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8504(Print)
ISSN : 2287-8165(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Vol.27 No.5 pp.657-662
DOI : https://doi.org/10.12719/KSIA.2015.27.5.657

Analysis of Status and Inteligence System Requirement on the Industrial Crops Farmers at An-Dong region

Jung-Bok Lee, Gi-Seok Kwon, Jae-Sang Yun*
Department of Bioresource Sciences, Andong National University, Andong 36729, Korea
*Gyeongsangbuk-do Medical Crop Cluster, 977 Maegok-ri, Pungsan-eup, Andong-si, Gyeongbuk, 36619, Korea
Corresponding author +82-54-855-8200yunjaesang@hanmail.net
Co-coresponding auther
June 18, 2015 December 14, 2015 December 15, 2015

Abstract

This study were carried out the requirement analysis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on the industrial crops farmers at An-Dong region. Also we will be designed smart IT devices(Android) and take advantage of the personal PC with unified system for farmhouse that holds farmers to contribute to the improved management for farmhouse. It was configured the questionnaire through preliminary surveys and previous studies and analyzed the responses of a total of 140 farms with a visit interview method. Farmers’ response are mostly positive in the need for computerization and ICT training at the same time they preferred that training time is as short as possible and the enhanced computer program training that they want. Depending on the age group, it showed difference in the effectiveness of computer training, necessary degree of computerization, and sales agricultural products in whether the help or not in agricultural tourism. Therefore, to develop farmhouse management result in An-Dong City Special Corps Farmers, using the Smart unit in order to facilitate is a way to access the DB in conjunction with a computer, while enhancing the ease of user management with an emphasis on farming and sales that it would be able to contribute to substantial improvements increase the income of farmer participation.


안동지방 특용작물재배농가의 정보화 실태와 시스템요구 분석

이 중복, 권 기석, 윤 재상*
안동대학교 생명자원과학과
*(사)경북청정약용작물클러스터사업단

초록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112052-03

    최근 우리나라 농업인구의 감소와 고령화의 급속한 변화는 농업생산 환경에 영향을 미치고 있어서(Choi, 2006), IT기술과 의 융합을 통하여 스마트농업으로의 전환이 중요한 과제로 대 두되고 있다(Shin, 2006). 농촌의 정보화는 산업의 생산성 증대 와 경쟁력강화, 신속하고 편리한 의사소통을 통해 개인과 지역 사회 발전 도모,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 농가 등 지역경제 주 체의 경영분석을 통한 합리적인 의사결정의 지원과 새로운 기 술 및 시장정보제공 등에 폭넓게 이용될 수 있다. 즉, 농촌의 정보화는 생산 및 유통의 효율화와 생산자, 소비자 간의 정보 공유, 자원관리 고도화 등을 통해 농촌경제를 활성화하는데 기 여할 수 있다(Shin, 2006). 그간 진행되어 온 농촌정보화 DB 사업은 주제분야 별로 이루어져 한번의 접속으로 농가가 필요 로 하는 모든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One-Stop서비스가 근본 적으로 불가능하다(Kim, 1998; Jung, 2012). 최근에는 스마트 폰을 활용한 농촌정보화사업들이 제시되고 있다. Jo et al. (2013)은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작물의 재배요소와 재배환경을 관리하는 시스템을 검토하였고, Jo et al. (2013)의 연구에서도 농산물의 작물재배시스템에는 활용이 가능하나 농민들의 애로 사항 중 핵심인 농산물판매와는 연동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 다. 농업정보화의 목표는 농산물의 적절한 유통구조 확립에 있 다. 인터넷판매 식품시장점유율은 10.8%에 달하는 등 성장 잠 재율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Kim, 2011). Lee (2014)는 전체 농가의 19.9%가 직거래 방식 판매를 하고 있지만 직거래농가 의 약 70%가 연간 2천만 원 미만인 구간에 속하고 있어서 아직 규모면에서는 영세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농가에서 누구나 보유하고 있는 스마트 IT 기기를 활용하여 일원화 시스템체계의 스마트 농업관리 및 경 영시스템 육성 체계 확립을 위한 첫 번째 단계로서 농가의 실 태조사를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의 연구표준지로 선 정한 안동시는 인구 18만 정도의 도·농이 혼재한 중소도시로 서 10대 작목(산약(마), 사과, 쌀, 고추, 딸기, 참외, 포도, 단 호박, 매실, 상황버섯)을 선정하여 이를 집중 육성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농업경 영활성화의 전단계로서 농촌정보화 실태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방법

    연구설계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IT시스템을 활용한 농어가의 생산, 관 리, 유통, 판매, 정산 일원화 시스템을 구축할 목적으로 선행연 구 등의 연구사례를 참고하여 농민들의 요구분석을 다음(Fig. 1) 과 같이 이론적 탐색과 실증연구를 병행하였다.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설문의 구성

    Jung et al.(2010)은 농촌정보화마을 전자상거래모델의 성공 요소로 정보화교육, 정보기술이용, 홈페이지 커뮤니티, 조직의 지식공유를 실증분석하였다. 또 농촌정보화에 있어서 소비자 정보에 대한 지식공유가 농가수익성 향상에 많은 영향을 미친 다(Lee & Choi, 2003). 지식공유란 개인과 집단이 집단 내 지식을 소유한 사람에게서 지식을 획득하고자 하는 사람에게 지식이 전달되어 지식을 이해하고 변환하여 사용(Baek & Kim, 2008)하는 것으로 농산물의 경우 소비자정보가 다른 사 람들에게 전달되어 이를 통하여 또다른 농산물의 판매를 촉진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선행연구결과를 참고하여 1차로 안동지역에서 특용작물을 재배하는 30농가를 방문하여 일대일로 개별면접을 실시한 결과 농가 별로 특용작물 재배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과 정보화능력이 상당한 연관관계가 있으며, 또한 인구통계학 적 특성이 정보활용에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예 비조사결과와 선행연구들을 참고하여 Table 1과 같이 설문을 구성하였다.

    실험절차 및 통계처리

    본 실험을 위하여 조사자 5명을 사전교육한 후 예비조사로 서 안동시 특용작물농가 30곳을 2014년 2월 24일에서 2월 27일까지 방문면접을 하여 일대일로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문제점을 도출한 후 선행연구자료 등을 참 고하여 설문문항을 구성한 다음 작성된 자료로 2015년 3월 16일에서 3월 2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방식 은 집체교육 참가자와 방문면접 등으로 총 143명의 응답자 중 무성의하게 답변한 3명을 제외하고 140명의 유효설문지를 통 계처리하였다. 연구설문의 신뢰성 분석은 Cronbach's α를 이 용하여 분석하였다. 항목간 분석은 SPSS 18.0KR을 이용하여 카이스퀘어검정과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결 과

    신뢰성분석

    본 연구의 Cronbach's α값은 정보화변수와 정보화교육이 각 각 0.740과 0.841로 나타나 본 연구에 사용된 변수들은 항목 간 내적 일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표본의 특성

    표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영농 참여 동거가족 수의 경우 1명 이하가 57.1%, 2명이 32.9%, 3명 이상이 10.0%로 나타났으며, 연소득의 경우 3,000만원 이하가 44.3%, 3,001 - 5,000만원이 32.9%, 5,001만원 이상이 22.9%로 나타나 고르게 분포하고 있었으며 별도의 정보화시스템에 참여할 인 원은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로 재배하는 작물은 사과가 77.1%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이를 요약하면 부부가 혹은 1명의 부양가족이 연소득 3,000 만원에서 5,000만원의 수입이 있으며 따라서 컴퓨터 혹은 인 터넷에 대한 관심은 그리 높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정보화와 관련하여 컴퓨터 소유 여부 응답 분포를 살펴본 결과, 컴퓨터보유 농가가 85.7%로서 대다수 가정에서 소유하 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60세 이상의 경우 있다가 없다가 19.0%로 나타나, 성별(χ2=3.889, p<.05)의 경우 95% 신 뢰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컴퓨터교육 경험 응답 분포를 살펴본 결과, 전체적으로는 받 았다가 58.6%, 아니다가 41.4%로 나타났으며, 남자들이 여자 들보다는 덜 받았으며(성별, χ2=10.381, p<.01)의 경우 99% 신 뢰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영농일지 사용빈도 응답 분포를 살펴본 결과, 연령 (χ2=21.170, p<.05)과 연소득(χ2=32.383, p<.001)의 경우 95% 신뢰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정보화 변수

    정보화최우선 필요분야 응답 분포를 살펴본 결과(Table 2), 전체적으로는 생산 15.7%, 가공 7.1%, 판매 74.3%, 생태환경 관리 2.9%, 농촌관광 0%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다 음과 같다. 연령(χ2=30.635, p<.001), 영농 참여 동거가족 수 (χ2=18.985, p<.01)의 경우 95% 신뢰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 의한 차이가 있었다.

    판매분야에서의 필요부분 응답 분포를 살펴본 결과, 전체적 으로는 판매시스템의 구축이 61.4%, 소비자 정보공유 18.6%, 유기농산물 이력관리 2.9%, 농산물 소비자 구매동향분석 시스 템 11.4%, 농산물 실시간 물류관리 5.7%로 나타났다. 세부적 으로 살펴보면 성별(χ2=6.585, p>.05), 연령(χ2=15.768, p>.05), 영농 참여 동거가족 수(χ2=11.845, p>.05), 연소득(χ2= 4.930, p>.05)의 경우 95% 신뢰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농촌관광의 농산물 판매도움 응답 분포는 Table 3과 같이 성별(χ2=11.449, p<.05), 연령(χ2=53.706, p<.001), 영농 참여 동거가족 수(χ2=18.995, p<.05), 연소득(χ2=23.886, p<.01)의 경우 95% 신뢰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정보화교육

    정보화 교육방식 응답 분포를 살펴본 결과 Table 4와 같이 전체적으로는 성별(χ2=13.587, p<.01)와 연령(χ2=33.048, p<.001) 의 경우 99% 신뢰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 었다.

    고 찰

    본 연구에서는 설문을 구성할 때 선행연구와 예비조사결과 를 참고하여 인구통계학적 요소를 최대한 반영하였고 연구결 과에서도 차이가 나타났다.

    컴퓨터교육의 효과(F=5.328, p<.01), 정보화의 필요정도 (F=4.131, p<.01)등이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핵심 과제인 정보화와 정보화교육의 필요성에 있어서는 농촌의 구 성원 대다수가 컴퓨터는 어렵다고 생각하고 있고, 정보화의 필 요성에 대하여는 대부분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면서도 교육시 간은 가급적 짧게, 사용편이성이 강화된 프로그램을 원하고 있 음을 알 수 있었다. 즉, 그동안 Kim (1998), Administration of Rural Development(2009)에서 지적한 것처럼 기관 전체의 DB에 접근하는 방식이 아닌 필요한 정보를 모아서 간단한 교 육으로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식을 선호하였다. 특히 대다수 농민들이 생산보다는 판매에 활용할 수 있는 방식을 선호하였다(71.7%). 또 소득이 높아질수록 영농일지를 작성하 여 체계적으로 영농관리에 IT기술을 영농에 적용하려는 경향 을 보였다.

    따라서 안동시 지역 특용작물 재배농가의 경영성과를 촉진 하기 위하여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농업경영정보화 시스템구축 은 이러한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하면 영농정보와 수확한 농산 물 판매에 중점을 두고 사용자편이성과 필요한 최소한의 정보 를 활용하면서 컴퓨터와 연동하여 DB에 접근하는 방식으로 개발하는 것이 농가의 참여도 높이고 실질적인 농가경영과 소 득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적 요

    농촌정보화는 산업의 생산성 증대와 경쟁력강화와 생산 및 유통의 효율화, 자원관리의 고도화 등을 통해 농촌경제를 활 성화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예비조사와 설문지에 의한 실 증조사 연구와 문헌연구 등을 수행하였으며, 안동시 특용작물 농가 140명의 유효설문지를 통계처리하여 그 결과를 해석하고 시사점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응답농가의 컴퓨터 보유농가는 85.7%였으나 노년층인 60 세 이상의 경우 미보유농가가 19.0%로 나타났다.

    2. 영농이나 농작물 판매 시 컴퓨터 사용 여부 응답 분포는 성별(χ2=4.667, p<.05), 연령 차이(χ2=10.576, p<.05)에 의해 컴퓨터 사용 여부가 차이가 있음이 95% 신뢰 수준에서 통계 적으로 유의하였다.

    3. 정보화를 한다면 최우선필요 분야는 판매분야가 74.3%로 나타났다. 특히 판매분야 중에서도 시스템구축 61.4%, 소비자 정보공유 18.6%로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4. 교육시간은 4시간 이하(65.7%)를 가장 선호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안동지방 특용작물 재배농가는 농촌정 보화 시스템 구축을 농산물 판매에 중점을 두고 간단하게 배 울 수 있는 시스템을 선호하였다. 따라서 컴퓨터보유여부와 관 계없이 누구나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판매시스템 이 이러한 농민들의 요구를 만족하는 대안이 될 것으로 판단 된다.

    ACKNOWLEDGMENTS

    본 연구는 농림축산식품부 첨단생산기술개발사업(112052-03) 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며, 이에 감사드립니다.

    Figure

    KSIA-27-657_F1.gif

    Research Flow.

    Table

    Questionnaire Configuration.

    Information priority need areas.

    ***p<0.001,
    **p<0.01

    Selling agricultural aid of rural tourism or not.

    ***p<0.001,
    **p<0.01,
    *p<0.05

    ICT teaching methods.

    ***p<0.001,
    **p<0.01,

    Reference

    1. (2012) Administration of Rural Development , A study of enabled cyber agricultural trade, Administration of Rural Development,
    2. (2009) Administration of Rural Development , Agricultural development projects and leading agriculture, Administration of Rural Development,
    3. Baek Y J , Kim E S (2008) Individual, Structure and Relational Characteristics and Knowledge Sharing within CoP , Korea Knowledge Management Society, Vol.9 (2) ; pp.63-86
    4. Choi S K (2006) Agricultural policy and economic growth : the case of the Republic of Korea, Korea Rural Economy Institute,
    5. Hwang K H (2011) A study on the evolution of smart phone and new cultural capital , SungKyunKwan University Master's Thesis,
    6. Jo Y Y , Shin C S , Yeo H (2013) Greenhouse environmentalintegration in ubiquitous agriculture management system , Communica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Engineer, Vol.27 (6) ; pp.21-26
    7. Jung S H , Koo C M , Lee D Y (2010) A study of success factorsand profitability of the E-village shopping mall suppor the Korean Goverment , Information System Review, Vol.12 (3) ; pp.141-158
    8. Kim H D (1998) The importance of knowledge of agriculture and the rural information-based construction and challenges , Agriculture and Information Technology, Vol.7 (1) ; pp.1-18
    9. Kim H J , Jeon B C , Kim H S , Lee S J (2012) A Developmentof an U-Farm Monitoring System , The Korea Academia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2 Spring Conferance, ; pp.704-708
    10. Kim M H , Sohn B R , Kim D K , Kim J K (2009) Agricultural roducts Traceabili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RFID/ USN , KIISE Transactions on Computing Practices, Vol.15 (5) ; pp.331-343
    11. Kim Y H (2011) Consumer awareness and survey research of food sold on the Internet , Korea Consumer Affairs Institute,
    12. Ko Y S (2006) A study on the u-village model for development divide closure between city and village , Telecommunications Review, Vol.6 (6) ; pp.36-42
    13. Lee D Y (2014) The Effects of Local Environmental Factors andIncome Increase on the Direct Marketing of Agricultural Products , Seoul University Master's Thesis,
    14. Lee H , Choi B (2003) Knowledge Management Enablers, Processe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 Integrative View and Empirical Examination , J.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Vol.20 (1) ; pp.179-228
    15. Shin Y S (2006) Rural ICT research in the ubiquitous era, Korea information environment Institute,
    16. Sohn S M (2012) “Organic Center” of the organizational structureand operational status in Germany ,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Vol.24 (1) ; pp.84-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