로부터 제공받았다.

    결과 및 고찰

    재배환경에 따른 품종 특성

    캄보디아농업개발연구원에서 육성된 품종은 Table 1에서 보 는 바와 같다. 199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캄보디아는 CIAP 프로젝트에 의해 총 38품종이 육성되었다(Mok et al., 2000, CARDI, 2001). 본 시험에 조사된 품종은 36 품종으로 재배환 경에 따라 조생종(9), 중생종(15), 만생종(9) 및 부도(3)로 구분 하였으며, 그 중 중생종은 비감광성(5), 아로마(5) 및 감광성 (5)로 분류하여 조사하였다. 생육일수는 조생종은 110 ~ 120일, 중생종은 120 ~ 150일, 만생종과 부도는 160일 이상이었다. 원 산지는 캄보디아, 태국과 국제미작연구소 품종이었으며, 육성 된 조생종과 일부 중생종을 제외한 대부분은 감광성 품종으로 이앙시기 및 출수기에 의해 수량 변화에 밀접한 관계를 보이 고 있다(Fukai and Ouk, 2012).

    재배기간의 기상환경

    재배기간 동안의 기상은 Table 2에서 보는 바와 같다. 기상 은 쌀의 식미와 관련된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Won et al., 2006). 월 평균 일사량 범위는 16.6 - 19.9 (MJ m–2 day–1) 이었으며, 출수시기인 9월과 10월 일사량이 낮았다. 월 평균 최고온도는 31.9 - 34.2°C를 기록하였으며, 8월은 낮은 강 우량과 높은 일사량으로 인해 재배기간 동안 최고온도를 기록 하였다. 월 평균 최저온도의 범위는 28.7 - 30.2°C를 보여 월 별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강수량은 7월과 9월이 가장 높은 반면, 8월이 낮았고 10월 부터 강수량이 줄어 들었다. 캄보디아의 강우 양상은 출수기 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재배환경에 따른 종실 특성

    종실 수분함량, 1,000립중, 입장과 입폭을 조사한 결과는 Table 3에서 보는 바와 같다. 수분함량은 10 - 13% 범위로서 모든 품종이 낮았다. 수분함량은 도정에 있어서 큰 영향을 주 며, 우리나라의 경우 고품질 벼 수분함량은 16% 정도가 가장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RDA, 2006). 수분함량이 15%이하 이면 저장성에서 안전하지만, 식미가 떨어진다는 것이 일반적 견해이다(Choi, 2002).

    1,000립 중은 24-31 g범위로 중생종의 무 감광성이 31.4 g으 로 높은 반면 만생종은 24.2 g으로 낮았다. 국제미작연구소에 따르면 입장이 7 mm이상 이면 장립종(extra-long)으로 분류하 고 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입장은 7.9 - 10.2 mm범위로 모 든 품종이 장립종에 속하였으며, 특히 중생종 향미와 부도가 10 mm 이상으로 다른 품종에 비해 길었고, 만생종이 가장 짧 았다. 입폭은 1.77 - 2.03 mm 범위로서, 부도가 2.03 mm으로 가장 넓었다.

    도정된 쌀 품질 특성과 단백질 및 아밀로스 함량은 Table 4 에서 보는 바와 같다. 완전미의 비율은 31 - 66%로서, 조생종의 향미가 66.9%로서 가장 높았고, 조생종의 무 감광성이 28.5% 로 가장 낮았다. 이러한 결과는 향미에 분상질립이 적어서 완전 립이 높아진 것으로 판단된다. 완전미가 비율이 높을수록 고품 질 쌀로서 우리나라의 경우 쌀의 구매 조건에 있어서 쌀의 형 태를 중시한다는 답변이 77.4%로 나타나 완전미의 비율이 구 매조건에 중요한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RDA, 2003).

    불완전미의 착색미 비율은 0.4 - 5%로서, 만생종이 5%로 가 장 높았다. 분상질립의 비율은 1.1 - 19.4% 범위로 중생종의 향미가 1.1%로 가장 낮은 반면, 만생종이 3.5%로 높았다. 부 분분상질립 비율은 4.7 - 17.3%로서, 중생종의 향미가 낮은 반 면 중생종의 감광성이 높았다. 싸라기는 만생종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품종이 20%를 넘었다. 조사된 품종 중 조생종과 중 생종의 향미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50% 이하의 완전립 비율을 보여 품질이 우수하다고 평가하기에 어려움이 있으며, 제현과 정에 있어서 쇄미가 많이 발생하였다. 또한 수확 후 건조 작 업 중 급격한 건조와 높은 온도는 도정작업에 있어서 싸라기 의 발생에 많은 영향을 준다(RDA, 2003). 이러한 결과는 캄 보디아 건조작업 여건상 고온으로 건조한 결과로 판단된다.

    밥맛에 관여하는 이화학적 요인으로는 아밀로스 함량, 단백 질 함량 Mg/K 비율, 경도와 점성 등이 있다. 특히 밀접한 관 련이 있는 요소는 아밀로스와 단백질함량으로 보고 있다 (Kwak, 2009). 쌀의 단백질 함량이 높으면 밥맛이 저하된다고 하였으며, 그 원인으로는 시비량, 벼 생육기간, 일장, 품종, 생 산연차 등이 관여하지만 무엇보다 질소 질 비료가 과다하거나 생육기간과 일장이 짧으면 단백질함량이 높아진다고 보고 된 바 있다(RDA, 2003). 조사된 36개 품종의 단백질 함량은 7 - 8%로서, 우리나라의 쌀 단백질 함량 범위인 7% 내외보다 다 소 높았다.

    조사된 품종은 재배기간 동안 높은 강우량과 짧은 일장 및 일사량으로 대부분의 단백질 함량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단 백질 함량이 높은 쌀은 밥의 점성과 탄성 및 구수한 맛을 떨 어뜨리기 때문에 단백질 함량이 낮은 쌀이 대체로 밥맛이 좋 게 평가된다고 하였다(Lee et al., 2003). 캄보디아 쌀의 밥맛 이 떨어지는 한 요인으로 보여진다.

    우리나라의 아밀로스 함량 범위는 17-20%인 반면, 36개 품 종의 아밀로스 함량의 범위는 17.2 - 27.3%로써, 중생종 향미 를 제외한 모든 품종이 20% 이상의 높은 함량이었으나, 중생 종의 향미가 17.2%로써 아밀로스 함량이 가장 낮았다. 아밀로 스 함량은 품종, 생산연차, 토양, 생산지, 수확시기 순으로 크 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RDA, 2003).

    캄보디아에 있어서 고 품질 쌀 생산을 위해서는 향미 품종 에 대한 재배기술과 수확 후 관리 등에 대한 체계적이고 지속 적인 관리가 수반되어야만 고품질 쌀 생산은 물론 쌀 수출 증 대에 기여하게 될 것으로 판단된다.

    적 요

    본 연구는 캄보디아에서 육성된 36개 벼 품종의 종실 및 이화학적 특성 등 분석을 통해 금후 캄보디아 고품질 벼 품종 개발과 쌀 수출증대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시험하였으 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캄보디아에서 육성된 벼 품종은 대부분이 감광성이며, 무 감광성은 조생종과 일부 중생종이였다.

    2. 종실의 주요 특성 중 1,000립중의 범위는 24-31 g이었다. 중생종의 무 감광성이 31.4 g으로 높은 반면 만생종은 24.2 g 으로 낮았다. 입장은 7.9 - 10.6 mm으로 모든 품종이 장립종 이었다. 입폭은 1.77 - 2.03 mm로 품종간 차이는 없었다.

    3. 도정된 벼의 특성 중 완전미의 비율은 31 - 66% 범위이며, 중생종 향미가 66.9%로 높았다. 반면 다른 품종은 50%이하를 보였다. 분상질립의 비율은 1.1 - 19.4% 범위로 중생종 향미가 1.1% 가장 낮은 반면 만생종이 3.5%로 높았다.

    4. 단백질 함량은 7 - 8% 범위이고, 아밀로스 함량은 17.2 - 27.3% 범위였으며, 특히 중생종의 향미가 17.2%로 다른 품종 에 비해 가장 낮았다.

    Figure

    Table

    List of rice varieties tested and heading time in Cambodia rice

    ※Variety grouping was followed by CARDI method

    Climatic changes during rice growing period (July ~ December 2012)

    Variation of grain in rice varietal groups classification

    †( ): Standard Error

    Milled rice characteristics and grain quality by rice varietal groups classification

    †( ): Standard Error

    Reference

    1. CARDI (2001) Description of Rice Varieties Released the Varietal Recommendation Committee of Cambodia (1990-2000), Cambodian Agricultural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2. CARDI (2011) Annual Report, Cambodian Agricultural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pp.20
    3. Choi HC (2002) Current status and perspectives in varietal improvement of rice cultivars for high quality and value-added products , Korea J. crop Sci, Vol.47 (s) ; pp.15-32
    4. Fukai S , Ouk M (2012) Increased productivity of rainfed lowland rice cropping systems of the Mekong region , Crop & Pasture Science, Vol.63; pp.944-973
    5. Juliano BO (1971) A simplified assay for milled-rice amylose , Cereal Sci. Today, Vol.16; pp.334-336
    6. Kwak TS (2009) Variation of Amylose, Protein, Alkali Digestive Value, and Moisture Contents in Rice Varietal Groups Classified by the Days from Seeding to Heading , Korean J. Intl. Agri, Vol.21 (1) ; pp.28-32
    7. Lee KB , Jun DK , Chae JC (2003) Effect of nitrogen fertilization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grain and aroma active compounds of cooked rice , Korean J. Crop Sci, Vol.48 (6) ; pp.527-533
    8. Lee YH , Seong JE , Bang JK , Lee SK , Cho YH (2014) Effects of Main Yield Constraints on Rice Production in Cambodia , Korean J. Int. Agric, Vol.26 (1) ; pp.6-10
    9. MAFF (2014) Annual report for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2013-20134. Ministry of Agriculture Forester and Fisheries. MAFF Conference April. 2014,
    10. MAFF (2006) Annual report for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2013-20134. Ministry of Agriculture Forester and Fisheries. MAFF Conference April. 2006,
    11. Mak S , Meas P , Thy C , Men S , Peter C (2000) Impact of Agriculture Research on Rice-Based Farming Systems in Cambodia , Cambodia J. Agri, Vol.3; pp.1-7
    12. Mekong Oryza and Cambodia Rice Federation (2015)
    13. RDA (2001) High quality techniques of rice, pp.471
    14. RDA (2003) Production and management of high quality rice, pp.32
    15. RDA (2003) Analysis for preference of consumer in rice quality, pp.105
    16. Won JG , Park SG , Ahn DJ , Park SD (2006) Annual variation of quality in commercial rice produced in Gyeongbuk , Korean J. Crop Sci, Vol.51 (3) ; pp.227-2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