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8504(Print)
ISSN : 2287-8165(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Vol.27 No.3 pp.298-302
DOI : https://doi.org/10.12719/KSIA.2015.27.3.298

Compare of the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Korean Rice Varieties at Jinbu of Korea and Malong of China

Myeong-Ki Kim†, Sang-Bok Lee, Jong-Min Jeong, Eok-Keun Ahn, Jung-Pil Suh, Woong-Jo Hyun, Chang-Ihn Yang, Bo-Kyeong Kim, Ping-rong Yuan*, Shu-yan Kou*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NICS), RDA, Suweon 24010, Korea
*Institute of Food Crops, Yunnan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s, Yunnan, China
Corresponding author (Phone) +82-33-455-2031 (kimmk6690@korea.kr)
June 18, 2015 July 29, 2015 August 25, 2015

Abstract

In order to prepare for crop damage because by low temperature due to climate change in the future, we carried out to provide basic data for promotion of cold tolerance to Korean rice varieties. We analyzed air temperature of rice cultivation period and tested rice yielding productivity to Korean rice varieties at Jinbu of Korea and Malong of China in 2013. During the rice cultivation period, the maximum temperature 22.7 ~ 25.5°C at Malong of China were lower than 23.9 ~ 28.8°C at Jinbu of Korea. Malong of China is less change in the mean temperature of 20°C range, but Jinbu of Korea was a great change in the mean temperature of 13.0 ~ 24.3°C range. The minimum temperatures at Malong of China in July and August, heading and ripening stage, 1 ~ 2°C lower than the minimum temperatures at Jinbu of Korea. The main agronomic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The average heading days at Malong of China was 73.3 days which is 3.6 days longer than that at Jinbu of Korea was 69.7 days. The culm length and the panicle length of two experiment places was similar to 63 ~ 64cm and 18 ~ 19cm respectively. The tillers per hill at Jinbu of Korea was 14 tillers which is five tillers more than that at Malong of China. The spikelets per panicle at Malong of China was 102 spikelets which is 43 spikelets more than that at Jinbu of Korea. In relation to cold tolerance, the fertility rates of grain at Malong of China is 60%, and that at Chuncheon of Korea is 66%. The grain fertility rates of Jinbubyeo and Cheolweon87 were excellent among the varieties in the two experiment places. The 1,000 grain-weight of brown rice at Malong of China is 25.5 g, on the other hand, that at Jinbu of Korea is 23.0 g. The 1,000 grain-weight of brown rice at Malong of China a little heavier than that at Jinbu of Korea. The ripened rates of grain at Malong of China is 55.7%, and that at Jinbu of Korea is 90.3%. The ripened rates at Malong of China much lower than that at Jinbu of Korea. The average rice yield at Malong of China was 278 kg/10a which lower than the average rice yield of 540 kg/10a at Jinbu of Korea.


국내 육성 품종의 한국 진부와 중국 마롱에서 작물학적 특성 비교

김 명기†, 이 상복, 정 종민, 안 억근, 서 정필, 현 웅조, 양 창인, 김 보경, 원 평영*, 고 수연*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중국 운남성 곤명 운남성농업과학원 식량작물연구소

초록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J009325092015

    는 아열대 지역이 원산지인 작물로 주로 재배지는 온대, 아열대, 열대지방이 생육적지이며 벼의 생육에 알맞은 기온범 위는 19°C ~ 33°C로서 기온이 13°C ~ 17°C이하로 낮아지게 되 는 경우 생육불량, 불임, 등숙불량 등의 피해를 유발하여 결국 수량 감소로 이어지는데 이를 종합적으로 냉해라 한다(Lyons, 1973). 우리나라는 온대지역에 속하며 북방 한계 지역에 가깝 고 특히 산이 많은 특수한 지형 조건으로 기상조건으로 볼 때 벼가 재배될 수 있는 파종기에서부터 등숙기까지 모든 생육기 간에 냉해를 받기 쉽다(KRTWG, 2010). 벼는 냉해로 인해서 출수지연, 간장단축, 임실율 감소 등이 나타나고 결국 수량 및 품질을 크게 떨어뜨리는데 우리나라는 1971년, 1980년, 1988 년 및 1993년에 발생한 냉해가 대표적이며 특히 1980년 냉해 는 우리나라 벼 재배면적의 약 64.2%에 피해를 끼쳤으며 32%에 달하는 벼 수확량 감소를 가져와 230만톤의 쌀을 외국 에서 수입해야만 했다(Lee 1996, RDA 1981). 우리나라의 중 북부 중산간지와 냉수유출답 등의 냉해 우려 면적이 전체 벼 재배면적의 약 20%로 식량의 안정적 확보를 위하여 내냉성 벼 품종의 개발이 필요하다.

    중국 운남성은 중국의 서남부에 위치하여 베트남, 라오스, 미얀마 등 동남아 국가와 국경을 대하고 있으며 또 재배벼의 기원으로 알려져 있는 지역으로 고도 76 m에서 2,700 m의 고 지대까지 벼가 재배되고 있는데 1,500m 이상의 지대는 벼 생 육기간 중에 저온에 의한 냉해 위험이 상시 노출되어 있다. 또 운남성의 해발 1,500 ~ 2,400 m에 위치한 시험포장을 이용 하여 내냉성 벼 육종재료를 자연적으로 선발할 수 있어 운남 성은 자포니카 벼의 내냉성 유전자원이 풍부하다(Jiang, 1994). 지구 온난화 과정에서 벼 생육기간 저온 내습에 대응 국내 육 성 품종의 내냉성에 대하여 안정성을 증진시키고자 중국 운남 성 마롱시험지(해발 2,124m)와 국내 진부시험지(해발 576m) 등 2지역에서 국내육성 품종 및 계통을 시험재배하고 이들 품 종의 작물학적 특성 및 내냉성 등을 조사하여 국내 벼 품종의 내냉성 품종육성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그 결과를 보고한다.

    재료 및 방법

    본 시험은 2013년 오대벼, 진부벼, 철원84호, 철원85호, 철 원87호, 철원88호 등 6품종 및 계통을 중국 운남성 마롱(위도 25°42' N, 해발 2,124 m)과 국내 진부(위도 37°40' N, 해발 576 m) 지역에서 재배하여 시험하였다(Table 1, Fig. 1). 시험 지별 재배방법은 중국 운남성 마롱의 시험포장에서 3월20일 파종하였으며 5월10일에 재식거리 10 × 17 cm 간격으로 1주 3 본씩 이앙하였고, 시비량(N-P2O5-K2O)은 21-4.8-7.1 kg/10a 수 준으로 시용하였으며, 인산과 가리질 비료는 전량 기비로 시 용하였고 질소질 비료는 기비 70% 분얼비 30%로 분시하였다. 한국 진부의 시험포장에서는 4월20일 파종하였으며 5월20일 에 재식거리 30 × 12 cm 간격으로 1주 5본씩 이앙하였고, 시 비량(N-P2O5-K2O)은 10-6.4-7.8 kg/10a 수준으로 시용하였으며, 인산과 가리질 비료는 전량 기비로 시용하였고 질소질 비료는 기비 80% 분얼비 20%로 분시하였다. 그리고 한국 진부의 임 실율은 한국 국립식량과학원 춘천출장소의 관개수 온도 17°C 의 내냉성 검정포장에서 실시하였다. 주요 특성 조사는 농촌 진흥청 연구조사분석기준에 준하여 실시하였다(RDA, 2003). 기상은 시험장소의 기상 관측소의 기상 성적을 활용하였다.

    결과 및 고찰

    시험지의 기상

    우리나라 진부시험지와 중국 마롱시험지의 벼 재배기간 동 안 최저기온, 평균기온 및 최고기온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 Fig. 2이다. 벼의 이앙후 5월은 중국 마롱시험지는 우리나라 진부시험지보다 최고기온이 높으나, 그이후 6월부터 등숙기인 9월까지의 최고기온은 중국 마롱시험지가 22.7 ~ 25.5°C로 우 리나라 진부시험지 23.9 ~ 28.8°C보다 낮은 기온을 나타내고 있다. 또 벼 생육기간의 평균기온을 보면 중국 마롱시험지는 20°C 범위에서 변화가 적은데, 한국 진부시험지의 평균기온온 13.0 ~ 24.3°C로 변화가 심하였다. 반면 최저기온은 5월과 6월 에는 중국 마롱시험지가 우리나라 진부시험지보다 더 높았으 나, 출수기와 등숙기인 7월과 8월에는 중국 마롱시험지의 최 저기온이 한국 진부시험지보다 더 낮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마롱시험지의 출수기인 7월 중순부터 8월 중순까지는 같은 기 간 진부시험지에 비해 최저기온이 약 1 ~ 2°C 낮은 17°C이하 로 벼의 생장에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여 이러한 저온 조건은 벼의 저온장해 즉 지연형 및 장해형 냉해를 유발할 수 있는 자연적 조건이 될 수 있어 중국 마롱시험지는 벼 내냉성 검정에 좋은 시험지라 판단된다.

    주요 농업적 특성

    Table 2는 시험 품종의 이앙부터 출수까지의 출수일수이다. 우리나라 진부시험지에서의 출수일수는 66 ~ 73일로 평균 69.7 일, 중국 마롱시험지에서의 출수일수는 68 ~ 76일로 평균 73.3 일로 중국 마롱시험지의 출수일수가 평균 3.6일 길었다. Kwak et al. (2004), Hyun (2014)의 우리나라 자포니카형 품종이 운 남성에서 출수일수가 지연된다는 보고와 같았다. 이것은 중국 마롱시험지의 기온이 낮아 출수가 지연된 것으로 판단된다. 그 리고 이앙후 출수기까지의 적산온도를 보면 한국 진부시험지 가 1,299.4°C로 중국 마롱시험지 1,239.4°C보다 평균 60.0°C 가 많았다. 그러나 철원88호의 적산온도는 오히려 한국 진부 시험지가 중국 마롱시험지보다 56.0°C가 낮았다.

    또 평균 간장은 한국 진부시험지에서 63 cm 중국 마롱시험 지에서 64 cm, 또 이삭길이는 진부시험지에서 18 cm 마롱시험 지에서 19 cm로 간장과 이삭길이는 각각 비슷하였다. 그리고 임실율은 한국 춘천 내냉성 검정 시험포장에서는 평균 66%, 중국 마롱시험지에서는 60%로 중국 마롱시험지에서 6% 정도 낮았다. 그중 진부벼가 춘천 내냉성검정에서 92% 또 마롱시 험지에서 78%로 다른 품종보다 임실율이 양호하였다(Table 3). 이는 Cho et al. (1993)의 진부벼가 내냉성이 강하다는 내용 과 일치하여 진부벼는 벼 내냉성 유전자원으로서의 가치가 있 는 것으로 판단된다.

    수량구성 요소 및 쌀 수량성

    Table 4는 시험 품종들의 수량구성 요소 및 쌀 수량성이다. 공시 품종의 평균 주당수수는 한국 진부시험지에서 14개, 중 국 마롱시험지에서는 9개로 중국 마롱시험지에서는 한국 진부 시험지보다 주당수수가 5개 적어졌다. 반면 평균 수당입수는 한국 진부시험지에서 59개, 중국 마롱시험지에서는 102개로 마롱시험지에서 수당입수가 한국 진부시험지보다 월등히 많았 다. 수량구성요소 중 주당수수와 수당입수 요소는 상호 간에 유의적인 관련이 있어 일반적으로 이삭수가 많아지면 1수 립 수가 적어지고 반대로 이삭수가 적어지면 1수 립수가 많아지 는 상보성이 있어(Yoshida, 1981) 중국 마롱시험지에서는 한국 진부시험지와 비교하여 주당수수가 적은 반면에 수당입수가 많아진 것으로 사료된다.

    또 시험재료 평균 등숙율은 중국 마롱시험지에서는 55.7% 로 한국 진부시험지의 90.3%에 비하여 많이 낮았는데 이는 Yoshida (1981)의 수량요소간의 상보성인 1수 입수가 많아지 면 등숙비율이 낮아진다는 원인도 있었겠지만 중국 마롱시험 지의 등숙기 저온의 영향이 더 컸을 것으로 판단된다. 현미 천립중은 한국 진부시험지에서 평균이 23.0 g인 반면 중국 마 롱에서의 25.5 g으로 중국 마롱시험지에서 평균 2.5 g이 무거 웠다. 이는 Yoshida (1981)의 수량요소간의 상보성 원리인 등 숙 비율이 높은 경우에 천립중도 커지는 것이 보통이지만, 저 온으로 수정율이 낮으므로 인하여 등숙비율이 낮을 경우에는 오히려 천립중이 증가할 때도 있다(KRTWG, 2010)는 원인도 있어 현미 천립중도 등숙기 저온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생각 된다. 쌀 수량은 한국 진부시험지에서 평균 540 kg/10a에 비하 여 중국 마롱시험지에서는 278 kg/10a 낮은데 이는 중국 마롱 시험지의 출수기 7월 중순부터 8월 중순까지의 기간동안 한국 진부시험지에 비하여 최저기온이 1 ~ 2°C 낮아 벼에 저온장해 즉 등숙에 양향을 받아 쌀 수량이 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적 요

    국내 벼 품종의 내냉성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2013년 한국의 고지대 진부시험지와 중국 운남성 고지대 마롱 시험지의 벼 재배기간의 기상 분석과 우리 품종에 대한 생산 력 검정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벼 재배기간의 최고기온은 중국 마롱시험지 22.7 ~ 25.5°C로 한국 진부시험지 23.9 ~ 28.8°C보다 낮았다. 평균기온은 중국 마롱시험지에서는 20°C 범위에서 변화가 적은데, 한국 진부시 험지에서는 13.0 ~ 24.3°C로 변화가 심하였다. 최저기온은 출 수기와 등숙기인 7월과 8월에는 중국 마롱시험지가 한국 진부 시험지보다 1 ~ 2°C 낮았다.

    작물학적 특성을 보면 평균 출수일수는 중국 마롱시험지 73.3일 한국 진부시험지 69.7일로 중국 마롱시험지에서 3.6일 정도 길었고, 적산온도는 중국 마롱시험지 1,239.4°C로 한국 진부시험지의 1,299.4°C보다 평균 60°C가 적었다. 간장은 진 부와 마롱시험지에서 63 ~ 64 cm, 이삭길이는 18 ~ 19 cm로 각 각 비슷하였다. 주당수수는 한국 진부시험지가 14개로 중국 마 롱시험지보다 5개가 많은 반면, 수당입수는 중국 마롱시험지 에서 102개로 한국 진부시험지에서 보다는 43개가 많았다. 내 냉성과 관련된 임실율은 중국 마롱시험지에서 60.3% 한국 춘 천 내냉성 검정시험지에서 65.7%를 보였다. 그중 철원87호와 진부벼 품종은 진부시험지와 마롱시험지 모두에서 임실율이 양호하였다. 현미 천립중은 중국 마롱시험지에서 25.5g인 반 면 한국 진부시험지에서는 23.0 g으로 중국 마롱시험지에서 현 미 천립중이 다소 무거운 편이었다. 등숙율은 중국 마롱시험 지 55.7%로 한국 진부시험지 90.3%에 비하여 매우 낮은 편 이었다. 쌀 수량은 한국 진부시험지의 평균 540 kg/10a에 비하 여 중국 마롱시험지의 평균 278kg/10a으로 전반적으로 중국 마롱시험지의 쌀 수량은 낮았다.

    Figure

    KSIA-27-298_F1.gif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Korea and Yunnan Province of China.

    KSIA-27-298_F2.gif

    Diurnal change of the air temperature during rice growing period of experimental field at Jinbu Korea and Malong of China in 2013.

    Table

    Experimental field at Jinbu of Korea and Malong of China.

    Heading dates and sum of temperature after transplanting to heading.

    z: Days after transplanting to heading
    y: Sum of Temperature after transplanting to heading

    Major agronomic characteristics in Jinbu of Korea and Malong of China

    zEvaluated at 17°C cold water irrigateg screening nursery, Chuncheon.

    The characteristics of yield components in Jinbu of Korea and Malong of China

    Reference

    1. Cho SY , Moon C S , Kim M K , Lee B C , Park N K , Choi H C , Choi Y H , Kim K W , Rhee K H , Hong C K , Park R K (1993) An Early, cold tolerant and high quality rice variety ‘Jinbubyeo’ , RDA. J. Agri. Sci, Vol.35 (1) ; pp.62-69
    2. Hyun W J (2014) Report of official overseas trip on Yunan of China for carry out the cooperative research project between , RDA of Korea and YAAS of China, Vol.p ; pp.29
    3. Jiang Z N (1994) Rice of Yunnan , Yunnan science press, ; pp.267
    4. KRTWG (The Korea Rice Technical Working Group) (2010) The rice, ; pp.1067-1
    5. Kwak K S , Yang W H , Yang U H , Kim J K , Han H S , Kang Y S , Ahn J K , Yuan P R , Yang C D , Sun Y Q , Li G Y , Peng S P (2004) The evalution of maximum yield and analysis of yield limiting factors of rice varieties in different high-yielding environments , Treat. of Crop Res, Vol.5 ; pp.236-249
    6. Lee S Y (1996) Weather disasters & countermeasure of rice , ; pp.277
    7. Lyons J M (1973) Chilling injury in plants , Annu. Rev. Plant Physiology, Vol.24 ; pp.445-466
    8.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981) Analysis cold weather and general technical countermeasure of rice, ; pp.192
    9.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3) Based on analysis of research & investigation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 pp.838
    10. Yoshida S (1981) Fundamentals of rice crop science , IRRI, ; pp.2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