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8504(Print)
ISSN : 2287-8165(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Vol.28 No.2 pp.274-282
DOI : https://doi.org/10.12719/KSIA.2016.28.2.274

Development of Evaluation Criteria and Certification Standards for Organic Maternity Care Center

Tae Yeon Chon, Sang Mok Sohn*
Research Institute of Orgnaic Agriculture, Dankook University, Cheonan 31115, Korea
*Dept of Environmental Horticulture, Dankook University, Cheonan 31115, Korea
Corresponding author +82-10-4028-2939 (smsohn53@gmail.com)
February 26, 2016 May 24, 2016 May 25, 2016

Abstract

With the increasing awareness of health and environmental preservation, consumers turn their attention to organic and eco-friendly products. The increased service industry incurred partly by sophistication of industrial structure has resulted in having the service industry subject to environmental certification in a bid to promote sustainable production and consumption, which has contributed to reducing environment loads and energy costs as well as the amount of wastes. The gradually increasing maternity care centers have elevated environment loads and caused a variety of diseases due to a lack of health control and improper treatment of chemical substances.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aims to develop evaluation criteria for an official certification of organic maternity care centers and to present the basic operational proposals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organic and eco-friendly industrial certification programs. Due to the absence of studies on certification programs for organic maternity care centers, this study has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f overseas certifications, including Organic SPA, GRA, and Nordic Swan, and domestic eco-friendly hotel service certification standards. The evaluation areas have been classified into 19 or less categories, including 19 items for Organic SPA, 8 items for GRA, 7 items for Nordic Swan and 7 items for eco-friendly hotel service certification, and common evaluation areas have been grouped into categories and health control and education management that are considered important in maternity care centers have been incorporated into evaluation areas, which has eventually produced six different categories. When it comes to selecting evaluation indicators for different categories, what are neither used in nor applicable to maternity care centers have been excluded and similar items have been combined and eventually 41 preliminary evaluation indicators have been selected following in-depth interviews with relevant professionals. Further researches into developing the evaluation system to properly evaluate and certify organic maternity care centers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surveys among operators of maternity care centers and relevant professionals will be appreciated.


유기농 산후조리원 인증 기준과 평가 지표의 개발

전 태연, 손 상목*
단국대학교 유기농업연구소
*단국대학교 환경원예학과

초록


    최근 건강과 환경보존이 중요시되면서 유기농 및 친환경 제 품 소비가 증가하고 있으며 개인 건강과 결부되면서 환경의식 이 확산되는 계기가 되고 있다(Kim, 2009). 지금까지는 제품 생산 및 소비 과정에 있어 오염 발생이 적고 자원을 절약하는 제품에 환경마크를 인증하는 제도를 운영하고 있었으나 산업 고도화에 따른 서비스 산업의 증가로 지속가능한 생산 및 소 비 촉진을 위해 서비스 분야도 환경표지 인증 대상으로 확대 되었다(Korea Environmental Industry & Technology Institute, 2010). 외식 서비스 분야의 맥도날드는 32,000개의 매장에서 환경부하를 감소하기 위해 에너지 효율성, 지속가능한 포장재 사용, 폐기물 감소, 친환경 레스토랑 설계의 3가지 전략을 실 천하여 매년 17억 달러의 에너지 비용 절감과 13억 달러의 폐기물을 감소시켜 환경부하 감소에 기여하였다(Environmental Leader, 2009Yoo, 2012). 최근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산 후조리원은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환경적, 경제 적 측면, 사회적 요구에 대한 책임이 매우 큰 서비스산업이다. 따라서 산후조리원 서비스 분야에 객관적인 인증 기준의 개발 이 필요하며 이의 적용을 통한 인증시스템 정착으로 생태적 환경보호, 에너지 절감, 폐기물 감소, 유해물질로부터의 보호 등 환경부하 감소와 경제적 효과, 위생관리를 통해 산모 및 신생아의 질병예방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건강 및 환경에 관심이 많은 새로운 고객을 유치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유 기농업과 유기농 서비스 산업분야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형성 될 것으로 보인다. Table 1

    한편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산후조리원은 환경부하를 증가시 키고 화학자재 및 위생관리가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아 각종 질병을 유발하고 있다고 한다. 따라서 유기농 산후조리원 인 증기준을 개발하고 평가 지표를 제시함으로써 유기농 산후조 리원 인증시스템에 대한 프레임을 제시 할 필요가 있다. 아직 까지는 국내·외 유기농 산후조리원을 평가하는 지표 자체가 개 발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고에서는 유기농 산후조리원의 환경영향을 개선할 수 있는 평가항목을 개발하여 국내 실정에 맞는 유기농 산후 조리원 인증을 적용하여 생태계 보전, 온실가스 배출 저감, 에 너지절약, 폐기물관리 등 환경부하를 감소시키고 위생관리를 통해 질병을 예방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내·외 유기농 및 친환경 산업 인증 제도를 비교하여 유기농 산후조 리원 인증기준 평가지표를 도출하고자 하며, 인증기준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유기농 산후조리원 인증제도에 대한 국내·외 연구가 없으므 로 본 연구에서는 유기농산후조리원 인증제도에 대한 인증기 준이 될 수 있는 지표를 도출하기 위해 국외 Organic SPA, GRA, Nordic Swan과 국내 친환경호텔서비스 인증 제도를 분 석하였다. 이를 통해 인증기준 개발지표를 가지고 2014년 1월 20일 ~ 2014년 1월 30일까지 산후조리원의 경영자, 환경 인증 관련 연구원, 유기농산업 운영자, 유기농 인증조사관 등 7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통해 유기농 산후조리원 인증기준 예비 평가지표를 선택하였다.

    유기농 산후조리원 인증기준 개발 관련 인증제도

    Organic Spa1)

    ECOCERT는 서비스, 시설, 유기농 및 친환경 제품을 제공 하고 위생, 안전적인 측면에서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 다. 또한,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최소화시켜 생태 보존 및 환경보호에 노력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Organic Spa 인증제도는 19개의 평가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GRA (Green Restaurant Association)2)

    GRA는 물 절약, 폐기물 저감, 지속가능한 식품, 에너지 절 약, 재활용품 및 재생 가능한 용품, 화학 및 오염물질 감소, 지속가능한 가구와 건축자재 등의 7가지 평가영역으로 점수에 따라 등급별로 인증하고 있다. GRA의 평가영역 및 기준사항 은 Table 2와 같다.

    Nordic Swan3)

    Nordic Swan 은 1989년 북유럽(핀란드, 노르웨이, 아이스랜 드, 덴마크, 스웨덴) 5개국으로 설립되었다. Nordic Swan 환 경표지 인증을 받기위해서는 모든 측면에서 환경친화적 요구 조건을 만족시켜야하며 평가영역은 5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Table 3

    Green Hotel4)

    친환경호텔 서비스는 2010년에 최초 인증기준 개발 품목으 로 선정 되어 인증기준을 만족하는 호텔 사업장에 인증을 부 여하고 있다. 인증대상은 관광호텔 중 1등급 이상 호텔이며 평 가영역은 7개 부분으로 호텔 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발생하는 주요 환경부하에 대하여 기준을 설정하였다(Nam, 2010). 친환 경호텔 서비스 인증기준 및 평가영역은 Table 4와 같다.

    국내·외 유기농 및 친환경 산업 인증기준 비교 분석

    인증기준 비교를 위해 국내·외 기관이나 협회의 인증기준 평 가시스템 4개를 비교 분석하였다. 산후조리원의 특성상 복합 형태(숙박, 조리, 위생관리 등)의 서비스 업종으로 이와 관련 된 레스토랑, 숙박시설, 호텔, 치료 등의 인증기준을 비교 분 석하였다. 그러나 그 기준이 간략하거나 산후조리원과 맞지 않 는 항목은 제외시켰다. 평가기준 항목은 Organic Spa 50개, GRA 110개, Nordic Swan 83개, 친환경 호텔서비스는 66개 의 항목 등을 알 수 있으며 각 인증제도의 공통적인 분야는 에너지관리, 지속가능한 식자재 이용, 수자원관리, 실내 환경, 폐기물관리 등의 영역임을 알 수 있다. 국가별 인증제도 비교 와 인증기준 구성요소는 Table 5, Table 6과 같다.

    인증기준의 평가분야 및 항목이 유사하기 때문에 인증기준 을 별도로 비교·분석하는 것보다 종합적인 평가항목의 고찰이 효율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인증기준의 평가분야는 19개 내의 평가영역으로 구분되며 식·음료, 에너지 관리, 물 관리, 폐기 물 관리 및 재활용품 사용, 녹색제품구매, 화학물질사용 감소, 실내 환경, 친환경경영, 녹지공간 등 9개 영역으로 분류가 가 능하다. 본 연구는 4개의 인증기준 평가영역에 대한 공통된 속 성의 평가지표를 묶어 범주화하고 평가항목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산후조리원에서 중요시 되고 있는 위생관리 부분과 유기 농 산후조리원의 특성상 유기농 식자재 및 제품사용의 중요성 이 크므로 유기농 교육부분을 평가영역으로 분류하였다. 유기 농 산후조리원 평가영역은 유기농 식·음료, 유기농 제품구매, 친환경 자원관리, 유기농 시설관리, 유기농 교육, 위생관리 등 총 6개 영역으로 분류하였다. 평가항목의 인증기준은 평가영 역과 평가항목이 동일하거나 비슷한 항목들은 합치고 의미가 다른 항목들은 되도록 유지하도록 하였다. 환경경영부문은 자 원관리 내용과 중복되어 친환경 자원관리 항목으로 포함시켰 다. 단, 치료, pools 관리 부분, 스파, 호텔의 특정적인 평가항 목은 산후조리원과 맞지 않아 문헌고찰에서 제외하였다.

    ‘포장 및 구입은 적합한 공급업체 선정’,‘식기세척기 사용 시 물과 에너지절약 방법 표시’,‘에너지 감사는 5년에 1번 실시’, ‘CFC 냉각제 금지 및 HFC 냉각제 사용’,‘식자재 공급업자에 게 재사용 가능한 수송수단 이용’ 항목은 현재 산후조리원에 서 사용하고 있지 않거나 해당사항이 안 되는 항목과 유사한 항목이 있어 최종 예비지표에서 제외시켰다. 또한 ‘유전자 조 작이 없는 식재료’,‘컴퓨터에 의한 설비자동 제어시스템 설치’, ‘공기정화기용 팬, 난방 급수용 펌프 등 에너지 절약 제어 방 식’,‘환경교육’ 등의 평가항목은 다른 항목과 유사한 관계로 통 합하였다. 평가항목은 가능한 모든 요구조건을 포함시켰으며 이는 처음에 요구조건을 누락하는 것보다 나중에 적합하지 않 는 요구조건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CREM and CH2M-HILL 2000;Yoo 2013). 유기농 산후조리원 예비 지표는 6개 영역으로 총 55개의 평가항목으로 선정되었다. Table 7

    요약 및 결론

    최근 건강과 환경보존이 중요시되면서 유기농 및 친환경 제 품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산업의 고도화에 따른 서비스 산업 의 증가로 지속가능한 생산 및 소비 촉진을 위해 서비스 분야 도 환경표지 인증대상으로 확대되었으며 이로 인해 환경부하 감소와 에너지 비용 절감, 폐기물 감소에 기여하게 되었다. 지 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산후조리원은 환경부하를 증가시키고 화학자재 및 위생관리가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아 각종 질병 을 유발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외 유기농 및 친환 경 산업 인증 제도를 비교하여 유기농 산후조리원 인증기준 평가지표를 개발함으로써 유기농 산후조리원 운영에 기본 안 을 제시하고자 한다. 유기농 산후조리원 인증제도에 대한 국 내·외 연구가 없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국외 Organic SPA, GRA, Nordic Swan 등 인증기준과 국내 친환경호텔서비스 인 증기준을 비교 분석하였다. 인증기준의 평가영역은 Organic SPA 19개, GRA 8개, Nordic Swan 7개, 친환경호텔서비스 7개로 19개 내의 평가영역으로 구분되었으며 공통된 평가영역 은 묶어 범주화하고 산후조리원에서 중요시 되고 있는 위생관 리, 교육관리 부분을 평가영역으로 구분하여 총 6개 영역으로 분류하였다. 단, pools 관리, 치료 및 스파, 호텔의 특정적인 평가항목은 산후조리원과 맞지 않아 문헌고찰에서 제외시켰다. 각 영역별 평가지표의 선정은 산후조리원에서 사용하고 있지 않거나 해당사항이 안 되는 항목은 제외시켰으며 유사한 항목 은 통합하여 도출하였으며 전문가의 심층면접을 통해 총 41개 의 유기농 산후조리원 예비평가지표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예 비평가지표는 사후 산후조리원 운영자 및 전문가들의 심층면 접 및 설문을 통해 최종 유기농 산후조리원 평가지표 개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Figure

    Table

    ECOCERT Organic & Ecological Spa Standard

    source : www.ecocert.com

    Green restaurant certification 4.0 standards

    source : www.dinegreen,com

    Eco-labelling certification

    source : www.norden.org

    Eco-friendly hotel service certification standards

    source: Korea Environmental Industry & Technologe Institute (2011);Environment Mark Certification Application Manual

    Comparing the certification system of each country

    Comparing the assessment area of organic postnatal care center for each certification system

    Preliminary evaluation indicators of organic postpartum care centers

    Reference

    1. Environmental L (2009) McDonald's 10 green restaurant models , Retrieved Jan. 30 2011,
    2. Kim Y J (2009) Study on an influence which the environmentfriendly factor of restaurant gives to consumer's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Master Thesis, Kyung Hee University,
    3. Korea Environmental Industry & Technology Institute (2010) The domestic hotel industry in eco-friendly hotel certification system introduced, ; pp.1
    4. Korea Environmental Industry &Technology Institute (2011) Environment Mark Certification Application Manual- EL801 hotel services,
    5. Nam J M (2010) Environmental labeling certification of eco-friendly hotel also introducing strategic services , Korea Environmental Industry &Technology Institute,
    6. Yoo J Y (2012) The Dvevlopment of Environmentally-Friendly Restaurant Certificate Standards for Sustainability ,
    7. Kyonggi University. Ph D DissertationGreen restaurant website , http://www.environmentalleader.com/2009/08/07/mcdonalds-testing-10-green-restaurantmodels/,
    8. Green restaurant websitewww.dinegreen.com,
    9. Organic SPA websitewww.norden.org,
    10. Organic SPA websitewww.ecocert.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