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8504(Print)
ISSN : 2287-8165(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Vol.27 No.3 pp.398-404
DOI : https://doi.org/10.12719/KSIA.2015.27.3.398

The Performance of Growth Traits in Korean Domestic Animal Genetic Resources; Chikso, Heugu, and White Hanwoo

Seong-Bok Choi†, Chang-Yeon Cho, Jae-Hwan Kim, Mi-Jeong Byun, Sang-Won Suh, Yeoung-Gyu Ko, Young-Moo Cho, Young Sin Kim*
Animal Genetic Resources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Namwon 55717, Korea
*Department of Animal Scienc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61186, Korea
Corresponding author (Phone) +82-62-530-0211 (kys60m@gmail.com)
February 24, 2015 July 30, 2015 August 25, 2015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erformance of growth traits such as birth, weaning, 12 months of age, 18 months of age, and 24 months of age weights and body measurement traits in Korean Traditional Cattle; Chikso, Heugu, and White Hanwoo. The number of individuals for this study was 10 heads for Chikso, 15 heads for Heugu, and 7 heads for White Hanwoo, respectively. For body weights at various age, body weight from birth through 12 month was the heaviest in Heugu and was the lightest in Chikso. Body weight from 18 month to 24 month was the heaviest in White Hanwoo and was the lightest in Chikso. The values of body measurement traits in Korean Traditional Cattle were quite similar to those of Hanwoo at 24 month of age in cows but were much lower at 26 month in bulls than those of Hanwoo steers. This result seems to be due to the effects of improvement of Hanwoo steers. Correlation for the reproductive traits of cows such as Rump Length and Hipbone Width was highly positive with body weight, body length, and Rump Width in Chikso, was also highly positive with Withers Height, Rump Height, and Rump Width in Heugu, and was also highly positive with all traits in White Hanwoo. Correlation for the robustness traits of bulls such as Chest Girth and Chest Width was highly positive with Body Length, Rump Length, Rump Width, and Pelvic Width in Chikso, was also highly positive with Body weight, Rump Height, Rump Length, and Rump Width in Heugu, and was also highly positive with all traits except Hipbone Width in White Hanwoo. This result indicated that indicator of indirect selection for body weight and body components traits would be Rump Width in cows and Rump Length in bulls.


국내 고유유전자원으로서의 칡소, 흑우, 백우에 대한 성장형질의 특성연구

최 성복†, 조 창연, 김 재환, 변 미정, 서 상원, 고 응규, 조 영무, 김 영신*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센터
*전남대학교 동물자원학부

초록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J01029301

    우리나라에 서식하던 원시 야생소가 고유한 특성을 지닌 한우로 축화 되기까지는 오랜 기간 이 지역의 기후풍토에 적 응하고 한민족과 더불어 생활하는 과정을 거쳐서 이루어 졌 다. 한우(韓牛)라는 명칭은 적어도 16세기 말 이후에 생성되 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고려시대 ‘신편우의방(新編牛醫方)’에 는 빛깔에 따른 분류로 황우, 흑우, 백우, 청우, 얼룩소 등의 종류가 나오지만 이후 조선시대‘실록’에 의하면 사실상 청우 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렇듯 우리나라 전통 한우는 모색에 따라 5가지로 분류 할 수 있고, 그 중 황우는 전국적인 사육두수가 2014년 9월 현재 320만두로 전통한우 의 대표성을 갖게 되었지만, 칡소는 2,000여두, 흑우는 1,500 여두 내외, 백우는 20여두 내외의 희소가축 유전자원으로서 아 직 인위적으로 보호해야 할 멸종위험이 있는 전통한우이다. 황우(Hanwoo), 흑우(Heugu), 제주흑우(Jeju Black Cattle), 칡소(Chikso)는 FAO, DAD-IS에 등재(Choi et al., 2012)되 었고, 백우(White Hanwoo)는 2014년에 등재되었다. 흑우, 칡소 및 제주흑우는 현재 멸종위험 또는 멸종위기에 놓여 있 는 품종이다. 한우의 모색을 황갈색 한 가지로 통일시켜 개 량하고자 했던 결과, 이들 품종이 관심의 대상에서 제외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와 같이 전통한우인 황우의 연구와 개량목표는 지금까지 학계 및 국가기관을 중심으로 꾸준히 이루어져 그 능력이 크 게 향상되어 왔으나, 칡소, 흑우, 백우에 대해서는 정확한 사 육실태 파악은 물론 관련 연구는 아직 미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센터에 서 사육하고 있는 칡소, 흑우 및 백우의 체중, 체척 등 성장 형질의 변화양상을 분석하고 비교함으로써 우리나라 전통한우 의 연구와 개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재료 및 방법

    공시동물 및 시험설계

    본 시험에 사용된 공시동물은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센터에서 2000 ~ 2014년도 까지 사육하고 있는 칡소 10두, 흑우 15두, 백우 7두 등 총 32두에 대해 체중과 체척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사양관리

    사양관리는 가축유전자원센터 한우사양관리 요령을 적용하 였으며, 사육단계별로 농후사료는 시중 판매되는 일반사료를 급여하였고, 건초와 물은 자유 채식시켰다.

    조사항목

    본 연구에서 조사한 형질들은 생시, 이유시, 12개월령, 18개 월령, 24개월령 체중과 체형형질인 체고, 십자부고, 체장, 흉 심, 흉폭, 흉위, 고장, 요각폭, 곤폭 및 좌골폭을 실측하였다. 체 중은 현장에 비치된 체중계를 이용하였으며, 체척은 한국종축 개량협회 공고 1997-7의 검정요령에 따라 다음과 같은 방법으 로 측정하였다.

    체고(Withers Height)

    기갑의 정점에서 지면까지의 수직거리(cm)

    십자부고(Rump Height)

    십자부에서 지면까지의 수직거리(cm)

    체장(Body Length)

    어깨전단에서 좌골후단을 직선으로 이은 수평거리(cm)

    흉심(Chest Depth)

    견갑골 뒤의 등에서 가슴바닥까지의 수직거리(cm)

    흉폭(Chest Width)

    견갑골 뒤의 폭에 대한 거리(cm)

    흉위(Chest Girth)

    견갑골 직후를 통하는 가슴부위 둘레(cm)

    고장(Rump Length)

    요각전단에서 좌골후단까지의 직선거리(cm)

    요각폭(Rump Width)

    좌우측 요각의 가장 넓은 부위 사이의 직선거리(cm)

    곤폭(Pelvic Width)

    좌우 곤부 사이의 가장 넓은 부위의 수평거리(cm)

    좌골폭(Hipbone Width)

    좌우 좌골결절 외단 사이의 수평거리(cm)

    통계처리

    본 시험에서 얻어진 모든 결과는 Statistical Analysis System (SAS release ver. 9.2, 2014)의 General Linear Model (GLM) procedure를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고, 계통간 유의 성은 Duncan’s multiple range test (Duncan, 1955)를 이용하 여 5% 수준에서 검정하였다.

    결과 및 고찰

    체중

    본 시험에서 나타난 전통한우인 칡소, 흑우 및 백우의 생시, 이유시, 12개월령, 18개월령, 24개월령 체중들의 변화는 Table 1 에 나타내었다. 생시, 이유시, 12개월령 체중은 흑우가 25.94, 106.18, 226.83 kg으로 가장 높았고, 칡소는 23.25, 95.10, 208.56 kg으로 가장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 차이는 나 타나지 않았다. 18개월령과 성숙기에 들어선 24개월령 체중은 백우가 330.50, 416.50 kg 가장 높게 조사되었고, 칡소는 273.50, 366.89 kg으로 낮게 조사되었다.

    우리나라 전통한우인 칡소, 흑우, 백우의 체중 및 체척 등 성장형질에 대한 문헌적 접근이 많이 이루어지지 않아 자료비 교가 쉽지 않았지만, 그동안 체계적으로 연구와 개량이 이루 어지고 있는 황우와의 비교는 가능하였다. Choi et al. (2003) 이 보고한 강원도 평창군 대관령 지역에서 사육된 황우 암소 의 생시, 4개월령, 12개월령, 및 24개월령 체중은 24.97, 94.95, 214.34 및 333.64 kg과, 수소의 생시, 4개월령, 12개월 령, 및 24개월령 체중은 26.21, 104.42, 392.41 및 682.94 kg 과 비교해 보면, 전통한우의 암소 전 기간과 수소의 12개월령 이전까지는 성장능력이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나, 전통한우 수 소 12개월령 이후부터 체중에 대한 증체량에서 크게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일반적인 육우의 성장특성인 황우 수 소의 선발과 개량효과를 시사하는 결과라고 사료된다.

    체척

    칡소, 흑우 및 백우의 24개월령 체고, 십자부고, 체장, 흉심, 흉폭, 흉위, 고장, 요각폭, 곤폭 및 좌골폭의 평균 및 표준편차 는 Table 2에 제시한 바와 같다. 칡소, 흑우, 백우의 체고는 각각 123.40 ± 6.75, 120.93 ± 3.75, 124.00 ± 6.81 cm로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고, 십자부고는 각각 124.90 ± 7.00, 122.07 ± 3.20, 124.86 ± 6.52 cm로 조사되었다. 체장은 칡소 134.50 ± 6.29, 흑우 134.60 ± 5.00, 백우 137.43 ± 6.45 cm 였 으며, 흉심은 칡소 66.20 ± 5.29, 흑우 63.13 ± 2.72, 백우 67.29 ± 5.47 cm로 조사되었다. 칡소, 흑우, 백우의 24개월령 흉폭은 각각 41.50 ± 9.13, 41.33 ± 6.34, 39.71 ± 3.73 cm로 조 사되었으며, 흉위는 각각 171.40 ± 12.93, 174.47 ± 8.85, 174.57 ± 11.39 cm로 조사되었다. 24개월령 고장은 칡소 45.50 ± 6.57, 흑우 44.27 ± 3.39, 백우 45.29 ± 4.64 cm로 조사되었으며, 칡소, 흑우, 백우의 요각폭의 평균 및 표준편차는 각각 42.00 ± 5.14, 42.20 ± 3.32, 42.71 ± 4.39 cm로 비슷하게 조사되었다. 곤폭은 각각 41.60 ± 3.20, 42.73 ± 1.39, 42.00 ± 2.45 cm이었으며, 좌 골폭은 각각 25.90 ± 4.23, 25.73 ± 2.31, 24.29 ± 2.93 cm의 결 과를 나타내었다.

    Yang et al. (1989)이 발표한 24개월령 황우 암소의 체고 117.38±9.62cm, 십자부고 119.26 ± 1.05 cm, 체장 130.51±1.65 cm, 흉심 59.73±0.74cm, 흉폭 33.02±0.78cm, 흉위 158.36±2.01 cm, 고장 42.80 ± 0.60 cm, 요각폭 37.52 ± 0.64 cm, 곤폭 35.96 ± 0.56 cm, 좌골폭 22.19 ± 0.51 cm와 전통한우인 칡소, 흑우, 백 우 암소의 모든 체형형질 측정치와 비슷하게 추정되었다.

    또한 Koo et al. (2008)이 발표한 전국한우능력평가대회 출 품한 평균 26.48개월 황우 거세우의 체고 136.14 ± 4.51 cm, 십자부고 137.79 ± 4.62 cm, 체장 157.77 ± 6.97 cm, 흉심 77.55 ± 3.62 cm, 흉폭 51.72 ± 4.30 cm, 흉위 217.31 ± 11.36 cm, 고장 55.04 ± 3.19 cm, 요각폭 50.21 ± 2.96 cm, 곤폭 48.29 ±2.94 cm, 좌골폭 29.12 ± 2.04 cm 와 전통한우 수소와 비교하여 살펴보 면, 칡소는 체장, 흉위, 흉심에서 큰 차이로 낮게 추정되었고 다른 체형형질은 비슷하게 추정되었다. 반면 흑우와 백우는 모 든 체형형질에서 큰 차이로 낮게 추정되었다. 이러한 결과 또 한 황우 수소의 개량효과를 시사하는 결과라고 사료된다.

    상관관계

    칡소의 24개월령 체중과 체척간의 상관관계는 Table 3과 같 다. 암컷의 상관관계에서 체중과 체장, 흉심, 흉폭, 흉위, 고장, 요각폭, 곤폭간의 상관계수는 각각 0.72, 0.83, 0.86, 0.95, 0.93, 0.90, 0.75로 높은 정의 상관을 보였다. 그리고 번식 관 련 형질인 고장과 체장, 흉심, 흉폭, 흉위, 요각폭의 상관계수 는 각각 0.81, 0.77, 0.72, 0.88, 0.81로 높은 정의 상관을 보 였으며, 좌골폭과 체중, 체장, 고장, 요각폭의 상관계수는 각각 0.64, 0.70, 0.58, 0.60으로 정의 상관을 보였다. 수컷의 상관 관계에서 체중과 체고, 십자부고간의 상관계수는 0.95, 0.98로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리고 강건성 관련 형질인 흉 위와 체장, 고장, 요각폭, 곤폭간의 상관계수는 각각 0.96, 0.99, 0.99, 0.96으로 높은 정의 상관을 보였으며, 흉폭과 체장, 고장, 요각폭, 곤폭간의 상관계수는 각각 0.99, 0.99, 0.96, 0.99로 높은 정의 상관을 보였다.

    Table 4는 흑우의 24개월령 체중과 체척간의 상관관계를 나 타낸 것이다. 암컷의 상관관계에서 체중과 흉위, 고장, 요각폭, 곤폭간의 상관계수는 각각 0.64, 0.94, 0.82, 0.69로 높은 정 의 상관을 보였다. 그리고 번식 관련 형질인 고장과 체고, 십 자부고, 흉위, 요각폭, 곤폭의 상관계수는 각각 0.66, 0.70, 0.82, 0.90, 0.81로 높은 정의 상관을 보였으며, 좌골폭과 체고, 십자부고, 고장, 요각폭의 상관계수는 각각 0.46, 0.46, 0.58, 0.65로 정의 상관을 보였다. 수컷의 상관관계에서 체중과 흉심, 흉위, 고장, 요각폭간의 상관계수는 0.93, 0.91, 0.91, 0.87로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리고 강건성 관련 형질인 흉 위와 체고, 십자부고, 고장, 요각폭간의 상관계수는 각각 0.85, 0.77, 0.94, 0.92으로 높은 정의 상관을 보였으며, 흉폭과 십자 부고, 고장, 요각폭, 곤폭간의 상관계수는 각각 0.62, 0.79, 0.66, 0.67로 정의 상관을 보였다.

    백우의 24개월령 체중과 체척간의 상관관계는 Table 5에 나 타낸 바와 같다. 암컷의 상관관계에서 체중과 체고, 십자부고, 흉심, 요각폭간의 상관계수는 각각 0.99, 0.99, 0.99, 0.87로 높은 정의 상관을 보였다. 그리고 번식 관련 형질인 고장과 체고, 십자부고, 체장, 흉폭, 요각폭, 곤폭의 상관계수는 각각 0.95, 0.95, 0.97, 0.95, 0.99, 0.95로 고도의 정의 상관을 보 였으며, 좌골폭과 체장, 흉폭, 고장, 요각폭, 곤폭의 상관계수 는 각각 0.95, 0.98, 0.99, 0.99, 0.98로 높은 정의 상관을 보 였다. 수컷의 상관관계에서 체중과 체고, 십자부고, 흉폭, 흉의, 고장간의 상관계수는 0.99, 0.97, 0.98, 0.98, 0.97로 높은 정 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리고 강건성 관련 형질인 흉위와 체 고, 십자부고, 체장, 고장간의 상관계수는 각각 0.99, 0.99, 0.97, 0.99로 높은 정의 상관을 보였으며, 흉폭과 체고, 십자부 고, 체장, 고장간의 상관계수는 각각 0.99, 0.99, 0.97, 0.99로 높은 정의 상관을 보였다. 반면 좌골폭은 3품종 모두 수컷에 서 모든 형질간에 높은 부의 상관을 보였다.

    적 요

    본 시험은 우리나라 전통한우인 칡소, 흑우, 백우의 생시, 이 유시, 12개월령, 18개월령, 24개월령의 체중과, 체형형질을 비 교분석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공시축은 농촌진흥청 국립축 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센터에서 2011~2014 년도 까지 사육된 칡소 10두, 흑우 15두, 백우 7두를 이용하였다.

    개월령별 체중 변화를 살펴보면, 생시 ~ 12개월령 체중은 흑 우가 가장 높았고 칡소는 가장 낮은 경향을 보였고, 18개월 령 ~ 24개월령 에서는 백우가 가장 높게 조사되었고 칡소가 가 장 낮게 조사되었다.

    전통한우 24개월령 체형형질 측정치가 암소는 같은 개월령 의 황우와 비슷하게 추정되었지만, 수소는 26개월령 황우 거 세우와 비교하여 큰 차이로 낮게 추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황우 수소의 개량효과를 시사하는 결과라고 사료된다.

    암소의 번식관련 형질인 고장, 좌골폭과의 상관관계를 살펴 보면, 칡소는 체중, 체장, 요각폭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흑우는 체고, 십자부고, 요각폭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백우는 모든 형질에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수소의 강건 성관련 형질인 흉위, 흉폭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칡소는 체장, 고장, 요각폭, 곤폭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흑우는 체중, 십자부고, 고장, 요각폭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백 우는 좌골폭을 제외한 모든 체형형질에서 높은 상관관계를 보 였다. 이러한 상관관계를 고려하여, 체중 및 체형형질의 중요 한 간접선발 지표로 암소는 요각폭, 수소는 고장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종합적으로 칡소, 흑우, 백우에 대해 우리 고유유전자원으로 서의 보존의 한계를 극복하고 향후 이들의 산업적 이용을 고 려할 때 무엇보다도 개체 수 확보가 가장 시급한 과제이다. 이를 위해서 학계, 연구계 및 산업계가 연계된 체계적이고 다 양한 연구와 이들에 대한 구체적인 개량방향 및 목표설정 등 이 먼저 이루어 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Figure

    Table

    Average body weight (kg) of Korean traditional cattle at different months of age in the 3 different breeds.

    1A= Chikso, B= Heugu, and C= White Hanwoo.

    Summary of observations, overall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SD) by trait at 24 months of age.

    1A= Chikso, B= Heugu, and C= White Hanwoo.
    2WH = withers height (cm), RH = rump height (cm), BL = body length (cm), CD = chest depth (cm), CW = chest width (cm), CG = chest girth (cm), RL = rump length (cm), RW= rump width (cm), PW = pelvic width (cm), and HW = hipbone width (cm).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body weight and body measurements in Chikso cows(above diagonal) and Chikso bulls (below diagonal) at 24 months of age.

    1LW = live weight (kg), WH = withers height (cm), RH = rump height (cm), BL = body length (cm), CD = chest depth (cm), CW = chest width (cm), CG = chest girth (cm), RL = rump length (cm), RW = rump width (cm), PW = pelvic width (cm), and HW = hipbone width (cm).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body weight and body measurements in Heugu cows(above diagonal) and Heugu bulls (below diagonal) at 24 months of age

    1LW = live weight (kg), WH = withers height (cm), RH = rump height (cm), BL = body length (cm), CD = chest depth (cm), CW = chest width (cm), CG = chest girth (cm), RL = rump length (cm), RW = rump width (cm), PW = pelvic width (cm), and HW = hipbone width (cm).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body weight and body measurements in White hanwoo cows(above diagonal) and White hanwoo bulls (below diagonal) at 24 months of age

    1LW = live weight (kg), WH = withers height (cm), RH = rump height (cm), BL = body length (cm), CD = chest depth (cm), CW = chest width (cm), CG = chest girth (cm), RL = rump length (cm), RW = rump width (cm), PW = pelvic width (cm), and HW = hipbone width (cm).

    Reference

    1. Choi J G , Jeon K J , Lee C W , Na G J , Lee C , Kim J B (2003) Estimation of Genetic Parameters of Body Weight by Growth Periods for Hanwoo Using Animal Model , J. Anim. Sci. & Technol, Vol.45 (5) ; pp.667-678(Kor.)
    2. Choi S B , Byun M J , Kim Y S , Kim M J , Choy Y H , Kim D H , Jeong E G , Kang K S , Kim K H , Kim J H (2012) National Management System for Conservation of Livestock Genetic Resources:An Overview , Ann. Anim. Resour. Sci, Vol.23 ; pp.142-148
    3. Duncan D B (1955) Multiple range and multiple F tests , Biometrics, Vol.11 ; pp.1-42
    4. Koo Y M , Kim J I , Song C E , Lee J Y , Lee J H , Cho B D , Kim B W , Lee J G (2008) A Study on Genetic Parameters of Carcass Weight and Body Type Measurements in Hanwoo Steer , J. Anim. Sci. & Technol, Vol.50 (2) ; pp.157-166(Kor.)
    5. SAS Institute Inc (2014) SAS/STAT User`s Guide: Version 92 , SAS Institute Inc,
    6. Yang Y H , Ohh B K (1989) Studies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Body Weight and Body Measurements of Korean Native Cattle(HAN-WOO) , J. Anim. Sci. & Technol, Vol.31 (12) ; pp.751-754(K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