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8504(Print)
ISSN : 2287-8165(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Vol.27 No.5 pp.631-638
DOI : https://doi.org/10.12719/KSIA.2015.27.5.631

Changing Consumption Patterns for Processed Rice Food Products in Metropolitan Household of Korea : 2010 ~ 2014

Soon-Duck Yoon†, Sea-Kwan Oh, Hye-Young Park, Koan-Sik Woo, Induck Choi, Yong-Bin Cho*, Sung-Ho Park**, Eung-Gi Jeong, Wook-Han Kim
Crop Post-harvest Technology Research Division, Department of Cental Area,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16431, Korea
*Knowledge & Information Officer Division, Planning and Coordination Bureau,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Jeonju 54875, Korea
**Farm and Agribusiness Management Division, Technology Cooperation Bureau,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Jeonju 54875, Korea
Corresponding author +82-31-695-4007rdaysd@korea.kr
October 23, 2015 December 16, 2015 December 16, 2015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nges of consumption patterns for processed rice food products during the last five years in Korea. For this purpose, panel data, collected periodically from a total of 703 households from 2010 to 2014 by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were used. Processed rice food products were grouped into 10 different categories such as Bob, Jook, Noodles, Cake, Bread, Snack, Alcohol, Drink, Seasoning, and Flou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otal annual purchase amount for processed rice foods per household was increased 1.32 times from 110,868 won in 2010 to 145,880 won in 2014. By 10 categories, their proportion based on the purchase amount in 2014, the highest kind of processed products was Cake, followed by Alcohol, Bob, Snack. Compared with 2010, Bread, Jook, and Seasoning were highly increased but Noodles and Drinks were reduced in 2014. Second, while monthly purchase amount for processed rice products was the highest in January, February, and October due to Korean feast, it was the lowest in summer season. Third, based on their proportion of total annual purchase amount, the biggest buying store was specialty store, followed by large discount supermarket, super supermarkets, and supermarket. Compared with 2010, specialty store, non-store, and department store were highly increased but temporary and traditional market were reduced.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will be suggested.


한국 수도권 가구의 변화하는 쌀 가공식품 구매패턴: 2010 ~ 2014

윤 순덕†, 오 세관, 박 혜영, 우 관식, 최 인덕, 조 용빈*, 박 성호**, 정 응기, 김 욱한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수확후이용과
*농촌진흥청 기획조정관실 지식정보화담당관실
**농촌진흥청 기술협력국 농산업경영과

초록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J01156903

    쌀의 구매가격, 소비량, 수요량을 기준으로 산출했을 때, 우 리나라 쌀 소비 비중은 가구 부문에서 50 ~ 55%, 외식업체 부 문에서 30 ~ 35%, 가공업체 부문에서 10 ~ 15% 순으로 소비되 는 것으로 추정된다(Lee, 2015). 즉, 전체 쌀 소비량에서 가공 용 쌀 소비량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는 않다. 그러나 통계 청의 양곡소비량조사 결과(2010, 2014)에 따르면, 우리나라 가 구 부문에서의 국민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2010년 72.8 kg 에서 2014년 65.1 kg으로 매년 감소하는 추세인 반면, 1인당 가공용 쌀 소비량은 2010년 6 kg에서 2014년 8.9 kg으로 증가 하는 경향(Chae, 2015)으로, 가공을 통한 쌀 소비 확대의 가능 성을 시사하고 있다.

    이는 쌀 공급 과잉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가 2008년「쌀 가공식품산업 활성화 방안」을 발표하고, 2012년 5월 「쌀가공산업 육성 및 쌀 이용 촉진에 관한 법률」을 시행한 결 과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쌀 가공식품에 대한 연구 도 1980년대 중반부터 이루어져 왔으나, 2010년 전후로 쌀 가공식품 관련 조사연구들이 다수 진행되어 왔다.

    이 연구들은 크게 공급자 측면의 시장조사와 수요자 측면의 소비자조사로 구별된다. 첫째, 공급자 측면의 조사로는 쌀 가 공업체나 유통업체 실태조사, 쌀 가공산업 현황(Kim, 2011; MAFRA, 2010; Jang et al., 2012; aT, 2013) 등 주로 거시 적인 측면의 연구들로 볼 수 있다. 그런가하면, 수요자 측면에 서 쌀 가공식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이나 선호도(Kim & Kim, 2010; Gouk, 2011; Han & Gouk, 2014; Han, 2014), 가구 부문에서의 쌀 가공식품 소비행태(Kim et al., 2013; Cho & Koh, 2003; Cho & Bae, 2010; Lee et al., 2013, KREI, 2010?2014, Chae & Kim, 2014), 학교급식에서의 쌀 가공식품 이용실태(Kim et al., 2013)에 대한 조사연구들이 진 행되어 왔는데 이는 미시적인 부분에 초점이 맞추어져있다. 그 러나 대부분의 소비자 조사연구들이 떡류, 면류, 빵류 등 특정 품목에 제한되어 있어 단편적이거나 변화하는 쌀 가공식품의 소비트렌드를 파악하는 데는 미흡한 편이다.

    쌀 가공식품 시장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소비 자의 요구에 맞는 쌀 가공식품 개발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고 그러기 위해서는 객관적인 자료를 통하여 소비자의 구매패턴 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5년간 (2010 ~ 2014년) 수도권 가구를 대상으로 수집된 공신력 있는 대규모 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쌀 가공식품의 전반적인 소비 패턴이 최근에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쌀 가공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변화하는 선호 도를 파악하고 국내에서의 시장성을 예측해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하여 서울, 경기, 인천의 수도권에 거주 하며 2인 이상으로 이루어진 1,000가구의 주부로 구성된 농촌 진흥청 소비자 패널 자료를 활용하였다. 이 자료는 식품 구매 내역이 기록된 가계부 기장과 첨부한 영수증의 매월 수거를 통해 수집되었으며 통계 분석이 가능하도록 데이터베이스 되 어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이 데이터베이스에서 2010년 1 월 ~ 2014년 12월(5년)까지 ‘쌀 가공식품’으로 분류된 구매내 역(구매품목명, 구매가격, 구매일자, 구매장소)만을 추출한 자 료를 제공받아 활용하였다. 5년간 패널 손실이 없거나 보정이 이루어진 자료는 총 703가구이었고, 이들 가구의 쌀 가공식품 구매건수는 총 91,128건이었다. Microsoft Excel 2010 프로그 램을 활용하여, 쌀 가공식품 구매패턴의 연도별 비교 변화를 살펴보고자 평균, 빈도, 비율의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쌀 가공식품은 ‘원료 함량(주·부원료)에 상관없 이 제품의 원료로 쌀을 사용한 가공식품이며 제조·가공업체와 유통업체에서 만든 제품’이라고 조작적으로 정의하였다. 2014 년 자료는 농촌진흥청의 분류체제 변경으로 외식업체의 포장 음식이 포함되었으나, 이전 자료는 외식업체 구매와 자가 제조, 선물은 제외하였다. 또한, 쌀 가공식품은 KRFA (2015), Tengpongsathon et al. (2006), Lee (2015)를 기초로 하여, Table 1과 같이 밥류, 죽류, 면류, 떡류, 빵류, 과자류, 주류, 음료류, 조미류, 가루류 총 10종류로 분류하였다.

    쌀 가공식품 구매장소는 대형마트, 기업형슈퍼(기업형슈퍼마 켓, 대형슈퍼마켓), 소형슈퍼(소형슈퍼마켓, 편의점), 전통시장, 전문점(유기농매장, 전문점, 정육점),무점포(직거래, 인터넷거 래), 기타(아파트임시장 등)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연 도별 비교를 위해 2010년 수치를 기준으로,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도의 지수를 산출하였다.

    결 과

    분석대상가구의 일반적 특성

    분석대상가구는 5년간 동일한 가구로 이들 가구의 일반적 특성은 Table 2와 같다. 응답자인 주부의 평균연령은 43.8 ~ 47.8세, 주부의 학력은 ‘고졸 이하’가 64.1%, 전업주부와 취업 주부 비율이 5년간 비슷한데 전업주부가 더 많아지는 경향이 며, 가구소득은 ‘250 ~ 450만원 미만’이 2010년 51.6%에서 2014년 42.2%로 감소하고 ‘450만원 이상’이 2014년에는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평균 가구원수는 3.8 ~ 3.6명이었다.

    쌀 가공식품 종류별 구매패턴

    (구매개구 수) 수도권 2인 이상 가구의 거의 대부분이 연 1 회 이상 쌀 가공식품을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 2014년 기준, 쌀 가공식품 종류별 구매가구비율은 떡류(95%), 밥류(81%), 과자류(77%), 주류(75%), 빵류(54%) 순이었다. 최 근 5년간 빵류, 죽류 구매가구는 꾸준히 늘어난 반면, 면류, 음료류 구매가구는 감소하는 추세로 나타났다. 2010년 빵류 구매가구가 작게 나타난 것은 당시 아직 쌀빵이 상품화가 많 이 되지 않았고 소비자들에게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으로 보인 다. 2010년과 2014년만을 비교했을 때는 밥류, 과자류, 조미류, 가루류 구매가구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매금액) 수도권 2인 이상 가구의 쌀 가공식품 연간 평균 구매금액은 2010년 110,868원에서 매년 증감을 반복하다 2014년 145,880원으로 큰 폭으로 증가해 5년 사이 1.32배 증 가한 것으로 나타났다(Table 4). 2014년 쌀 가공식품 종류별 구매금액은 떡류(54,310원), 주류(29,658원), 밥류(28,538원), 과자류(14,629원) 순이었다. 쌀 가공식품 중 구매금액 비중이 가장 큰 떡류는 그 비중이 점차 감소하여 2010년 대비 9.5%p 감소한 37.2%를 차지하였다. 2010년 대비 2014년의 빵류(10.3배), 죽류(5.8배), 조미류(4.9배) 구매금액은 늘고, 면 류(0.7배), 음료류(0.9배) 구매금액은 감소하였다.

    (구매빈도) 수도권 2인 이상 가구의 쌀 가공식품 연간 평균 구 매빈도는 2010년 24회에서 매년 증감을 반복하다 2014년 31회 로, 최근 5년 사이 1.28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Table 5). 2014년 쌀 가공식품 종류별 구매빈도는 떡이 9.6회, 주류 7.1 회, 밥류 5.7회, 과자류 3.2회 순이었다. 2010년 대비 2014년 의 빵류(15.9배), 죽류(2.9배), 조미류(2.5배) 구매빈도는 늘고, 면류(0.7배), 음료류(0.9배) 구매빈도는 감소하였다.

    월별 쌀 가공식품 구매패턴

    (구매가구 수) 수도권 2인 이상 가구의 71 ~ 76%가 월 1회 이상 쌀 가공식품을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6). 매년 구매가구 수는 월별 큰 폭의 차이가 없고 일정한 패턴을 보이 고 있지는 않으나, 5년 전과 비교해 1월, 7월의 구매가구가 약간 증가하였다.

    (구매금액) 월별 쌀 가공식품 구매금액은 전반적으로 선물 용, 제수용과 같은 명절시기1)의 떡 수요를 반영해 매년 동일 하게 1월, 2월, 9월이 높았으며, 추석보다는 구정이 더 높았다 (Table 7). 6 ~ 8월의 쌀 가공식품 구매금액은 가장 낮았는데, 구매금액 비중이 큰 떡류의 저장성이 낮기 때문으로 보인다.

    (구매빈도) 최근 5년간 수도권 2인 이상 가구의 월별 쌀 가 공식품 구매빈도는 1.6 ~ 3.5회로, 구매금액과 마찬가지로 구매 빈도 매년 1월, 12월, 9월이 다른 달에 비해 약간 높았다 (Table 8). 2010년 대비 2014년 1월과 7월 구매빈도 증가폭이 크고 2월은 다소 감소하였다. 이는 해당 연도의 구정 시기 때 문으로 생각된다.

    구매장소별 쌀 가공식품 구매패턴

    (구매가구 수) 전통시장에서 쌀 가공식품을 구매한 가구 수 는 매년 일관되게 감소하고 있고 전문점에서의 구매가구 수도 약간의 증감은 있으나 증가하는 패턴을 보이고 있다(Table 9). 2014년 쌀 가공식품 구매장소별 구매가구비율은 소형슈퍼 (81.8%), 대형마트(79.7%), 기업형슈퍼(77.1%), 전문점(76.2%), 전통시장(46.1%) 순으로 나타났다. 2010년 대비 2014년 전문 점(1.6배), 백화점(1.3배), 무점포(1.2배)에서의 구매가구는 늘고, 전통시장(0.7배), 아파트 임시장 등(0.6배)에서의 구매가구는 감 소하였다. 이는 쌀 가공식품의 고급화와 인터넷 구매 증가 때 문으로 보인다.

    (구매금액) 최근 5년 동안 대형마트, 기업형슈퍼, 전문점에 서의 쌀 가공식품 구매금액은 증가하는 패턴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10). 구매가구수와 마찬가지로 2010년 대비 2014년의 경우, 전문점(2.7배), 무점포(2배)에서의 구매금액은 늘고 전통시장(0.8배), 아파트 임시장 등(0.6배)에서의 구매금 액은 감소하였다. 2014년 쌀 가공식품 구매장소별 구매금액은 전문점(37,325원), 대형마트(32,130원), 기업형슈퍼(22,712원), 소형슈퍼(21,594원), 전통시장(16,066원) 순으로 나타났다.

    (구매빈도) 5년 동안 쌀 가공식품 구매빈도는 대형슈퍼에서 만 일관되게 증가하였고 나머지 구매장소는 일관된 경향을 보 이지 않았다(Table 11). 2010년 대비 2014년의 경우, 전문점 (3.6배), 무점포(1.7배), 백화점(1.4배)에서의 구매빈도는 늘고 아파트 임시장(0.6배), 전통시장(0.8배)에서의 구매빈도는 감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4년 기준, 쌀 가공식품 구매장소별 연간 구매빈도는 대형마트(6.6회), 기업형슈퍼(6.6회), 소형슈퍼 (6.5회), 전문점(5.9회), 전통시장(3.1회)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시사점

    본 연구결과는 한국 수도권 가구의 쌀 가공식품 구매금액이 나 구매빈도는 최근 5년간(2010 ~ 2014년) 소폭 증가했으며, 전통적인 떡류 시장이 여전이 과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쌀 소비 촉진을 위해서는 설, 추석 등 명절과 같은 특정 시기에 소비가 편중되기 보다는 계절성 없이 연중 소비가 일정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쌀 가공식품의 세부 품목별로 구매패턴을 분석하여 쌀 가공식품 종류별로 틈새시장으로 성 장 가능성이 있는 쌀 가공식품을 찾아내야 할 것이다. 본 연 구결과에서는 밥류 가공식품의 월별 구매금액에 차이가 없어 연중 소비하는 경향으로 나타나, 향후 캠핑족, 1인 가구, 노인 가구의 증가로 즉석조리쌀밥이나 각종 덮밥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빵류의 경우 2010 ~ 2011년에는 가을에 주 로 소비했으나 최근 월별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아, 밀빵을 대체하는 식사 대용의 간편식으로서 쌀빵의 가능성을 볼 수 있다. 떡류는 전반적으로 소비가 감소 추세이지만, 떡의 종류 별로 소비의 증감을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쌀 가공식품의 전반적인 구매패턴의 변화만을 살 펴본 것으로, 쌀 가공식품의 구매패턴이 1인 가구냐 노인가구 이냐 등 가구의 특성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쌀 가공식품 선호도가 높은 구매금액 상위 가구들의 특성과 구매패턴은 일 반 소비자들과는 어떻게 다른지, 그리고 10개 쌀 가공식품 종 류의 품목별 구매패턴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는 연구들이 향후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적 요

    1. 우리나라 쌀 소비량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나 쌀 가 공식품의 매출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2. 이에 본 연구는 농촌진흥청 농식품 소비자 패널조사 자 료(703가구)를 이용하여 최근 5년간 쌀 가공식품 구매패턴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쌀 가공식품을 밥류, 죽류, 면류, 떡류, 방류, 과자류, 주류, 음료류, 조미류, 가루류 10종류로 분류하고, 쌀 가공식품의 종류별, 월별, 구매장소별 구매가구 수, 구매금액, 구매빈도 등 전반적인 구매패턴의 변 화를 살펴보았다.

    3. 향후 소비 증가가 예상되는 쌀 가공식품의 종류와 향후 요구되는 관련 연구과제를 제안하였다.

    ACKNOWLEDGMENTS

    본 논문은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의 작물시험연구사업 (과제번호: PJ01156903) 지원에 의해 수행되었으며, 이에 감사 드립니다.

    Figure

    Table

    Classification of processed rice food products

    Characteristics of analyzed households (n=703) (unit: household (%))

    Yearly purchase household more than once by processed rice foods (n=703) (unit: household (%))

    Yearly purchase amount by processed rice foods (n = 703) (unit: won (%))

    Yearly purchase frequency by processed rice foods (n=703) (unit: times (%))

    Purchase household of processed rice foods more than once by month (n=703) (unit:household (%))

    Purchase amount of processed rice foods by month (n = 703) (unit: won (%))

    Purchase frequency of processed rice foods by month (n = 703) (unit: times (%))

    Yearly purchase household more than once by purchase place (n = 703) (unit: household (%))

    Yearly purchase amount of processed rice foods by purchase place (n=703) (unit: won (%))

    Yearly purchase frequency of processed rice foods by purchase place (n=703) (unit: times (%))

    Reference

    1. Lee J S (2015) Development plan and milling characteristics of raw material rice for flour ,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 Statistics Korea (2010, 2014) Grain consumption survey household & business sector,
    3. Chae S H (2015) Trend of rice consumption for easy meal in Korea and Japan , NH nonghyup Monthly Survey No, ; pp.56-67
    4. Kim M R (2011) The status of rice and rice processing industry in Korea , Food Industry and Nutrition, Vol.16 (1) ; pp.22-26
    5.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AFRA) (2015) Statistics of Grain Policy in 2015,
    6. Jang I S (2012) Diagnosis and technology dissemination on rice processing industry , Agriculture & Food Value Development Research Institute (KFVDRI),
    7. Korea Agro-Fisheries & Food Trade Corporation (aT) (2010) Survey on the consumption of material by food industry sector,
    8. Kim K M , Kim K J (2010) The study of rice products development strategy for rice demand promotion –focusing on the Korea, China, Japan market , Journal of Korean Food Marketing, Vol.27 (4) ; pp.33-47
    9. Gouk S Y (2011) Development strategy and status of the processedrice food industry ,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KREI),
    10. Han J H , Gouk S Y (2014) Analysis on consumers’ perceptions and preferred attributes toward the processed rice foods – focusing on breads, biscuits, noodles , Journal of Korean Food Marketing, Vol.31 (3) ; pp.29-47
    11. Han J H (2014) Factors affecting preferences for country of origin of rice processed food’s ingredient ,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Vol.48 (5) ; pp.181-201
    12. Kim S M , Lee J S , Han J A , Kim Y S , Paik J K , Hwang H S , Yi N Y , Park D S , Hong W S (2013) The housewife’s current use and demand for processed rice food products , Korean Journal of Food Cookery Science, Vol.29 (2) ; pp.95-104
    13. Cho J H , Koh B K (2003) A survey on the rice-based processed food consumption of the housewives at Daegu , Korean Journal of Food Cookery Science, Vol.19 (3) ; pp.300-307
    14. Cho Y B , Bae H H (2010) Consumption pattern of rice and processed rice food products in metropolitan household of 2010 ,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5. Lee G , IHwang Y J , Kim D W , Ban H J , Park I H (2013) The consumer behavior survey for food in 2013 ,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KREI),
    16.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KREI) 2014 (2010) The consumer behavior survey for food,
    17. Chae Y W , Kim Y S (2014) Consumption pattern of rice and HMR through market segmentation ,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8. Kim E S , Kim J M , Shin M S (2013) Studies on nutritionist’s perception and usage of rice products among foodservice meals in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in Gwangju and Jeonnam area , Korean Journal of Food Cookery Science, Vol.29 (6) ; pp.815-823
    19. The Korea Rice Foodstuffs Association (KRFA) (2015) Classification of processed rice food products in our country, http://www.krfa.or.kr
    20. Tengpongsathon K , Nanthachai K , Mason R , Rimkeeree H (2006) Consumer preference of rice-based products: cross cultural study between Thailand and Australia , Journal of Agricultural Technology, Vol.2 (2) ; pp.137-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