칡소(Chikso)는 한우(Hanwoo)와 더불어 한국의 자연환경 에서 오랜 동안 사육되어온 토착 재래 소 품종의 하나이다. 한 우는 전신 황갈색 또는 적갈색 단일 피부와 모색을 가지고 비 경은 대부분 단일 살색을 띠는 반면, 칡소는 피모에 검은색 띠 무늬가 추가로 나타나며 비경에도 검은 반점 또는 전체 검은 색을 띠고 있다. 한편 국내 고기소의 주 품종인 한우 집단에서 외래 유전자의 유입을 의심하여 피모의 검은 색 또는 흰색 흔 적과 비경의 흑색 흔적을 배제하고 있기에 최근 한우 개량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과 동시에 칡소의 교잡종 가능성에 대한 기 피 현상 또한 고조되어 있는 상태다. 그 결과 칡소의 사육 두 수는 갈수록 줄어들었을 것으로 예상된다. 더욱이 농가에 소규 모로 길러지던 칡소들도 자연 종부(natural mating)로 혈통을 이어갈 수 밖에 없는 현실이었고, 혈통관리나 육종 체계가 전 무하였으므로 높은 근친도(inbreeding)가 우려되고 성장이나 도 체성적에서 한우에 비해 열등하다는 인식이 팽배하다. 이러듯 사육두수가 지속적으로 줄어들 가능성이 높은 재래 가축 유전 자원을 보존하는 데는, 사육규모를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사육 환경에 대한 기록과 자료의 효율적 관리가 필요하다(Groeneveld et al., 2010). 또한 최근에 이르러 거의 동시다발적으 로 이루어지는 세포생물학적, 분자유전학적 연구를 통해 칡소 와 한우의 유전적 품종 형성과 다양성에 대한 연구(Choy et al., 2015; Dadi et al., 2012; Kim et al., 2011, 2013; Lee et al., 2013; Sohn et al., 2000; Suh et al., 2014)와 형태학적 칡무늬 현상에 대한 소규모 유전 분석(Amna et al., 2012; Jin et al., 2014; Kim et al., 2013; Lee et al., 2002; Park et al., 2012, 2014)을 통하여 한우와 칡소가 매우 가까운 유 전적 관계를 가진다는 자료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가 축으로서의 경제적 가치를 판단하고 품종별 경제특성을 연구 한 바는 능력검정을 실시하는 농가 및 기관이 소수에 지나지 않아 매우 적다(Choi et al., 2015; Park et al., 2013).
따라서 본 연구는 칡소를 한우와 동일한 사육환경 하에 사 육하고 능력검정 자료를 수집하고 있는 강원도 축산기술연구 소의 검정 성적을 통하여 칡소와 한우의 성장능력을 비교함을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재료 및 방법
실험동물
강원도축산기술연구소에서 출생한 한우 및 칡소 암소는 같 은 동기우군으로 동일한 사양 환경 내에서 성장하였으며, 성 성숙기에 도달한 개체에 대해 년 2회 계절번식을 실시하였다. 상반기 계절번식은 5 ~ 6월에 수정을 실시하고 다음 해 2월 중순에서 ~ 4월 중순에 송아지가 출생하고 있으며, 하반기 계 절번식은 11 ~ 12월에 수정을 실시하여 8월 중순에서 ~ 9월 중 순에 송아지가 출생하고 있다.
한우 교배에 사용되는 씨수소는 농협중앙회 한우개량사업소 에서 제공되는 보증씨수소를 이용하는데, 축군의 다양성을 유 지하기 위해 교배 씨수소당 암소 두수를 20두 이내로 선발하 여 교배에 이용하고 있다. 칡소 씨수소의 경우 강원도축산기 술연구소에서 태어나서 성장한 수송아지를 씨수소를 이용하였 는데, 씨수소의 선발은 동기 개체들 중에 당대검정을 실시한 결과 성장능력이 동기들에 비해 뛰어나고, 칡소 모색이 발현 된 개체를 선발하여 교배씨수소로 활용하였다.
한우 및 칡소 수송아지의 경우 태어나서 축군의 평균일령이 6개월령일 때(축군의 일령범위는 평균값의 ±30일) 당대 능력 검정을 개시하여 170일간 검정을 실시한 후 후보씨수소로 선 발하였다. 당대 능력검정우로 선발 되지 않은 개체는 6 ~ 7개 월령에 거세를 실시하였고, 당대 능력검정을 종료하여 후보씨 수소로 선발되지 않은 개체는 12 ~ 13개월령에 거세를 실시하 였다. 또한 칡소 씨수소의 경우 15 ~ 17개월령에 정액 채정을 완료한 후 거세를 실시하였다.
한우 및 칡소 거세우는 한 우방에 7두씩 소규모 군사로 비 육우사에서 사육하였고, 각 우방의 크기는 5 × 10m 크기였다. 또한 배합사료와 조사료는 우방을 기준으로 설치된 사조에 급 여하였으며 사료급여 횟수는 매일 아침 09 : 00 및 13 : 00에 2회에 걸쳐 농후사료와 볏짚을 급여하였다.
자료
본 연구에 쓰인 자료는 강원도축산기술연구소에서 사육하고 도축한 칡소와 한우 전 두수의 능력검정 성적이다. 개체 정보 는 1985년 생부터 축적되었으나, 체중, 체위, 도체성적 등이 조사된 것은 2006년 생부터이다. 2005년생까지 본 연구소에서 태어난 개체는 생일과 혈통, 생시체중 만이 유효하였다.
성장능력은 체중(kg)과 체척(cm) 10개 부위-체고(wither height, WH), 십자부고(hip height, HH), 체장(body length, BL), 흉폭(chest width, CW), 흉심(chest depth, CD), 고장 (rump length, RL), 요각폭(rump width, RW), 곤폭(pelvic width, PW), 좌골폭(hip bone width, HW), 흉위(chest girth, CG)를 생시(BW0), 3, 6, 9, 12, 18, 24개월령에 측정(BW3, BW5, BW9, BW12, BW18, BW24)하고, 이후는 120개월령 까지 12개월령 간격으로 측정(BW36, BW48, …, BW108, BW120)하였다. 한편 거세우(N = 349)의 경우 거세 시기가 최 소 2.43개월령에서 최대 27.44개월령(평균 10.15개월령)으로 넓은 분포를 나타냈다. 따라서 수컷의 거세시기에 따른 성장 및 도체성적의 차이를 보기 위해서 거세시기를 16개월령 이상 일 때 거세한 성숙거세(c.mature), 11개월령 이상 16개월령 미 만일 때 거세한 한 살 거세(c.yrling)와 11개월령 미만에 거세 한 육성거세(c.young)로 재분류하였다(Table 1). 거세시기를 보 면 칡소에서는 일부 16개월령이 지나서 거세를 한 개체가 11 두 있었으나, 한우에서는 이렇듯 늦은 연령대에 거세한 경우 를 볼 수 없었다. 이는 일부 칡소의 수소가 자연종부용 또는 정액채취용 씨수소로 사용된 후 거세 출하되었기 때문이다. 한 편 한우에서는 11 ~ 15개월령에 거세한 개체가 2/3가량 차지하 였는데, 이는 강원축산연구소의 한우 수컷들이 국가 당대검정 용 수송아지로 검정에 공시되었기 때문이다.
통계분석 모형
통계분석은 다변량 일반 선형모형(Multivariate General Linear Model)을 적용하여 SAS GLM procedure로 분산분석 과 최소제곱평균 추정을 하였다. 해(solution) 추정은 품종과 성별 효과를 보았으며, 출생 연도-계절 효과를 추가하여 이들 효과를 상쇄하였다. 이 모형을 통해서는 거세 시기에 대한 효 과의 차이를 보고자 하였기 때문에 품종별로 보면, 공통된 거 세시기는 11개월령 미만에 거세한 경우이며, 16개월령이 지나 서 거세한 경우는 칡소에서만 그리고 11개월령 이상 16개월 령 미만에 거세한 경우는 한우에서만 나타났기 때문에 이 모 형에 적용한 개체는 연령대별 체중에 따라 그 당시의 거세여 부에 따라 달리 재구성하였다. 즉, 3개월령 이후 12개월령 체 중까지의 성장능력은 11개월령까지의 거세 여부에 따라 (c.young과 c.yrling + c.mature)로 구분하고, 12개월령 이후 24 개월령까지의 성장은 c.young, c.yrling, c.mature (intact) 세가 지로 구분하였다.
여기서, y는 각 해당 형질 값이고,
Castrationi는 i번째 castration 구분(거세 시기에 따른 구분으 로 16개월령 이후에 거세한 것, ‘c.mature’, 11개월령 이후 16 개월령까지에서 거세한 ‘c.yrling’, 11개개월 이하일 때 거세한 ‘c.young’)으로 성장형질에 적용시 각 성장단계별 시기에 따라 거세와 비거세(12개월령 측정치까지), 또는 비거세와 성장기 거세(c.young), 한살 거세(c.yrling)으로 구분(18개월령 측정치 까지)하여 모형을 설정하였다.
Birth year_seasonj와 birth yearj는 각기 성장형질과 도체형 질에 대한 j번째 출생년도_계절, 출생년도의 효과이며,
Breedk는 k번째 품종효과(Chikso, Hanwoo)이고, μ와 εijkl 성장 형질별 전체 평균과 개체별 오차항이다.
결과 및 고찰
한우와 칡소를 출생시 성별(1 =암, 2 =수)로 구분하여 생시 부터 3, 12, 18, 24개월령의 체중과 체척에 대한 평균을 Table 3에 정리하였다. 출생시 체중을 보면, 암송아지의 경우, 한우 송아지가 평균 26.1 kg으로 칡소 암송아지 평균 24.7 kg 로 다소 무거웠다. 수송아지의 경우도, 한우 송아지가 28.8 kg 이고 칡소 송아지 26.6 kg보다 평균 약 2 kg 무거웠다.
3개월령 체중으로 보면, 한우 암송아지는 칡소 암송아지와 동일하게 77 kg이었으나 90일령으로 선형보정한 체중은 한우 암송아지가 91.1 kg으로 칡소 암송아지보다 1.5 kg가량 무거웠 다. 한우 수송아지는 3개월령 체중이 평균 84.2 kg으로 칡소 수송아지에 비해 4 kg 무거웠으며, 90일령으로 보정한 체중을 보더라도 한우 수송아지가 100.1 kg으로 역시 칡소 수송아지 보다 4 kg 가량 무거웠다.
생시와 이유시 체척을 비교해보면, 암수 간 또는 품종 간 뚜렷한 차이가 없었으나, 한우 수송아지가 칡소에 비해 또는 암송아지에 비해 3개월령 키(체고WH, 십자부고HH)가 다소 큰 경향을 보였다.
이유 후 체중에서는 성별 간 품종 간 차이가 비교적 크게 나 타났다. 12개월령 한우 암송아지 체중은 선형보정 후 264.4 kg 으로 칡소 암송아지에 비해 25 kg 더 무거웠으며, 한우 수송 아지의 경우도 12개월령 보정 체중이 389.3 kg으로 칡소 수송 아지에 비해 50 kg 더 무거웠다. 한편 이 연령대의 암송아지 체척은 한우가 전반적으로 칡소에 비해 다소 길고, 넓었으나, 수송아지는 한우가 칡소에 비해 체장(BL)이나 흉폭(CW)이 더 길고 넓었다. 이러한 경향은 18개월령 체중과 체척에서도 유 사한 측정값들을 보였는데, 수컷의 한우와 칡소 간 체척은 거 의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한우 수컷의 체중이 칡소 수컷에 비해 12개월령에서와 유사한 차이를 보였기에 흉위(BL)는 한 우가 칡소에 비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암소의 체성숙이 어느 정도 완료된 24개월령에 이르러서는 한우와 칡소가 체중과 체척의 차이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나, 한우 암소가 칡소 암소에 비해 다소 무겁고 큰 경향을 보였다. 한편, 비육이 상당히 진행된 수컷의 경우에는 보정체중을 봤 을 때 한우 수소가 517.4 kg으로 칡소에 비해 116 kg 가량 더 무거운 것으로 나타났다.
Fig. 1에는 각 품종의 월령별 체중과 십자부고를 성별로 구 분하여 도식하였다. 여기에서 보면 체중(a)과 십자부고(b)에서 모두 3개월령까지는 품종간 및 성별 간 차이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12개월령 및 그 이후에 비로소 성별 간 차이가 뚜 렷이 나타났다. 그러나 십자부고의 경우 12개월령이 지난 후 에도 품종간 차이는 각 성별에서 크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체 중에서도 암컷의 경우에는 한우와 칡소 간 차이가 거의 없었 다. 다만, 수컷의 경우에는 체중에서 점차 한우가 칡소에 비해 큰 경향을 나타냈다.
체중과 체척값들을 종합적으로 봤을 때, 한우와 칡소 간 체 구의 차이는 암수 모두 차이가 거의 없었으나 한우가 약간 큰 경향을 보였다. 체중을 보면, 이유 전까지는 별 차이가 없다가 이유 후부터는 수컷에서 한우가 칡소에 비해 현저히 무거운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이러한 수컷 체중 증가의 차이에는 검 정 사양 방식의 차이와 거세와 비거세의 차이 혹은 거세시기 에 따른 증체 속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들 효과에 대해 보정한 값(최소제곱평균)을 살펴봐야지만 올바른 판단을 할 수 있을 것이다.Table 2
Table 3은 수컷에 한하여 거세시기에 따른 체중 변화를 나 타낸다. 물론 생시체중에 있어서는 품종 간 또는 거세시기 간 차이가 없었으나, 3개월령 보정체중으로 보면, 한우와 칡소 간 차이는 없으나 어릴 때 거세를 실시한(c.young) 수송아지들이 이 시기에 거세하지 않은 상태로 있는 수송아지들에 비해 체 중이 다소 작았다. 11개월령 이전에 거세한 수송아지들 (c.young)을 한우와 칡소 간 비교해 보면, 한우가 칡소에 비해 12개월령에는 약간 무거웠으나 18, 24개월령으로 갈수록 그 차이는 커졌다. 한편, 11 ~ 16개월령에 거세한 (c.yrling) 것과 어렸을 때 거세한 수소를 한우에서만 비교해 보면, 12개월령 전후에 거세한 것이 어렸을 때 거세한 것보다 증체가 더 큼을 알 수 있다. 이후 18개월령과 24개월령 체중을 보면 그 차이 가 지속적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Table 4는 체척 측정치에 대하여 월령대 별로 거세 시기에 따른 평균값들이다. 생시의 체척에 있어서는 Table 2에서와 같 이 품종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3개월령의 체척에서는 이 시기에 비거세로 남아있던 칡소(c.mature)와 한우(c.yrling)가 이 시기 전후로 거세한 개체들에 비해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 으나, 체고(wh)나 십자부고(hh)와 체장(bl)이 다소 큰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이들 수송아지들이 각 품종의 씨수소 후보로 선발된 데 기인하는 것으로 추축된다. 그러나 나머지 체척값 들에서는 별다른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12개월령 체척치를 보면 11 ~ 16개월령에 거세한 한우 (c.yrling)의 체장(bl)과 흉폭(cw)이 육성기에 거세한(c.young) 한우나 칡소에 비해 다소 길게 나타났으며, 육성기 거세한 칡 소의 요각폭(rw)와 곤폭(pw)가 한우 수송아지에 비해 좁으며, 흉위(cg)는 c.yrling 한우가 육성기 거세한 한우나 칡소 수송아 지보다 길게 나타났다. 이를 보면, 주로 체장과 흉폭 등 등뼈 길이는 거세를 육성기 이후(11개월령 이후)에 하는 것이 유리 하며 가슴쪽 살붙임은 한우가 칡소에 비해 더 우수하고, 한우 에서도 거세를 늦게 할수록 더 우수하였다. 한편, 우둔 부위의 살 붙임은 칡소 수송아지가 한우 수송아지보다 다소 열등해 보인다. 18개월령의 체척은 비록 칡소 c.young의 경우에 한해 2두 성적 밖에 없었으나 한우 c.young에 비해 거의 모든 체척 값이 더 크게 나왔으며 한우 c.yrling과 유사하였다. 한우 수송 아지 간에 비교해봤을 때, c.yrling이 c.young 보다 모든 체척 값이 더 크게 나왔다. 따라서 Table 4에서 봤을 때, 육성기 거세는 체척 성장을 지연시키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비육기까 지 지속적으로 나타나지만, 칡소 수송아지의 경우, 엉덩이 쪽 살붙임이 한우에 비해 다소 작지만 전체적인 골격성장은 18개 월령까지 한우와 별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다음 Table 5는 분산분석 모형을 통하여 수송아지들의 각 성장특성 형질들에 대한 품종의 효과와 거세시기에 따른 효과 의 유의성 검정 결과(p-value)와 각 효과에 대한 최소제곱평균 을 나타내었다. 한우와 칡소 품종 간 체중과 일당증체량, 체척 치를 비교하면, 12개월령에서 한우가 칡소에 비해 체중도 크 고, 3개월령부터의 일당증체량이나 이유 후 씨수소 검정이 시 작되는 6개월령부터의 일당증체량도 크고, 체척도 흉폭(cd12) 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길고 넓은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하지만, 18개월령까지나 24개월령까지의 체중, 일당증체량, 체 척치에서는 유의성은 없었으나, 한우가 다소 칡소에 비해 큰 것으로 나타났다. 1 : 1 거세시기별 체중과 증체량, 체척의 비 교는 성장단계에 따라 설정되었다. 즉 12개월령까지는 c.young 과 비거세(intact = c.yrling + c.mature) 간 비교하고, 18개월령 까지 또는 24개월령까지는 c.young, c.yrling과 비거세(intact = c.mature) 간 1 : 1 비교하였다. 12개월령까지의 체중 증가와 체척 값에 대한 최소제곱평균을 보면, 체고와 흉심, 고장, 요 각폭, 좌골폭을 제외하고는 일령 보정 체중이나 3 ~ 12개월령 동안의 일당증체량, 6 ~ 12개월령 동안의 일당증체량, 그리고 체척값에서 모두 거세 안한 수송아지(intact)들이 거세한 수송 아지(c.young)에 비해 무겁고, 증체량이 크고, 체척이 크게 나 타났다(p < 0.05). 18개월령 까지와 24개월령까지는 체척에 대 한 거세시기별 비교는 불가하였고 다만 일령 보정 체중과 기 간별 일당증체량 만 비교하였다. 18개월령 보정체중은 95% 신 뢰수준에서 거세시기별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c.yrling > intact > c.young순으로 나타나, 11 ~ 16개월령 사이에 거세를 실시한 수송아지들이 18개월령에 가장 체중이 큰 것으 로 판단된다. 그러나 6 ~ 18개월령 동안의 일당증체량은 c.yrling 이 c.young에 비해 유의적으로 크고 intact와는 유의적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12 ~ 18개월령 동안의 일당 증체량은 c.young이 유의적으로 c.yrling보다 크고, intact와는 유의적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볼 때, 육성기와 비육 전기를 걸쳐서 증체 정도는 11~16개월령에 거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으나, 이 때의 거세 스 트레스가 내포된 비육 전기 12 ~ 18개월령 간의 증체는 그 이 전 육성기에 거세한 것이 거세를 안한 것과 같이 높게 나타남 을 알 수 있다.
24개월령 보정 체중은 c.yrling이 c.young에 비해 유의적으 로 크게 나타났으며(p < 0.05), 비거세(intact)와는 유의적 차이 가 없었다. 12 ~ 24개월령 동안의 일당증체량 또한 12 ~ 18개 월령 동안의 일당증체량과 마찬가지로 c.young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나 c.yrling과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한편 18 ~ 24개월령 동안의 일당증체량에서는 c.young, c.yrling, intact 간에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비거세가 거세 시기와 무관하게 거세 수소에 비해 증체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 Table 6는 Table 5에서 결론을 내기에 비확정적인 내 용을 보완하기 위해 거세와 비거세, 그리고 c.young과 c.yrling 간 보정체중과 일당증체량 일반 산술평균에 대한 직교비교 (orthogonal complarison) 한 결과이다. 여기에서도 비거세 (intact)는 Table 5에서와 마찬가지로 각 월령대 별로 정의하였 다. 18개월령 보정 체중에서는 거세 수소가 비거세 수소보다 더 무거운 것으로 나타났으나, 차이값에 대한 유의성은 인정 되지 않았으며, 24개월령 보정 체중에서는 이와는 반대로 비 거세 수소가 더 무거운 것으로 나왔고 역시 유의성은 없었다. 따라서, 보정 체중에 대한 거세 유무의 비교는 관측수가 작고, 비거세우가 한우나 칡소의 경우 발육이 우수하여 씨수소 후보 로 선발되었을 가능성을 배재할 수 없다는 sampling효과가 매 우 커서 그 진정한 차이 값을 알 수 없다고 결론짓는다. 월령 대 별 비거세와 거세 수소의 일당증체량에서는 유의적인 차이 를 거의 볼 수 없었고, 12 ~ 24개월령 동안의 일당증체량 (adg12to24)에서만 95% 유의수준에서 유의적 차이가 인정되 었는데, 이 기간에는 오히려 거세 수소의 일당증체량이 비거 세 수소에 비해 0.27 kg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월령 대에서는 12 ~ 18개월령 대를 제외하고는 비거세가 거세 수소 보다 증체가 다소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거세시기에 따른 비교(c.young vs c.yrling)에서는 18개월령 과 24개월령 보정 체중에서 동일하게 c.yrling이 c.young보다 더 무거운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6 ~ 18개월령 대의 일당 증체량에서는 c.yrling이 더 크게, 그러나 12 ~ 18개월령 대의 일당증체량에서는 c.young이 더 크게 나타나 Table 5에서 비 교한 바와 일치하였다. 12 ~ 24개월령 대와 18 ~ 24개월령 대 의 일당증체량에 있어서는 c.young과 c.yrling 간에 유의적 차 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한우와 칡소와의 성장특성을 비교해 볼 때, 성 장단계별 체중이나 증체 속도, 골격의 크기를 나타내는 체척 치에서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한우가 칡소에 비해 수컷의 체중 증체 및 골격 크기가 다소 크고 무거운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거세 시기는 11 ~ 16개월령 사이에 거세한 수소들이 11 개월령 미만 육성기에 거세한 수소들에 비해 증체속도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으나 18개월령 이후 비육기에 이르러서는 거세 시기에 따른 차이를 볼 수 없었다.
적 요
칡소는 한우와 더불어 한국의 고유 소 품종의 하나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성장능력에 대한 개량을 국가에서 주도하여 진 행해 온 한우와 소수 품종으로 개량의 틀에서 도외시되었던 칡소 간에 성장능력을 비교하는 것이다. 분석 자료는 한우와 칡소를 동일한 사육환경 하에서 같이 사육하고 능력검정 한 강원도 축산기술연구소에서 수집한 것이다. 성장능력은 24개 월령까지만 분석에 이용하였고, 1985년부터 2015년 출생한 암 수소의 체중과 체척 측정치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단순평균 비교와 함께 수소에 대해 출생연도와 계절, 거세시기와 품종 을 고려한 일반선형모형으로 품종과 거세시기에 대한 불편추 정 평균을 비교하였다. 거세시기는 11개월령 미만에 거세한 c.young과 11~16개월령에 거세한 c.yrling, 그 이후에 거세한 c.mature로 재분류하여 모형에 적용하였다. 생시 체중은 한우 가 26.1 kg (암), 28.8 kg (수)으로 칡소 24.7 kg (암), 26.6 kg (수) 보다 컸다. 3개월령 체중은 한우 암송아지가 91.1 kg으로 칡소 암송아지보다 1.5 kg가량 무거웠다. 한우 수송아지는 3개 월령 체중이 평균 84.2 kg으로 칡소 수송아지에 비해 4 kg 무 거웠으며, 90일령 보정한 체중 역시 칡소 수송아지보다 4 kg 가량 무거웠다. 생시와 3개월령 체척은 한우와 칡소간 차이가 거의 없었으나 한우 수송아지는 칡소 수송아지보다 체고나 십 자부고가 다소 컸다. 이러한 품종 간 체중의 차이는 이유 후 커지며, 암컷보다 수컷에서의 차이가 더 커져 24개월령 한우 수소는 칡소 수소보다 116 kg 더 무거웠다. 한편 체척에서는 품종 간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유 후 한우의 흉위 와 흉폭 등 살붙임에 관련된 체척이 칡소에 비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수소의 거세시기와 품종 차이를 일반선형모형으로 본 결과, 한우가 칡소에 비해 수컷의 체중 증체 및 골격 크기 가 다소 크고 무거운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거세 시기는 11 ~ 16개월령 사이에 거세한 수소들이 11개월령 미만 육성기 에 거세한 수소들에 비해 증체속도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으나 18개월령 이후 비육기에 이르러서는 거세 시기에 따른 차이를 볼 수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