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8504(Print)
ISSN : 2287-8165(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Vol.28 No.3 pp.306-310
DOI : https://doi.org/10.12719/KSIA.2016.28.3.306

Status of the Highest Quality Koshihikari Cultivation in Uonuma Region in Niigata Prefecture in Japan

Jae-Kwon Ko†, Hong-Kyu Park, Bon-Il Ku, Shin-Gu Kang*, Jae-Buhm Chun, Woo-Jae Kim, Ji-Ung Jeung, Kyung-Ho Kang, Hyun-Soon Kim, Keitaro Kanda**, Bo-Kyeong Kim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NIC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Wanju 55365, Korea
*Department of Central Area Crop Science, NICS, RDA, Suwon 16429, Korea
**Uonuma Regional Promotion Bureau, Uonuma, 946-0004, Japan
Corresponding author : (+82-63-238-5232) (kojk@korea.kr)
June 24, 2016 August 9, 2016 September 2, 2016

Abstract

Uonuma region in Niigata Prefecture is the place that produces the highest quality rice Koshihikari in Japan.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weather information and Koshihikari cultivation status in the region. The average annual rainfall of Uonuma is varied from 1,400 in high altitude to 2,500mm in lowland. The average annual temperature is around to 10.0 ~ 12.0°C, which is slightly higher than of Cheorwon and Unbong in South Korea. The water resource is affluent because of heavy snowfall. Higher sunshine hour in August has a good effect on grain ripening in Uonuma. In Korea, however, sunshine hour at Cheolwon and Unbong in early maturing cultivar growing area is prone to long in September after than in August. Breeding program for introducing rice blast resistance to Koshihikari started in 1986 in Niigata Prefecture. Finally, Koshihikari BL(introduced blast resistance) varieties have developed no differences of Koshihikari in agronomic traits, qualities, and taste, etc. and have been cultivated since 2005 in farmers’ field. Paddy soil fertility is managed by incorporating rice straw and manure, and nitrogen fertilizer is applied at rate of 3 ~ 5 kg/10 a. Transplanting date is May 15 to May 20, and transplanting density is 60 ~ 70 hills per 3.3m2. Midsummer drainage is applied when the tiller number reached to 280 until 360 per 3.3m2. Optimal accumulated temperature from heading to harvest is 950 ~ 1000°C. Target yield of brown rice is 510 kg/10 a.


일본 최고급쌀 생산지 니가타현 우오누마산 고시히까리 재배 현황

고 재권†, 박 홍규, 구 본일, 강 신구*, 전 재범, 김 우재, 정 지웅, 강 경호, 김 현순, Keitaro Kanda**, 김 보경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魚沼地域振興局農業振興部

초록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J008710032016

    우리나라에서 주식으로 이용하고 있는 중 · 단립종 쌀은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동양에서는 일본 전역과 중국의 동북 3성 인 헤이룽장성, 지린성, 랴오닝성과 화중 3성 그리고 화동지역 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다. 미국에서는 캘리포니아 새크라멘토 부근에서 호주에서는 얀코 지역을 중심으로 재배되는데 쌀 생 산량의 10%정도이다.

    일본에서 고시히까리 벼 품종이 많이 재배되는 가장 큰 이 유는 밥맛이 좋아 소비자가 선호하기 때문이지만, 재배적으로 는 일본의 넓은 지역에서 딱 맞게 좋은 시기에 이삭이 나오는 것도 큰 요인이다. 또한 고시히까리는 일장보다는 온도에 민감 한 조생종으로 적당한 온도 조건만 구비되면 이삭이 빨리 나 오기 때문에 북해도와 본토의 북쪽으로는 아오모리현과 아끼 다현을 제외한 지역에서 추워지기 전에 수확할 수 있는 장점 이 있으며, 남쪽으로는 아열대지역인 오키나와를 제외하고 재 배할 수 있는 광지역적응 품종이다. 특히 규슈지역의 남쪽에 위치한 미야자키현에서는 따뜻한 기온을 이용하여 3 ~ 4월에 조 기재배를 하여 니가타현의 고시히까리가 생산되기 전에 수확 하여 판매하는 전략으로 재배하고 있다.

    한편 고시히까리는 일본의 넓은 지역에서 재배되고 있어 이 를 이용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동질유 전자 계통(Ohsumi and Yoshinaga, 2014), 염색체단편치환계통 군(Aoba et al., 2014), 다까나리 대립유전자 10번 염색체 (Yamashita et al., 2014), 광합성 속도억제(Suzuki, et al., 2014) 등 유전육종 및 생리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고, 기후 온 난화에 따른 미질저하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 지고 있다(Morita et al., 2010).

    이처럼 고시히까리는 넓은 지역에서 재배되고 다양한 연구 들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은 그만큼 재배적 가치가 높기 때문 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중에서도 니가타현의 우오누마산은 일 본 곡물검정협회(JGIA. 2014)에서 매년 실시하고 있는 식미검 정에서 1989년부터 특A인 최상의 평가를 받으며, 세계에서 가 장 비싼 쌀 중의 하나로 알려지고 있다. 최근 중국으로 쌀의 수출 활로가 열려 우리나라 쌀은 일본쌀과 국제무대에서 고급 쌀 수출을 하는데 있어서 무한경쟁이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 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도 우오누마 지역에서 생산된 고시히 까리 수준의 고품질 쌀 생산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그 지역의 벼 재배방법과 기상상황을 분석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우오누마 지역의 개황

    우오누마는 니가타현에 속해 있는 행정구역으로 우오누마시 와 도오카마찌시 등 5개 시·군에서 생산된 쌀을 니가타 우오 누마산이라고 하고 있다.

    우오누마 지역의 논 면적은 13,008 ha로 니가타현 전체 117,000ha의 약 11.1%에 해당한다. 우오누마 지역의 위도는 북위 36°55′에서 37°18′에 속하며 주위의 형세는 분지로서 산 악지역으로 우오누마 중앙에서 보면 배를 탄듯하게 길게 느껴 지고 주위에는 스키장과 온천이 많은 지역이다. 농가수는 16,960호 정도로 농가당 재배면적이 매우 협소하다(Table 1)

    우오누마의 기상

    우오누마 지역의 평년(2011 ~ 2015) 년간 강우량은 1,400 ~ 2,500 mm 범위로 표고가 높을수록 적고 낮을수록 많으며, 연 평균기온은 10.7 ~ 11.9°C내외로 서늘한 기후이다(Table 2).

    특히 우오누마의 특징은 강설량이 많고 6월까지 서서히 눈 이 녹아 수자원이 매우 풍부하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일본의 남쪽지역인 규슈지역의 가고시마현은 태풍이 발생하면 매번 지나가는 길목으로서 벼 재배에는 그다지 좋은 지역은 아니다. 그러나 니가타현은 본토의 북쪽부근이어서 태풍의 영향이 비 교적 적어 벼 재배에서는 안정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오누마지역과 위도가 비슷한 철원, 남쪽지 역이지만 분지의 형태로 중산간지역을 가지고 있는 남원 운봉 과 호남의 곡창지대인 익산의 벼 재배 기간중에 평년(2011 ~ ‘15)의 평균기온과 일조시간 등을 비교하였다(Table 3, Table 4).

    우오누마 지역의 벼 재배기간중의 평균기온을 보면 5월의 기온이 운봉이나 철원보다는 온도가 낮다. 그러나 6월과 7월 이 되어서는 운봉과 철원과 비슷하고, 8월에는 표고 100 m에 서도 고온등숙의 피해를 입게 되는 26°C를 상회하지 않고 등 숙기를 경과하며, 혹시 내습할 수 있는 냉해를 피하여 무난히 9월 10일경에 벼를 수확하게 된다(Table 3).

    우오누마 지역의 일조시간을 보면 우리나라에 비해서 5월과 6월에는 적고, 7월과 8월에는 비슷하지만 9월과 10월에는 월 등히 적은 경향이다. 우오누마에서 고시히까리 재배 시기와 월 별 일조시간을 비교하면 4월과 6월에 비해 5월이 일조시간이 충분하게 경과하고 있고 등숙기에 속한 8월이 7월이나 9월보다 일조시간이 많아 등숙에 좋은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그 러나 우리나라는 8월에 비해 9월에 일조시간이 많은 경향이다. 따라서 일조시간만 고려한다면 조생종 재배지역인 철원과 운 봉의 8월의 일조시간은 우오누마지역에 비해 크게 나쁘지는 않으므로 재배를 늦출 수 있겠으나 수확기의 평균기온을 고려 하지 않을 수 없다(Table 4).

    한편 우리나라 남부 평야지에 속하여 중만생종을 주로 재배 하는 익산의 9월의 일조시간도 우오누마 200 m 이상보다는 좋 고, 100 m와는 8월의 등숙기간과 차이는 없다. 다만 익산에서 의 8월의 평균기온이 26.5°C로서 등숙 전·중반기를 고온상태 로 경과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니가타현의 고시히까리 재배품종

    니가타현은 일본의 47개 도도부현 중에서 벼를 가장 많이 재배하고 생산하는 현으로 일본의 식량창고라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니가타현 우오누마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는 품종을 보 면 95.1%가 고시히까리이고, 4.1%는 고시이부끼, 그리고 기타 품종이다. 2000년에 니가타 작물연구센터에서 육성한 조생종 인 고시이부끼는 작업분산을 위해 도입을 추진하였으나 크게 재배면적이 늘고 있지 않으며 기타 품종으로는 메벼나 청주용 품종이 재배하고 있다.

    최근에 우오누마에서 재배되고 있는 고시히까리는 1956년 에 후쿠이현에서 육성된 고시히까리는 아니다. 도열병에 약한 기존 고시히까리를 대체하기 위해 니가타현에서는 1986년부 터 도열병 저항성을 보완한 고시히까리 BL(모든 특성은 고시 히까리와 같고, 도열병만 저항성임)을 육성하기 시작하여, 니가 타현에서는 2001년에 고시히까리 BL을 재배하기로 결정하였 고, 2005년부터 본격적으로 재배하기 시작하였다. 고시히까리 이병성인 BL을 개발하기 위해 이용된 품종은 사사니시끼, 토 도로끼와세, Pi. NO 4(농림 8호에 Takukan이 교배), 그리고 니 가타와세가 이용되었다. 그리고 고시히까리 저항성인 BL을 개 발하기 위해 이용된 품종은 고시미노리, 쓰유아케, 토리데 1호 와 고시히까리 니가타 BL 1호, 7호 및 8호 등이 이용되었다.

    고시히까리 BL을 재배하기 위해서는 도열병에 감수성인 2 계통의 30%와 도열병에 저항성인 2계통의 70%를 혼합하여 재배하고 있다. 매년 니가타현에서는 도열병균 레이스분포에 대해 변화를 조사하면서 감수성과 저항성을 교체하여 재배하 고 있다. 이처럼 4가지 계통을 동시에 혼합하여 재배하는 특 성상 고시히까리 BL은 육성지인 니가타현에서만 재배되고 있 다(Table 5).

    우오누마 고품질쌀 생산 기술

    니가타현의 우오누마에서 고품질 쌀을 생산하기 위하여 기 본적으로 초기 토양관리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

    토양 비옥도 증진을 위해서 반드시 볏짚을 절단하여 환원하 고, 볏짚의 원활한 부숙을 위해 가을갈이를 철저히 한다. 그리 고 지역의 유기센터에서 생산된 퇴비를 추가로 투입하고 있다. 또한 작토층을 확보하여 벼 뿌리의 활력을 돕기 위해 15 cm 정도로 경운을 하고 있다. 본답의 질소시비량은 10 a당 3 ~ 5 kg으로 우리나라에 비해 매우 적은 수준이며, 묘는 주로 JA(Japan Agricultural Cooperatives, 일본 농업협동조합)에서 구입하여 이앙한다.

    초기생육량 확보를 위해서 최적 이앙기는 5월 15일에서 20 일 사이에 하고 치묘는 2.2묘령, 중묘는 3.5묘령에서 이앙하는 데 치묘는 5월 25일, 중묘는 5월 30일까지 이앙을 마치도록 하고 있다. 이앙전 시비는 이앙 4 ~ 5일전에 질소성분으로 상 자당 1 ~ 2g를 주어 건전육묘를 유도하고 있다. 적정 재식밀도 는 평야지대에서는 3.3 m2당 60주, 표고가 300 m 이상인 산간 지대에서는 70주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

    중간낙수는 장마 전에 논 상태에 따라 2주 정도 실시한다. 이때 중요한 것은 3.3 m2당 분얼수가 280개일 때 낙수를 시작 하여 360개가 되었을 때 다시 물을 댄다. 중간낙수는 출수 1 개월 전까지는 종료함으로써 최대한 뿌리의 건전화를 유도하 고 있다. 그리고 유수형성기 이후에는 상시 담수로 충분히 물 을 공급하여 준다. 한여름에는 수온 상승을 방지하기 위하여 심수관개를 하여 주고, 수온이 상승하는 경우는 신선한 물로 교체하여 수온저하를 유도하여 준다. 이삭거름 시용 전부터 물 관리를 철저히 하며, 출수 25일까지 물을 대어 동할립 발생을 예방한다.

    수확은 출수 후 적산온도를 기준으로 950 ~ 1,000°C 사이인 9월 10일경에 한다. 또한 포장에서 황화립 비율을 확인하여 수 확을 판단하는 보조수단으로 이용한다. 특히 고온 등숙이 진 행된 해에는 적산온도 도달 일수가 빨라지는 것을 감안하여 수확 시기를 조절한다. 이 지역은 산악지대가 많으므로 등숙 기간 동안 노린재류의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방제를 철저히 하고 있다. 우오누마 지역의 현미의 목표 수량은 10 a당 510 kg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적 요

    니가타현 우오누마 지역은 일본의 최고급쌀인 고시히까리를 생산하는 지역으로 최고급쌀 생산에 관여하는 기상과 재배 현 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1. 우오누마지역의 강우량은 표고가 높은 곳은 1,400 mm 정 도이나, 낮은 곳은 2,500 mm내외로 많은 경향이다. 년 평균 기온은 10.0 ~ 12.0°C 내외로 우리나라 철원이나 운봉보다는 약간 높고, 강설량이 많아 수자원이 매우 풍부하다.

    • 2. 우오누마지역의 등숙기 일조시간은 8월에 가장 많아 등 숙에 좋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조생종 재배 지역인 철원과 운봉은 8월보다 9월 이후에 많은 경향이다.

    • 3. 니가타현에서 재배되고 있는 고시히까리는 단점인 도열 병을 개선하기 위하여 1986년부터 개발하기 시작하여 고시히 까리와 모든 특성은 동일하나 도열병 특성만 다른 니가타 고 시히까리 BL을 2005년부터 재배하고 있다.

    • 4. 우오누마지역에서 고시히까리 재배는 볏짚환원과 퇴비를 충분히 투여하고 있으며, 질소시비량은 10 a당 3 ~ 5 kg이다. 이앙시기는 5월 15일에서 20일 사이로 3.3 m2당 60 ~ 70주를 이앙한다. 중간낙수는 3.3 m2당 분얼수가 280개에서 시작하여 360개가 될 때까지 한다. 벼의 수확은 출수 후 적산온도가 950 ~ 1,000°C가 될 때에 실시하고, 현미의 목표 수량은 510 kg/10 a이다.

    ACKNOWLEDGMENTS

    본 성과물은 농촌진흥청 연구사업(세부과제명 : 벼 복합 내 병충성 향상을 위한 유전자 집적, 세부과제번호 : PJ008710032016)의 일부 지원에 의해 이루어진 연구결과를 포 함하고 있음. 기상자료를 제공하여준 국립식량과학원과 식량 과학원 철원출장소 관계관에게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Figure

    Table

    Paddy field area and number of farms in “Uonuma region”.

    *Source : Niigata Prefecture. 2014

    Weather characteristics at the Uonuma in Japan and Cheolwon, Unbong, and Iksan in South Korea.

    *Japan Meterological Agency (JMA)
    **Each experiment place’s weatherdata of NICS, RDA (Inside data)

    Average monthly temperature during the rice growing season at the Uonuma in Japan and Cheolwon, Unbong, and Iksan in South Korea.

    *Japan Meterological Agency (JMA)
    **Each experiment place’s weatherdata of NICS, RDA (Inside data)

    Monthly sunshine duration(hour) during the rice growing season at the Uonuma in Japan and Cheolwon, Unbong, Iksan in South Korea.

    *Japan Meterological Agency (JMA)
    **Each experiment place’s weatherdata of NICS, RDA (Inside data)

    Rice blast disease resistance and susceptible Koshihikari BL varieties cultivated at Niigata in Japan.

    *Source : Niigata Prefecture. 2008. Koshihikari BL.

    Reference

    1. Aoba R , Yamamoto T , Koba Yashi T , Hirasawa T , Ookawa T (2014) Estimation of the quantitative trait loci associated with a strong culm in rice, using Takanari chromosome segment substitution lines in Koshihikari background , Jpn. J. Crop Sci, Vol.83 (S1) ; pp.146-147
    2. Japan Meterological Agency (JMA) (2016) http://www.jma.go.jp/
    3. Japan Grain Inspection Association (JGIA) (2014) Rank table of special A rice , http://www.kokken.or.jp/ranking_area_14niigata.html
    4. Morita H , Yonemura J , Nakano H , Kitagawa H , Wada H (2010) Relationships of the index of grain-filling based on a grain shape,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the palatability rerated characterictics , In Research of palatability and rice variety of Japan(2th), ; pp.45-46
    5. Niigata Prefecture (2008) Koshihikari BL , http://www.pref.niigata.lg.jp/nosanengei/1204823747830.html
    6. Niigata Prefecture (2014) Niigata agriculture statistics ,
    7. Ohsumi A , Yoshinaga S (2014) Yield formation in Koshihikari and its isogenic lines differing heading dates, and their responses to fertilization practices , Jpn. J. Crop Sci, Vol.83 (S1) ; pp.46-47
    8. Suzuki T , Yamamoto T , Adachi S , Ookawa T , Yano M , Hirosawa T (2014) Characterization of the chromosome of Akenohoshi on the short arm of chromosome 3 which suppresses the reduction in the photosynthetic rate of rice during leaf senescence in the genetic background of Koshihikari , Jpn. J. Crop Sci, Vol.83 (S1) ; pp.176-177
    9. Yamashita M , Yamamoto T , Ueda T , Otsuka C , Ookawa T , Hirasawa T (2014) Dry matter production and yield of the line carrying the allele of indica variety Takanari on chromosome 10 enhancing the rate of photosynthesis in a genetic background of cultival Koshihikari , Jpn. J. Crop Sci, Vol.83 (S1) ; pp.174-1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