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8504(Print)
ISSN : 2287-8165(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Vol.28 No.4 pp.443-450
DOI : https://doi.org/10.12719/KSIA.2016.28.4.443

Cultivation Techniques for Increasing Rice Productivity in Myanmar

Jae-Hyun Kim, Hong-Kyu Park†, Eong-Gi Jung, Bon-Il Ku, Hui-Su Bae, Jong-Rok Son*, Woo-Moon Lee**, Daw San Mar Lar***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Wanju 55365, Korea
*Former Director of KOPIA-Myanmar Center, Yezin, Miyanmar
**Technology Cooperation Bureau, RDA, Jeonju 54875, Korea
***Department of Agricultural Research, Ministry of Agriculture & Irrigation, Nay Pyi Taw, Yezin, Myanmar
Corresponding author: +82-63-238-5261; parkhok@korea.kr
August 5, 2016 November 9, 2016 November 10, 2016

Abstract

To improve rice productivity in Myanmar, we evaluated two Korean rice cultivars and one Myanmar rice cultivar comprised of planting density and fertilization amount in three experiments from rainy season 2014 to dry and rainy season 2015. In the planting density experiment during wet season 2014, the rice yield in ‘Yeongpoong’ and ‘Shwethweyin’ cultivars increased considerably under high planting density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rice yield of ‘Dasan 2’ cultivar between planting density treatment. In dry season cultivation 2015, rice yield increased considerably under high planting density at all experimental cultivars. In wet season cultivation 2015, the rice yield of ‘Dasan 2’ and ‘Yeongpoong’ cultivar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except ‘Shwethweyin’ cultivar. The yield of ‘Dasan 2’ cultivar was high in rainy season but there was much variation in yield among the planting density treatment and cultivation years. The yield of ‘Yeongpoong’ cultivar was higher in wet season cultivation than dry season cultivation and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planting density. In the fertilization amount experiment, the yield of ‘Dasan 2’ cultivar cultivated in wet season 2014 was increased considerably with increasing fertilization amount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Yeongpoong’ and ‘Shwethweyin’ cultivar. The yield of ‘Yeongpoong’ cultivar cultivated in dry and wet season 2015 was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fertilization amount. The Myanmar rice cultivar ‘Shwethweyin’ was no difference in yield with increasing fertilization amount. The yield of Korea cultivars ‘Dasan 2’ and ‘Yeongpoong’ was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fertilization amount but there was some yearly and seasonal variation. From the above results, if cultivation techniques would be applied in Myanmar, it is possible to raise productivity by using Korean rice cultivars.


미얀마에서 쌀 생산성 향상을 위한 재배기술

김 재현, 박 홍규†, 정 응기, 구 본일, 배 희수, 손 종록*, 이 우문**, Daw San Mar Lar***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전 KOPIA 미얀마센터
**농촌진흥청 기술협력국,
***미얀마 농업연구소

초록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J01126501

    미얀마의 국토면적은 67.7만 km2로 한반도의 약 3배이며 인구는 약 5,142만명으로 알려져 있다(MOFA). 주요 생산 농 산물은 쌀로 전체 경지면적의 60%에서 벼를 재배하고 있으며 전체 생산 곡물중 97%를 차지할 만큼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 고 있다. 미얀먀의 논 면적은 1995년도에 6,140천 ha에서 2009년도에는 8,070천 ha로 약 31%증가 하였으며 쌀 수량은 같은 기간동안 ha당 3.1톤에서 4.1톤으로 증가하였다(MOAI, 2012).

    쌀 수량성을 극대화는 재배적 방법으로는 품종 및 기후 특 성을 고려한 적지재배와 적기재배, 재식밀도와 재식본수 조절, 최적 시비량 및 시비방법 등을 들 수 있다. 품종 고유의 잠재 생산력 극대화를 위한 시비량은 토양비옥도와 토성, 품종, 기 상 등 쌀 생산여건에 따라 달라진다. 과거 우리나라에서는 주 곡의 자급자족을 위한 생산성 향상을 목적으로 질소시비량을 ha당 150kg을 시용하였으나 고품질 쌀 생산 정책으로 전환됨 에 따라 질소시비량도 점차 감소되어 현재는 ha당 90 kg을 기 준으로 시비량을 조절하고 있으며, 높은 수량성이 목적인 가 공용 다수성벼는 180 kg을 시비하고 있다. 재식밀도는 이앙시 기, 품종특성, 토양비옥도, 관리의 효율성 등을 고려하여 결정 하는데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에서는 30 × 15 cm 의 재식밀도로 이앙하며, 동남아 지역에서는 20 × 20 cm로 이앙을 하고 있다 . 수량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시비량과 재식밀도가 일정수준 높아지면 건물생산이 증가되어 수량과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 내나 그 이상 높아지면 sink와 source 불균형으로 시비량이나 재식밀도 효과가 감쇄된다(Kim et al., 1998; Son et al., 1983). 동일 시비량에서 수확지수가 높은 품종이 수량 potential 높기 때문에 시비량 증가에 따른 수량성 증대 효과 가 크다고 볼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소얼 수중형 품종이 이에 해당된다(Kim et al., 1999; Son et al., 1998). 우리나라의 선진 벼 재배기술 전수로 미얀마 쌀 생산성 향상을 위한 KOPIA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는데 2014년과 2015년에 우리 나라 품종의 미얀마 재배 가능성을 검토하고 쌀 수량성 향상 을 위해 통일형 품종인 다산2호와 영풍벼를 대상으로 시비량 및 재식밀도 시험을 실시하였던 바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재료 및 방법

    미얀마에서 한국 벼 품종의 재배 가능성과 수량성 향상을 위하여 2014년과 2015년 건기 및 우기에 중부평야지대인 예 진(Yezin)에 위치한 미얀마 농업연구부 포장에서 재식밀도 및 시비량 시험을 수행하였다. 재식밀도 시험을 위하여 2014년 우기와 2015년 건기 및 우기에 한국 품종인 다산2호와 영풍 벼, 미얀마 품종인 Shwethweyin을 공시하였다.

    재식밀도 시험은 2014년 우기에 한국 표준 재식밀도인 30 × 15 cm(22.2주/m2)와 미얀마 표준 재식밀도인 20 × 20 cm (25주/m2), 2015년 건기에는 30 × 15 cm와 20 × 20 cm, 2015 년 우기에는 30 × 15 cm와 밀식재배인 20 × 15 cm (33.3주/m2) 로 달리하였다. 이앙일자는 2014년 우기에는 8월 12일, 2015 년 건기에는 1월 28일, 2015년 우기에는 7월 23일에 25일모 를 손이앙 하였다. 시비량은 N-P2O5-K2O를 150-100-80 kg/ha 수준으로 시비하였다. 시비량 시험은 N-P2O5-K2O를 150-100- 80 kg/ha(T1)과 180-120-100 kg/ha(T2)의 2수준으로 처리하였 으며, 이앙은 20 × 20 cm 재식밀도로 2014년 우기에는 8월 12일, 2015년 건기에는 1월 28일에 25일모를 손이앙하였다.

    결과 및 고찰

    재배기간중 기상조건

    미얀마의 날씨는 고온다습한 열대성 몬순기후로 건기와 우 기로 구분된다. 건기는 10월 중순에서 다음해 5월까지이며, 우 기는 6월 초에서 10월 초순까지로 시험지에 근접한 미얀마 만 달레이 핀마나 지역을 기준으로 연평균 기온은 약 27.8°C이 며 누적강우량은 1,282 mm에 달한다. 건기 벼 재배간인 10 ~ 5월의 평균기온은 27.6°C, 누적 강수량은 387 mm이었 으며 우기 벼 재배기간인 7 ~ 11월의 평균기온 27.9°C, 강 수량은 876 mm이었다. Table 1.

    재식밀도별 벼 생육 및 수량성

    2014년 우기 재식밀도에 따른 벼 생육, 수량구성요소 및 수 량은 Table 2에서와 같다. 한국 통일형 품종인 다산2호와 영 풍벼는 미얀마 품종인 Shwethweyin에 비해 이앙 후 출수일수 는 각각 2, 4일 늦었고, 초장은 13, 20 cm 컸다. 한국에서 지 역적응시험 성적을 보면 다산2호는 영풍벼에 비해 출수기가 4 일 늦은 품종이었으나 미얀마에서는 영풍벼보다 오히려 출수 가 빨랐는데, 이는 통일형 품종 특성상 출수기에 미치는 온도 반응에 더 민감하였던데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초장은 다 산2호가 한국에서 영풍벼에 비해 10 cm 짧은 품종으로서 미 얀마에서도 비슷한 경향을 나타냈다. 품종별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을 보면 단위면적당 이삭수는 한국품종인 다산2호는 평균 222개, 영풍벼는 245개로 Shwethweyin의 437개에 비해 적었 으나 이삭당 완전립수는 다산2호 165개, 영풍벼 116개로 Shwethweyin의 101개에 비해 많고, 천립중이 무거워 ha당 평 균 쌀 수량은 각각 4.7, 5.0톤으로 미얀마 품종의 4.6톤에 비 해 높았다. Fig. 1.

    재식밀도별 재배품종의 평균 수량성을 보면 한국의 표준 재 배 재식밀도인 30 × 15 cm에서 ha당 4.4톤인데 비해 미얀마 표준 재식밀도인 20 × 20 cm에서는 5.1톤으로 13%가 증수되 었다. 이는 20 × 20 cm 이앙에서 단위면적당 재식본수가 30 × 15 cm에 비해 11% 밀식되는 효과 등에 따른 것으로 보 여진다. 품종별로는 다산2호는 밀식재배시 수량성이 2% 증가 하였으나 영풍벼와 Shwethweyin은 각각 19%, 18% 증가 되 었다.

    2014년 건기 재식밀도에 따른 벼 생육, 수량구성요소 및 수 량은 Table 3에서와 같다. 품종별 평균 초장과 출수기는 2014 년 우기재배와 비슷한 경향으로 한국 통일형 품종인 다산2호 와 영풍벼는 미얀마 품종인 Shwethweyin에 비해 초장은 6 ~ 9 cm 길었고, 출수기는 5 ~ 6일 늦었다.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을 보면 한국 품종이 단위면적당 이삭 수는 적었으나 이삭당 벼알수가 많았으며, ha당 평균 쌀 수량 은 다산2호는 4.5톤으로 미얀마 품종의 4.1톤 비해 유의적으 로 많았으나, 영풍벼는 4.3톤으로 비슷한 수량성을 나타냈다. 2014년 건기와 수량성을 비교해보면 공시 3품종 모두 우기에 낮았으며, 품종별로는 다산2호는 6%, 영풍벼는 16%, Shwethweyin은 11% 감수하여 우기재배시 영풍벼의 수량성이 크게 낮아졌다. 재식밀도별 수량성을 보면 한국의 표준 재배 재식밀도인 30 × 15 cm에서 ha당 4.0톤인데 비해 미얀마 표준 재식밀도인 20 × 20 cm에서는 4.6톤으로 13%가 증수되었다. 이는 2014년 건기에는 밀식재배에서 13%의 수량성 증가와 비 슷한 경향이었다. 품종간에는 밀식조건에서 수량성이 다산2호 와 영풍벼가 15%, Shwethweyin은 11% 증대되었다.

    2015년 우기 재식밀도에 따른 벼 생육, 수량구성요소 및 수 량은 Table 4에서와 같다.

    한국 통일형 품종인 다산2호는 미얀마 품종인 Shwethweyin 에 비해 이앙 후 출수일수는 4 ~ 5일 늦었다.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을 보면 한국 품종인 다산2호와 영풍벼의 단위면적당 이 삭수는 20 × 15 cm에서 256, 296개, 30 × 15 cm에서 231개로 Shwethweyin 품종의 399, 346개에 비해 적었으나 이삭당 벼 알수가 많아 ha당 평균 쌀 수량은 5.4톤으로 미얀마 품종의 4.8톤에 비해 높았다. 재식밀도별 수량성을 보면 한국의 표준 재배 재식밀도인 30 × 15 cm에서 5.1톤인데 비해 미얀마 밀식 재배인 20 × 15 cm에서는 5.3톤으로 차이가 없었다.

    2014년 우기와 2015년 건기 및 우기 재식밀도에 따른 쌀 수량은 Table 5에서와 같다.

    한국 통일형 품종인 다산2호는 20 × 20 cm 재식밀도에서 건 기와 우기 모두 ha당 4.8톤의 수량성을 나타냈으나 2015년 20 × 15 cm의 밀식조건에서는 5.9톤의 수량성을 보였으며, 30 × 15 cm인 한국 표준 재식밀도에서는 4.1톤에서 5.6톤으로 연차간 변이가 심하였다. 영풍벼는 20 × 20 cm 재식밀도에서 ha당 우기 5.5톤, 건기 4.6톤으로 기후조건에 따른 편차가 심 하였고, 2015년 20 × 15 cm의 밀식조건에서는 5.2톤의 수량성 을 보였으며, 30 × 15 cm 재식밀도에서는 3.9톤에서 4.8톤으로 다산2호와 마찬가지로 연차간 변이가 심하였다. 미얀마 품종 인 Shwethweyin은 20 × 20 cm 재식밀도에서 ha당 우기 5.0톤, 건기 4.4톤으로 영풍벼와 마찬가지로 기후조건에 따른 편차가 심하였고, 2015년 20 × 15 cm의 밀식조건에서는 4.8톤의 수량 성을 보였으며, 30 × 15 cm 재식밀도에서는 3.9톤에서 4.7톤으 로 연차간 변이가 심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품종간 수량성은 2015년 우기재배에서, 재식밀도간 차이는 2015년 건 기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재식밀도 증가는 단위면적당 이삭수를 증가시키는 요인이지만 등숙율과 천립중을 저하시키 는 요인이 되므로 재식밀도 증가에도 한계가 있으므로(Choi et al., 2006; Lee & Bin, 1998; Lee et al., 2016), 미얀마 건 기, 우기 등의 재배시기에 따라 적절한 밀도조절이 필요할 것 으로 생각된다.

    시비량별 벼 생육 및 수량성

    2014년 우기 시비량에 따른 벼 생육,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 은 Table 6에서와 같다.

    N-P2O5-K2O를 150-100-80 kg/ha(T1)으로 처리한 시험구에서 는 한국 통일형 품종인 다산2호와 영풍벼는 미얀마 품종인 Shwethweyin에 비해 출수기는 4 ~ 5일 늦었고, 초장은 18 ~ 19 cm 길었다.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을 보면 한국 품종이 단 위면적당 이삭수는 적었으나 단위면적당 벼알수가 다산2호는 65개, 영풍벼는 18개 많고, 천립중이 무거워 ha당 평균 쌀 수 량은 각각 5.9, 6.0톤으로 미얀마 품종의 5.4톤에 비해 높았다. N-P2O5-K2O를 180-120-100 kg/ha(T2)으로 처리한 시험구에서 도 한국품종이 단위면적당 분얼수는 적었으나 이삭당 벼알수 가 많고, 천립중이 무거워 수량이 다산2호는 14%, 영풍벼는 5% 증수되었다. 다비조건에서 수량성을 보면 표준시비에 비해 5% 증수되었으며, 품종별로는 다산2호는 9%, 영품벼는 2%, Shwethweyin은 5% 증수되었다. 질소시비량은 토양비옥도와 더불어 기상조건에 따라 영향을 크게 받는다. 평균기온이 높 고 일조시간이 많은 지역에서는 시비량과 수량은 정의 상관관 계가 있는데(Lee et al., 1987) 미얀마에서의 표준시비량이 한 국에 비해 많은 것은 기온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다수성벼인 다산2호는 한국에서도 표준시비량을 ha당 180 kg 을 시용하고 있어 미안에서 다산2호의 최대생산을 위해서는 일정수준의 증비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2015년 건기 질소시비량에 벼 생육,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 은 Table 7에서와 같다. 표준시비구(T1)에서는 한국 통일형 품 종인 다산2호와 영풍벼는 미얀마 품종인 Shwethweyin에 비해 단위면적당 경수가 각각 175개, 125개가 적었으나 이삭당 벼 알수가 다산2호는 54개, 영풍벼는 36개 많고, 천립중이 무거 워 ha당 평균 쌀 수량은 4.45 ~ 4.49톤으로 미얀마 품종의 4.26톤에 비해 약 5% 증수되었다. 다비구(T2)에서도 표준시비 구와 같은 경향으로 한국품종이 단위면적당 분얼수는 적었으 나 이삭당 벼알수가 많고, 천립중이 무거워 수량이 많았다. 다 비조건에서 수량성을 보면 표준시비에 비해 7% 증수되었으며, 품종별로는 다산2호는 3%, 영풍벼는 14%, Shwethweyin은 5% 증수되었다. 일정수준까지는 질소시비량이 증가할수록 시비량 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반면 완전미율 등 쌀의 품위가 저하 되므로(Kim et al., 1998; Lee et al., 2003) 자포니카형 벼 인 영풍벼의 시비량은 완전미 등을 고려하여 시비량을 결정하 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2015년 우기 질소시비량에 따른 벼 생육,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은 표 8에서와 같다.

    표준 시비구(T1)에서는 한국 통일형 품종인 다산2호와 영풍 벼는 미얀마 품종인 Shwethweyin에 비해 단위면적당 경수가 각각 194개, 130개가 적었으나 이삭당 벼알수가 다산2호는 41 개, 영풍벼는 19개 많고, 천립중이 무거워 ha당 평균 쌀 수량 은 5.3 ~ 5.9톤으로 미얀마 품종의 5.1톤에 비해 각각 14%, 4% 증수되었다. 다비구(T2)에서도 표준시비구와 같은 경향으 로 한국품종이 단위면적당 분얼수는 적었으나 이삭당 벼알수 가 많고, 천립중이 무거워 미얀마 품종에 비해 수량이 각각 12%, 5% 증수되었다. 다비조건에서 수량성을 보면 표준시비 에 비해 4% 증수되었으며, 품종별로는 다산2호는 2%, 영풍벼 는 6%, Shwethweyin은 4% 증수되었다.

    2014년 우기와 2015년 건기 및 우기 시비량에 따른 쌀 수 량은 표 9에서와 같다. 한국 통일형 품종인 다산2호는 표준시 비량에서 ha당 5.5톤에 비해 다비조건에서 5.7톤으로 5%가 증 수되었고, 계절별로는 우기에 ha당 6.1톤으로 건기의 4.6톤에 비해 25% 증수되었으며 시비량에 따른 수량차는 우기의 5% 에 비해 건기에는 3%로 계절간 시비량 차이에 따른 수량차이 가 크지 않았다. 영풍벼는 표준시비량에서 ha당 5.2톤에 비해 다비조건에서 5.6톤으로 7% 증수되었고, 계절별로는 우기에 ha당 5.7톤으로 건기의 4.8톤에 비해 15% 증수되었으며 시비 량에 따른 수량차는 우기의 4%에 비해 건기에는 14%로 건기 의 다비재배시 수량증대 효과가 컸다. 미얀마 품종인 Shwethweyin은 표준시비량에서 ha당 4.9톤에 비해 다비조건에 서 5.1톤으로 4% 증수되었고, 계절별로는 우기에 ha당 5.4톤 으로 건기의 4.4톤에 비해 19% 증수되었으며 시비량에 따른 계절별 수량차는 우기 4%, 건기 5%로 차이가 없었다.

    적 요

    미얀마 쌀 수량성 증대를 위하여 2014년 우기와 2015년 건 기 및 우기에 한국 벼 품종을 공시하여 시비량 및 파종량을 달리하여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재식밀도 시험결과 2014년 우기재배에서는 영풍벼와 Shwethweyin이 밀식에 따른 수량증가가 현저하였으나 다산 2 호는 재식밀도간 차이가 없었으며, 2015년 건기재배에서는 공 시품종 모두 밀식에 의한 수량증가가 현저하였다.

    2. 2015년 우기재배에서는 한국 품종은 밀식에 따라 수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Shwethweyin은 차이가 없었다. 다 산2호는 우기에 수량성이 높으나 연차간 재식밀도간 수량 차 이가 크며, 영풍벼는 건기에 비해 우기의 수량성이 높고 밀식 재배에 따라 수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3. 시비량 시험결과 2014년 우기재배에서는 다산2호가 시비 량 증가에 따른 수량증가가 현저하였으나 영풍벼와 Shwethweyin은 차이가 없었으며, 2015년 건기와 우기 재배에서는 영 풍벼에서 시비량 증가에 따라 쌀 수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4. 미얀마 품종인 Shwethweyin은 시비량 증가에 따른 수량 성 차이가 크지 않았고, 한국 품종은 계절간 연차간 차이는 있으나 시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수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 였다.

    이상의 결과를 보면 한국 품종의 미얀마 재배적응성 시험을 거쳐 선발하고, 우기 및 건기의 재배여건에 맞추어 재식밀도 와 시비량을 조절하면 미얀마 품종 이상의 수량성을 올릴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CKNOWLEDGMENTS

    본 논문은 농촌진흥청 공동연구사업(과제번호 : PJ01126501) 의 지원에 의해 이루어진 것 임.

    Figure

    KSIA-28-4-443_F1.gif

    The monthly mean of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 at Pyinmana, Mnadalay region during 2005 ~ 2014. Data from MMSIS (Myanmar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http://mmsis.gov.mm/).

    Table

    Growth and productivity characteristics of ‘Yeongpoong’ and ‘Dasan 2’ cultivar in Korea.

    Growth and productivity of rice during wet season 2014 as affected by planting density in Myanmar.

    zThe same letters in each column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ns, *, ** Non Significant, Significant at P=0.05 or 0.01, respectively.

    Growth and productivity of rice during dry season in 2014 as affected by planting density in Myanmar.

    zThe same letters in each column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ns, *, ** Non Significant, Significant at P=0.05 or 0.01, respectively.

    Growth and productivity of rice during wet season in 2015 as affected by planting density in Myanmar.

    zThe same letters in each column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ns, *, **Non Significant, Significant at P=0.05 or 0.01, respectively.

    Yield of rice during wet and dry season as affected by planting density in Myanmar.

    WS, DS: Wet Season (WS), Dry Season (DS)
    ns, *, **Non Significant, Significant at P=0.05 or 0.01, respectively.

    Growth and productivity of rice during wet season 2014 as affected by fertilization amount in Myanmar

    †Fertilization amount: N-P2O5-K2O kg/ha
    zThe same letters in each column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ns, *, **Non Significant, Significant at P=0.05 or 0.01, respectively.

    Growth and productivity of rice during dry season 2015 as affected by fertilization amount in Myanmar.

    †Fertilization amount: N-P2O5-K2O kg/ha
    zThe same letters in each column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ns, *, **Non Significant, Significant at P=0.05 or 0.01, respectively.

    Growth and productivity of rice during wet season 2015 as affected by fertilization amount in Myanmar.

    †Fertilization amount: N-P2O5-K2O kg/ha
    zThe same letters in each column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ns, *, **Non Significant, Significant at P=0.05 or 0.01, respectively.

    Yield of rice from 2014 wet season to 2015 dry season as affected by fertilization amount in Myanmar.

    WS, DS: Wet Season (WS), Dry Season (DS)
    ns, *, ** Non Significant, Significant at P=0.05 or 0.01, respectively.

    Reference

    1. Choi WY , Moon SH , Park HK , Choi MG , Kim SS , Kim CK (2006) Optimum Planting Density in Low Fertilizing Culture of Machine Transplanting in Rice , Korean J. Crop Sci, Vol.51 (5) ; pp.379-385
    2. Kim BK , Kim HH , Ko JK , Shin HT (1999) Effect of Planting Density and Nitrogen Level on Growth and Yield in Heavy Panicle Weight Type of Japonica Rice , Korean J. Crop Sci, Vol.44 (2) ; pp.106-111
    3. Kim CK , Kim CY , Lee JI , Shin JC , Lee MH (1998) Effect of Transplanting Dates and Nitrogen Fertilizer Levels on the Dry Matter Production and Yield of a Pigmented Rice “Heugjinjubyeo” , RDA J. Agro-Envir, Vol.40 (2) ; pp.48-55
    4. Koh JC , Lee SK , Sohn JK , Yang SJ , Kim HY , Jin YD , Kim CY , Park RK (1983) A High Yielding Rice Variety with Resistance to Diseases and Insect Pests “Yeongpoongbyeo” , Res. Rept. ORD, Vol.25 (C) ; pp.28-37
    5. Lee CS , Kwak HK , Hwang KS , Park JK (1987) Effect of Major Climatic Factors on Optimum Level of N-Fertilizer in Paddy Rice Soil , J. Korean Soc. Soil Sci. Fert, Vol.20 (1) ; pp.17-22
    6. Lee HD , Bin YH (1988) Influence of Nitrogen level and Planting Density on the Leaf Characteristics of Rice(Oryza sativa L) Cultivars , Korean J. Crop Sci, Vol.33 (4) ; pp.329-335
    7. Lee IS , Lee DR , Cho SH , Lee SY , Kim KC , Lee KK , Song YJ (2016) Effects of Different Nitrogen Level and Planting Densities on the Quality and Yield of the Black Rice Cultivar “Shinnonsheugchal” , Korean J. Crop Sci, Vol.61 (2) ; pp.79-86
    8. Lee KB , Jun DK , Chae JC (2003) Effect of Nitrogen Fertilization on Characteristics of Rice Grain and Aroma-active Compounds of Cooled Rice , Korean J. Crop Sci, Vol.48 (6) ; pp.527-533
    9. Ministry of Foreign Affairs (MOFA) (2012) http://www.mofa.go.kr Ministry of Agriculture and Irrigation (MOAI). Myanmar Agriculture in brief,
    10. Ministry of Foreign Affairs (MOFA) (2012) http://www.mofa.go.kr Ministry of Agriculture and Irrigation (MOAI). Myanmar Agriculture in brief,
    11. Son Y , Kim SC , Lee SK (1983) Characteristics of Harvest Index and Dry Matter Production in Tongil Type Rice Varieties as Affected by Nitrogen Application , Res. Rept. ORD, Vol.25 (C) ; pp.81-89
    12. Son Y , Park ST , Kim SY , Lee HW , Kim SC (1998) Effects Plant Density on the Yield and Yield Components of Lowtillering Large Panicle Type Rice , RDA. J. Crop Sci, Vol.40 (2) ; pp.88-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