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8504(Print)
ISSN : 2287-8165(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Vol.28 No.3 pp.293-300
DOI : https://doi.org/10.12719/KSIA.2016.28.3.293

Redirecting the Role of Agricultural University for Regional Innovation in Developing Countries

Kyung-Ryang Kim†, Won-Sil Choi, Sanaev Golib
Department of Agricultural Economic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24341, Korea
Corresponding author : (+82-33-250-8663) (kimkr@kangwon.ac.kr)
February 3, 2016 July 18, 2016 August 17, 2016

Abstract

The regional innovation center (RIC) has been closely linked with college or university of the region in the capacity of research collaboration and business activities. In this relationship, the role of college or university becomes utmost important especially in developing countries. This study intends to redirect the role of regional university in Samarkand, Uzbekistan. The tasks for reformulating the agricultural university are associated with the curriculum, the capacity building of faculty, and the operation system of RIC. Finally,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divided departments of the university should be merged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research. Also the university need to focus on extension for agri-business and strengthening lecturer’s competency for development of professional human capitals.


개도국 지역혁신을 위한 농과대학의 역할정립
- 우즈베키스탄 사마르칸트 농업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김 경량†, 최 원실, Sanaev Golib
강원대학교 농업자원경제학과

초록


    Kangwon National University

    국가경제가 성장·발전함에 따라 농업의 상대적 비중이 점 차 감소하는 것은 일반적인 추세이다. 우리나라의 농림업 부가 가치는 2006년 23조 8천억 원에서 2014년 28조 7천억 원으로 증가하였으나, 국내총생산(GDP) 대비 농림업 부가가치 비중은 Fig. 1과 같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최근 농업과학기술 영역의 확대와 농업의 다원적 기능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농업부문의 지속적인 성장과 중요성은 더 욱 강조되고 있으며, 국가경제의 한 축으로서 농업부문의 역할 이 점차 다양한 면모와 경로로 확대되고 있다. 예컨대, 농업이 식량공급원이라는 기본적인 개념에서 벗어나 이제는 지역경제 발전의 원동력으로 인식되고 있는 것이다. 즉, 지역혁신과 농 업발전을 하나의 연결고리로 인식하는 새로운 발전 패러다임 이 등장하고 있으며, 이는 최근 들어 우리나라를 비롯한 여러 국가에서 농업정책의 근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지역혁신체계(Regional Innovation System: RIS)는 이러한 패러다임의 대표적인 예로 지역경제 활성화, 부가가치 증대, 농 업과 과학 기술의 융·복합을 통한 지역의 내생적 성장을 목표 로 설립되었다. 지역혁신체계가 확립되기 위해서는 우수 인재 양성과 안정적인 인력 확보가 시급한 상황이며, 이를 위해서 는 지역 대학의 역할이 중요하다. 대학은 지식, 혁신, 성장의 원동력으로서 지식의 창출과 확산을 통해 지역의 사회·경제· 문화적 발전에 기여해야 한다(Min et al., 2011).

    이처럼 지역경제 발전을 위한 지역혁신체계의 확립이 강조 됨에 따라 지역대학의 역할 또한 발전하는 농업과 사회의 변 화에 맞춰 재정립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상황은 지역 경제 발전이 시급한 개도국에서도 마찬가지이다. 1차 산업 위 주로 경제가 구성된 개도국에 지역혁신체계의 일환인 농업혁 신체계가 구축되면 농업 기술의 융·복합을 통해 지역경제발전 을 이끌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국가 경제를 이끄는 힘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우즈베키스탄 사마르칸트 지역의 사례연구를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는 농업분야 지역혁신체계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한 대학의 역할을 제시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본 연구를 위하여 사례분석 대상으로 우즈베키스탄 사마르 칸트 농업대학교로 선정하였다. 사마르칸트는 우즈베키스탄의 거점 농산물 생산 지역으로 대학의 기술혁신과 농업투자가 이 루어질 시 농업분야의 성장 잠재가능성이 큰 지역이다(UzStat, 2014). 지역혁신센터 설립시 혁신 주체가 될 사마르칸트 농업 대학교 역할을 재정립하기 위하여 지역혁신 및 농업혁신체계 의 이론적 고찰 후 사마르칸트 농업대학교의 현황을 분석하였 다. 사마르칸트 농업대학교 현황 분석은 문헌조사를 통해 이 루어졌으며, 지역혁신체계 및 센터 설립 수요조사는 현지 대 학 교수 및 관련기관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현장 및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지역혁신의 이론적 고찰

    지역혁신의 이론적 배경

    Cooke (2002)는 지역혁신체계를 기업, 대학, 연구소 및 지방 정부 등 지역 내 다양한 경제주체들이 지역의 생산과정이나 새로운 기술의 창출, 도입, 확산과정에서 상호 협력하여 상승 작용을 함으로써 지역의 혁신역량을 최대화하고 지역경쟁력을 제고시키기 위한 지역 내 연계망과 제도로 정의하였다(Cooke, 2002; Ku, 2014). 또한 지역혁신체제는 1990년대에 산업클러 스터론과 혁신체제론이 수렴·결합하면서 지역혁신체제론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지역혁신체제론에서는 산업 집적 및 전문화, 네트워크를 통한 집단학습을 산업 발전의 중요한 요소로 인식 하고 혁신 주체간의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시스템 구축을 강조 하고 있다(Kim, 2001). 즉, 지역혁신체계는 지역의 혁신역량을 강화하기 위하여 기업, 연구기관, 대학, 지방정부 등의 혁신주 체들이 지역의 제도적인 환경을 통해 상호작용 및 공동학습에 참여하는 체계라고 할 수 있다(Song et al., 2005).

    Fig. 2와 같이 지역혁신체제의 참여자로서 대학은 지역에서 필요로 하는 우수인력을 창출하여 공급하고, 지방에 소재하 는 기업이 필요로 하는 기술을 적시에 개발하여 공급함으로 써 지역경제 발전에 기여하고, 나아가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지역의 삶의 질을 높이는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Lee et al., 2007).

    농업혁신체계의 이론적 배경

    농업혁신체계(Agricultural Innovation System: AIS)는 농식 품 영역의 경제적, 환경적, 사회적 성과를 높이는 핵심요소이 다(OECD, 2013). 농업혁신을 위해서는 연구, 교육, 기술보급, 농가, 정책입안자, 규제자, NGO, 소비자, 브로커 등 다양한 주체와 과학분야 간의 긴밀한 상호활동이 필요하기 때문에 농 업혁신체계는 매우 다양하고 복잡한 구조를 가진다(OECD, 2013). 아래 Fig.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농업생산의 주역인 농 민을 지원하는 기술혁신체계는 국가정책 뿐 아니라 농민조직, 요소시장, 생산물시장과 같은 시장요인과 직간접적으로 연결되 어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 농업기술의 개발과 혁신을 실현시키 는 주요 요인은 연구(Research), 기술지도(Extension service) 및 교육·훈련(Education/Training)이라 할 수 있다. 그렇지만 개발 도상국에 있어서는 이러한 요인들이 불충분하거나 관련제도에 있어 제약이 많은 편이다. 이러한 이유로 개발도상국은 기술 혁신에 바탕을 둔 농업성장을 실현하는 것이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농업혁신을 구축하는 요인들 중 연구, 기술지도 및 교육· 훈련의 부족은 제도적인 제약에서 비롯되므로 제도적 정비가 우선시 되어야 한다.

    개발도상국의 경우 개발에 있어 경로의존(Path-dependency) 성향과 중앙집권적인 국가 연구구조에 대해 집착이 강하여 연 구역량 요인이 부족하다. 기술지도 측면은 예산지원이 부족하 고, 기술수준이 불충분하며 농민의 참여 또한 매우 제한적이 다. 교육과 훈련 측면 또한 노동시장이 요구하는 지식과 실무 적인 능력을 제공할 수 있는 제도적 적응력이 낮아 제약이 있다. 특히 농업혁신의 주역인 문제해결(Problem-solving) 능 력과 원활한 대인관계(Interpersonal) 능력을 갖춘 인재를 육성 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개도국이 직면한 제도적인 문제인 것 이다.

    농업분야 지역혁신을 위한 지역대학의 역할

    지역혁신체계에서 대학의 역할

    지역혁신체계에서 지역대학의 역할은 크게 지식생산자로서 의 역할, 지식송수신자로서의 역할, 지식의 응용 및 활용주체 로서의 역할로 나눌 수 있다. 이는 Fig. 4와 같이 대학 본연 의 역할인 연구, 교육, 사회봉사 등을 통한 지식의 생산, 확산, 활용으로 인재양성과 산업 육성을 강화하고, 효과적인 지역혁 신체계의 혁신창출구조를 구축하여야 한다. 지역 대학의 역할 이 효과적으로 발현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지역 대학을 특성화 하여 지역대학이 지닌 역할을 배분하고, 지역대학 간 네트워 크를 구축해야 한다(Min et al., 2011).

    농업분야 발전을 위한 대학의 역할

    농업 R&D 발전의 밑거름인 인재 양성을 위해서는 농학계 대학의 역할이 중요하다. 생산성 향상, 자원 이용 효율 극대화 를 중심으로 하던 과거 농산업과 달리 최근에는 식량 생산 부 문과 연관된 생태 환경, 사회, 소비자 건강 및 안전성 등에 중점을 둔 농산업으로 변화되었다. 따라서 새로운 농산업분야 성장 동력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요소 기술을 개발하기 보다 다양한 자연 응용 과학과 인문 사회 과학이 융·복합된 영역의 기술이 요구된다(ADACU, 2014). 아래 Table 1과 같 이 농업 R&D 목표 및 과제의 특성 등이 변화하고 있다. 이 를 통해 독립적으로 연구를 수행하기 보다는 다양한 부문의 연구자가 융합된 팀으로 R&D 연구가 수행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최근 농산업이 요구하는 연구 수행을 위 해서는 R&D 전문 인재가 필요하다.

    이러한 인재 양성을 위한 농학계 대학의 역할이 매우 중요 하다. 농업 구조변화에 따라 농학계 대학은 농업 현장, 생태환 경, 소비자, 사회 커뮤니티를 하나의 단위로 인식하고 상호 피 드백이 가능하도록 하여 생태·자원·사회·대학 통합 협력형 인 재를 양성해야 한다. 따라서 교육의 영역은 중심 기초과목을 바탕으로 환경 생태와 소비자, 사회를 함께 고려하는 응용과 학을 교육하고, 농업현장도 1차 산업의 현장을 확대하여 농 업서비스, 인문 사회 등 3차 산업 영역을 포함하는 6차 산 업으로 확대해야 한다. 이처럼 대학과 사회 생태환경이 유기 적으로 작동하게 되면 대학은 교육과 R&D가 현장과 융화할 수 있는 농학계 대학으로 발전하게 될 것이다(ADACU, 2014).

    시사점

    지역 대학은 지역 혁신 역량의 주체로서 지역혁신클러스터 조성에 절대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실제로 선진국에서는 열악한 지역산업 환경을 극복하기 위하여 대학을 통해 산학연 계형 연구, 인력양성 등을 행함으로써 대학이 초기 클러스터 를 형성하기 위한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하였 다. 또한 기술사업화를 위한 대학의 역할도 증대되고 있다. 지역혁신체계의 관점에서 대학은 본연의 역할인 연구, 교육, 사회봉사 및 참여를 통해 지식의 생산, 확산, 활용으로 이어 지는 지역혁신을 효과적으로 창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대학은 지역혁신체계에서 지식생산자로서의 역할, 지식송수 신자로서의 역할, 지식의 응용 및 활용주체로서의 역할을 해 야 한다.

    우즈베키스탄 사마르칸트 농업대학교(SAI) 사례 연구

    사마르칸트 농업대학교 개편의 필요성

    사마르칸트 농업대학교(SAI)는 1929년 우즈베키스탄 정부가 면화재배와 수의학 연구를 위해 설립하였으나 1990년대 체 제전환 이후 농업발전을 위한 우즈베키스탄 정부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신학문 도입 및 교육체제 개편, 전문 인력 양성, 지역혁신 주체로서 대학의 역할이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사 마르칸트 지역은 농업에 대한 시장분석이 시행되지 않고 있 어 효과적인 농업 생산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구조이며, 기술 및 전문 인력 부족, 농업투입요소 부족으로 농업 문제에 직면 하고 있다. 또한 원예 분야의 생산자조직은 없거나 있더라도 결속력이 약해 쉽게 해체되어 원예 생산농가들이 거래교섭력 과 재배기술, 경영정보 등을 접하는 것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농업의 부가가치 창출 을 위한 혁신 체계를 개발하고, 수출증대를 통한 생산 및 가 공의 연계효과를 극대화하면 농업 경쟁력 강화 및 농가소득 을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혁신 체계가 개발되고 지속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농업 인재 양성이 매우 중요하며, 이에 따라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하는 대학의 역할이 부각된다.

    사마르칸트 농업대학교 지역혁신센터 설립을 위한 수요조사1)

    지역혁신체계를 통한 사마르칸트 지역 농업분야의 내생적 발전을 위해 지역대학은 인재 양성을 목표로 구조조정을 해야 한다. 구조조정은 크게 학과 개편 등의 학교조직 개편, 현장실 습 위주의 교과과정 개편, 국제적인 능력 배양을 위한 교원역 량 강화, 농가공품 발굴을 위한 지역혁신센터 설립 분야로 구 분하여 추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마르칸트 농과대학교 4개 학부 교수2)를 대상으로 대학의 구조조정에 대해 현지 세 미나와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학교조직 개편, 교과과정 개편, 교원역량 강화 지역혁신센터 설립에 대한 설문조사 결 과는 다음과 같다.

    대학조직개편

    사마르칸트 농업대학교는 산업과 대학의 연계가 충분하지 않고, 학부 학생들은 이론적 지식과 실습경험이 부족한 실정 이며, 변화하는 사회 환경에 따라 통합되었던 학부를 세분화 하여 학과로 분리하자는 의견으로 수렴되었다. 이러한 사마르 칸트 농업대학교의 현황을 토대로 대학조직개편은 산업과 대 학의 연계를 위한 조직개편이 이루어져야 하며, 학생들을 위 한 스터디그룹 조성, 정보화시설 설립 등으로 지식 공유가 활 발히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를 조성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교과과정 개편

    교과과정 개편 시 국제적 기준을 따라야 한다는 의견이 가 장 많았으나 농공학부의 경우 지역수요를 고려해야한다는 의 견이 많았다. 그 이유는 농공학부와 지역 농산물을 가공·처리 분야의 밀접한 연관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대학은 과거 교 육과정 개편 경험이 있지만 큰 변화가 없었으며, 학기마다 강 의가 분절되는 문제와 현장경험 부족과 최근 농업의 변화를 반영한 강의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문과목 및 특화과목의 교과과정 내 시간을 늘리고, 실습 및 인턴쉽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더불어 강의의 연 속성이 고려되어야 하며, 최근 농업의 변화가 반영되어야 한 다. 또한 다른 대학 교수들과의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학술행 사 및 공동회의를 주기적으로 개최하여 다양한 의견 공유 및 네트워크 형성의 장을 만들어야 한다.

    교원역량강화

    현재 교수의 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과 프로그램은 매우 초 보적 단계이며, 정부의 정책과 학교제도 또한 매우 미흡한 실 정이다. 따라서 교수들이 선진국에서 훈련을 받고, 경험을 배 워 올 수 있도록 정부에서 지원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또한 우즈베키스탄 내의 타 농업대학교들과 협력체계를 만들 고, 대학이 농업인들을 지원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 요하다고 지적하였다.

    따라서 교원 역량 강화를 위한 정부 및 대학 측의 제도 정 착과 지원이 마련되어야 하며, 교수들이 선진국으로부터 연구 경험 및 지식을 배워올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또한 교수, 석사·박사 과정 학생들에게 그들의 연구 분야에서 경쟁을 유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 교원 역량 강화를 효 율적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다.

    지역혁신센터

    지역혁신센터 관련 질문에 대한 응답한 교수들은 40% 미만 으로 응답률이 저조하였으며, 이는 지역혁신체계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판단된다. 응답 결과 지역 사회 및 교육, 산업·사회 서비스와 대학 활동 간의 연계가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 타났으며, 지역 사회와 대학 간의 연계활동에 대해 교육적인 측면과 공동발전을 위해 필요하고, 지역혁신센터 설립시 우즈 베키스탄 농민연합과 사마르칸트 농업대학교 간에 ‘농업혁신 센터’ 추진을 위한 합의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설문의 전반적 인 의견은 대학의 수준이 낮기 때문에 아직은 지역혁신개발에 대한 대학의 핵심활동을 전면적으로 적용하기 어렵다는 것이 었다. 따라서 지역혁신개발에 관한 의식 개선이 우선시되어야 하며 관련 전문대학들과의 협력이 필요하다.

    지역혁신센터 설립과 사마르칸트 농업대학교의 개혁방향

    사마르칸트 지역의 지역혁신센터 설립은 지역의 중심인 사 마르칸트 농업대학교의 전반적 개혁을 전제로 하고 있다. 이 를 위한 대학의 주요 개혁방향을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요약하면 아래 Table 2와 같다.

    지역혁신센터 설립을 위한 사마르칸트 농업대학교의 분야 별 추진과제

    과거 농업의 범위는 1차 산업인 농산물 생산에 치우쳤지만 현재 농업의 범위는 가공 산업, 유통산업 등 2차, 3차 산업을 연계한 종합적인 농관련 산업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토지중심 의 노동집약형 가족농업에서 고부가가치 농산물을 생산하는 자본기술 집약형의 기업농으로 발전되고 있다. 대학은 지역혁 신 주체로서 우수인력 창출, 연구 및 기술 지도 등 지식생산 자로서의 역할, 지식송수신자로서의 역할, 지식의 응용 및 활 용주체로서의 역할을 통해 지역혁신체제가 효과적으로 발현되 도록 해야 한다(Min et al., 2011). 따라서 농업 변화 추세에 맞추어 우즈베키스탄 농학계 대학은 구조조정, 교원역량강화, 지역혁신센터 설립을 중점으로 개편되어야 한다.

    구조조정

    대학의 지식생산자로서의 역할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 하여 학과 개편 구조조정을 해야 한다. 사마르칸트 농업대학 교 교직원 대상 수요조사에 따라 전문적 과목이나 특화 과목 의 교과과정 수강시간을 늘리고, 실습 및 인턴쉽 프로그램을 개발·보완하여야 한다. 더불어 강의의 연속성과 효율성을 고려 하여 강의를 재편하고, 최근 농업의 변화를 고려한 교과목과 농산물 수확 후 관리분야 등 밸류체인에 대한 강의를 적극적 으로 보완해야 한다.

    구조조정을 통해 기대되는 효과는 첫째, 학과의 통폐합으로 감소되는 예산을 전문적인 연구 분야에 집중적·효율적으로 활 용할 수 있다. 둘째, 학문 영역 간 활발한 교류로 공동연구가 활성화되고, 연구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실 습 경험과 미래지향적인 과목 이수로 지역혁신센터에 투입될 인력을 집중적으로 양성할 수 있을 것이다.

    교원역량 강화 방안

    대학은 연구 및 교육 등을 통한 지식의 생산, 확산, 활용으 로 전문 인력을 양성해야 한다. 전문 인력 양성에 있어 가장 중요한 부분은 교원 역량 강화이기에 교수진의 농업 분야의 발전추세에 대한 이해와 전공에 대한 의식 개선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교수진 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설이 추진되어야 한 다. 또한 교수진을 위한 정부와 대학의 정책지원 및 제도를 개선하여 교수들이 선진국으로부터 신지식을 배워 올 수 있도 록 유도해야 한다. 또한 미래 우수한 교수자원이 확보될 수 있도록 현재 석사·박사과정 학생들에게 그들의 연구 분야에서 경쟁을 유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지역혁신센터 설립

    사마르칸트의 지역산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정부 지원뿐만 아니라 지역대학 및 참여기업들의 적극적인 협력이 필요하다. 특히 대학은 지식의 송수신자 및 용용 · 활용주체로서의 역할 을 바탕으로 지역혁신센터에서 농산업화 상품 개발시 대학에 서 생산된 기술과 대학에서 양성된 전문 인력이 적시에 활용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지역혁신센터를 설립하기 위해서는 운영조직이 필요하며, 예로 Fig. 5과 같은 조직도를 참고할 수 있다.

    지역혁신센터의 기능적인 역할은 지역 특산물을 이용한 연 구를 통해 첨단의 가공기술을 개발하고, 고객과 시장의 요구 를 반영하는 제품을 개발하는 것이다. 또한 과학적 검증을 통 한 차별화 마케팅을 추진하며, 지역 내 관련 산업분야의 기업 을 지원해야한다. 특히 대학은 식품가공 및 첨단장비 활용을 할 수 있도록 전문 교육훈련도 병행함으로써 산업체에 기술을 이전하고 기술사업화를 추진할 수 있다.

    사마르칸트 지역의 지역혁신센터 운영 방안은 1단계로 원예 생산관련 연구개발 및 설비 구축방안을 중점으로 운영하며, 2 단계로는 2차 가공 관련 연구개발 및 설비 구축방안을 중점으 로 운영할 계획이다. 지역혁신센터 설립 시 연차별(10년) 추진 계획은 Table 3과 같다.

    이와 같은 지역혁신센터 설립 및 운영을 통해 사마르칸트 지역 내 혁신기반을 조성하고 대학과 산업체의 공동연구개발 을 통해 지역산업의 활성화와 개발된 기술을 사업화할 수 있 을 것이다.

    사마르칸트 농업대학교 개편을 통한 지역사회의 발전 및 기대효과

    우즈베키스탄은 1990년대 초반 구소련연방의 해체로 인한 체제전환 이후 장기간 현정권이 집권하면서 기존의 제도와 정 책이 시장경제체제로 개편되는 것이 늦어지고, 전문가의 역량 부족으로 경제발전이 지연되었다. 이러한 환경에서 교육시스 템 혁신을 통한 지역경제발전 선도모델 구축은 무엇보다 시급 한 과제이다. 사마르칸트 농업대학교는 우즈베키스탄 거점 농 산물생산지역의 중심대학으로서 지역사회와 경제개발의 핵심 인력을 배출하는 핵심조직임에도 불구하고 체제전환이후 지난 25년 간 정부의 미온적인 대학지원정책으로 지역발전을 주도 하는 대학 자체개혁과 지역사회에서의 역할을 수행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개발의 중심이 되는 농업분야와 농산 물의 부가가치 확대를 위한 지역혁신센터 설립을 통해 농촌지 역 활력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우즈베키스탄 사마르칸 트 농업대학교의 교육혁신시스템 구축 및 지역혁신센터 설립 의 타당성을 조사하여 실현가능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즉, 미 래 전문 인력 육성을 위한 학과 구조조정 계획과 지역 대학 및 참여기업, 정부가 연계하는 지역혁신센터을 설립하여 식품 가공 및 첨단장비 활용을 할 수 있는 계획을 제안하였다. 더 불어 지역혁신센터 설립시 연차별(10년) 추진계획을 설립하 여 효율적이고, 단계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하였다. 지역 혁신센터 설립 및 운영을 통해 사마르칸트 농업대학교는 우 즈베키스탄 거점 농업교육기관으로서 역할을 재정립하여 전 문 인력을 배출하고, 이를 통해 지역사회 활성화에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사마르칸트 농업대학교의 사례연구는 개도국 농촌사회개 발을 위한 국제협력사업의 추진시 지역대학의 역할 및 방향정 립과 지역혁신체계 연계를 통한 접근방향을 제시함으로써 많 은 ODA 수원국에서 원용가능성을 타진하는 계기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적 요

    본 연구는 우즈베키스탄 사마르칸트 농업대학교를 대상으로 한 지역혁신체계에 대한 현장조사 및 설문조사를 통해 지역혁 신체계를 위한 대학의 역할과 발전방향을 재정립하였으며, 지 역혁신체계가 지역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 다. 또한 최근 1차, 2차, 3차 산업을 융·복합한 6차 산업이 확대되고, 토지중심의 노동집약형 농업에서 자본기술 집약형 의 기업농으로 발전되고 있는 선진국 농업 추세에 맞추어 사 마르칸트 지역에서 중심역할을 하는 사마르칸트 농업대학교의 역할 및 개편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의 역할인 연구와 교육 등이 집중적·효율적으로 운 영되기 위한 구조조정이 필요하다. 학부 또는 학과군으로 개편 함으로써 교육 및 연구 담당 인력과 행정 및 기술 지원 인력 담당을 구분하여 효율적으로 이용 할 수 있고, 예산 또한 집중 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 연구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대학은 농산업화를 위한 기술 개발 및 이전의 역할이 필요하다. 농산물의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해서는 연구 및 기 술 개발이 필수적이다. 더불어 지역혁신센터의 혁신적인 농가 공품 생산을 위해 대학은 개발된 기술을 이전하고, 현대식 실 험 장비를 구축함으로써 농가공품 개발시 지원하며 농산업 발 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지역혁신센터를 선도할 전문 인력 배양을 해야 한다. 지역혁신센터가 효율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전문 인력이 필수적이다. 즉, 지역의 농산물을 이용한 연구 개발 및 첨단의 가공기술 개발, 제품 개발을 하는 지역혁신센터를 운영할 능 력이 있는 전문 인력이 필요하다. 대학은 이러한 전문 인력을 배양해야 하며, 이를 위해 정부와 대학의 지원과 제도개선을 통해 교원 역량 강화에 집중해야 한다.

    이와 같이 변화된 현대 농업의 환경에 부합하는 지역농업대 학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대학은 전문 인력을 배출하고, 기 술개발과 현장지도를 통해 지역의 내생적인 발전을 이룰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ACKNOWLEDGMENTS

    본 연구는 2015년도 강원대학교 학술연구조성비로 연구하 였음.

    Figure

    KSIA-28-293_F1.gif

    Value added agriculture and share of agricultural production in GDP of Korea.

    KSIA-28-293_F2.gif

    Components of Regional Innovation System.

    KSIA-28-293_F3.gif

    Structure of Agricultural Innovation System.

    KSIA-28-293_F4.gif

    The role of regional universities in Korea.

    KSIA-28-293_F5.gif

    The Organization of Samarkand Regional Innovation Center.

    Table

    Transition of agricultural R&D

    Reorganization of SAI for establishing Regional Innovation Center

    10 Years operation plan of the Regional Innovation Center

    Reference

    1. Kim KR , Lee KS , Choi SK , Han MH , Han AR , Golib S , Kim KC (2015) Establishment of education innovation system and regional innovation center in Samarkand Agricultural Institut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2. Kim SB (2001) Industrial policy issues for building a regional innovation system in Korea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Vol.17 (2) ; pp.79-97
    3. Ku JY (2014) A study on the impact of regional innovation cluster policy in corporate R&D efficiency: focused on leading industrydevelopment Project, Hanyang University,
    4. MAFRA (2015) Major statistics of agricultural and forestry,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MAFRA),
    5. Min CG , Park KB , Jeong KC , Cho HD (2011) The roles of regional university in regional innovation system and activation policies,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
    6. Song MR , Kim YS , Jeong HG , Park JY , Kang JW , Yun GS (2005) Infrastructure building for regional innovation system in rural regions,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7. OECD (2013) Agricultural innovation systems. a framework for analysing the role of the government,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8. Lee DG , Kim CH (2007) A study of establishing regional innovation system and the supporting policy for local universities, Ministry of Education,
    9. ADACU (2014) Role of agricultural colleges and universities toward agricultural R&D manpower development in Korea,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0. UzStat (2014) Agriculture of Uzbekistan,
    11. World Bank (2012) Agricultural innovation systems : an investment source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