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8504(Print)
ISSN : 2287-8165(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Vol.27 No.3 pp.317-320
DOI : https://doi.org/10.12719/KSIA.2015.27.3.317

Current State and Policy of Rice Industry in Brunei

Myeong-Ki Kim†, Nam-Hyeon Baeg, Chang-Ihn Yang, Jeom-Ho Le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NICS), RDA, Suweon 24010, Korea
Corresponding author (Phone) +82-33-455-2031 (kimmk6690@korea.kr)
July 14, 2015 August 13, 2015 August 25, 2015

Abstract

Brunei Darussalam is located in the north latitude 4°2’ ~ 5°3’, east longitude 114°4’ ~ 115° 2’ on the north west coast of the island of Borneo in Southeast Asia closer to the equator. The area is 5,765 km2 and the population is 406.2 thousand persons. As an export-driven country, Brunei has a high economic dependence on the oil industry. On the other hand, the agrifoods are imported about 80% degree. Brunei’s temperature is 25 ~ 30°C all year round, humidity is about 67 ~ 97%, and average annual rainfall is 2,874mm. So weather conditions are favorable conditions for rice cultivation. The total agricultural land area is 7,193ha. The land area of crops is 4,429 ha. There are about 5,475 entrepreneurs and 13,887 persons involve in the agribusiness activities. Brunei’s paddy rice area is 1,109 ha in 2013. Rice productivity has 1.48 MT/ha, which is very low relatively. The total domestic rice consumption is 34,311 tons, but domestic rice production is 1,237 tons, and per capita rice consumption is 84.5kg, so rice self-sufficiency is as low as 3.6%. The average retail price of local producced rice is more expensive than the average retail price of overall rice. The government of Brunei established a rice production increase short term plan and mid term plan, which are rice self-sufficiency of 3% to a target of improving by 60%. However, latest domestic rice self-sufficiency ratio is less than 5%.


‘브루나이’ 쌀 산업 현황과 정책

김 명기†, 백 남현, 양 창인, 이 점호
국립식량과학원

초록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J009325092015

    브루나이(Brunei Darussalam)는 동남아시아 보르네 오섬 북서해안 적도에 가까운 북위 4°2' ~ 5°3', 동경 114° 4' ~ 115°2'에 위치한 독립 이슬람 왕국이다. 면적은 5,765 km2, 경 기도의 약 절반 크기이며 인구가 406,200명으로 작은 국가이 다. 그러나 1인당 GDP가 38,916$로 국민소득이 높은 국가이 다. 석유와 천연 가스가 브루나이의 주요 천연자원으로 주된 수출 품목으로 총 수출의 96%를 차지한다. 연간 수출은 11,447백만 달러이고 수입은 3,614백만 달러인 수출 위주의 국가로 석유산업 의존도가 높다. 반면에 수입 품목 중에는 쌀을 포함한 주식 식료품의 80% 정도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FAMK, 2013).

    브루나이의 농업환경

    Table 1을 보면 브루나이의 최고온도는 27.4°C ~ 29.5°C로 평 균 27.9°C, 최저기온은 25.1°C ~ 26.9°C로 평균 26.5°C, 년간 25 ~ 30°C 사이를 오르내리는 기온이다. 강우량은 월별로 보면 9월 ~ 1월에는 월 257 ~ 343mm, 2 ~ 4월에는 월 113 ~ 200mm 로 연평균 강우량은 2,873.9 mm으로 기상 환경은 벼 재배에 비교적 좋은 조건이다(Yang, 2009).

    Table 2를 보면 산림이 전 국토의 85%를 차지하고 경작지는 5%, 목초지는 0.5%를 차지한다. 전체 농지면적은 7,193 ha 정 도인데 목축업이 2,764 ha 작물이 4,429 ha이다. 농산업에 종사 하는 농가 및 기업은 전체 5,475로 그중 4,369 농가가 농업에 종사하고, 농업인은 축산이 2,607명, 작물이 9,540명, 농가공 업이 1,740명이다(MIPRB, 2013; MAFRA, 2015a; MAFRA, 2015b).

    브루나이의 주요 작물 생산현황

    브루나이의 농작물 재배면적은 4,429 ha 중 과일이 2,471.7 ha, 쌀이 1,109.9 ha, 채소가 682.7 ha, 기타 작물이 122.4 ha, 화예작물이 42.1 ha를 차지하고 있다. 생산량은 과일이 3,855톤으로 자급율이 28.9%, 쌀이 1,237톤으로 자급율이 3.6%, 채소가 12,774톤으로 자급율이 81.7%, 기타 작물이 1,174톤으 로 자급율이 8.9%, 관상용 원예작물이 530,138 그루로 자급율 이 66.1%, 그리고 절화용 꽃이 210,172 송이로 자급율이 18.6% 이다. 전체적으로 곡물 식량에 대한 자급율은 매우 낮 은데 비해 채소 자급율은 81.7%로 높은 편이다(Table 3).

    브루나이의 쌀 생산 현황

    Table 4과 5를 보면 브루나이 벼 재배면적은 1,109.9ha로 적은 면적이다. 쌀 수량성은 1.48 MT/ha로 매우 낮은 편이다. 국내 쌀 생산량은 1,237톤인데 비해 전체 쌀 소비량 34,074톤 이고, 1인당 쌀 소비량은 약 84.5 kg으로 비교적 많이 소비하 는 편으로 자급율이 3.6%로 매우 낮아 대부분 소비량을 해외 에서 수입하는 실정이다(MIPRB, 2013). Table 5

    국내에서 생산된 쌀 소매가격은 1 kg당 한화 2,667원으로 수입산 향미(AAA급)가 1,029원, 일반쌀 700원, 찹쌀이 626원 으로 국내산 쌀 가격이 매우 비싼 편인데, 이는 브루나이 정 부에서 국내에서 생산된 벼를 시중가의 2배로 전량 수매하여 비싼 가격으로 판매하기 때문이다.

    2004년부터 2013년 기간 중 브루나이 쌀 소비량과 국내 생 산량은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정부에 서 2008년부터 쌀 증산 사업을 국가 주요 시책으로 세워 3% 에 불과한 쌀 자급율을 2015년 60%로 향상시킨다는 목표를 설정하고 정책을 추진 중이지만 최근 쌀 자급율은 5% 이내로 매우 저조한 편이다(Table 6).

    브루나이의 벼 재배의 문제점

    브루나이 쌀 생산 환경 중에서 온도, 강우량 등은 벼 재배 에 적합한 수준으로 관개수 조건만 맞으면 2모작이 충분히 가 능하다. 그러나 토양은 육안상으로는 대체로 양호한 것으로 보 여지나, 실제로 토양 조건은 대부분 토양 산도가 4.2 ~ 5.1 pH 로 높아 석회질 비료나 규산질 비료를 시용하여 토양을 중성 방향(6.0 ~ 6.5 pH)으로 개량의 필요성이 높고, 유기물 함량도 부족하여 퇴비 살포도 지속적으로 실시하여야만 한다. 또 화 학비료도 해당 토양에 알맞은 시용이 필요한 것으로 여겨진다 (Table 7). 품종은 Muara 등 일부 지역에서는 국내에서 개발 한 품종 ‘Laila’를 재배함으로써 2모작 등을 통해 생산성이 향 상되었으나 대부분 지역에서는 재래 품종을 재배하여 2모작 재배가 불가하여 우기에만 재배를 하는 까닭으로 생산성이 1.48톤/ha로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DAA, 2011; DAA, 2013). 기타 생산기반은 일부 지역(Muara) 외에는 전반적으로 생산기 반 정비가 낙후되어 있고 경지정리 기반시설도 긴급한 실정이 다. 또한 민간 분야의 농업에 대한 역량이 미흡한 것으로 여 겨진다. 전반적으로 국민들의 생활여건이 풍족해 쌀 자급에 대 한 민간 차원의 문제 의식이 낮은데 이는 전반적으로 쌀 산업 이 정부의 시혜성 정책에 의존하고 있어 농가 영농 역량의 확 대 기회가 크게 부족한 것으로 여겨진다. 또 도정시설 등도 노 후화되었으며 쌀 수확 후 유통분야도 미흡한 실정이다(Yang, 2009).

    브루나이의 쌀 생산을 위한 정부 정책 및 시사점

    브루나이 정부는 2015년까지 쌀 자급율 60% (18,000 MT) 계획을 세웠다. 이 자급율 달성을 위한 단기계획의 주요 내용 으로는 재래 품종에서 다수확 품종으로의 전환과 4,904ha의 새로운 농지조성, 농업 인프라 개선 및 벼 재배기술 교육 등 이 있다. 중기계획으로는 단기계획에서 조성된 새로운 농경지 의 농업 인프라 개선, 벼 재배기술 및 노동의 질 등의 지속적 인 추진 그리고 모든 농가에서 현재 1모작 재배에서 2모작의 다수확 품종 재배로 전환하는 계획 등이 있다. 이런 계획에 따른 세부사업 내용은 농업 인프라 개선을 위한 농경지 관개 및 배수 시스템 개선 및 농경지 균평 작업, 품종 보급에서는 고품질 다수확 품종개발 및 보급, 재배기술에서는 과학적인 모 내기, 체계적인 잡초관리 및 병충해 방제 그리고 균형시비가 있다. 또한 생력화를 위한 이앙기, 트랙터, 비료 및 농약 방제 농기구 그리고 수확기 등의 농가 공급 확대가 있다. 수확후 관리에서는 도정시설 현대화 및 확대, 쌀 저장시설 및 쌀 운 송 체계 구축이 있으며, 마지막으로는 다수확 고품질 쌀 생산 을 위한 체계적인 재배기술에 대한 농업현장 지도원 교육훈련 의 지속적인 지원이 있다. 최근 정부에서는 이러한 세부사업 의 일환으로 쌀 생산 농가에 비료, 살충제 및 제초제 구입비 50% 지원, 종자(이앙모) 비용과 경운 및 로터리 작업, 이앙과 수확 작업 비용에 대한 정부 보조금을 지원하고 벼 건조시설 도 국가에서 지원하는 등 국내 쌀 생산을 높이기 위한 대대적 인 지원을 추진하고 있지만 브루나이 국내 쌀 자급율은 아직 도 5% 내외의 낮은 실정이다.

    브루나이의 쌀 자급율 향상을 위해서는 부족한 농경지의 확 보와 열악한 쌀 생산기술 등을 개선해야 하는데 우리나라의 녹색혁명 경험을 기반으로 한 농업 생산기반시설 구축기술과 품종, 재배 및 수확후 관리 등을 포함한 쌀 생산기술 및 현지 농업기술 교육분야 등이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적 요

    1. Brunei의 국토면적은 5,765 km2, 인구가 406,200명으로 작은 국가이다. 그러나 1인당 GDP가 38,916$로 국민소득이 높은 수출 위주의 국가로 쌀을 포함한 주식 식료품의 80% 정 도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2. 브루나이의 기온은 년간 25 ~ 30°C로 일정하고, 연평균 강우량은 2,873.9 mm의 열대성 기후로 기상 환경은 벼 재배 에 비교적 좋은 조건이다. 전체 농지면적은 7,193 ha 정도인데 목축업이 2,764 ha 작물이 4,429 ha이다. 농산업에 종사하는 농 가 및 기업은 전체 5,475로 그중 4,369 농가가 농업에 종사 하고, 농업인은 축산이 2,607명, 작물이 9,540명, 농가공업이 1,740명이다.

    3. 브루나이의 벼 재배면적은 1,109h a이고, 쌀 수량성은 1.48MT/ha로 매우 낮은 편이다. 국내 전체 쌀 생산량은 1,237톤 인데 비해 전체 쌀 소비량 34,074톤으고, 1인당 쌀 소비량은 약 84.5 kg으로 비교적 많이 소비하는 편으로 자급 율은 3.6%로 매우 낮은 실정이다. 쌀 가격은 국내산 쌀 가격 이 수입쌀 가격보다 매우 비싸다.

    4. 브루나이 쌀 생산 환경 중에서 온도, 강우량 등은 벼 재 배에 적합한 조건이지만 전반적으로 생산기반 정비가 낙후되 어 쌀 생산성이 낮아 정부에서는 2008년부터 쌀 증산 사업을 국가 주요 시책으로 3%에 불과한 쌀 자급율을 60%로 향상시 킨다는 목표를 설정하고 중?단기 계획을 세워 정책을 추진 중 이지만 국내산 쌀 자급율은 5% 이내로 매우 저조한 편이다.

    Figure

    Table

    Temperation and rain fall of Brunei in common year.

    Agriculture and agrifood in brief 2013 of Brunei.

    Summary of crops industry development of Brunei in 2013.

    Rice industry of Brunei in 2013.

    Consumption amount and average retail price of rice in Brunei.

    y1B$ = 823.148Won

    Changes of rice productivity and amount of import in Brunei.

    Chemical characteristics of paddy field in Brunei.

    Reference

    1. Department of Agriculture & Agrifood (DAA) (2011) Majalah AgriBISNES, Vol.2 ; pp.38
    2. Department of Agriculture & Agrifood (DAA) (2013) Majalah AgriBISNES, Vol.6 ; pp.35
    3. Foreign Affairs Ministry of Korea (FAMK) (2013) Brief of Brunei, ; pp.98
    4.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AFRA) (2015a) Report of Authorities Meeting for agricultural cooperation of Korea-Brunei, ; pp.-26
    5.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AFRA) (2015b) Report of Technology research for Rice Production Increase of Brunei, ; pp.12
    6. Ministry of Industry and Primary Resources of Brunei (MIPRB) (2013) Brunei Darussalam Agriculture & Agrifood Statistics In Brief 2013, ; pp.-93
    7. Yang W H (2009) Report of Technical Assistance for Rice Production of Brunei , ; pp.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