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8504(Print)
ISSN : 2287-8165(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Vol.28 No.3 pp.335-341
DOI : https://doi.org/10.12719/KSIA.2016.28.3.335

Growth Characteristics and Yield of Korean Rice Varieties in Myanmar

Hong-Kyu Park, Jae-Hyun Kim†, Eong-Gi Jung, Jong-Rok Son*, Woo-Moon Lee**, Daw San Mar Lar***, Daw Myint Yi***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Wanju 55365, Korea
*Former Director of KOPIA-Myanmar Center, Yezin, Miyanmar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Jeonju 55365, Korea
***Department of Agricultural Research, Ministry of Agriculture & Irrigation, Nay Pyi Taw, Yezin, Myanmar
Corresponding author : (+82-63-238-5312) (kjh2022@korea.kr)
August 8, 2016 September 22, 2016 September 23, 2016

Abstract

To select appropriate Korean varieties in Myanmar, a serial experiments using rice varieties developed in Korea were conducted for 2 years, 2014 and 2015. Among the yield components, panicle number per hill of Shwe Thwe Yin, Myanmar variety, was 14, 19, 17 for 2014 dry season, 2014 wet season and 2015 dry season, respectively, which are 6, 1.3 and 5 panicles more than that of Korean varieties. The grain number per panicle, the ripened grain rate, 1,000 grain weight and yield of Korean rice varieties higher than that of Shwe Thwe Yin, Myanmar variety, at 2014 dry season and wet season. However, grain numbers per panicle, ripened grain rate of Shwe Thwe Yin were similar to that of Korean varieties, the yield of Myanmar variety was higher than yield of Korean varieties, at 2015 dry season. And to study the wide area adoptability, korean rice varieties and Shwe Thwe Yin were tested for 2 years, 2014, 2015 and 3 regions, the yield of Hanareum, Hangangchal 1 and Dasan 2 were higher than the yield of Shwe Thwe Yin and the regional variation of these korean varieties lower than that of Shwe Thwe Yin at 2014 wet season. Dasan 2 and Hangangchal 1 were selected as promising rice varieties in Myanmar.


미얀마에서 한국 육성 벼 품종의 생육과 수량

박 홍규, 김 재현†, 정 응기, 손 종록*, 이 우문**, Daw San Mar Lar***, Daw Myint Yi***
국립식량과학원
*전 KOPIA 미얀마센터
**농촌진흥청 기술협력국
***미얀마 농업연구소

초록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J0112762016

    미얀마는 인도차이나 서쪽에 위치한 나라로 북서쪽은 방글 라데시의 치타공구와 인도의 미조람주, 마니푸르주, 나갈랜드 주, 아루나찰프라데시주, 북쪽은 중화인민공화국의 티베트자치 구, 북동쪽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윈난성과 접하고 국경의 총 길 이는 2,185 km이다. 국토는 남북으로 길기 때문에 기상의 차이 가 많다. 대부분의 지역이 열대 몬순 기후로서 동쪽의 타이와 비슷하나 만달레이 이북은 온대동계건조기후이다. 그리고 북쪽 의 산악지대는 겨울에 서리도 내린다. 몬순의 영향으로 5월부 터 우기이다. 강우량은 하미얀마에서 2,500 mm, 산간부에서는 5,000 mm에 달한다. 11월에서 4월에 이르는 동안 몬순이 북동 쪽에서 불게 되면 비가 거의 오지 않는 건조기가 된다.(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 2014).

    또한 농업이 산업의 지주이며 하(下)미얀마 지방의 벼농사( 稻作)가 국력의 기반이다. 주요 농산물은 쌀로 국가 전체 경지 면적의 약 60%를 차지하고 있다. 쌀은 무게 기준으로 총 곡물 생산량의 97%를 차지한다.

    미얀마는 1992년에 쌀 생산을 장려하기 위하여 국가작물로 지정하였다. 미얀마에서의 벼농사는 매우 긴 역사를 가지고 있 으며, 단순히 안전한 식량뿐만 아니라 나라의 상징물이었다. 따 라서 1인당 쌀 소비량은 약 190 kg으로 아시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자랑한다(Kyaw, 1999). 또한 미얀마는 18세기 이후로 주요 쌀 수출국이었다. 2차세계대전전인 1923년부터 1940년까 지 쌀 수출량이 약 300만 톤에 이르렀다. 전통적으로 벼 단작 에 의존하였으나 최근 관개지역이 확대되면서 2모작 및 이에 따른 조생종의 재배가 늘어나고 있고, 재배품종도 일대잡종 벼 가 월등히 많이 재배되고 있다(Ye, 2006). 하지만 미얀마에서 의 벼 생상성은 해마다 다소 증가하고 있기는 하지만 아직도 ha당 4톤(조곡기준) 미만으로 낮은 편이고, 도시화의 영향으로 2008년까지 벼 재배면적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다가 그 이후 꾸 준히 감소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고, 이에 따라 쌀 수출량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따라서 농촌진흥청에서는 미얀마에서의 쌀 생산성 향상을 통한 농민 소득 증대를 위하여 2014년부터 미얀마 벼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적정 품종 선발 시험, 벼 재배법 개선 시험, 벼 수확후 관리기술 개발 등의 과제를 수행하고 있다. 본 연 구는 2014년부터 2015년까지 미얀마에서의 한국 벼 품종의 적응성을 검토하여 미얀마에 우리 벼 품종의 선발에 기초자료 로 활용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본 시험은 Table 1에서 보는바와 같이 미얀마에 적응하는 품종을 선발하기 위하여 미얀마 중부 평야지인 Yezin, 동부 평야지인 Loikaw, 북부산간지인 Moehnyin지역에서 우리나라 벼 품종 및 국제벼연구소 육성품종과 미얀마 재배품종 등을 재배하여 생육 특성과 수량성 등을 비교하였다. 2014년 건기 에는 Yezin에서 한국에서 육성된 21품종, 국제벼연구소에서 육 성된 11품종, 미얀마 1품종 등을, 2014년 우기에는 Yezin, Loikaw, Moehnyin에서 한국에서 육성된 17품종, 미얀마에서 재배되는 2품종을, 2015년 건기에는 한국에서 육성된 12품종, 미얀마에서 재배되는 1품종 등을 각각34일간, 35일간, 29일간 육묘한 모를 20 × 20 cm 간격으로 손 이앙하였다. 본답 시비 량은 미얀마 중부평야지 표준시비량인 124-62-62 kg/ha(질소- 인산-칼리)을 시용하였으며, 기타 재배법은 현지 표준 재배법 에 준하였고, 기타 생육 및 수량조사 등은 미얀마 농업연구소 조사기준에 준하였다. 통계처리는 Crop stat 7.2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결과 및 고찰

    미얀마의 벼 재배기간의 기상

    미얀마 중부평야지인 Yezin에서의 벼 재배형태는 건기재배 와 우기재배로 나눌 수 있고, 건기재배는 1월부터 6월 중순까 지, 우기재배는 6월 중순부터 11월까지 이다. 건기에서의 기상 조건을 보면, 1월에는 일조시간도 약 11시간으로 가장 짧으며, 강수량도 거의 없고, 온도도 약 24°C(최고 34, 최저 13°C)로 연중 가장 낮지만 6월까지 일조시간도 13시간 30분으로 길어 지고, 강수량도 4월부터 강우가 시작되기 시작하여 5월에 가 장 많은 강우를 기록하고 있고, 기온은 4월경이 31°C(최고 39, 최저 23°C)로 가장 높게 나타난다. 우기인 6월부터 11월 까지의 기상조건을 보면, 일조시간은 6월을 기점으로 11월까 지 지속적으로 짧아지며, 강수량은 10월 까지는 매월 200 mm 이상의 강우를 기록하고 있다. 기온은 벼 재배기간 동안 꾸준 히 28°C이상을 기록하고 있다(Kyaw Myint, 1999).Fig. 1

    벼 생육 특성 및 쌀 수량성

    2014년 건기 재배

    미얀마 중부 평야지인 Yezin에 적응 하는 품종을 선발하기 위하여 2014년 건기에 한국에서 육성한 21품종, 국제벼연구소 (IRRI)에서 육성한 11품종과 미얀마 1품종을 시험재료로 생육 특성 및 수량성을 조사한 결과, 한국 벼 품종의 벼키는 52 ~ 91 cm로 미얀마 품종인 Shwe Thwe Yin과 비슷하였고, IRRI에서 육성한 품종은 80 ~ 102 cm 다소 길었다. 이앙에서 성숙기까지 일수는 미얀마 품종인 Shwe Thwe Yin이 124일, 한국 벼 품종은 약 123일(110 ~ 131일) 이었고, IRRI 품종은 약 128일(115 ~ 147일)로 미얀마 품종이 생육기간이 가장 짧 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주당 이삭수는 Shwe Thwe Yin이 19 개인데 비하여 한국품종의 이삭수는 6 ~ 22개 범위였으며, IRRI 품종은 9 ~ 16개 였다. 특히 한강찰1호는 이삭수가 6개 로 가장 적었으며, 가야벼가 22개로 가장 많았다. 이삭당 벼 알수는 Shwe Thwe yin 130개이고, 가야벼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품종이 Shwe Thwe yin보다 이삭당 벼알수가 많았다. 등숙률 및 현미 천립중은 Shwe Thwe yin이 각각83.9%, 20.2g인데 비하여 한국 품종은 68.3 ~ 97.7%, 18.0 ~ 26.0g, IRRI 품종은 59.0 ~ 93.3%, 19.4 ~ 26.0g이었다. 현미천립중은 한국 품종 중에서는 밀양49호, IRRI 품종중에서는 IR 70을 제외한 모든 품종이 Shwe Thwe yin보다 무거웠다. 정조 수 량은 IR 43이 8.63톤/ha 으로 가장 많았으며, 한국품종 중에 서는 만석벼가 가장 많았다(Table 2).

    기상환경과 벼의 수량구성요소 형성은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수수의 경우는 이앙후 20 ~ 30일경의 분얼기의 기온과 관계가 깊으며(舟山謙三郞 등, 1968, Oka, H. 1955, 박석홍 등 1973), 분얼발생에 적합한 온도는 20 ~ 25°C(舟山謙三郞 등, 1968; 佐本啓智 등, 1960; Spitters, C. J. etc., 1989) 기온이 낮고 주야간 온도차가 클수록(柿崎洋生, 1976; 柿崎洋生, 1981), 분얼발생 기간이 길수록(장, 1979; 정 등, 1982; 정 등, 1983; 川方俊和 등, 1989; 강 등, 1982; 김 등 1986) 분얼수 가 많아지나, 30°C이상에서는 분얼이 억제된다고 한다(佐藤庚, 1972). 따라서 2014년 건기 재배시 분얼기인 3월의 평균기온 이 27 ~ 30°C에 이르고, 최고온도가 38 ~ 40°C에 달하여 한국 에서 육성된 수중형 품종들이 분얼수 확보에 불리하였을 것으 로 추측된다.

    2014 우기 재배

    2014년 우기에서의 벼 생육상황은 비교하기 위하여 한국에 서 육성한 17품종과 미얀마 벼 2품종을 재배 시험한 결과, Table 3에서 보는바와 같이 이앙 후 출수일수는 Shwe Thwe Yin이 82일이었고, 한국품종은 79 ~ 90일이었으며, 한국품종의 벼키는 87.6 ~ 102 cm 범위이며 미얀마 품종은 79.7 cm으로 한국 품종의 벼키가 길었다. 현미천립중은 미얀마 품종이 20.2 g 인데 비하여 한국 품종은 21.4 ~ 29.0 g 범위로 무거운 경향이었고 수량성은(찹쌀제외, 현미) 한국 품종벼 다산2호, 한 아름, 용문, 추풍, 장성벼 등이 3.42 ~ 6.13 ton/ha 인데 비하여 대비 품종인 미얀마 품종인 Shwe Thwe Yin은 4.15 ton/ha으 로 우리나라 통일계 품종의 수량성이 높은 경향 이었다. 미얀 마에서 가장 대표적인 품종인 Shwe Thwe Yin 품종은 수수 형 품종의 특성을, 생육기간이 긴 Hmawbi Kautnyin 품종은 주당 이삭수가 9개, 이삭당 벼알수가 200개, 현미 천립중이 30.4 g 등 전형적인 수중형 품종의 특성을 보이고 있다. 우리 나라 품종은 대조품종 보다 대부분 이삭당 벼알수가 많고, 천 립중이 무거운 특성을 나타내었다.Table 4

    2014년 우기에서 지역별 생육특성 비교

    2014년 우기에 우리나라 벼 품종의 미얀마 지역 적응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중부 평야지인 Yezin과 동부중산간지인 Loikaw, 북부 산간지인 Moehnyin에 재배한 결과 중부 평야지 와 동부 중산간지에서의 벼 수량은 비슷한 반면에 북부 산간 지에서 와는 다른 수량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삼강벼는 북부 산간지에서 수량성이 현저히 낮은 생육 특성을 보이고 있는 반면에 한아름 품종은 북부산간지에서 높은 수량성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남풍벼는 동부 중산간지에서 높은 수 량성을 나타내었다. 한아름벼와 한강찰 1호 및 다산2호는 수 량성도 양호하고 지역간 수량차도 크지않은 것으로 조사되었 다. 이들의 재배지역의 기상조건과 토양환경 등을 면밀히 조 사한다면 미얀마 지역별로 적응하는 품종을 선정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2015년 건기 재배

    2015년 건기에서의 벼 생육상황은 비교하기 위하여 한국에 서 육성한 17품종과 미얀마 벼 2품종을 재배시험 한 결과, Table 5에서 보는바와 같이 이앙 후 출수일수는 Shwe Thwe Yin이 88일이었고, 한국품종은 85 ~ 99일이었으며, 한국품종의 벼키는 72.5 ~ 85.6 cm 범위이며 미얀마 품종은 77.4 cm로 대 체로 한국 품종의 벼키가 길었다. 현미천립중은 미얀마 품종 이 20.7 g 인데 비하여 한국 품종은 19.4 ~ 25.5 g 범위로 무 거운 경향이었고 수량성은 한국 벼품종인 한강찰벼, 아름벼가 대비 품종인 Shwe Thwe yin 5.42 ton/ha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품종의 특성은 주당 이삭수는 적었으나 이삭 당 벼알수, 현미 천립중 등이 높은 특성을 보여 2014년의 연 구결과와 같은 경향을 보였다.

    2015년 건기에서 지역별 생육특성 비교

    2015년 건기에 우리나라 벼 품종의 미얀마 지역 적응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중부 평야지인 Yezin과 동부중산간지인 Loikaw, 북부 산간지인 Kyauk Tada에 재배한 결과(Table 6), 미얀마 벼 품종인 Shwe thwe yin은 북부산간지에서의 수량성 이 평야지나 중산간지에 비하여 낮은 반면에, 한국 벼 품종은 중산간지와 산간지에서의 수량성이 중부 평야지에서의 수량성 보다 좋은 특성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중부평야지와 동부 중 산간지에서의 벼 수량은 비슷한 반면에 북부 산간지에서와는 다른 수량성을 나타내었다. 다산벼의 경우 재배지역에 따른 수 량변화가 적은 반면에 남풍벼, 만석벼, 아름벼 등은 재배지역 에 따른 수량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미얀마에서의 한국 품종의 생육 반응은 지역에 따라 많이 달라지므로 다양한 품 종을 다양한 지역에서 적응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적 요

    국내 육성 벼 품종의 미얀마 현지 적응성 검토를 위하여 2014년부터 2015년까지 미얀마 중부 평야지인 Yezin, 동부중 산간지인 Loikaw 와 북부산간지인 Moehnyin (Kyauk Tada) 에서 생육특성 및 수량성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1. 미얀마의 중부 평야지의 재배작기별 기상조건을 보면, 건 기인 1월부터 6월까지 평균기온은 24 ~ 31°C이고, 우기인 6월 부터 11월까지의 평균기온은 28°C 내외이다.

    • 2. 2014년 건기에, 벼 생육기간은 미얀마 품종과 한국품종이 비슷하였으나, 대부분의 한국 품종들이 미얀마 품종보다 이삭 수는 적었으나, 등숙률 및 현미 천립중이 높아 현미 수량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3. 2014년 우기 및 2015년 건기에서도 2014년 건기에서와 마찬가지로 재부분의 한국품종들이 미얀마 품종인 Shwe Thwe Yin보다 이삭수는 적었으나 이삭당 벼알수가 많고, 현미천립 중이 무거운 특성을 나타내었다.

    • 4. 중부 평야지, 동부중산간지 및 북부산간지에서의 벼 수량 성을 비교한 결과 2014년 우기에는 중부평야지와 동부 중산 간지에서의 수량성이 비슷한 반면에 북부 산간지에서는 낮은 수량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삼강벼는 북부산간지에서 수량성 이 현저히 낮은 생육 특성을 보이고 있는 한아름벼와 한강찰 1호 및 다산2호는 수량성도 양호하고 지역간 수량차도 크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2015년 건기에서는 한국 벼 품종은 중산간지와 산간지에서의 수량성이 중부 평야지에서의 수량성 보다 좋은 특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위의 결과를 종합해보 면 다산2호와 한강찰 1호가 미얀마지역에 적합한 품종으로 추 천할 수 있을 것이다.

    ACKNOWLEDGMENTS

    본 논문은 농촌진흥청 기관고유사업(과제번호 : PJ0112762016) 의 지원에 의해 이루어진 것 임.

    Figure

    KSIA-28-335_F1.gif

    Monthly changes of daylength (a) and temperature and distribution of rainfall at Yezin

    Table

    Experiment conditions in Myanmar.

    Yield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Korean rice varieties in dry season 2014.

    *Brown rice

    Yield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Korean rice varieties in wet season of 2014

    Regional variation of yield of korean rice varieties in wet season of 2014 (ton/ha).

    Yield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Korean rice varieties in dry season of 2015.

    *Days from transplanting to heading
    **Brown rice

    Regional variation of yield of korean rice varieties in dry season of 2015 (ton/ha)

    Reference

    1.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2014) 세계지리. 세계의 여러나라. 아시아. 미얀마. 미얀마의 기후,
    2. Kyaw Myint (1999) Study on the changes of rice production in Myanmar, Myanma Agriculture Service, ; pp.16-17
    3. Ye TintTun (2006) Characterization of Myanmar Rice Landraces Based on Analyses of Genetic Diversity of Various Traits, pH. D., Thesis, Tokyo University of Agriculture,
    4. 舟 山謙三郞 , 管 原悧 (1968) 作況試驗 がらみた東北地方の收量構成 要因 の解釋的硏究. 第1報. 試驗硏究資料 第33集 農經統, ; pp.91-5
    5. Oka H (1955) Tillering and elongation rates of calm length and other character in rice varieties in response to temperature , Japan J. Breeding, Vol.4 ; pp.213-221
    6. 박 석홍 , 이 은웅 (1973) 분얼기 기상이 수도 생육량에 미치는 영향 , 한작지, Vol.14 ; pp.47-51
    7. 佐 本啓智 , 杉 本勝男 , 宇 田昌義 , 産 川勇 , 鈴 木嘉一郞 (1960) 栽培時 期を異する水稻の生育過程に關する硏究. Ⅲ. 暖地早植稻の多收 に關する氣象どその他の要因 , 日作紀, Vol.29 ; pp.17-18
    8. Spitters CJT , van Keulen , van Kraalingen DWG (1989) Simulation and system management in crop protection. Simulation monographs, Pudoc, ; pp.141-181
    9. 柿 崎洋生 (1976) 環境制御下における分けつ發生と溫度の關係 , 日作 東部支部報, Vol.9 ; pp.43-46
    10. 柿 崎洋生 (1981) 水稻の分けつに出現伸長と環經 , 東北大 農硏彙報, Vol.32 ; pp.81-92
    11. 장 순덕 (1979) 내륙과 연해지역의 기상환경 차이가 수도생육과 수 량구성요소에 미치는 영향 , 農試報告, Vol.21 ; pp.198-198
    12. 정 영상 , 서 완수 , 김 상청 (1982) 수도 수량예측공식 확립에 관한 연 구 , 농기연보고서, ; pp.161-163
    13. 정 영상 , 이 정택 , 김 상철 (1983) 농업기상에 관한 연구 , 농기연보고서, ; pp.142-152
    14. 川 方俊和 , 岡 田益己 (1989) 發育指數を用いた水稻の幼穗形成期と出穗期の確定 , 農業氣象, Vol.45 (3) ; pp.37-42
    15. 강 양순 , 김 칠용 , 노 영팔 , 정 연태 , 손 양 , 박 래경 (1982) 내륙과 동 해안 지역간의 답 기온차이가 수도 생육 및 출수성에 미치는 영향 , 농시보고(작물), ; pp.117-127
    16. 김 칠룡 , 박 성태 , 이 재생 , 박 래경 (1986) 남부 동해안지대기상의 특 이성과 풍해를 받는 벼의 생육특성에 관한 연구 , 농시보고(작 물), ; pp.48-54
    17. 佐 藤庚 (1972) 環經に對する水稻の生育反應. 제1보. 榮養生長期の 生育に及ぼす氣溫す影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