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8504(Print)
ISSN : 2287-8165(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Vol.28 No.3 pp.311-318
DOI : https://doi.org/10.12719/KSIA.2016.28.3.311

Pilot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Extension of Virus Free Potato Seed Production Techniques and System in El Salvador

Kyung-Ryang Kim†, Kyeong-Koog Lee*, Hyun-Mook Cho**
Department of Agricultural Economic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24341, Korea
*Institute of International Rural Development,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24341, Korea
**National Institute of Highland Agriculture, RDA, Pyeongchang 25342, Korea
Corresponding author : (+82-33-250-8663) (kimkr@kangwon.ac.kr)
June 8, 2016 August 16, 2016 August 17, 2016

Abstract

This research project provides the opportunity of foundation for Ministry of Agriculture y Ganaderia (MAG), University of El Savador (UES), and Centro Nacional de Tecnología Agropecuaria y Forestal (CENTA) and potato farmers of El Salvador to implement to achieve the project goal of poverty alleviation, nutrition improvement, and income increase of farmer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sustainable self dependent national infrastructure for seed potato production and supply system and organized network of production of farmer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has been designated by KOICA to implement the APP Track-II Project from April, 2015 to March, 2016. The support activities and research result include ‘virus-free seed potato production facilities and laboratory equipment’ provided to UES and CENTA, ‘technology transfer of virus free seed potato production’ such as making substrate, tissue culture, pathology test, subculture, mini tuber production, and some joint research result achievement, and various technological training conducted for participating researchers and local potato farmers for the virus-free seed potato production, table potato and seed potato cultivation technology, and the standard farming technology as well.


엘살바도르 무병씨감자 생산기술 개발 및 보급에 관한 연구

김 경량†, 이 경국*, 조 현묵**
강원대학교 농업자원경제학과
*강원대학교 국제농촌개발협력사업단(IIRD)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고령지농업연구소

초록


    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국제식량농업기구(FAO)의 보고에 의하면, 엘살바도르는 전체 700만 인구의 11%가 영양결핍상태에 있고, 47.5%가 빈 곤층(total poverty)이며, 19%가 절대빈곤층(extreme poverty)으 로 식량 수급개선을 통한 국민들의 영양개선 대책이 무엇보다 시급한 실정이다. 엘살바도르 정부는 식량부족에 따른 농업 생 산성을 높이기 위하여 경제개발계획을 추진하고 있으나, 부족 한 식량 보급을 위하여 많은 양의 농산물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2014년 말 농업무역 적자가 126,978천 달러($) 규모에 이르고 있다.

    특히 감자는 엘살바도르의 주요 식량작물임에도 불구하고 자 체적으로 생산하기보다는 연간 전체 소비량의 80%이상인 68,591톤(약 11,990천 달러)을 인근 국가인 온두라스와 과테말 라로부터 수입하고 있는 실정이다. 감자의 단위 면적당 생산성 도 15톤/ha 미만으로 한국의 50%수준에 불과하다. 이러한 낮 은 감자의 생산성은 엘살바도르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적합 한 감자 품종이 부족하고, 기후환경 조건에 적합한 최적 재배 기술 및 전문 인력의 부족과 인프라 부족과 아울러 감자를 생 산하기 위하여 가장 중요한 씨감자의 국가 보증종자 생산 및 공급체계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엘살바도르의 씨감자생산기술 지원체계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제1단계로 수원국의 감자 농업과 관련된 정책 및 제도, 사회적 기반 및 인프라, 농업기술 및 생 태환경 등을 종합적으로 조사하였다. 또한 현지 감자주산지의 생산현황조사 분석을 통한 생산자 조직화 방안 모색하기 위해 현지의 감자주산지를 조사·분석하여 생산성 증대를 위한 구체 적 방안을 수립코자 하였다. 제2단계는 씨감자 생산 기본 인 프라 구축 지원 분야로서 씨감자 생산을 위한 조직배양실, 증 식배양실 등 실험실을 리모델링하고, 기본식물 증식을 위한 양 액재배온실 보수 및 신축, 씨감자의 병해검정을 위한 병리검 정 기본장비 및 설비를 지원하였다. 제3단계는 씨감자 조직배 양을 위한 전문기술 교육훈련 및 시험 분야로서 무병 씨감자 를 생산하기 위한 계대배양기술, 조직배양 유묘 최적 이식시 기 구명 등의 기술훈련 및 시험을 실시하였다. 제4단계는 무 병 씨감자 기본식물 증식 시험 및 기술훈련으로서 양액재배 조성에 따른 무병 씨감자 생산효율 검토 및 시설 내 인공상토 의 조성에 따른 무병 씨감자 생산기술 시험 등을 실시하였다.

    결과 및 고찰

    과제 I. 엘살바도르 감자생산 현황 및 생산기반 조사 농업환경 생태조사

    엘살바도르는 중앙아메리카에서 가장 작은 영토를 지닌 국 가로서 국토면적은 21,041 km2이며, 다른 중앙아메리카 국가 들과 마찬가지로 저지대와 고원지대로 나뉜다. 엘살바도르의 기후는 온화한 열대성 기후로 건기와 우기가 있다. 건기는 11 월부터 4월까지이고, 우기는 5월부터 10월까지이다. 연평균 기 온은 25°C이나 2 ~ 4월 중 최고 기온은 35 ~ 36°C까지 상승하 며, 강수량은 1,500 - 1,800 mm이다. 토양은 공히 화산회토 지 대로 칼리(300 - 798 ppm)와 망간(66.93 ppm)이 많고 인산 (20 ppm 이하)과 석회가 부족한 토양특성이다. 특히 지하수는 어느 지역이나 공히 HCO3가 400 - 800 ppm수준으로 높아 순 수 수경재배는 할 수 없는 조건이다.

    엘살바도르의 감자 주산지는 북부 고원지대 중 해발 2,000 m이상을 중심으로 한 Chalatenango지대의 Las Pilas, El centro, Rio chiquto 등 3지역에서 주로 감자재배가 이루어지 고 있다. 이들 지역의 평균기온은 15°C내외로서 감자 재배에 비교적 좋은 환경조건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감자 재배기 술이 부족하고 감자농업을 위한 사회적인 기본 인프라 구축이 미비하여 감자생산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감자 생산 현황 및 재배기술

    엘살바도르의 단위면적당 감자 생산성은 1,200 ~ 1500 kg/ 10 a로 우리나라의 50% 수준으로 매우 낮다. 주요 감자 재배 품종은 Tollocan, Soloma 및 Icta Frit 등 3품종이다. Tollocan 품종은 비교적 내병성이 강하여 재배면적이 가장 많으며, Soloma 품종은 소비자 가격이 상대적으로 높아 재배면적이 점 차 확대되고 있다. 감자 재배기술은 씨감자를 절단하여 사용 하지 않고 통감자를 바로 심는다. 따라서 씨감자의 소요량이 상대적으로 많이 소요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50 ~ 60 g 정도의 씨감자는 2절하여 파종하며, 80 g이상의 씨감자는 4절 로 절단하여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부족한 씨감자를 충당하 기 위하여 큰 씨감자를 절단하여 재배하는 기술이 정착되도록 재배기술을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자 재배의 재식거리 는 80 × 30 cm 로 넓게 파종한다. 우리나라의 70 × 25 cm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어 불필요한 경지면적의 소모가 크다. 시 비수준은 단위면적(ha) 당 복합비료(N 18%-P2O5 46%) 300 kg 을 기비(70%)로 시용하며, 추비로 복비(S-K2O-MgO) 30%를 시용하고 있다. 한편 엘살바도르는 온화한 열대성 기후를 나 타냄으로 각종 병해충의 발생이 심하다. 특히 대표적인 열대 성 병해인 세균성위조병의 발생이 심하고, 진딧물과 온실가루 이 등의 해충발생이 심하다.

    씨감자 공급 현황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엘살바도르의 감자재배 주산지는 북 부 고원지대인 Chalatenango 지대의 Las Pilas, El centro, Rio chiquto 등 3지역에서 약 1,080여 농가가 423 ha (2013) 의 감자 재배를 하고 있다. 현재 씨감자가 절대 부족하여 대 부분의 씨감자가 과테말라에서 kg당 Tollocan품종 0.6-0.8$, Soloma품종 1.0$에 수입되고 있으며 보증이 되지 않은 불법종 자의 무분별한 유입으로 병해 피해가 심하다.

    과제 II. 무병 씨감자 생산체계 구축 및 공동 연구

    본 연구에서는한국형 무병 씨감자 생산 기술 및 체계 를 기술이전 함으로써엘살바도르의 씨감자 생산체계 구축 을 위해 조직배양에서 부터 망실에서의 기본종 생산에 이르기 까지 일련의 씨감자 생산기술을 이전코자 하였다. 이러한 과 정에서 감자 조직배양을 위한 배지조제, 생장점 배양, 병리검 정, 계대 배양, 미니씨감자(MT) 생산기술 등 단계별 기술훈련 이 반복적으로 실습되었다. 특히 엘살바도르의 부존자원을 활 용한 현지적응형 씨감자 생산기술을 확립함으로써 실용적인 엘살바도르 씨감자 생산체계를 갖출 수 있도록 일련의 현장 밀착형 연구가 실시되었으며 그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시험 1> 무병 씨감자 생산체계 구축에 관한 시험 현지형 양액재배 배지 개발

    엘살바도르의 화산석은 한국의 제주도 송이와 같은 경석으 로 입자가 2.00 mm인 것이 2.7%, 공극율이 24.2%이며 함수 율도 28.7%로 높고 칼슘, 마그네슘, 칼리 등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가벼운 특성이 있다. 이러한 화산석을 이용하여 엘살 바도르에서 생산되는 코코넛 화이버와 5 : 5의 비율로 혼합하 여 감자를 재배하였을 때 감자의 생육이 매우 양호하여 기존 의 상품용 배양토 Coco mix slab에 비하여 10a당 배양토 재 료비를 47.4% 절약이 가능하였다(Table 1). 따라서 엘살바도 르의 부존자원인 화산석과 코코피트를 이용하여 씨감자 생산 용 양액재배 배양토를 개발하였을 때 경제적인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실용적인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연구결과를 얻었다. 다 만 화산석을 이용하였을 때 화산석에 함유된 마그네슘 등 양 이온 함량이 높으므로 생리적인 장애가 발생되지 않도록 재배 시 유의해야 한다.

    감자 조직배양 기술이전 및 배양체계구축

    감자 조직배양 시 생장점 채취에 이어 조직배양 묘를 대량 으로 증식하는 기술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기술은 감자 품 종, 배지 조성 및 배양 기술에 따라 큰 영향을 받는다. 따라 서 조직배양 과정의 계대배양 시 기내에서 배지에 이식 적기 를 조사함으로써 증식효율을 높이고자 하였다.

    (1)감자 품종별 계대배양 적정기간 구명

    (가)재료 및 방법

    엘살바도르의 씨감자 생산을 위한 조직배양체계 구축을 위 해 Tollocan, Granola 및 Puren 등 3개 품종이 공시재료로 사용되었다. 조직배양 증식 과정은 엘살바도르 농축산임업기 술개발원(CENTA)의 배양실에서 MS배지 배양병에 감자 유묘 를 삽식하고 23일간 배양하였다. 배양 방법은 배양병에서 식 물체 꺼내기→ 증류수로 뿌리 부분 배지 세척 → 4각 육묘상 자에 배지 채우기(화산석5: 코코믹스5, 멸균된 것) → 하우스 에서 식물체 심기 → 활착 후 오스모코트 시비(3 g/본) → 분 사 관수(매일 오전 10:00)를 하여 재배하였으며, 삽식 후 90- 120일 황엽기에 수확하였다.

    (나)결과 및 고찰

    감자 조직배양을 위한 1차 계대배양 결과는 Table 2에서 보 는 바와 같다. 조직배양과정에서의 계대배양 생육반응은 품종 에 따라 커다란 차이를 보였다. Tollocan 품종은 배양 후 3주 차에 정식하여 직립성으로 강한 생육 반응을 나타내었다. Granola는 덩굴성의 초형으로 가늘고 긴 생장습성을 나타냈으 며 중간 정도의 초세를 나타내었다. 한편 Puren품종은 덩굴성 초형으로 공시된 3품종 중 가장 약한 생장 특성을 나타내었다.

    1차 조직배양을 통하여 유묘가 정상적으로 생육한 Tollocan 및 Granola 두 품종을 온실에서 배양토에 이식하여 재배한 결 과는 Table 3과 같다. 직립성인 Tollocan 품종은 초장 및 엽 수가 현저하게 많아 생육이 왕성한 반면 Granola 품종은 생육 이 상대적으로 저조하였으며, 정식 후 일부 잎이 떨어지면서 활착하는 생육 양상을 나타내었다.

    (2)활착 불량 품종 2차 이식 시기 구명 시험

    (가)재료 및 방법

    2차 시험을 위한 공시재료는 1차 시험에서 조직배양 유묘가 매우 연약하게 생장한 Glanora 및 Puren 품종이 사용되었다. 조 직배양은 2015년 5월 30일 실시하였으며, 배양 방법은 계대배 양 2주 후 조직배양 유묘를 배지 이식하여 생장을 관찰하였다.

    (나)결과 및 고찰

    감자 조직배양 1차 시험에 공시된 3품종 중 상대적으로 생 육이 부진했던 Granola 및 Puren 품종에 대하여 계대배양 적 기를 구명하기 위하여 2차 시험을 진행한 결과 두 품종 모두 100%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특히 덩굴성인 이들 2품종은 기 내 삽식 2주후 배지이식이 1차 시험 때 보다 초기생육이 왕성 하였으며, Granola품종이 Puren 품종보다 생육이 더 왕성하였다 (Table 4). 따라서 두 차례의 조직배양 적응성 시험을 거쳐 얻어 진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찰하면 직립성인 Tollocan 품종은 계대 배양 후 20일, 덩굴성인 Granola 및 Puren 품종은 각각 14일후 에 이식하는 것이 계대배양 최적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 2> 조직배양 미니씨감자 대량증식기술 개발 시험 엘살바도르대학교(UES) 무병 씨감자 생산체계구축

    (1)G0세대 미니씨감자 재배 시험

    (가)재료 및 방법

    본 시험에 사용된 공시품종은 Tollocan(엘살바도르 품종) 및 Dejima(한국 품종) 품종이 각각 사용되었다. 두 품종의 미니씨 감자는 2015년 3월 11일 정식한 후 2015년 7월 14일(정식 후 84일)에 수확하였다. 재배방법은 온실 내에서 원형 폿트 및 사각 플라스틱 컨테이너를 이용하여 재배하였다. 적정한 생육 을 위하여 주기적으로 관수를 일정하게 실시하였다.

    (나)결과 및 고찰

    엘살바도르 감자품종 Tollocan과 한국 감자품종 Dejima에 대하여 조직배양을 실시하여 미니씨감자 생산성을 검토한 결 과는 Table 5 및 Table 6과 같다. 조직배양 유묘를 이용하여 처음 엘살바도르의 환경 조건하에서 재배한 결과 우선 조직배 양묘로 부터 미니씨감자를 생산하는 데 성공하였다. 엘살바도 르 품종인 Tollcan 품종의 괴경수가 주당 5.6개로서 한국 품종 인 Dejima의 3.0개 보다 많이 수확되었다. 또한 주당 생산된 미니씨감자의 무게도 Tollcan 품종의 경우 총 22.5 g으로서 한 국 품종인 Dejima의 6.5 g보다 현저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러 한 결과는 엘살바도르 품종과 한국품종에 대하여 최초로 아열 대성의 엘살바도르 환경조건에서 감자를 재배하면서 예상되었 던 미기상의의 부적응에 따른 재배관리 및 기술이 최적화 되 지 않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이 품종별 생산성이 현저하게 차이가 나는 것은 엘 살바도르의 환경 조건에 적합한 품종의 선발이 궁극적으로 엘 살바도르의 감자 생산성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 다. 즉 Tollucan품종의 경우 이미 엘살바도르의 환경 조건에 대한 오랜 기간의 적응 시험을 거쳐 선발된 품종이고, Dejima 품종의 경우 중만생종으로서 한국형 기후 조건에서 선발된 품 종일 뿐만 아니라 이 품종이 내서성이 상대적으로 약한 품종 이라는 점이다. 따라서 엘살바도르의 환경 조건에 적합한 품 종을 선발하여 재배할 때는 비교적 생육이 빠른 내서성 품종 을 선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2)UES 그린하우스 G0-1 배지경 재배시험

    (가)재료 및 방법

    본 시험은 엘살바도르대학교에서 새로 개축된 온실과 망실 을 활용하여 온실 내에서 무병씨감자를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재배기술을 확립코자 하였으며, 공시품종은 Tollcan, Soloma, Icta Frit, Granola, Dejima 및 Atlanta 등 6품종의 총 1,509주의 씨감자가 사용되었다. 씨감자 재배시기별 공급 양액 성분으로는 활착기에 15-30-15-2 (N-P-K-Mg): pH 6.00, CE 1.00–1.30, 생장기에 18-6-18-2-8 (N-P-K-Mg-S):pH 6.20, CE = 1.30–1.70, 그리고 괴경비대기에 13-6-40 (N-P-K) : pH 6.20, CE 1.70-1.90의 조건으로 공급되었다. 재배방법으로는 컨테이너 당 60% 붉은 화산석과 40% Coconut 섬유배지를 혼합한 15 L의 배양토에 8주씩 파종하였다. 양액 급액은 1일 2회씩 500 cc의 diddoor을 각 컨테이너에 급액하였다.

    (나)결과 및 고찰

    엘살바도르의 씨감자 생산체계를 구축하고 감자 관련 전문 지식 및 재배기술을 지원하기 위하여 엘살바도르 농과대학 내 에 위치한 온실에서 감자 품종별 무병 조직배양묘 유래 미니 씨감자를 재배하였다. 아울러 이 시험을 통하여 얻어진 시험 재배 결과는 Table 7 및 Table 8과 같다. 온실 내에서 배지 경 재배를 통하여 3품종의 생육량을 조사한 결과, Soloma 품 종은 초장이 35.5 cm 이고 줄기수는 1.5개로서 가장 생장량이 적었고, Tolloma 품종은 초장이 57.5 cm 이고 줄기수는 1.7개 로서 중간 정도의 생장량을 보였으며, Icta Frit 품종은 초장이 62 cm이고 줄기수는 1.5개로서 생장량이 가장 왕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Soloma 품종이 조생종으로서 초세의 발달이 중만생종에 비하여 생장량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조생종인 Soloma 품종이 황엽기에 접어들면서 수확 시기가 도래됨에 따라, 비록 중만생종인 Tollocan 및 Icta Frit 품종은 생육중으로 Soloma 품종만 1차 적으로 수확이 이루어 졌다. 조생종인 Soloma 품종은 총 46개 컨테이너에서 총 4,803개의 씨 감자가 수확되었으며 중량은 17,025 g이었다.

    이들 씨감자를 크기별로 선별하여 수량성을 조사한 결과는 Table 11과 같다. 배지경 재배를 위한 컨테이너에는 8개의 기 본식물이 정식되었는데, 컨테이너 당 평균 104.3개의 감자가 수확되었으며, 씨감자 중량으로는 368.7 g이었고, 식물체 개체 별로 환산하면 주당 13.0개의 씨감자에서 총 45.9 g의 감자가 수확되었다. 수확된 감자를 크기별로 선별하였을 때 10 g 이 상의 큰 감자 비율이 27.5%, 6-9 g 크기의 중간크기가 33.8%, 5 g 미만의 작은 감자 비율이 38.7% 순으로 나타났다.

    엘살바도르 농축산임업기술개발원(CENTA) 씨감자 생산체 계구축 시험

    (1)감자 품종별 배지경 재배에 따른 증식 및 생산력검정 시험

    (가)재료 및 방법

    엘살바도르 농축산임업기술개발원(CENTA)에서 감자 전문 가를 양성하기 위한 기술지원 협력프로그램을 운영함으로써 입체적인 씨감자 생산체계를 구축하고자 배지경 종류에 따른 증식효율 및 생산력 검정시험을 수행하였다.

    공시품종으로는 Tollocan, Icta Frit 및 Soloma 품종이 사용 되었으며, 이들 품종의 조직배양 유묘 2,940본을 기내에서 이 식 후 3주 만에 배지에 정식하였다. 배양토 재료 및 조성은 엘살바도르 붉은 화산석 및 캐나다 산 피트모스를 7 : 3 비율 로 조성한 혼합배지를 사용하였다. 배양용기 및 재식방법은 길 이 40 cm ×폭 35 cm ×높이 18 cm 규격의 컨테이너에 5 cm 높이로 배양토를 채운 후 8주 씩 정식하여 재배한 후 생육중 기에 5 cm정도 배토하였다. 배양액 공급은 각각 초기 6회 (1.5L 콘테이너), 후기 3회 (EC 초기1.2, 후기 1.0, pH 6.5) 실시하였다. 경종개요로는 2015년 12월 8일에 정식한 후 2016년 3월 20일에 수확하였다.

    (나)결과 및 고찰

    엘살바도르 CENTA의 온실 내에서 배지경 재배를 통하여 3 품종의 생육량을 조사한 결과, 엘살바도르 농과대학에서의 시 험결과와 마찬가지로 Soloma 품종은 초장이 58.2 cm 이고 줄 기수는 1.8개로서 가장 생장량이 적었고, Tolloma 품종은 초 장이 69.8 cm 이고 줄기수는 2.4개로서 중간 정도의 생장량을 보였으며, Icta Frit 품종은 초장이 71.4 cm이고 줄기수는 2.2 개로서 생장량이 가장 왕성한 것으로 나타났다(Table 9). 이러 한 결과는 Soloma 품종이 조생종으로서 초세의 발달이 중만 생종에 비하여 생장량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된다. 즉 2015년 12월 8일 정식한 뒤 2016년 3월 1일 생육 량을 조사하였을 때 조생종인 Soloma는 이미 황엽기에 접어 들기 시작하면서 일찍 초세의 발달이 정지되었다. 반면 중만 생종은 여전히 지상부 생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엘살바도르 CENTA에서 감자재배시험 수량성을 조사한 결 과 Tollocan, Icta Frit 및 Soloma 3품종 공히 매우 좋은 미 니씨감자 수량성을 보여주었다. 품종별로는 Icta Frit, Tollocan, Soloma 순으로 전체 수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Table 10). 3품종의 평균 미니씨감자 무게는 Icta Frit가 9.6 g, Tollocan 품종 5.9 g, Soloma 품종 5.5 g 순으로 큰 것으로 나타나서 숙기가 늦은 순으로 미니씨감자가 큰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Icta Frit는 큰 감자의 비중이 70.7%로 매우 높았으나 수확과정에서 2차생장이 발생한 씨감자가 있었다(Fig. 1). 이 러한 2차 생장 현상은 감자 품종과 재배환경간의 부적응에서 주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비료 종류가 감자품종별 씨감자 생산에 미치는 영향

    (가)재료 및 방법

    엘살바도르의 씨감자 생산체계 구축을 위한 온실재배에서 효율적으로 씨감자 생산량을 높이기 위한 시비법을 구명코자 공시품종으로 Tollocan, Icta Frit 및 Soloma 등 3개 품종이 사용되었다. 배양토 등의 재료는 2-가의 내용과 같다. 배양액 공급 처리는 두 가지 조건으로서 제1처리 방법은 초기 6회 (1.5 L 콘테이너) 및 후기 3회씩(EC 초기1.2, 후기 1.0, pH 6.5) 양액을 공급하였으며, 제2처리 방법은 콘테이너 당 Osmocoat (15-11-13+2MgO+TE) 50g을 처리 후 관수만 실시 하는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경종개요로 2015년 12월 8일에 정 식하고, 2016년 3월 1일에 수확하였다.

    (나)결과 및 고찰

    씨감자 생산을 위한 비종별 효과를 비교한 결과 Table 11에 서 보는 바와 같이 Tollocan과 Icta Frit 품종 공히 일반양액 보다 Osmocoat 시용구에서 생육이 양호하였다. 반면 Soloma 품종은 Osmocoat 처리에서 초기부터 초장이 작고 생육이 부 진하였다. 이는 감자의 숙기별 생태형에 따라 배양액의 시비 조건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으로 생각되며, 특히 조생종 품종 인 Soloma는 Osmocoat 시용 처리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 로 나타났고, 반면 중만생 품종인 Tollocanr과 Icta Frit 품종 은 지상부 초세의 생장이 크게 향상되는 결과를 나타냈다.

    한편 시비 방법 간의 품종별 수량을 보면 Tollocan과 Icta Frit는 복합비료구에서 35 - 54% 정도 현저히 높은 증수를 보 였으며, 특히 Icta Frit는 큰 감자 비율이 7%이상 현저히 높 아졌다(Table 12). 특히 조생계인 Soloma 품종은 생육이 저조 하고 미니씨감자 수량성도 낮았는데 이는 앞서 품종비교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조생종은 활착 직후 완효성비료성분이 녹아 나오는데 시일이 걸려 초기 비절 현상에 의해 생육 부진으로 관행 급액구에 비하여 수량이 낮고 생육도 부진한 것으로 판 단된다.

    <시험 3> 고랭지 씨감자 주산지 병해충 발생예찰 및 조사 감자 주산지 병해충 발생 모니터링

    2016년 1월 13일부터 3월 1일까지 엘살바도르 감자 주산지 인 고랭지대의 진딧물 비래 양상을 조사하였다(Table 13). 고 랭지대의 바이러스 매개 감염원인 진딧물을 포집하기 위하여 25 × 20 cm 규격의끈끈이 옐로우 트랩을 고랭지대인 El Centro 지역의 Adelmo 농가 포장에 설치하였다.

    그 결과 총 7개소에 설치한 트랩(50 cm2)에서 포집된 해충 을 분류한 결과 진딧물은 없었으며, 특히 Icta Frit 품종에서는 White fly(온실가루이)만 평균 162.67마리가 채집되었다. 이러 한 결과는 엘살바도르의 감자 주산지가 표고 2,500 m 지대로 온도가 15°C이하로 비교적 낮아(2016. 2. 10. 20여 년 만에 눈까지 내림) 진딧물 발생량이 적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향후 안정적인 무병 씨감자 생산체계를 구축하기 위하여 계절별로 반복적인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평난지대인 엘 살바도르 농과대학(UES)의 온실에서는 진딧물이 발생되었는 데, 분류동정 결과 목화진딧물로 판명되었다.

    감자 병해충 조사 요령 확립

    본 프로젝트를 통하여 무병 씨감자를 생산하기 위한 핵심지 원기술인 바이러스 검정기술은 엘살바도르대학교(UES) 병리 팀에 Elisa키트와 PVY virus IImmuno-strip을 지원하여 생장 점 배양 후 감자 조직배양주를 검정하여 무병주만을 모본(free stalk)으로 쓸 수 있는 기술을 정착시켰다.

    적 요

    엘살바도르국립대학(UES) 및 국립농축산임업기술원(CENTA), 농축산부(MAG), 감자재배농가와 공동으로 무병 씨감자생산 및 보급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일련의 시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1. 엘살바도르의 주요 감자 재배품종은 Tollocan, Soloma, Icta Frit였다. 엘살바도르의 감자재배용 씨감자는 대부분 과테 말라에서 kg당 Tollocan 0.6-0.8$, Soloma 1.0$에 수입되고 있으나 씨감자 보급량이 절대적으로 부족하여 보증되지 않은 불량 종자의 보급으로 인해 그 피해가 매우 심각하였다.

    • 2. 엘살바도르의 대학, 정부 연구기관 및 감자 주산지 농민 과 연계된 한국형 씨감자 생산기술 및 보급체계를 성공적으로 기술 이전하였다 또한 엘살바도르 현지의 부존자원 화산석과 코코피트를 활용한 감자 양액재배용 배지를 개발하여 실용화 함으로써 씨감자 생산을 위한 재료비를 47% 정도 절감할 수 있었다.

    • 3. 엘살바도르대학교(UES)의 씨감자 생산체계 구축을 통하 여 삽식 순화묘 포트 배지경 재배에서 미니씨감자를 주당 5- 6개를 수확하였으며, 아울러 배지경 증식재배시험을 통하여 총 4,000구의 미니씨감자를 생산하는 데 성공하였다.

    • 4. 엘살바도르 농축산임업기술개발원(CENTA)의 씨감자 생 산체계 구축을 통하여 배양 용기(8주) 당 800g 내외의 씨감자 를 생산하였고, 총 200 kg(미니씨감자 약 23,000구)의 씨감자 를 수확하는 데 성공하였다.

    • 5. 엘살바도르 고랭지 씨감자 재배 주산지의 병해충 발생예 찰 결과 당년 진딧물 비래량은 없었고 온실가루이만 채집되었 다. 그러나 씨감자 재배지의 생태환경 변화에 따른 돌발병해 충의 발생 예찰을 위하여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ACKNOWLEDGMENTS

    본 논문은 한국국제협력단(KOICA)의 2015 APP Track-Ⅱ 의 협력연구자금 지원에 의해 이루어진 것임.

    Figure

    KSIA-28-311_F1.gif

    Potato tuber yield patterns of three varieties affected by Osmocoat compound fertilizer application and symptom of second growth of cv. Icta Frit.

    Table

    Cost saving effect of potato substrate materials developed using natural volcanic pumice of El salvador.

    Growth characteristics of three potato varieties derieved from potato tissue cultured plantlets after sub-culture.

    Changes of top growth development of the potato tissue cultured seedlings after transplanting.

    Changes of growth development of the potato tissue cultured seedlings after transplanting.

    Mini-tuber yields of El Salvador potato variety ‘Tollocan’ grown from in vitro plantlets.

    Mini-tuber yields of Korean potato variety ‘Dejima’ grown from in vitro plantlet.

    Growth characteristics of three potato varieties grown from substrate cultivation in the greenhouse.

    Total yield and tuber size distribution of El Salvador potato variety ‘Soloma’ grown from substrate cultivation in the greenhouse.

    Growth characteristics of three potato varieties grown from substrate cultivation in the greenhouse of CENTA.

    Potato yields and tuber size distribution of three potato variety grown from substrate cultivation in greenhouse.

    *Yields were measured from a container box with 8 plants of each variety

    Effect of fertilizer sources on the plant top growth of three potato varieties.

    Effect of fertilizer sources on the tuber yields of three potato varieties.

    Incidence frequency of potato pests according to different varieties surveyed in March 1, 2016 in major potato production area of highland of El Salvador.

    Reference

    1. Asher CJ , Edwards DG (1978b) Relevance of dilute solution culture studies to problems of low fertility tropical soils, ; pp.131-152
    2. Berry WL (1985) Nutrient solutions and hydroponics, Hydroponic Society of America,
    3. Bunt AC (1988) Media and Mixes for Container- Grown Plants, Unwin Hyman,
    4. Carlile WR , Sweetland E (1983) The use of composted peatsludge mixtures in horticultural growth media , Acta Hort, Vol.150 ; pp.510-517
    5. Casey D (2012) The potato psyllid, Bactericeracockerelli(Sulc) (Hemiptera:Triozidae): life history, relationship to plant disease,and management strategies, University of California,
    6. Jones JB Jr (1993b) Plant Nutrition Manual, Micro-Macro Publishing,
    7. Jones JB Jr (1997) Hydroponics, A Practical Guide for the Soilless Grower, St. Luice Press,
    8. Ministerio de Agricultura y GanaderiaEl Salvador. Anos: 2001-2002, 2005-2006, 2010-2011 y 2013-2014, Direccion General de Economia Agropecuaria,
    9. Mora L (1999) Sustratos para cultivos sin suelo o hidroponía, INAGRO,
    10. Sanches R (1990) Effective Handling of plant tissue culture. Plant Aging: Basic and Applied Approaches, Plenum Publishing Corporation,
    11. Wamke DD (1986) Analyzing greenhouse growth media by the saturation extraction method , HortSci, Vol.21 ; pp.223-225
    12. 김 숭열 (2013) 감자재배작형별 적응품종 및 재배상 유의점, 농촌진 흥청 국립식량과학원,
    13. 김 숭열 (2013) 씨감자 절단과 절단면 치유,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 학원,
    14. 김 숭열 (2013) 씨감자 산광(散光)싹틔우기 방법, 농촌진흥청 국립 식량과학원,
    15. 김 점순 (2009) 세균병의 발생생태 및 방제법, 농촌진흥청 국립식량 과학원,
    16. 김 현숙 (2013) 기내에서 육성된 인공씨감자 양액재배 기술, 충청남 도농업기술원,
    17. 박 권우 , 김 영식 (1999) 양액재배, 아카데미서적,
    18. 박 세원 , 정 혁 , 구 정숙 , 전 재흥 (1991) 감자 기내배양중 일어나는 배 지 pH의 변화 및 조직으로 부터 대사물질의 용출 , 韓國園藝學 會 論文發表要旨, Vol.9 (1) ; pp.74-75
    19. 유창연 외 (2005) 식물조직배양학, 강원대학교 농업전문경영인 트 랙사업단,
    20. 이 현숙 (2013) 기내에서 육성된 소괴경의 크기별 플러그육모재배, 경상북도농업기술원,
    21. 장 동철 (2013) 씨감자 양액재배, 충청남도농업기술원,
    22. 최 홍수 , 함 영일 (2009) 잎말림바이러스(잎말림병(葉卷病)), 농촌진흥 청 국립농업과학원, 국립식량과학원,
    23. 함 영일 (2009) 감자 바이러스병의 일반적 특성 및 방제, 농촌진흥 청 국립식량과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