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8504(Print)
ISSN : 2287-8165(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Vol.27 No.4 pp.511-515
DOI : https://doi.org/10.12719/KSIA.2015.27.4.511

Optimum Planting Date and Density on Short-stem Type ‘Sodamchal’ Sorghum Variety in Paddy Field Cultivation

Sung-Kook Kim†
Gun-Ho Jung
Jeong-Hwa Park
Chung-Guk Kim
Sung-Gi Heu
Corresponding author (Phone) +82-31-695-0641 (KimOsk@korea.kr)
October 23, 2015 November 9, 2015 November 9, 2015

Abstract

Sorghum for food is getting popular in South Korea for health but its production system is unstable due to the lack of the practices for mechanical farming.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optimum planting date and planting density of sorghum for paddy fields of the middle areas in South Korea.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at the experimental paddy field of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NICS), RDA, Suwon, Republic of Korea in 2014. Sorghum of cv. Sodamchal, a new Korean waxy short-type sorghum specialized for mechanical farming, was planted on May 30, June 10 and June 20 at the planting density of 6,600, 8,300 and 11,000 plant per 10a, respectively. Sorghum was grown in bare soil and black PE mulch film. The days to heading in sorghum planted on June 10 was the shortest (62 days) among three planting dates regardless of mulching. Sorghum plants under mulching had shorter days to heading than under bare soil, of which the effect was the greatest in the planting date of June 20. At all planting dates, mulching cultivation produced more grain yield (kg 10 a-1). The sorghum plants seeded on June 10 had the most grain yield regardless of mulching, suggesting that optimum planting date of sorghum (cv. Sodamchal) in paddy field may be about June 10. Sorghum at 11,000 plants 10a-1 got 15% or 18% more grain yield (kg 10 a-1) than 6,600 and 8,300 plants 10a-1, indicating that a new cultivar of Sodamchal has good adaptability to high planting densitie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optimum plant date and planting density of cv. Sodamchalmay be around June 10 and 11,000 plants 10a-1 for paddy fields of the middle areas in South Korea, respectively.


단간 수수 ‘소담찰’의 논 재배 시 적정 파종기 및 재식밀도

김 성국†
정 건호
박 정화
김 충국
허 성기

초록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J0094012015

    웰빙시대를 맞이하여 국민의 안전하고 건강에 큰 도움이 되는 잡곡류의 기능성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하였고 이에 맞춰 수요도 크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Yoon et al., 2015; Lee et al., 2012). 증가된 관심과 수요에 맞추어 공급이 충족 되어야 잡곡의 발전 가능성은 높아질 수 있지만, 현재 우리나 라의 상황은 그리 좋은 편은 아니다. 수요량에 비하여 공급량 은 1/2 수준이다. 국내산 잡곡은 평균 수량이 낮고, 재배의 기 계화율은 12%내외이며, 대부분 파종, 이식, 수확 단계의 기계 화율이 크게 떨어지는 상황이어서 국내산이라는 브랜드에도 불 구하고 소득화 경쟁력이 높지 않은 실정이다(Kim 2013; 농촌 진흥청 2010).

    잡곡 중 수수는 논에서 재배할 때 습해에 상대적으로 강하 며 생산성이 높기 때문에 다른 잡곡에 비해 벼 대체작물로 알 맞으며 안정적인 생산과 고소득 창출이 가능하다(Jung et al., 2013; Hundal et al., 1984). 국립식량과학원에서 2014년 키가 작고 쓰러짐에 강한 생력 기계화 적응 품종 “소담찰”이 육성 되었고(국립식량과학원, 2014), 기계이식재배기술과 벼 수확용 콤바인을 활용하여 수확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여 파종 및 수확 노력시간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생력기계화 기술이 개 발되었다(농촌진흥청, 2014; 농림축산식품부, 2014).

    이에 본 연구는 수수를 논에서 재배할 경우 안정적인 수량 확보를 위해 파종시기 및 재식거리에 따른 생육 특성과 종실 생산량 차이를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재료 및 방법

    본 시험은 2014년 경기도 수원의 국립식량과학원내 시험포 장의 논 토양으로서 하성평탄지의 하성충적층을 모재로 한 배 수가 “약간 불량”한 미사질 양토의 신흥통에서 수행하였다. 시 험품종은 단간으로 기계화 적응성이 높은 소담찰 수수를 파종 기는 조기, 적기, 만기의 3회로 5월 30일, 6월 10일, 6월 20 일에 각각 포트에 파종하여 15일 육묘한 후에 정식하였다. 피 복은 무피복을 대비로 하여 검정비닐로 피복하였으며, 재식거 리는 이랑나비를 60 cm로 고정하고 포기사이를 15, 20, 25 cm 는 1주 1본, 30 cm는 1주 2본으로 하여 각각 10a당 6,600본, 8,300본 및 11,000본을 재배하였다. 시비량은 10a당 질소, 인 산, 칼리를 각각 10-9-8 kg를 기준으로 전량 기비로 시용하였 다. 기타관리는 농촌진흥청 표준재배법에 준하였다.

    시험구는 9.6 m2 (4 m × 2.4 m)를 한 구로 하여, 파종기는 난괴법 3반복, 재식밀도는 난괴법 4반복배치를 하였다. 통계처 리는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 V. 9.1, USA) 통계프 로그램을 이용하였다.

    결과 및 고찰

    재배기간 중의 기상변화

    전 생육기간 동안의 2014년의 평균온도는 22.0°C로 평년에 비해 0.5°C가 높았는데, 생육초기의 6월 중순 ~ 17월 중순까지 는 평균온도가 1.1°C 높았으며, 생육중기의 7월 하순 ~ 19월 상순까지는 평균온도가 0.6°C 낮았고 생육후기의 9월 중순 ~ 110월 중순까지는 평균온도가 1.2°C 높게 경과하였다. 2014년 의 강수량은 754 mm로 평년의 961 mm에 비해 207 mm가 적었는데, 출아 및 생육초기의 6월 중순 ~ 17월 상순까지는 47 mm가 내려 평년의 194 mm에 비해 매우 적은 량이었고, 생육중기의 8월 중순까지도 평년에 비해 강수량이 적었다가 8 월 하순에 159mm의 강수량을 보였으며, 출수기 이후의 9월 중순 ~ 10월 상순에는 평년에 비해 강수량이 적어서 종실의 등 숙에 좋은 기상조건을 유지하였다(Fig. 1).

    파종기별 출수일수

    수수를 논에서 재배할 경우 파종기별 출수기는 Table 1과 같다. 6월 10일 파종할 경우 출수일수가 62일로 가장 빨랐는 데, 5월 30일 파종과 6월 20일 파종에 비하여 각각 6일과 8 일 빨랐다. 5월 30일 파종과 6월 10일 파종에서는 무피복이 비닐피복 재배에 비하여 1 ~ 12일 늦었으나 6월 20일 파종에 서는 11일 차이를 보여 파종기가 늦을수록 비닐피복 재배에서 출수기가 빨라지는 경향이 뚜렷하였다.

    파종기별 생육 및 수량특성

    수수를 논에서 재배할 경우 파종기별 주요 생육특성은 Table 2과 같다. 무피복 재배는 6월 20일 파종에서 간장이 가 장 짧았고 비닐피복재배는 반대의 경향을 보였으나 파종기 간 에는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그러나 무피복재배에 비해 비 닐피복재배에서 간장이 긴 경향을 보여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 다. 간경은 무피복과 비닐피복재배에서 모두 파종기가 늦어질 수록 가늘어지는 경향을 보였고 무피복재배에 비해 비닐피복 재배에서 굵은 경향을 보여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비닐피 복재배에서 간장과 간경이 무피복에 비하여 증가된 것은 멀칭 으로 인한 토양온도 상승효과와 양분 유실저감을 통한 양분의 이용률 향상 등의 다양한 효과를 통해 생육에 큰 차이가 나타 난 것으로 사료된다(Jeon et al., 2014; Kwon & Lee 1984; Kang 1985; Aguyoh et al., 1999). 분지수는 무피복에 비해 비닐피복재배에서 많았으며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이삭길이, 이삭폭, 천립중은 무피복과 비닐피복재배 간에 유의적인 차이 가 없었으나 천립중에서 비닐피복재배의 6월 20일 파종이 현 저하게 가벼운 경향을 보였다.

    수수를 논에서 재배할 경우 파종기별 주당종실중 및 종실수 량은 Fig. 2와 같다. 주당종실중은 비닐피복재배에서는 파종기 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무피복재배에서는 6월 10일 파 종에서 44.8 g으로 가장 많았고 6월 20일 파종에서 17.7 g으로 가장 낮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종실수량은 비닐피복재배 에서는 파종기 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무피복재배에서 는 6월 10일 파종에서 463 kg 10 a-1으로 가장 많았고 6월 20일 파종에서 212 kg 10 a-1으로 가장 낮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농촌진흥청(2013)은 피복유무에 따른 재배시험에서 고 휴 멀칭재배가 고휴 노지재배에 비해 종실수량이 25.4% 증수 되었다고 보고하였는데, 본시험에서는 6월 10일 파종에서 비 닐피복재배가 무피복 재배에 비해 10% 증수되어 유사한 결과 를 보였다. 따라서 소담찰 수수의 논 재배 시에는 파종적기인 6월 10일에 비닐피복 재배를 하는 것이 가장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재식밀도별 생육 및 수량특성

    수수 논재배시 재식밀도별 주요 생육특성은 Table 3과 같다. 소담찰은 간장이 평균 90 cm로 매우 작아 논 재배에서 문제 가 되는 도복에 강한 경향을 보였으며, 이삭길이는 소식재배 에서 길어지는 경향을 보였고 간장, 간경, 분지수, 이삭길이, 천립중은 재식밀도 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수수를 논에서 재배할 경우 재식밀도별 주당종실중 및 종실 수량은 Fig. 3과 같다. 주당종실중과 종실수량은 재식밀도 간 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주당종실중은 60 × 25 cm (6,600본/10 a)의 소식재배에서 48.0 g으로 가장 증가되었다. 10 a당 종실수량은 60 × 15 cm (1본)과 60 × 30 cm (2본)의 밀 식재배에서 각각 427 kg, 415 kg으로 표준재식밀도(60 × 20 cm, 1본) 대비 15 ~ 18% 증수되었다. Jeon et al. (2014)은 재식밀 도에서 이삭장, 종실중 및 천립중 모두 재식밀도 낮을수록 길 거나 무겁게 나타났으나 10a당 종실수량에서는 연차간 모두 20 cm 처리구에서 451 kg, 358 kg으로 가장 높았다고 하였는 데, 이것은 장간종인 황금찰 수수를 시험재료로 이용하였기 때 문으로 판단되며, 소담찰은 밀식재배에서 수량이 증가하였던 것은 단간종으로 밀식적응성이 높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적 요

    단간 내도복성 ‘소담찰’ 수수의 논 재배 시 안정적인 수량 확보를 위해 파종시기 및 재식거리에 따른 생육 특성과 종실 생산성에 대한 시험을 2014년 경기도 수원의 국립식량과학원 시험포장에서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수기는 6월 10일 파종에서 62일로 가장 빨랐으며, 비 닐피복재배에서 파종기가 늦을수록 출수기가 빨라지는 경향이 뚜렷하였다.

    2. 파종기에 따라서는 6월 20일 파종에서 생육이 급격히 감 소하였고 간경, 분지수, 천립중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고, 피복유무에 따른 간장, 간경, 분지수에서도 유의성을 보였다.

    3. 주당종실중과 종실수량은 파종기별 비닐피복재배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으나 무피복재배에서는 6월 20 일 파종에서 주당종실중이 17.7g, 종실수량이 212 kg/10a으로 가장 적었으며, 파종기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4. 소담찰 수수는 간장이 평균 90 cm로 매우 작아 논 재배 에서 문제가 되는 도복에 강한 경향을 보였으며, 이삭길이는 소식재배에서 길어지는 경향을 보였고 간장, 간경, 분지수, 이 삭길이, 천립중은 재식밀도 간에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

    5. 주당종실중과 종실수량은 재식밀도 간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주당종실중은 60×25cm (6,600본/10a)의 소식재 배에서 48.0 g으로 가장 많았으며, 10a당 종실수량은 60 × 15 cm (1본)과 60 × 30 cm(2본)의 밀식재배에서 각각 427 kg, 415 kg 으로 가장 증수되어 소담찰은 밀식적응성이 높은 경향이었다.

    6. 따라서 소담찰 수수는 기계수확 등 생력기술을 적용하여 논 대면적 재배를 위해 파종기는 6월 10일, 재식밀도는 11,000주/10 a [60 × 15 cm(1본), 60 × 30 cm (2본)가 유리한 것 으로 판단된다.

    Figure

    KSIA-27-511_F1.gif

    Changes of meterological condition during the experiment period.

    KSIA-27-511_F2.gif

    Effect of different planting date on the yield characteristics.

    KSIA-27-511_F3.gif

    Effect of different plant density on the yield characteristics.

    Table

    Heading response to different planting dates in paddy field.

    Effect of different planting date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Means separation within columns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5% level.

    Effect of different plant density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 significant at 0.05 level,
    **: significant at 0.01 level, ns: Not significant.

    Reference

    1. Aguyoh J , Taber H G , Lawson V (1999) Maturity of freshmarket sweet corn with direct-seeded plant, transplants, clear plastic mulch, and nowcover ombination , Hort. Technology, Vol.9 ; pp.420-425
    2. Hundal SS , De Datta SK (1984) Water table and tillage effecton root distribution, soil water extration, yield of sorghum grown after wetland rice in a tropical soil , Field Crops Research, Vol.9 ; pp.291-303
    3. Jeon SH , Chun HS , Cho YS , Jun KY (2014) Effects of Planting Density and Mulching Method on Growth and Yield of Sorghum (Sorghum bicolor L) , Korean J. Int. Agric, Vol.26 (4) ; pp.491-495
    4. Jung KY , Yun ES , Park CY , Choi YD , Hwang JB , Oh IS (2013) Response of Millet and Sorghum on Water Stress by Cultivation Methods in Paddy Field , Korean J. Soil Sci. Fert. 2013, Vol.0 ; pp.127-128
    5. Kang YK (1985) Effects of polyethylene mulches on soil physical properties and development and yield of crops , Subtrop. Agric. Cheju. Nat. Univ, Vol.2 ; pp.23-94
    6. Kim SH (2013) Transplanting Cultivation Techniques with Rice Plant Machine of Sorghum (Sorghum bicolor L.) for Labor Saving Cultivation(LSC) , Master of Agriculture and Bio-Convergence Kyunpook National University,
    7. Kwon OD , Lee JM (1984) Effect of different mulching on the growth, pod yield and nodule development in 3 snapbean cultivars , J. Kor. Soc. Hort. Sci, Vol.25 ; pp.212-217
    8. Lee JS , Oh BG , Ko JY , Song SB , Kim JI , Kim HY , Seo HI , Kwak DY , Jung TW , Kim KY , Jeong HS , Woo KS (2012) Change of Antioxidant Compounds and Antioxidant Capacity by Cultivar and Cultivated Time in Sorghum , J. Agr.Sci. Chungbuk Nat l Univ, Vol.28 (2) ; pp.68-73
    9. Yoon ST , Jae EK , Kim YJ , Jeong IH , Han TK , Kim TY , Cho YS , Kang HW (2015) Growth and Yield Characteristics of Foxtail Millet, Proso Millet and Sorghum According to Sowing Date in Middle Area in Korea , Korean J. Crop Sci, Vol.60 (2) ; pp.197-211
    10. NICS (2014) 2014 주요 밭작물 품종해설 , ; pp.-315
    11. MAFRA (2014) 밭농업 경쟁력 제고를 위한 밭농업 기계화 촉진 방안 및 주요 작목별 기계화전략 도출 , (사)한국농업기계학회,
    12. RDA (2014) 친환경 잡곡(조, 기장, 수수, 팥, 녹두) 소득화 종합 수익모델 , 2014년도 국가농업 R&D 시험연구보고서, 강원도농 업기술원,
    13. RDA (2013) 잡곡의 부가가치 증진을 위한 친환경적 최적관리기술 개발 , 2013년도 국가농업 R&D 시험연구보고서. 국립식량과학 원,
    14. RDA (2010) 논 적응 소면적 잡곡 지역별 대표품종 선발에 관한 연구 , 2009년도 국가농업 R&D 시험연구보고서, ; pp.641-703국립 식량과학원
    15. RDA (2003) 농사시험연구조사기준(제 4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