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8504(Print)
ISSN : 2287-8165(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Vol.28 No.3 pp.301-305
DOI : https://doi.org/10.12719/KSIA.2016.28.3.301

Current Status of Rice Cultivation and Breeding Strategy of Japonica rice in Yunnan Province, China

Myeong-Ki Kim†, Woong-Jo Hyun, Sang-Bok Lee, Jong-Min Jeong, Eok-Keun Ahn, Chang-Ihn Yang, Man Kee Baek, Jae-Ki Chang, Eung-Gi Jeong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NICS), RDA, Wanju 55365, Korea
Corresponding author : (+82-33-455-2031) (kimmk6690@korea.kr)
April 7, 2016 July 14, 2016 August 17, 2016

Abstract

The rice growing area in Yunnan province of China can be divided into six regions based on climate weather conditions, altitude, ecotype of rice varieties, eco-system, and so on as follows: the alpine and high elevation area of Japonica rice, the cold and warm area of Japonica rice, the Indica and Japonica rice area, the single and double cropping area, the paddy and upland rice area, and the single cropping area of Indica rice. In Yunnan, the annual acreage of rice cultivation has been maintained about 1 million hectares, only 3.8 percent of China’s paddy fields. Amounts of unhulled rice production in 2013 was estimated to be around 6.7 million tons. And average unhulled rice yield per ha was 5.79 tons to 6.70 tons during 2011 to 2013. The three major breeding stages commonly have been for rice breeding program: selection of purelines from native varieties by the first 1960s.: dissemination of introduced varieties from foreign countries in the mid 1960s through 1970s; and creation of new developed varieties by hybridization followed by selection after 1980s. In terms of developing Joponica rice variety, its breeding objectives has been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altitude: high yielding, grain quality, cold tolerance, and adaptable to low nitrogen fertilizer varieties for growing in areas of 2,100 m to 2,600 m above the sea level; high yielding, grain quality, resistance to disease, and cold tolerance varieties for cultivating in areas of 1,800 m to 2,100 m; and high yielding, grain quality, resistance to disease, and lodging tolerance varieties for planting in areas of 1,450 m to 1,800 m. In addition, researchers are breeding Japonica hybrid varieties for improving yield potentials in Yunnan Agricultural University.


중국 운남성의 벼 재배 현황 및 자포니카 벼 품종 육성 방향

김 명기†, 현 웅조, 이 상복, 정 종민, 안 억근, 양 창인, 백 만기, 장 재기, 정 응기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초록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J009325042016

    중국 운남성은 중국의 남서부, 북위 20°8’ ~ 29°15’, 동경 97°31’ ~ 106°11’ 사이에 위치한다. 서부는 미얀마, 남부는 라오 스와 베트남 등과 접경을 이루고, 동쪽은 중국의 귀주성(贵州 省), 북쪽은 사천성(四川省)과 접하고 있다. 운남성의 면적은 394천 km2로 우리나라(100천 km2)의 3.9배로 지세는 고원산지 로서 평균 해발 2,000 m이다. 북부는 평균 해발이 3,000 ~ 4,000 m, 남부는 1,500 ~ 2,000 m로 운남성 전체로 볼 때 산지 나 고원이 대부분이고 평지는 불과 6%에 지나지 않는다. 기후 는 아열대 이면서도 고도 차이로 인해 연평균 기온이 16.1°C 로 아한대로부터 아열대에 해당하는 다양한 기후와 생물상을 만들고 있다(Jiang, 1994; 김정호 등, 2006). 운남성은 이러한 다양한 기후와 생물상으로 벼 유전자원이 풍부하고 재배벼의 기원지로 국제적으로 인정되었다(Zeng et al., 2001a, 2001b).

    운남성의 벼농사 환경과 재배지대 구분

    중국 운남성에서 논벼는 해발 76 m에서 2,700 m의 고지대까 지 재배되고 있으며, 남부에는 소수민족을 중심으로 밭벼의 화 전재배가 행해지고 있다. 해발 1,500 m를 기준으로 그 이상의 지대에서는 자포니카, 그 이하의 지대에는 인디카 품종이 재배 되고 있으며 기후, 고도, 재배되는 벼 생태형 등에 따라 6개 지대로 나눌 수 있다(Hwang 2005).

    • 한랭고지대 자포니카 벼 재배지대는 운남성 전체 벼 재 배면적의 3.7%로 리지앙(丽江), 디칭(迪庆), 누지앙(怒江), 허칭 (鶴庆), 이원(洱源) 지역으로 해발 2,000 ~ 2,400 m이다. 무상기 간은 약 200일, 년평균기온은 11 ~ 13°C로 벼 재배기간(4 ~ 10월) 의 월평균기온은 15 ~ 18°C이다. 고도가 높고 기후는 서늘하며 벼 재배는 1년에 한 번만 할 수 있다. 주요 벼 재배품종으로 는 丽粳2号, 丽粳3号 등이다.

    • 온냉지대 자포니카 벼 재배지대는 쿤밍(昆明), 따리(大理), 추징(曲靖), 자오통(昭通) 등 지역으로 해발은 1,850 ~ 2,200 m 이고 적산온도(≥10°C)는 4,200 ~ 5,000°C이고 연평균기온은 14 ~ 16°C이다. 6월, 7월, 8월의 평균기온은 각각 19.2°C (17.6 ~ 20.6°C), 19.7°C(18.8 ~ 20.5°C), 18.9°C(18.1 ~ 19.6°C) 이다. 벼 생육기간은 180일 정도이다. 자포니카 벼 재배면적 은 18만 ha이고, 성 전체 자포니카 벼 재배면적의 약 35%이 다. 육묘기간에는 냉해가 우려되므로 비닐 피복 보온못자리에 육묘한다. 이 지대의 주요 벼 재배품종은 云粳계통, 楚粳계통, 京国계통으로 벼 수량은 6 ~ 8톤/ha이다. 대부분 벼알이 잘 떨 어지지 않는 품종을 재배하며, 미질은 중 정도이다. 주요 병해 충으로는 도열병, 줄무늬잎마름병, 이화명충 등이다.

    • 인디카-자포니카 혼합 재배지대는 누장(怒江), 바오샨(保 山), 따리(大理), 추시옹(楚雄), 위시(玉溪), 원샨(文山), 홍허(紅 河) 등의 지역으로 해발 1,450 ~ 1,800 m 지역이다. 일조량은 충분하고 년 일조시수는 2,000시간 이상이고, 적산온도(≥10°C) 는 5,000 ~ 6,000°C이고 연평균기온은 16 ~ 18°C이다. 이앙기 (3 ~ 4월), 수잉기 그리고 출수기(6 ~ 8월)의 평균기온은 각각 20.7°C(19.5~21.8°C), 20.8°C(19.5~21.7°C), 20.2°C(19.3~21.0°C) 이다. 수리조건이 좋으며 토질이 비교적 비옥하다. 자포니카 벼 재배면적은 30만ha으로 성 전체 자포니카 벼 재배면적의 약 58%를 차지하며 단위수량이 7 ~ 9 t/ha으로 수량성이 높다.

    • 1·2모작 재배지대는 해발 1,300m 이하의 운남성 동남과 서남 대부분의 지역으로 열대자원이 풍부하다. 적산온도(≥10°C) 는 5,500 ~ 7,000°C 이고, 년 강우량이 1,000mm 이상이다. 벼 1모작 위주로 일부지역에서 벼 2모작 재배가 되는데 주로 일대 잡종벼가 재배된다. 성 전체로 볼 때 쌀 주요 생산지이다. 벼 생육기간은 165 ~ 175일이며 벼알이 쉽게 잘 떨어지는 품종을 재배하며 미질은 좋은 편이다. 벼-잠두, 벼-밀, 벼-유채 등의 2 모작을 많이 한다. 주요 병해로는 도열병, 흰잎마름병, 줄무늬잎 마름병 등이다. 인디카 벼 재배지역은 북위 24.5° 이남에서 북 회귀선 사이의 지역 대부분이 이에 해당된다. 원샨(文山), 지엔 수이(建水), 쓰마오(思茅), 징홍(景洪) 등이 대표지역이다.

    • 논·밭벼 겸작 재배지대는 북위 23° 이남으로 베트남, 라 오스, 미얀마 접경지역이 이에 해당한다. 야생벼, 밭벼 그리고 찰벼 등 벼 유전자원이 풍부하다. 1기작 만생종 인디카 메벼, 인디카 찰벼 및 인디카 일대잡종 벼가 주로 재배되고 재배면 적은 18만 ha이다. 성 전체 벼 재배면적의 17%이며. 그 중 밭벼는 11만 ha 이다. 고도범위는 76 ~ 1,899m이며, 벼 재배의 대부분은 해발 1,200 m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연평균기온은 15.3 ~ 22.6°C이다. 남아열대 습윤기후를 나타낸다. 소수민족이 많이 살고 있으며 인구밀도가 낮고 노동력이 부족하여 조방재 배가 이루어지며 생산력이 낮다.

    • 인디카 벼 단작 재배지대는 북위 24.5° 이남에서 북회귀 선 사이의 지역 대부분이 이에 해당된다. 원샨(文山), 지엔수 이(建水), 쓰마오(思茅), 징홍(景洪) 등이 대표지역이다. 인디카 벼 재배면적은 약 32만 ha이고, 성 전체 벼 재배면적의 34% 이다. 고도범위는 396 ~ 1,463m 이며. 아열대기후를 나타낸다. 연평균기온은 15.8 ~ 23.7°C이다. 해발 1,100 m 지역은 주로 인디카 벼의 1기작을 하며 1,100 m 이하 지역은 2기작 또는 3기작도 가능하다.

    운남성의 벼 재배 면적과 생산량

    운남성은 중국 남서부의 대표적인 자포니카 쌀 생산지역으 로 벼 재배면적은 해에 따라 좀 차이는 있으나 1970년대 이 후로는 대략 100만 ha를 유지하고 있다. 2011년 79.2만 ha, 2012년 72.2만 ha로 벼 재배면적이 줄어들었으나 2013년에는 1,153천 ha로 늘어나 중국의 벼 전체 재배면적 30,312천 ha의 3.8%를 차지하고 있다. 벼 재배면적의 연차 간 차이의 큰 요 인으로는 봄철 강우량과 타 작목의 가격변동에 의하여 농업인 들이 벼 재배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벼 생산량은 매년 재배면적에 따라서 다르지만 2013년 조 곡 생산량은 667.9만톤으로 중국 전체 조곡 생산량 20,361만 톤의 3.3%를 차지하고 있다(Table 1). 단위 조곡수량은 최근 2011년부터 2013년에는 ha당 5.79 ~ 6.70톤으로 단위수량이 증 가하는 추세이다(Table 2). 이는 화학비료 생산의 증대나 수로 정비 등 재배환경 또는 기반조성의 개선과 다수성 품종의 보 급에 의하여 수량성이 향상되었다고 판단된다.

    운남성은 쌀이 주식으로 인구 증가로 쌀의 수요가 증가되는 반면 다른성으로 부터의 수입쌀 가격 상승 등의 어려움과 벼 재배면적의 한계와 병충해 및 자연재해의 발생이 늘어나는 것 에 대응한 쌀의 안정적 생산의 요구로 운남성의 벼 농사에 있 어서는 단위수량을 올리기 위한 다수성이면서 양질, 병충해저 항성 및 재배 안전성이 구비된 신품종 개발과 재배기술 개선 이 벼 신품종 육종방향의 중요한 전략적 위치에 있다.

    운남성의 자포니카 벼 육종 현황과 육종목표

    1949년 중국 건국 이후 운남성의 자포니카형 벼 육종은 역 사적으로 볼 때 3단계로 나누어진다(Jiang, 1994). 첫째로, 1950 ~ 1960년대 초기에 있어서는 우량 재래품종 보급의 시기 이다. 그 당시의 주요 품종으로는 昆明半节芒, 昆明小白谷, 李 子黃, 背子谷, 丽江新団黑谷 등 이었다. 다음으로 1960년대 중 기~ 1970년대에는 타이완이나 일본 등으로부터의 도입품종 보 급의 시대이다. 타이완으로부터 도입된 품종으로는 西南175, 科情3号, 台中31号 등 이었으며. 일본으로부터 도입된 품종은 京引134, 早錦 등 이었다. 또한 이 시기에는 도입품종으로부터 순계선발이나 자연교잡 후대로 부터의 선발에 의한 품종 육성 도 행하여졌다. 특히 西南175로부터는 云粳9号나 云粳129 등 많은 품종이 선발되었다. 마지막으로, 1980년대에 이르러서 체 계적인 교배육종에 의한 우량품종 육성단계에 접어들었다. 운 남성 정부 품종심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등록된 최초의 자포 니카형 벼 품종은 1983년에 육성된 滇榆1号이며, 2007년에는 云光16号, 云粳4号, 云粳24号, 云粳25号 등, 2010년에는 红优4 号, 2011년에는 红优6号, 红优7号, 2012년에는 丽粳11号, 云粳 20号, 云粳26号 등의 자포니카형 품종이 등록되었다(Dai et al., 2012; YAAS, 2012).

    운남성의 벼 생산은 일대잡종 품종이 벼 재배면적의 약 40%, 일반 품종이 60%를 차지한다. 또 60%의 일반 품종들은 고지대에서 재배되는 자포니카형 품종과 일부지역에서 재배되 는 인디카형 품종들이다. 반면 국외 또는 중국의 다른 성에서 도입된 벼 품종들은 운남성 고지대의 환경에 재배적응이 어려 워 직접 재배 생산과 유전적으로 품종개발 등에 이용하기는 어렵다. 그동안 운남성 농업과학신기술의 보급으로 식량 생산 에 커다란 공헌을 이루었으나, 운남성에서 육성한 많은 벼 품 종들은 유전적으로 근친적인 배경으로 병해충 저항성에 취약 하고 최근 고품질 쌀의 요구에 운남성에서 육성한 품종들은 품질과 도정수율이 떨어지는 문제를 가지고 있고, 운남성의 벼 육종 기술의 수준과 육종 체계도 낮은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 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과학기술자원의 중복배치와 비효율적 기술을 제거하여 현재의 품종개발 기술과 체계를 극복하는 계 획을 추진 중이다(Dai et al., 2012).

    운남성의 자포니카 벼 품종육성은 운남성농업과학원 식량작 물연구소 자포니카 육종연구팀을 포함 대학 그리고 고도에 따 른 지방의 연구기관에서 육종목표를 달리하여 품종을 개발하 고 있다. 해발 2,100 ~ 2,600 m 지대에서는 다수, 양질, 내냉, 소비적성을 목표로 丽江市农业科学研究所에서 丽粳系列, 해발 1,800 ~ 2,100 m 지대에서는 다수, 양질, 내병, 내냉성을 목표 로 云南省农业科学院粮食作物研究所에서는 云粳系列 및 云光 系列, 曲靖市农业科学院은 靖粳系列 그리고 保山市农业科学研 究所에서는 岫粳系列, 해발 1,450 ~ 1,800 m 지대에서는 다수, 양질, 내병, 내도복성을 목표로 楚雄农科学研究所에서 楚粳系列, 玉溪市农业科学院에서 玉粳系列, 大理州农业科学研究所에서 凤 稻系列 및 临沧市农业科学院에서 临沧系列을 육성하고 있다. 또 해발이 낮은 기타 지역에서는 다수, 양질, 내병, 내도복성 을 목표로 红河州农业科学研究所에서 红稻系列, 德宏州农业科 研究所에서 双多系列을 육성한다. 그리고 云南农业大学에서 는 자포니카 일대잡종벼 품종인 滇杂系列을 육성하고 있다 (Table 3).

    적 요

    • 1. 중국 운남성은 벼 재배지대를 기후, 고도, 재배되는 벼 생태형 등에 따라 한랭고지대 자포니카 벼 재배지대, 온냉지 대 자포니카 벼 재배지대, 인디카-자포니카 혼합 재배지대, 1·2 모작 재배재대, 논·밭벼 겸작 재배지대 및 인디카 벼 단작 재 배지대 등 6개 지대로 나눈다.

    • 2. 운남성은 중국 남서부의 대표적인 자포니카 쌀 생산지역 으로 벼 재배면적은 대략 100만ha를 유지하고 있다.

    • 3. 벼 생산량은 매년 재배면적에 따라서 다르지만 2013년 조곡 생산량은 667.9만톤으로 중국 전체 조곡 생산량 20,361 만톤의 3.3%를 차지한다.

    • 4. 단위수량은 최근 2011년부터 2013년에는 ha당 조곡 기준 5.79 ~ 6.70톤으로 단위수량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 5. 운남성의 자포니카 벼 육종은 3단계로 나누어진다. 첫째 로 1950 ~ 1660년대 초기에 있어서는 우량 재래품종 보급의 시기이다. 다음으로 1960년대 중기~ 1970년대에는 타이완이나 일본 등으로 부터의 도입품종 보급의 시대이다. 마지막으로, 1980년대에 이르러서 체계적인 교배육종에 의한 우량품종 육 성시기로 구분한다.

    • 6. 운남성의 자포니카 벼 품종육성은 고도에 따라 육종목 표를 달리하고 있다. 해발 2,100 ~ 2,600 m 지대는 다수, 양 질, 내냉 및 소비적성 품종 육성, 해발 1,800 ~ 2,100 m 지 대는 다수, 양질, 내병 및 내냉성 품종 육성, 해발 1,450 ~ 1,800 m 지대는 다수, 양질, 내병 및 내도복성 품종을 육성 하고 있다. 또 운남성 농대에서는 자포니카 일대잡종벼 품종 을 육성하고 있다.

    ACKNOWLEDGMENTS

    본 성과물은 농촌진흥청 연구사업(세부과제명: 중북부 중간 지 적응 조숙 고품질 품종 개발, 세부과제번호: PJ00932504 2016)의 지원에 의해 이루어진 것입니다.

    Figure

    Table

    Rice production of China in 2013.

    *source: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China Statistical Year Book 2014 (http://www.stats.gov.cn).

    Changes in rice cultivation area, amounts of unhulled rice production, and average unhulled rice yield per hectare of Yunnan, China in 2013.

    *source: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China Statistical Year Book 2014 (http://www.stats.gov.cn).

    The breeding goal and organization of Japonica rice of Yunnan, China.

    Reference

    1. 戴 陸園 , 袁 平榮 (2012) 云南常規水稻新品種选育技术总結(2009 ~ 2012), 云南省农业科学院 食粮作物硏究所,
    2. Hwang HK (2005) Yunnan crop germplasm resources, Yunnan science and technology press,
    3. Jiang ZN (1994) Rice of Yunnan, Yunnan Science Press,
    4. 김 정호 , 신 동완 , 이 근상 , 이 상풍 , 김 석동 , 이 종수 (2006) China agriculture (중국의 농업), 오성출판사,
    5.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2014) China Statistical Year Book 2014, http://www.stats.gov.cn
    6. Yunnan Academy of Agricultual Science (YAAS) (2012) 科技 创新成果滙編(2006 ~ 2011년),
    7. Zeng YW , Li ZC , Shen SQ , Wang XK , Yang ZY , Zhang HL , Chen YM (2001a) Diversity and Good Germplasm of Indigenous Rice Varieties in Yunnan Province , Chinese J. Rice Sci, Vol.15 (3) ; pp.169-174
    8. Zeng YW , Li ZC , Yang ZY , Shen SQ , Zhang HL , Wang XK (2001b) 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Cline Classification of Indica/Japonica Subspecies of Yunnan Local Rice Resources , ACTA Agronomica Sinica, Vol.27 (1) ; pp.1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