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8504(Print)
ISSN : 2287-8165(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Vol.28 No.3 pp.407-413
DOI : https://doi.org/10.12719/KSIA.2016.28.3.407

Distribution of Chikso (Korean Brindle Cattle) in south Korea and their Coat Color Expression

Mi Na Park, Tae Jeong Choi, Byoungho Park, Seung Soo Lee, Jae Gwan Choi, Kwang Hyun Cho, Chang Bum Yang, Jae Gu Lee, Hyo-Jun choo, Alam Mahboob, Soo Hyon Kim*, Yeon-Soo Park**, Chang Woo Lee**, Jae Won Choi***, Kyoung Sub Jung***, Sung Bok Kim****, Eun Sung Kim*****, Young Sun Choi******, Dae Jin Jung*******, Kyung Tae Lee********, Nyeon Hak Shin*********, Yong Soo Park**********, Ho Jun Lee***********, Seung Kyu Shin************, and Yun Ho Choy†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Cheonan 31000, Korea
*Gyeonggi Province Veterinary Service Center 16381, Korea
**Gangwon Province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25266, Korea
***Chungcheongbuk-do Institute of Livestock and Veterinary Research 28153, Korea
****Livestock Experiment Institute, Goverment of Chungchengnam-do 33350, Korea
*****Livestock Experiment Station, Jeonbuk Institute of Livestock and Veterinary Resarch 55460, Korea
******Jeollanamdo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 Livestock Reserch Institute 59213, Korea
*******Gyeongsangbuk-do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36052, Korea
********Ulleunggun Agriculture Technology Center, 40232, Korea
*********Livestock Experiment Station, Gyeongsangnamdo Livestock Promotion Research Institute 52263, Korea
**********Korea National College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Jeonju 54874, Korea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Anseong 17579, Korea
************Korea Animal Improvement Association, Seoul 06668, Korea
Corresponding author : (+82-41-580-3354) (ychoy000@korea.kr)
May 17, 2016 September 22, 2016 September 23, 2016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port the census survey results of south Korean Chikso (Korean Brindle Cattle) distribution and to diagnose the current coat color expression patterns. Two years Chikso census showed that there were 2,413 Chikso in 2013 and 2,754 in 2014 in south Korea. Number of animals between 0 to 35 months of age was 1,632 heads in 2014 which comprised 59% of total Chikso population size. The percentages of animals between 36 ~ 71 months of age and over 6 years of age were 31% and 10% of total. Out of 2,416 animals with class numbers assessed by their coat colors, 1,249 heads (52%) were in group I (with black stripes, class no. 1 ~ 3) and the others (class no. 4 ~ 7) were in group II (1,167 heads, 48%). Among the 1,551 animals that were photographed twice in 2013 and in 2014, 226 animals were assessed different coat color class numbers, and round 90% of which were within the ages less than 48 months. The number of animals switched in coat color pattern groups over a year was 56, which was 3.6% of total number of animals on survey. And around 88% of the animals switched in group category was of the animals younger than 24 months of age. Therefore, we conclude that the coat color pattern becomes rather stable at around 24 months of age in Chikso populaion in south Korea.


칡소 지역별 분포 및 모색 발현에 대한 연구

박 미나, 최 태정, 박 병호, 이 승수, 최 재관, 조 광현, 양 창범, 이 재구, 추 효준, 아 람마부, 김 수현*, 박 연수**, 이 창우**, 최 재원***, 정 경섭***, 김 성복****, 김 은성*****, 최 영선******, 정 대진*******, 이 경태********, 신 년학*********, 박 용수**********, 이 호준***********, 신 승규************, 최 연호†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경기도축산위생연구소
**강원도축산기술연구소
***충청북도축산위생연구소
****충청남도축산기술연구소
*****전라북도축산시험장
******전라남도농업기술원 축산연구소
*******경상북도축산기술연구소
********울릉군 농업기술센터
*********경상남도축산진흥연구소 축산시험장
**********국립한국농수산대학
***********국립한경대학교
************한국종축개량협회

초록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J00845301

    우리나라는 2004년 국제식량농업기구(FAO; http://dad.fao. org/)에 한우의 품종을 황우 (Hanwoo, HW), 칡소 (Chikso, CS), 흑우 (Heugu, HU), 제주흑우 (Jeju black, JB)로 등재하 였다(Choi et al., 2012, Suh et al., 2014). 보통 한우라고 하면 황우를 떠올리는게 보편적이지만, 이외에도 황색 바탕에 검은색 줄무늬를 가지고 있는 칡소와 검은 모색을 가지고 있 는 흑우, 흑우 중 특별히 제주도내에서 집단을 유지하고 계대 를 이어온 제주흑우로 품종을 구분할 수 있다(Choi et al., 2015). 한우의 모색은 1975년 개정된 한우의 종축 및 후보종 축의 심사기준에 “모색은 황갈색인 것”으로 규정하면서, 모색 에 관한 규정을 강화하여 이모색 개체에 대한 도태를 추진한 이후로 급격히 다양성을 상실하였다(Choi et al., 2009, Kim et al., 2014). 다행히 일부 농가에서 칡소, 흑우 등을 도태하 지 않고 보존해온 결과 다양한 한우 품종의 멸종은 막을 수 있었다.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각국의 유전자원 보존 및 다 양성 확보에 대한 중요성이 인식되면서 멸종 위기의 재래 소 품종의 복원과 증식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고, 2000년대 이 후 현재까지 꾸준히 칡소 및 흑우의 사육두수가 증가하고 있 는 추세이다(Park et al., 2012, Suh, 2014).

    칡소는 소이력제에서 한우로 분류되어 등록되고 있으나, 흑 비경, 흑모, 흑반 등의 외모 특성으로 인하여 비한우인 육우로 등록되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하여, 칡소 사육농가에서는 일반 한우와 구분된 품종 등록을 요구하고 있다. 칡소를 한우와 구 분되는 품종으로 정착시키고, 산업화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서 전국단위의 칡소에 대한 사육현황 및 외모특성에 대한 조 사가 필요하였다. 국립축산과학원에서는 2013년과 2014년에 전국 칡소에 대하여 조사하였으며, 도 축산연구소와 공동으로 혈통 및 외모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칡소에 대한 지역별 사육 두수 및 각 개 체별 모색 조사를 통하여 칡소의 지역별 분포 및 모색 특성, 연 령에 따른 모색 변화 양상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재료 및 방법

    분석 자료

    국립축산과학원과 도 축산관련연구기관(경기도 축산위생연 구소, 강원도 축산기술연구소, 충청북도 축산위생연구소, 충청 남도 축산기술연구소, 전라북도 축산위생연구소 축산시험장, 전라남도 농업기술원 축산연구소, 경상북도 축산기술연구소, 울릉군 농업기술센터, 경상남도 축산진흥연구소 축산시험장) 및 국립한경대학교와 합동으로 2013년에서 2014년 2년에 걸 쳐 조사한 우리나라에서 사육되고 있는 칡소에 대한 혈통 및 모색 조사 자료를 이용하였다.

    모색 분류

    칡소 모색은 황갈색 모색에 검정 줄무늬를 갖는 호반무늬가 대표적이지만 전국의 칡소에 대한 조사를 실시한 결과, 다양 한 모색이 관찰되었다. 칡소의 호반무늬 발현율을 높이기 위 하여 칡소의 다양한 모색을 일정 기준을 가지고 구분하여 코 드를 부여하고, 분류하였다. 모색분류코드는 한국종축개량협회 주관으로 구분기준을 만들고, 조사된 사진 자료를 개체별로 머 리, 몸통 좌우 모색을 관찰하여 분류 코드를 결정하였다. 모색 패턴은 호반무늬, 흑색모, 혼용모 및 황갈색 모를 포함한 7개 의 코드로 분류하였다. 1단계에서 3단계는 호반무늬를 가지는 패턴인데, 1단계는 전신에 호반무늬가 진하게 발현된 형태, 2 단계는 전신에 호반무늬가 발현되었지만 발현정도가 약한 형 태, 3단계는 모색 일부분에 호반무늬가 발현한 형태로 구분하 였다. 4단계는 황갈색모, 5단계는 흑색모, 6단계는 황갈색과 흑모가 섞인 혼용모, 7단계는 황갈색 모색에 눈, 비경, 다리, 꼬리에 흑색이 발현한 형태로 정의하였다. 칡소의 특징인 호 반모 비율을 높이기 위한 모색 패턴 분석을 위하여 호반모 무 늬인 1 ~ 3단계를 그룹 Ⅰ, 비호만모 무늬인 4 ~ 7단계를 그룹 Ⅱ로 나누어 분석에 이용하였다.

    빈도 분석

    2013 ~ 2014년에 걸쳐 조사된 칡소 개체에 대한 지역·연도· 연령별 사육두수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칡소 모색 단계별 연령 및 모색변화 양상에 대한 빈도분석 및 빈도 간 차이 유무에 대한 카이제곱 검정을 실시하였고, 분석 프로그 램으로 SAS 9.2의 proc FREQ, proc CHISQ을 사용하였다 (SAS Institute Inc., 2010).Fig. 1

    결과 및 고찰

    전국 칡소 사육 두수

    2013년 조사된 칡소는 전체 두수 2,413두로 그 중 암소는 1,610두, 수소는 803두였다. 지역별로는 강원 660두, 경기 188 두, 경남 67두, 경북 472두, 전남 23두, 전북 209두, 충남 164두, 충북 630두로 강원도와 충북의 두수가 가장 많았다. 2014년 조사된 칡소는 전체 두수 2,754로 2013년도와 비교하 여 341두 증가하였고 암소는 1,835두, 수소는 919두였다. 지 역별로는 강원 657두, 경기 257두, 경남 69두, 경북 509두, 전남 23두, 전북 302두, 충남 227두, 충북 710두로 지역별 전체적으로 증가 추세를 보였다.

    2014년도 조사된 2,754두의 연령별 통계를 보면 0 ~ 12개월 미만(age 0) 449두, 12 ~ 24개월 미만(age 1) 613두, 24 ~ 36 개월 미만(age 2) 570두로 전체의 59%를 차지하였고, 36 ~ 72 개월 미만(age 3 ~ 6)은 853두로 31%를 차지하였다. 나머지 10%는 6세부터 19세까지 다양한 연령대로 분포하고 있었다.Table 1Table 2

    지역별 칡소 사육 농가수를 살펴보면 2013년도 강원 14, 경 기 11, 경남 8, 경북 47, 전남 2, 전북 20, 충남 13, 충북 20호로 조사되었다. 2014년도 지역별 농가수는 강원 18, 경기 16, 경남 6, 경북 42, 전남 1, 전북 20, 충남 22, 충북 21호 로 경남, 경북, 전남을 제외하고 모두 증가추세를 보였으며 특 히 충남의 농가수 증가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충남의 농가수 가 증가한 것은 칡소 수정란을 새로운 농가에 이식한 결과로 사료된다.Table 3

    모색 분포 양상

    2014년도에 외모 조사가 된 칡소 2,416두를 대상으로 모색 분류기준(1 ~ 7단계)에 따라 모색 패턴을 분류하였다. Park et al. (2012)은 칡소의 모색을 6개월령 기준으로 5가지 (일부 호 반모, 약반신 호반모, 전신호반모, 황모, 흑모)로 구분하였으나, 조사결과 더 세분화된 모색분류가 필요하여 7단계로 구분하여 분류하였다. 모색분류 결과 1단계는 584두로 24%를 차지하였 고, 2단계는 239두로 10%, 3단계는 426두로 18%를 차지하였 다. 4단계는 639두로 26%, 5단계는 89두로 4%, 6단계는 316두로 13%, 7단계는 123두로 5%를 차지하였다. 호반무늬 의 발현이 강하고 약한 정도에 따라 나누어진 1 ~ 3단계의 모 색 패턴은 전체의 52%를 차지하였다. Park et al. (2012)은 칡소 60두의 모색 패턴 조사 결과 호반모가 70%정도로 조사 되었고, Lee et al. (2011)은 276두 중 호반모의 발현 비율이 62% 정도로 조사되었으나, 이번 전국적인 조사 결과 52% 정 도로 나타났다. 칡소의 가장 큰 특징인 모색의 호반무늬 패턴 을 품종 특성으로 고정시키고 후대의 호반무늬 발현율을 높이 기 위해서는 모색 패턴 고정을 위한 교배체계 및 개량방향 설 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모색 패턴 변화 양상

    칡소의 모색은 처음 태어났을 때의 모색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하다 일정 시기가 지나면 고정되는 양상을 보였다. 박 등(2012)은 칡소의 모색발현에 관련된 TYRP, MC1R, ASIP 유전자의 상호 길항작용 및 후성유전학적인 발현차이에 의해 성장과정에서 모색이 변화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2013 ~ 2014년도에 걸쳐 모색 조사가 두 번 된 개체 1,551두 에 대해서 모색변화 양상을 살펴본 결과 226두의 모색패턴이 변화하였다. 모색 단계별 변화양상을 살펴보면 1단계 모색 패 턴은 주로 2, 3단계로 변화하였고 2단계 모색 패턴은 1, 3단 계로, 3단계 모색패턴은 1, 2단계 모색패턴으로 주로 변하였 다. 4단계 황갈색모는 주로 1 ~ 3단계인 호반우 패턴으로 변화 하는 양상을 보였고, 5 ~ 7단계 모색 패턴은 5 ~ 7단계 안에서 서로 변화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호반 무늬인 1 ~ 3단계 모 색 패턴은 호반무늬의 발현정도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하 지만 주로 1 ~ 3단계 모색 패턴 내에서 변화하였고, 비슷하게 5 ~ 7단계 모색패턴인 흑색, 혼용모, 기타 모분우 모색패턴은 5 ~ 7단계 내에서 서로 변화하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었다. 또 한 4단계인 황갈색모 모색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호반무늬인 1 ~ 3단계로 변화해서 호반무늬 발현이 높아지는데 기여하는 것을 관찰하였다.Table 4Table 5Table 6Table 7Table 8

    모색 패턴 고정 시기

    칡소의 가장 큰 특징인 모색의 변화는 칡소 품종의 특성 고 정에 있어 중요한 사안이다. 칡소의 모색이 변화하고 고정되 는 시기를 알아보기 위해서 모색 조사가 두 번 된 개체 중 모색이 변한 개체의 비율을 연령별로 살펴보았다. 모색이 변 한 개체 226두 중 12개월 미만의 개체가 147두로 55%를 차 지하였고, 24개월 미만 개체가 53두로 20%, 36개월 미만 개 체가 25두로 9%, 48개월 미만 개체가 13두로 5%를 차지하 여 모색이 변한 개체의 90%이상이 48개월 미만의 연령대에서 모색변화가 일어난 것으로 관찰되었다.

    호반무늬 패턴 발현이 어느 시기까지 변화가 있으며, 어느 시기에 고정되느냐는 칡소의 호반모색 비율을 증가시키는데 있어 중요하다. 칡소의 모색 패턴을 호반무늬 그룹(1 ~ 3단계) Ⅰ과, 호반무늬가 아닌 그룹(4 ~ 7단계) Ⅱ로 나누어서 카이제 곱 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2013년도에 조사된 개체 중 모색 그룹간의 변화가 관찰된 두수의 비율은 0.0001 유의수준 으로 차이를 보였다. 모색 조사가 두 번된 개체 1,551두를 두 그룹으로 나누어 변화 양상을 분석한 결과, 56두에서 그룹 간 모색 변화가 관찰되었다. 이는 전체의 3.6%를 차지하며, 연령 별로 살펴보면 0 ~ 12개월 미만에서 40두 (7.8%), 12 ~ 24개월 미만에서 9두 (2.4%)로 변화된 개체 56두의 88% 차지하였다. 그룹별 변화는 3.6%로 크지 않았고, 변화가 일어나는 시점은 24개월 미만이 대부분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Park 등(2012)은 모색 패턴을 6개월령 이상 송아지에서 조사하였고, Lee 등 (2011)은 수정란 이식을 통해 태어난 소의 모색 패턴을 연령 기준 없이 조사하였으나, 호반모 발현 패턴은 24개월령까지 변 화하는 것으로 관찰되므로 호반모 발현비율을 높이기 위한 육 종 계획 및 교배조합 설정은 24개월령 이상 칡소를 대상으로 연구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사료된다.

    지역별 모색 그룹 빈도 분석

    2014년 조사된 개체 중 24개월 이상된 1,149두를 대상으로 지역별 모색그룹별 빈도의 카이제곱 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모색에 따라 분류한 그룹Ⅰ, 그룹 Ⅱ의 지역별 모색 빈 도 차이는 0.0001 수준의 유의성을 나타냈으며, 전체 모색 그 룹별 평균 빈도 분석 결과 그룹Ⅰ은 719두로 63%, 그룹 Ⅱ는 430두로 37%로 나타났다. 호반모 모색을 가진 그룹Ⅰ의 빈도 가 높은 지역으로는 전남 84%, 경남 74%, 전북 72%, 경기 70%, 충북 67%로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다. 반대로 충남, 강 원, 경북은 각각 62%, 54%, 53%로 평균보다 호반모 출현 비율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남은 호반무늬 비율이 84% 로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칡소 사업을 시작한 2010년부 터 짧은 기간 동안 여러 도에서 호반무늬가 뚜렷한 칡소를 입 식한 결과로 사료된다. 전북의 경우 2005년부터 칡소를 수집 하여 증식사업을 시작하였고, 모색 발현 정도에 따른 외모 특 성평가를 실시하여 호반모 발현 비율이 높은 교배조합을 설정 하고 농가에 정액을 공급한 결과 호반모 비율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충북은 1996년부터 칡소 관리사업을 추진하 였고, 2008년에는 충북의 칡소 농가들이 칡소 영농조합법인을 설립하고 도는 조합법인의 칡소관리에 노력을 기울인 결과 칡 소의 사육두수 증대 및 호반모 비율을 높이는데 기여한 것으 로 사료된다.

    적 요

    칡소를 한우와 구분되는 품종으로 정착시키고, 산업화 기반 을 마련하기 위하여 전국 칡소에 대한 사육현황, 혈통 및 모 색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 1. 2013년 조사된 칡소의 전체 두수는 2,413두로 그 중 암 소는 1,610두, 수소는 803두로 조사되었다. 2014년 조사된 칡 소는 2,754두로 2013년도와 비교하여 341두 증가하였고 암소 는 1,835두, 수소는 919두로 조사되었다.

    • 2. 2014년 조사된 개체 2,754두의 연령별 통계를 보면 0 ~ 36개월 미만이 1,632두로 전체의 59%를 차지하였고, 36 ~ 72개월 미만이 31%, 나머지 6 ~ 19세까지가 10%로 다양 한 연령 분포를 보였다.

    • 3. 2014년에 조사된 2,416두의 칡소 모색 조사 결과 모색분 류 1 ~ 3단계 (호반무늬, Group Ⅰ)는 1,249두로 전체의 52% 를 차지하였고, 4 ~ 7단계 (Group Ⅱ)는 1,167두로 48%로 조 사되었다.

    • 4. 모색조사가 두 번된 개체 1,551두 중 226두의 모색 패턴 이 변화하였고, 변화된 개체의 약 90% 정도는 48개월 미만의 연령으로 조사되었다.

    • 5. 모색패턴을 호반무늬와 비호반무늬의 두 그룹으로 나누 어 변화양상을 살펴본 결과, 그룹사이에 변화가 일어난 개체 는 56두로 전체 조사두수의 3.6%를 차지하였으며 변화개체의 88% 정도는 24개월 미만의 연령으로 조사되었다. 칡소의 호 반무늬 발현이 고정되는 시기는 약 24개월령으로 추정되며, 칡 소의 특징인 호반무늬 발현율을 높이기 위한 교배조합 설정 등의 연구를 위해서는 24개월령 이상의 칡소를 대상으로 한 모색 패턴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CKNOWLEDGEMENTS

    본 논문은 농촌진흥청 연구사업(세부과제명 : 국가단위 한 우 씨수소 선발체계 개선 연구, 세부과제번호 : PJ00845301) 의 지원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

    Figure

    KSIA-28-407_F1.gif

    Classification of Chikso coat color patterns.

    Table

    Distribution of Chikso by provinces and by the year of south Korean census.

    Number of Chikso (heads) in south Korea by sex and age in 2014

    Number of Chikso farms by provinces and by the year of census.

    Number of Chikso (heads) by coat color groups in 2014.

    *Group I : class no. 1 ~ 3, Group II : class no. 4 ~ 7 (Figure 1)

    Number of animals, which were changed in their coat color classes over a year.

    Number of animals that were changed in coat color classes from 2013 to 2014 by ages in 2013

    Number of animals that were changed in coat color pattern groups over a year from 2013 to 2014.

    *Group I : class no. 1~3, Grouop II : class no. 4 ~ 7 (Figure 1)
    **Percentages by coat color changed animals were different significantly within groups (p < 0.0001)

    Frequencies by coat color pattern groups by provinces.

    *Group I : class no. 1~3, Grouop II : class no. 4~7 (Figure 1)
    aFrequencies by coat color pattern groups were different significantly within provinces (p < 0.0001)
    bFrequencies by coat color pattern groups were different significantly within provinces (p < 0.0001)

    Reference

    1. Choi SB , Byun MJ , Kim YS , Kim MJ , Choy YH , Kim DH , Jeong EG , Kang KS , Kim KH , Kim JH (2012) National Management System for Conservation of Livestock Genetic Resources: An Overview , Ann. Anim. Resour. Sci, Vol.23 ; pp.142-148
    2. Choi SB , Cho CY , Kim JH , Byun MJ , Suh SW , Ko YG , Cho YM , Kim YS (2015) The Performance of Growth Traits in Korean Domestic Animal Genetic Resources; Chikso, Heugu, and White Hanwoo , Korean J. Int. Agric, Vol.27 (3) ; pp.398-404
    3. Choi TJ (2009) Establishment of phylogenetic characteristics for korean traditional cattle breeds(Hanwoo, Korean brindle and black). Ph. D. dissertation, Jeon-buk University,
    4. Kim NS , Lee JJ , Dang CK , Jung YH , Cheon HJ (2014) Bulletin of the Animal Biotechnology, Vol.6 ; pp.1-13
    5. Lee HJ , Kim SH , Lee KT , Yoon JT (2011) Characteristics of Coat Color Distribution of offsprings Produced by Embryo Transfer in Korean Native Brindle Cattle , Dev. Reprod, Vol.15 (4) ; pp.325-329
    6. Park JH , Lee HL , Kim YS , Kim JG (2012) MC1R Genotypes. Coat color, and Muzzle Phenotype Variation in Korean Native Brindle Cattle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Vol.54 (4) ; pp.255-265
    7. SAS Institute Inc (2010) SAS OnlineDoc® 9.2, SAS Institute Inc,
    8. Suh SW (2014) Molecular genetic evaluation of Korean domestic animal genetic resources using microsatellite markers. Ph. D. dissert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9. Suh SW , Kim YS , Cho CY , Byun MJ , Choi SB , Ko YG , Lee CW , Jung KS , Bae KH , Kim JH (2014) Assessment of Genetic Diversity, Relationships and structure among Korean Native Cattle Breeds Using Microsatellite Markers , Asian-Australas J. Anim. Sci, Vol.27 (11) ; pp.1548-15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