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8504(Print)
ISSN : 2287-8165(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Vol.28 No.3 pp.319-324
DOI : https://doi.org/10.12719/KSIA.2016.28.3.319

Current Status of Pear industry and Cultivation in Taiwan

Ho-Jin Seo†, Jin-Ho Choi
Pear Research Statio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Naju 58216, Korea
Corresponding author : (+82-61-330-1565) (shj2992@korea.kr)
February 17, 2016 September 12, 2016 September 13, 2016

Abstract

Pear is a representative fruit crop of high economic value in Taiwan. The pear varieties, cultivated in Taiwan are of Asian-type. The total amount of planted pears declined to 5,575 ha, and the production volume was 134,549 tons in Taiwan. The major pear cultivation areas were located Taichung (3,649 ha) these a amount to 65% of the total pear cultivation areas There are three production systems; the first system could be broadly categorized into Japanese pears, whose cultivars grown in high-altitude areas, and the second and third systems were used lower chilling requirement pear and top-grafted pear production method in the low-altitude area. Top graft pear, the main pear production system of Taiwan, is a unique pear production system in the world. Pear fruits were produced by grafting the scions, whose flower buds differentiations were completed in the high-altitude area of Taiwan, Japan or China. These flower buds were grafted on the water sprout of ‘Hengshan’ in the low-altitude areas from January to February. In other to use top-graft, the large amount of scion imports from Japan and china. Top-grafting pears could be harvested from early May, and their harvesting periods were from June to July. The Taiwan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and the Taichung District Agricultural Improvement Station have developed low-chilling requirement Varieties that can be grown in low-altitude areas; Such as ‘Tainung No. 1, No. 2, No. 3’, ‘Taichung No. 1, No. 2, No. 3’. In high-altitude areas, the main variety of cultivated is ‘Shinseiki’, and Low-altitude areas, the main varieties cultivated are ‘Housi’ and ‘shinko’.


대만의 배 산업과 재배 현황

서 호진†, 최 진호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배연구소

초록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J011908012016

    대만은 아열대와 열대지역이 공존하는 동쪽 태평양에 위치 한 섬으로 국토의 총 면적은 35,980 km2이다. 하늘에서 보면, 섬의 모양은 바나나 모양처럼 길쭉하고 폭이 좁게 보이는 섬 이다. 대만의 지형은 산이 많아, 전체 면적의 64%가 산지이다. 산맥이 섬의 동부를 남북으로 가로지르며, 섬에서 가장 높은 산은 해발 4,000 m에 이른다. 국토의 동쪽 지방은 평야가 적으 나, 서쪽 지방은 비옥한 평야가 많이 있다. 대만의 독특한 지 리적 특성으로 인해 열대과일인 바나나, 리치, 파파야, 파인애 플, 망고 등의 작물도 생산이 되는 것과 동시에 배, 사과, 감귤 류 및 복숭아 등 온대성 과일도 생산 되고 있다. 이로 인하여 ‘과일의 섬’이라는 명칭을 가지고 있다. 2014년도 대만의 경지 면적은 79만 9천ha이며, 현재 대만의 인구는 2,324만명으로 그 중 약12% 정도인 298만명이 농업에 종사가 하고 있다. 각 농 가는 약 1.0 ha의 경작지를 소유하고 있다(Council of agriculture, Executive Yuan, 2014).

    대만의 배 재배역사는 1890년대 중국 화남지방(Huanan)에서 대만의 신주 지방(HsinChu)으로 저온요구도가 낮은 횡산 품종 을 도입하여 재배하기 시작하면서부터 시작되었다(Lin et al., 1991). 그 후 일제강점기에 일본으로부터 배 품종을 도입하여 처음으로 북부지역에서 재배실험을 하였으나 대만의 아열대성 기후로 인해 저온요구도가 부족하여 저온요구도가 높은 배 품 종은 정상적으로 재배가 어려웠다. 그러나 그 후 대만의 산간 지방에 도로가 개통되면서 해발 2,000 m 이상의 산간지방에서 도 작물의 재배가 가능하게 되어 저온요구도가 높은 동양배 품 종의 재배가 성공하였다(Lin et al, 1991). 대만은 현재 우리나 라의 주요 배 수출국으로써만 알려져 있는 실정으로 대만 또 한 생식용 배를 많이 생산하고 있는 나라 중 하나라는 것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그리하여 본 논문에서는 현재 대만 내 에서 생산되고 있는 배의 품종과 재배방법 및 생산에 관한 정 보를 서술하고자 한다.

    대만의 배 생산현황 및 재배환경

    배는 대만의 대표적인 경제 과수 작물이다. 최근 대만 내 배 산업은 재배지역 및 생산방법에 따라 아래와 같이 크게 3가 지로 분류 되고 있다. 첫 번째는 고해발 지역(2,000m)에서 재배 하는 방법으로 저온요구도가 충족이 되어 정상적으로 개화 결 실을 시켜 재배 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두 번째는 기온이 비 교적 높은 저해발 지역에서(500-550m)도 정상적으로 개화 및 결실이 가능한 저온요구도가 낮은 품종으로 횡산 및 대만에서 육성된 신품종 등이 있다. 세 번째는 고접 방식으로 대만의 고 해발 지역에서 생산된 접수를 이용하거나 일본 및 중국 등지에 서 화아분화가 완성된 가지를 수입하여 1월-2월에 대만의 저해 발 지역에 재식 되어 있는 횡산 품종의 도장지에 접수를 고접 하여 고품질 과실을 생산하는 방식이다(Seo et al, 2015).

    대만의 재배면적은 약 30년간 10,000 ha를 유지하였으나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배나무의 노화와 병충해 및 다른 작 물로 대체로 인해서 현재 대만의 배 재배면적은 점차 감소 중 에 있다(Council of agriculture, Executive Yuan, 2014). 현 재 2014년 배나무의 재배면적은 5,575 ha이며, 생산량은 134,549 ton이다(Table 1). 대만 배는 대부분 타이중 지역에서 재배되고 있으며, 대만의 배 재배면적 중 약 65% (3,649 ha) 가 이 지역에서 재배 되고 있다(Fig. 1.)

    고해발 지역 배 재배

    대만의 고해발 지역은 겨울철에 저온으로 인해 저온요구도 가 충족이 되어 배를 재배 시 정상적인 개화 및 결실이 가능 하다. 고해발 지역의 재배면적은 대만 내 재배면적의 33% (1,831 ha) 정도를 차지하고 있으며 생산량은 40,793 ton이다 (Table 1). 주요 재배지역은 고해발 산간지방으로 타이중 허핑 지역(HePing District, Taichung City, 1,792 ha)과 난토우 런 아이현(RenAi Township, Nantou County, 39 ha)이 주요 재 배지역이다. 수확시기는 8월부터 시작되며 9월부터 본격적으 로 수확을 시작 한다. 신세기 품종은 8월-9월 하순에 수확이 이루어지며, 그 후로 미리 품종은 9월 상순-10월 중순에, 신흥 품종은 9월 하순-10월 상순, 설리 품종은 11월 하순-다음해 1월 상순까지로 품종에 따라 수확기에 차이가 있다. 이중 재 배가 용이하고 생산량이 높으며, 가격이 높은 신세기 품종 이 90% 이상의 재배면적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대만 내 저해발 지역에서 필요한 접수로써 신흥 품종이 많이 재배되 고 있다.

    저해발 지역 배 재배

    대만의 저해발 지역에서 재배 되고 있는 횡산 품종은 저온 요구도가 낮은 품종으로 보통 2월에 개화 하여 고해발 지역에 서 재배되는 배 품종들과 비교하여 한달 가량 수확시기가 빠 르며 생산량이 많은 편이다. 그러나 과실의 품질이 좋지 못하 고 또한 다른 과실의 성수기와 수확시기가 맞물려 농민들의 소 득증대에 도움을 주지 못한다(Lee et al, 1991). 횡산 품종은 8월-10월에 과실을 수확 후, 인위적으로 낙엽을 시켜 다시 맹 아 및 개화를 시킨다. 이 중 9월 - 10월 개화 시켜, 다음해 6월 에 수확하는 배를 도두리(Turning-back pear)라 하며, 11월 - 12 월에 개화시켜, 다음해 6월-7월에 수확하는 배를 불지춘리(不 知春梨)라 부른다. 이런 방법으로 수확시기를 앞당겨 고해발 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는 고품질 배와의 수확시기와 중복이 되 지 않게 수확시기를 조절하여 횡산 품종을 통하여 수익을 높 이고 있다(Liaw, 2005). 그러나 수익이 고접배와 비교하여 높 지 않아 현재 저해발 지역의 배 재배는 고접배 방식으로 점차 바뀌고 있다.

    대만의 저해발지역의 기후는 아열대성 기후로 겨울철 저온 량이 부족하며, 여름철은 고온 다습하다. 이로 인하여 나무의 생육이 불량하고, 맹아율이 낮으며, 과실의 크기 또한 작아 재 배에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1976년 횡산 품종의 도장지에 휴 면이 타파된 접수를 접목시켜 과실을 생산하는 고접배 방식의 재배방법이 성공이 되어 저해발 지역 에서도 고품질 배 품종 의 재배가 가능하게 되었다(Byrne et al., 1995; Lin et al., 1987). 고접배 재배 방식은 화총당 과실 1개만을 남겨놓는 일 반적인 적과 방법과는 다르게 화총당 과실 3-4개 정도를 남겨 놓고 적과를 하여 수확량을 늘릴 수 있다. 이 방법은 대만의 특유의 배 재배방법으로 현재 동남아시아 등 다른 나라에 전 파되어 재배시에 사용되어지고 있다(Krisanapook and Subhadrabandhu, 1995; Rakngan et al., 1995).

    대만에서는 고접배 방식으로 과실을 생산하는데 고접배의 생산방식은 Fig. 2와 같다. 고접배는 5월 상순부터 수확이 가 능하며 6월 - 7월이 수확기이다. 보통 남부지역의 수확기가 비 교적 빠르며, 북쪽지방으로 올라갈수록 품종에 따라 수확기가 차이가 난다. 추수 품종은 5월 상순-6월 하순, 행수 품종은 5 월 중순-6월 하순, 풍수 품종은 5월 상순-8월 상순, 신세기 품 종은 5월 중순-7월 하순, 신흥 품종은 6월-9월 상순까지로 품 종에 따라 차이가 있다. 고접배 재배 방식으로 생산되는 품종 은 신흥 및 풍수 품종의 생산량이 가장 많다. 현재 대만의 고 접배 재배면적은 3,744 ha로 대만 배 재배면적의 약 65%을 차 지하고 있으며, 주요 재배지역은 타이중(Taichung City, 1,857 ha) 및 미아오리(Miao-Li County, 1,358 ha) 두 지역으 로 전체 고접배 재배면적의 86%를 차지하고 있다

    고접배 접수의 생산 및 수입

    고접배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매년 새로 고접을 통하여 과실 을 생산을 해야 함으로써 많은 양의 접수가 필요하다. 대만의 중부 고해발 지역에서 생산되어 공급 되고 있지만 생산량에 한계가 있다. 그리하여 대만 농림부는 1986년부터 일본에서 배 접수를 수입하여 농민에게 공급하기 시작 하였다. 초기 접 수 수입량은 매년 50 ton 정도였으나 그 후 고접배 가격이 상 승하면서 2001년에 들어서는 접수의 수입량이 139 ton 정도로 급속도로 증가하였다. 2004년에는 역대 접수 수입량 중 최대 인 205 ton까지 증가하였다(Table 2). 이중 풍수 및 신흥 품종 의 접수가 가장 많이 수입되었는데, 2005년부터 2009년까지 각각 풍수 및 신흥 품종의 접수는 약 311 ton, 192 ton의 접 수가 수입되었다(Customs Administration, Ministry of Finance, 2014). 그러나 일본에서의 접수 공급량이 매년 일정하지 못하 여 대만 내 고접배 재배농가가 필요로 하는 양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그리하여 대만 정부는 2012년부터 중국에서 남 수 및 황금배 품종의 접수를 수입하기 시작하였다. 우리나라 는 현재 품종 유출, 병충해 문제 등의 관계로 접수의 수출이 제한 되고 있다. 고접배 접수 제조방법은 일반적으로 저온요 구도가 충족된 가지를 저온저장고에 보관 후 접목하는 전날 저녁에 접수로 만들어 사용한다. 1인당 하루에 평균 600 - 1,000개 정도의 접목 할 수 있으며, 나무 한 주당 120 - 200개 정도 접목 이 가능하다. 과원 1 ha당 약 50,000개의 접수가 들어간다. 접목 후 약 25-30일 후 개화하며, 40 - 60일 후 착 과가 이루어진 과실에 봉지 씌우기를 실시 한다. 개화 후 120 - 160일 지난 후부터 수확이 가능한데 품종 별 수확시기는 다르다. 과실 생산량은 1 ha 당 20,000 ~ 30,000 kg 정도 수확 이 가능하다.

    대만의 배 신품종육성

    고접배 재배방법은 대만의 고유의 재배방법으로 수확시기가 빠르며, 매년 품종 갱신이 쉽다. 그러나 접목방법이 복잡하고 노동력이 많이 필요하며, 접수 수급 등에 따른 위험률이 높다. 그리하여 대만 내 연구기관인 대만 농업연구소(Taiwan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및 타이중 농업개량장(Taichung District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tation)에서는 대만의 저해발 지역에서 적응성이 높은 저온요구도가 낮은 횡 산 품종과 동양배 품종 중에서 품질이 우수한 신세기, 풍수, 신수 품종 등을 대상으로 교잡 육성하여 대만의 저해발 지역 에서도 재배가 가능한 저온요구도 낮은 고품질 품종 타이중 1 호(Taichung NO. 1), 타이중 2호(Taichung NO. 2), 타이중 3호(Taichung NO. 3), 타이농 1호(Tainung No. 1), 타이농 2 호(Tainung No. 1), 타이농 3호(Tainung No. 3) 등 6품종을 육성하였다(Fig. 3)

    현재 육성된 품종의 저온요구도는 200 – 600시간으로 일반 동양배의 저온요구도 보다 800 - 1600시간보다 낮아 대만의 저 해발 지역에서도 재배가 가능하여 재배면적이 점차 늘어나고 있으며, 더욱더 경쟁력을 갖출 것으로 생각 되고 있다(Table 3) (Liao, 2005).

    재배 환경

    대만의 기후는 북부지역은 온난습윤 기후이며, 남부지역은 열대성 기후로 지역별로 기후에 차이가 있다. 연평균 기온이 북부지역은 22°C, 남부지역 24°C 정도이며 섬 전체의 연평균 기온은 23°C 정도이다. 여름철 6 ~ 8월의 평균기온은 28°C로 한 낮에는 35°C 이상 넘어가며, 습도가 높고 하루 한 차례 이상 스콜성 강수가 있는 날이 빈번하다. 12월부터 2월까지 계속되는 겨울은 온화하며, 평균기온은 10 ~ 12°C 정도이다. 연 평균 강우량은 계절, 기후 및 고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연간 평균 강우량은 2,450 mm 정도이며, 산간지역에 비가 더 많이 내린다. 이다. 또한 여름철 태풍이 연 10회 이 상이 찾아와 낙과 피해 등 많은 농작물에 직접적인 피해를 입 히고 있다.

    국내 배 재배 환경은 신고 위주의 단일 품종 편중 재배로 전체 수출량의 90% 이상이 신고 품종이다. 이와 다르게 대만 은 단일 품종이 아닌 다수의 품종을 재배하고 있으며, 자국 내 기후에 맞는 고품질 배를 생산하기 위하여 여러 품종의 접 수 수입량을 늘리고 있으며 또한 저온 요구도가 낮은 신품종 을 육성하고 있다. 이는 향후 대만 수출에 악영향을 미칠 것 으로 보인다. 따라서 한국산 배의 수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서는 현재 신고 품종 위주의 편중 재배에서 벗어나 다품종을 재배하고, 수출하여 대만 시장 내 소비자의 입맛을 사로잡을 필요가 있다.

    적 요

    • 1. 대만에서 배는 경제적으로 중요한 과수 작물 중 하나이 다. 대만에서 재배되고 있는 품종은 거의 동양배 계통이다. 대 만의 배나무의 재배면적은 5,575 ha이며, 생산량은 134,549 ton 정도를 생산하고 있다. 대부분 타이중 지역에서 재배되고 있 으며, 재배면적 중 약 66% (3,690 ha)가 이 지역에서 재배 되 고 있다.

    • 2. 대만 내 배 산업은 재배 지역 및 생산방법에 따라 크게 3가지 방식으로 분류가 되고 있다. 첫 번째로는 고해발 지역 에서 저온요구도가 높은 동양배 계통을 중심으로 하는 재배 방식과, 두세 번째로는 저해발 지역에서 고접배 방식과 저온 요구도가 낮은 신품종 위주로 재배하는 방식이다.

    • 3. 고접배 방식이란 대만의 주요 배 재배 방법으로 이는 세 계에서도 아주 독특한 재배방식이다. 접수를 이용하여 배를 생 산하기 위하여 화아분화가 완성된 접수를 대만의 고해발 지역 에서 생산하거나 일본 및 중국 등지에서 수입하여 대만 내 저 해발 지역에 재식중인 횡산 품종의 도장지에 1월-2월 사이에 고접 재배하여 생산 하는 방식이다. 이로 인해, 매년 고접배 생산을 위해 일본 및 중국 등지에서 많은 양의 접수가 수입되 고 있다.

    • 4. 고접 방식으로 배를 재배 하였을 경우 5월 초부터 수확 이 가능하며, 6월-7월이 수확기이다. 대만 농업연구소 및 타이 중 농업개량장에서는 저해발 지역에서 적응성이 높은 저온요 구도가 낮은 고품질 품종인 타이중 1호, 2호, 3호와 타이농 1호, 2호, 3호 품종을 개발하였다.

    • 5. 주요 재배품종은 고해발 지역은 신세기 품종이며, 저해발 지역은 고접 방식으로 재배 되는 풍수 및 신흥 품종이다.

    ACKNOWLEDGMENTS

    본 연구는 농촌진흥청 공동연구사업의 지원(PJ011908012016) 에 의해 수행되었음.

    Figure

    KSIA-28-319_F1.gif

    Major cultivating regions of the pear tree cultivation in Taiwan.

    KSIA-28-319_F2.gif

    Top-grafting procedures Scion preparation. Flower budwoods were trimmed into on-bud scion chips and kept moist in the previous night.

    KSIA-28-319_F3.gif

    New pear varieties, are cultivated in Taiwan.

    Table

    Change of pear cultivation area and production in Taiwan.

    Source : Council of agriculture, Executive Yuan, 2014

    Change of imported pear scions in Taiwan.

    Source : Customs Administration, Ministry of Finance, Taiwan. 2014

    Characteristics of new pear varieties cultivated in Taiwan.z

    zPear at orchard in Taichung (Low altitude)
    Source : Taichung District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tation, Council of Agriculture, Executive Yuan (www.tdais. gov.tw).Taiwan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Council of Agriculture, Executive Yuan (www.tari.gov.tw)

    Reference

    1. Byrne DH , Ou SK , Storey JB (1995) Annual grafting of Nashi pear in low chill areas of Taiwan , Fruit Varieties, Vol.49 ; pp.103-106
    2. Council of Agriculture Executive Yuan R.O.C. (Taiwan) (2014) Yearly report of Taiwan’s agriculture, Available from: http://agrstat.coa.gov.tw/sdweb/public/book/Book.aspx. Accessed July 9, 2015
    3. (2014) Customs Administration, Ministry of Finance, Taiwan , Available from: https://portal.sw.nat.gov.tw/APGA/GA03
    4. Krisanapook K , Subhadrabandhu S (1995) Effect of some practices and hydrogen cyanamide on bud break of 'Shinseiki' pear , Acta Hortic, Vol.395 ; pp.149-152
    5. Liao WC , Chang LR , Chang CS (2005) The breeding of pear ‘Taichung No 3’ , Bulletin of TDARES, Vol.88 ; pp.51-59
    6. Liaw WJ (2005) The new pear cuitivars “Taichung No.2” , TDARI. Proceedings of a Symposium on Cultural Techniques and Management in Pear, Vol.75 ; pp.112-136
    7. Lin JH , Liaw WA , Lin HS , Chang LR (1991) The Review and outlook of pear cultivation in Taiwan , Proceeding of a symposium on fruit produc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in taiwan, special publication of TARI, Vol.35 ; pp.379-396
    8. Lin HS , Lee CL , Lin CO (1987) Production of high chilling Asian pear in Taiwan's lowland , Acta Hortic, Vol.199 ; pp.101-108
    9. Rakngan J , Gemma H , Iwahori S (1995) Flower bud formation in Japanese pear trees under adverse conditions and effects of some growth regulators , Jpn. J. Trop. Agr, Vol.39 ; pp.1-6
    10. Seo HJ , Jin YO , Lee CL , Roan SF , Chen IZ (2015) Effect of altitude on flower bud differentiation and necrosis in 'Shinko' pears in subtropical climates , Kor. J. Hort. Sci. Technol, Vol.33 (1) ; pp.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