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8504(Print)
ISSN : 2287-8165(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Vol.29 No.2 pp.129-133
DOI : https://doi.org/10.12719/KSIA.2017.29.2.129

Quality Differences in High Grade of Medium-short Grain Milled Rice Between the Exported Korean Rice and Chinese Circulating Rice in China

Jae-Kwon Ko, Kwang-Won Lee*, Kee-Jong Kim, Man-Kee Baek, Woon-Chul Shin, Jae-Buhm Chun, Woo-Jae Kim, Ji-Ung Jeong, Kyung-Ho Kang, Hyun-Soon Kim, Bo-Kyeong Kim
Division of Crop Breeding,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Jeonju 55365, Korea
*Bureau of Research and Development, Chungcheongnam-do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s, Yesan 32418, Korea
Corresponding author : +82-63-238-5232kojk@korea.kr
January 26, 2017 June 19, 2017 June 20, 2017

Abstract

In January 2016, Korea began rice exporting to China from six domestic Rice Processing Complexes (RPC). The appearance characteristics and quality of medium-short grain milled rice between the exported Korean rice was compared with Wuchang rice, which is known as high quality in Heilongjiang province in China, and the imported rice from Japan and Taiwan in Chinese circulating marketing. The 1000-grain weight of exported rice is 22.4g, which is similar to that of Chinese Wuchang rice, but it tended to be heavier than that of Japanese and Taiwanese. The rice type is round in exporting Korean, Japanese, and Taiwanese rice while Chinese Wuchang rice is thin and long with 2.5. The head rice rate of export rice was 93.3 ~ 98.4%, which was 95.8% on average,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Chinese Wuchang rice, and similar to that of Japanese, and Taiwanese. The protein content of the export rice was 5.2 ~ 6.2%, which was 5.8% on average, similar to that of Chinese Wuchang rice, Japanese and Taiwanese. Amylose content was 18.5% of the exported rice, which was lower than that of Chinese Wuchang rice and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Japanese and Taiwanese. The whiteness of the exported Korean rice was 35.6 on the average, lower than 41.8 of Chinese Wuchang rice, and lower than that of Japanese and Taiwanese. The purity of rice variety being exported ranged from 87.5 to 100.0%, which was 96.5% on average. This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Chinese Wuchang rice, while the Japanese and Taiwan rices were similar. The sensory test of rice by the experts, cooked rice of the exported was evaluated to be good for all items such as taste, sticky glutinous, and texture compared to Chinese Wuchang rice.


대중국 우리 수출쌀과 중국내 유통중인 고급 중단립종의 품질 차이

고 재권, 이 광원*, 김 기종, 백 만기, 신 운철, 전 재범, 김 우재, 정 지웅, 강 경호, 김 현순, 김 보경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작물육종과
*충청남도 농업기술원 기술개발국

초록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J01211402

    서 언

    우리나라 쌀 수출은 2007년 처음으로 18개국에 566톤을 시작으로 2009년에는 37개국에 4,495톤까지 수출량이 늘었지 만, 그 후 수출량이 정체 상태에 있은 실정이다. 그동안 우리 정부는 중국에 6년간에 걸친 끈질긴 협상과 요구 끝에 2015년 말에 쌀 수출을 허가받게 되었고, 전국의 6개 미곡종합처리장 (RPC : Rice Processing Complex)을 대중국 수출 RPC로 지 정하였다. 중국에서는 우리 수출 쌀에 훈증소독과 진공포장을 요구하였고, 2016년 1월에 6개 RPC의 고품질 쌀 30톤을 군산 항에서 상해항으로 첫 수출을 시작하여 3월부터 상해와 인근 도시지역의 롯데마트를 중심으로 kg당 38위안(6,840원)에 판매 되었다.

    중국은 2014년 통계에 의하면 논 면적이 3,031천ha, 생산량 이 207백만톤으로 최대 쌀 생산국이다(KSIA-29-129-TEXT_image1.tif). 그러나, 2012년부터 200만톤 이상의 쌀이 수입되었고, 2014년 256만톤을 수입하여 최대 쌀 수입국이 되었다. 중국은 지리적 으로 주로 장립종인 인디카쌀을 생산하고 있지만 동북3성을 중심으로 일반계(자포니카계)를 생산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흑 룡강성의 분지형태인 우창지역에서 생산된 우창쌀은 중국내에 서 몇 안 되는 지역 브랜드명이 알려진 고품질쌀로 최고의 평 가를 받고 있으며 고가로 팔리고 있다. 우창지역의 쌀은 연 105여만톤이 생산되고 있지만 유통량은 1천만 톤으로 90%이 상이 가짜라고 보도된 바 있다(2015. 6. 25, 중국신문 주간). 이처럼 중국에서 유통되는 중단립종은 흑룡강성에서 생산되는 고품질쌀과 2015년 기준으로 중단립종 수입쌀로는 인근의 일 본에서 568톤(Ministry of agiculure, forestry and fisheries, Japan)과 대만에서 351톤(Taiwan council of agriculture)으로 시중에 유통되는 중단립종의 수입량은 그리 많은 편은 아니다.

    한편, 우리나라에 유입되는 최소시장접근물량(MMA : Minimum Market Access)이 늘어나면서 수입쌀의 취반특성에 관한 연구(Han et al., 2000. Won et al., 2005. Lee et al., 2008), 국내 및 수입 유통쌀의 특성 비교(Song et al., 2008) 등에 대한 연구는 수행되었지만, 우리 수출쌀과 현지 유통쌀 의 품질 경쟁력에 대한 보고는 적은 편이다. 이런 점을 감안 하여 우리나라 수출쌀과 중국 흑룡강성의 최고급 쌀인 우창 쌀, 그리고 일본과 대만산의 품질을 비교하여 중국 쌀 시장에 대한 정보제공으로 우리쌀의 수출경쟁력의 향상과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재료 및 방법

    본 시험의 재료는 2016년 1차로 우리나라에서 중국으로 수 출한 6개 RPC(A~F)의 쌀과 중국 최고급의 중단립종으로는 흑룡강성 우창수도연구소산과 중국에서 유통되고 있는 우창쌀 등, 그리고 일본산과 대만산은 상해의 대형마트에서 유통 중 인 일본산(이시가와현산 고시히까리, 홋가이도산 나나쓰보시) 과 대만산(KSIA-29-129-TEXT_image2.tif)을 이용하였다.

    쌀 시료에 대한 품위조사는 미립판별기(RN-500, Kett, Japan)를 이용하였고, 단백질과 아미로스 성분분석은 근적외선 분광분석 방식인 성분분석계(AN-700, Kett, Japan)를 이용하였 고, 백도는 백도계(C-300-3, Kett, Japan)를 이용하여 기계적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밥맛검정은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작물육종과에서 운영하고 있는 밥맛검정팀에서 결과를 도출하 였다. 통계분석은 SAS 9.1 통계분석 프로그램(SAS Institute Inc., 2013)을 이용하여 던컨다중검정(Duncan's multiple range test, DMRT)을 실시하였다.

    잔류농약분석, 유해물질 및 이품종(異品種) 혼입정도에 대한 분석은 농업기술실용화재단에 의뢰하여 분석하였다.(잔류농약 분석은 QuEchERS법으로 다성분 330종을 분석, 유해물질은 Microwave법을 이용하여 As, Cd, Pb는 PerkinElmer Optima 8300을 사용하였고, Hg는 Direct Mercury Analyzer NIC ROA-3를 사용하여 분석)

    결과 및 고찰

    외관상 품질

    쌀의 유통시장에서 소비자가 제일 먼저 보는 것은 외관상 미질로 쌀의 크기와 윤택 및 심복백 정도를 보고 평가를 하며 구매할 것인가를 결정한다. 본 실험에 사용된 백미의 외형적 입형 특징과 1000립 중 및 수분함량은 Table 1과 같다.

    쌀의 입형은 우리 수출쌀의 평균 길이가 5.06 mm으로 일본 산과 대만산에 비해서는 약간 긴 편이나 흑룡강성 우창쌀에 비해서는 짧은 편이다. 쌀의 폭과 두께는 흑룡강성 우창쌀, 일 본산과 대만산에 비해 우리 수출쌀이 폭이 넓고, 두꺼운 편이 였다. 이들의 장폭비를 비교해 보면 우리 수출쌀, 일본산과 대 만산은 단원형이지만 흑룡강성 우창쌀은 장폭비가 2.51로 세 장형의 립형을 가지고 있다.

    우리 수출쌀의 평균 1000립중은 22.4 g으로 중립종정도의 크기로 우창쌀과는 비슷하였으나, 일본산과 대만산의 20.0 ~20.5 g보다는 무거운 경향이었다. 우리 수출쌀의 평균 수분 함량은 14.2%으로 흑룡강성 우창쌀, 일본산과 대만산과 비슷 한 수준이었다.

    우리 수출쌀과 중국내에서 유통되는 흑룡강성 우창지역에서 생산된 우창쌀과 일본과 대만에서 수입된 쌀의 백미품위를 조 사한 결과는 Tale 2와 같다.

    우리 수출쌀의 완전립율은 93.3~98.4%로 평균 95.8%였으며 흑룡강성 우창쌀의 92.6%에 비해서는 높았으며, 일본산과 대 만산과는 비슷한 수준이었다. 우리 쌀의 동할립은 2.0%로 일 본산과는 비슷하였고, 중국과 대만산에 비해서는 낮은 경향이 였다. 또한, 피해립은 0.3%로 우창쌀에 비해서는 낮고, 대만산 과 일본산과는 비슷하였다. 분상질립은 1.8%로 우창쌀과 일본 산쌀과 비슷하였고, 대만산에 비해서는 약간 낮았다.

    한편, 우리 수출쌀의 분상질률의 분포는 0.7~3.5%까지 변이 의 폭이 다양하여 품종 고유특성에 따른 차이로 해석할 수 있 다. 다만, 수출쌀의 외관상품위를 올리기 위해서는 분상질립의 발생 비율이 낮은 품종을 선정하거나, 가공 공정에서 충분히 제거하여 수출쌀의 품질 고급화를 유도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화학 특성, 품종순도 및 유해물질

    쌀의 외관 특징은 시각적으로 소비자의 구매력에 영향을 끼 치는데 쌀알의 백도, 품종의 순도 또한 시장성을 좌우한다. 백 도는 우리 수출쌀의 평균이 35.6으로 흑룡강성 우창쌀의 41.8 에 비해서는 낮았다. 또한 일본산과 대만산에 비해서도 낮은 경향이었다. 우리나라 국민들은 현미밥도 선호하는 측면에서 보면 백도가 쌀 소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중국에서는 백도가 높은 쌀을 선호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중국 으로의 수출쌀에는 백도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Table 3).

    우리 수출쌀의 품종 순도는 87.5~100.0%의 범위로 평균 96.5%였으며, 흑룡강성 우창쌀의 81.8%에 비해서는 높은 수 준이었고, 대만산과는 비슷한 수준이었지만, 일본산에 비해서 는 낮은 경향이었다(Table 3)

    이화학특성 중 취반 후 밥알의 굳음 정도와 관련이 높은 단백질 함량은 우리 수출쌀의 범위는 5.2~6.2%였으며 평균 5.8%로 흑룡강성 우창쌀, 일본산과 대만산과 비슷하였으며, 밥의 찰기와 관련이 있는 아밀로스 함량은 우리 수출쌀이 18.5%로 흑룡강성 우창쌀에 비해서는 낮았으며, 일본산과 대 만산에 비해서는 약간 높은 경향이었다. 쌀의 향기는 우리 수 출쌀과 일본산, 대만산에서는 없었으나 흑룡강성 우창쌀에서 는 태국의 쟈스민향과는 다르지만 약간의 향기가 있는 점을 감안하여 금후 대중국 수출쌀은 향기를 가미할 수 있는 육종 의 방향도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Table 3).

    과거, 중국의 광저우에서 카드뮴 쌀이 대량 유통되면서 식 품의 안전성을 강화하고자 요구되고 있는 농약잔류와 유해성 분은 우리 수출쌀과 흑룡강성 우창쌀, 일본산과 대만산 모두 에서 검출되지 않았다(Table 3).

    밥맛검정

    소비자가 유통시장에서 쌀을 고를 때 외관상 미질과 함께 평소 선호하거나, 밥맛이 좋을 것으로 생각되는 품종이나 브 랜드를 선정한다. 밥맛 검정은 쌀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일반 전기 밥솥을 이용하여 밥을 한 후 전문가를 통한 밥맛 관능검 정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첫 번째 쌀 그룹에서 우리 수출쌀과 중국 우창쌀을 비교해 볼 때 우리쌀이 밥맛, 찰기, 질감 등 전 항목에서 높았고 종 합 평균값도 0.23으로 흑룡강성 우창쌀에 –0.19에 비해서는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토요식미치도 수출쌀 평균이 82.9로 중국 우창쌀 73.9에 비해서는 높은 경향이었다.

    두 번째 쌀 그룹에서는 신동진쌀과 일본산 및 대만산의 밥 맛 관능검정 결과, 일본산에 비해서는 찰기에서는 우수한 결 과를 보였지만, 기타 특성에서는 비슷하거나 개선이 필요하였 고, 대만산에 비해서는 밥맛, 찰기, 질감 등 전 항목에서 높았 고 종합 평균값도 –0.37에 비해서는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토요식미치는 신동진쌀이 78.6으로 일본산과 대만산에 비해 높 은 경향이었다.

    적 요

    우리나라에서 2016년 1월에 중국으로 수출을 개시하였던 6 개 RPC 수출쌀과 중국 흑룡강성의 고급쌀로 알려진 우창쌀 및 중국에서 수입한 중단립종인 일본산과 대만산에 대한 쌀의 외관특성과 품질을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1. 우리 수출쌀의 천립중은 22.4g으로 흑룡강성 우창쌀과는 비슷하나 일본산과 대만산에 비해서는 무거운 경향이다. 쌀의 장폭비는 우리수출쌀, 일본산과 대만산은 단원형이지만, 흑 룡강성 우창쌀은 2.51로 세장형에 속하였다. 우리 수출쌀의 완전립율은 93.0~98.4%으로 평균 95.8%였으며 흑룡강성 우창쌀에 비해서는 높았으며, 일본산과 대만산과는 비슷한 수준이었다.

    • 2. 단백질 함량은 우리 수출쌀의 범위는 5.2~6.2%로 평균 5.8%였으며, 흑룡강성 우창쌀, 일본산과 대만산 모두 비슷하 였다. 아밀로스 함량은 우리 수출쌀이 18.5%로 흑룡강성 우창 쌀에 비해서는 낮았으며, 일본산과 대만산에 비해서는 약간 높 았다.

    • 3. 쌀의 백도는 우리 수출쌀의 평균이 35.6으로 흑룡강성 우 창쌀의 41.8에 비해서는 낮았으며, 일본산과 대만산에 비해서 도 낮은 경향이었다. 우리 수출쌀의 품종 순도는 평균 96.5% 로, 흑룡강성 우창쌀에 비해서는 높은 수준이었고, 일본산과 대만산과는 비슷한 수준이었다.

    • 4. 밥맛 관능검정결과 우리 수출쌀이 평균적으로 흑룡강성 우창쌀에 비해 밥맛, 찰기, 질감 등 전 항목에서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ACKNOWLEDGMENTS

    본 논문은 농촌진흥청 연구사업(세부과제명 : 대중국 수출 RPC 쌀 품질 및 수확후 관리 실태연구, 세부과제번호 : PJ01211402)의 지원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 외관상 쌀 품위 분석과 밥맛검정에 참여하여준 국립식량과학원 작물육종과와 농약잔류검사, 유해물질 및 품종 순도검정을 실시해 준 농업 실용화재단에게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Figure

    Table

    Grain appearances of medium-short milled rice of Korean export rices with Chinese, Japanese, and Taiwanese rices in Chinese circulating market

    Physical quality of medium-short milled rice of Korean export rices with Chinese, Japanese, and Taiwanese rices in Chinese circulating market.

    ♪Same letters in a column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DMRT at p=0.05 level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medium-short milled rice of Korean export rices with Chinese, Japanese, and Taiwanese rices in Chinese circulating market.

    *Pesticides residue : Detection limit 0.02㎎/kg
    **Toxic substance : As,Cd,Hg,Pb
    ♪ Same letters in a column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DMRT at p=0.05 level

    Sensory test of medium-short grain cooked Korean export rices with Chinese Wuchang rice, Japanese, and Taiwanese rices in Chinese circulating market

    Reference

    1. Han S H , Choi E J , Oh M S (2000) A comparative study on cooking quality of imported and domestic rices(Chuchung byeo) , Korean J. Soc. Food Sci, Vol.16 ; pp.91-97
    2. Lee S J , Lee Y C , Kim SK (2008) Comparison of cooking properties between and domestic rices according to cooking method and added water ratio , Korean J. Food & Nutr, Vol.21 (4) ; pp.63-469
    3. (2016) Japan, http://www maff.go.jp/j/seisan/kikaku/kome_siryou.html
    4. (2014) http://datacenter.cngrain.com,
    5. Song Y E , Cho S H , Kwon Y R , Choi D C (2008) Quality of Jeonbuk-Originated brand rice compared with other domestic brands and imported market rice , Korean J. crop Sci, Vol.53 (4) ; pp.347-352
    6. (2016) http://www.coa.gov.tw/show_index.php,
    7. (2016) http://agrstat.coa.gov.tw/sdweb/public/trade/tradereport.aspx,
    8. Won J G , Ahn D J , Kim S J , Park S D , Choi K B , Lee S C , Son J K (2006) Comparison grain quality between Chinese parboiled and domestic rice , Korean J. Crop Sci, Vol.50 ; pp.19-23
    9. http://www.5cdm.com/Article/showArticle.asp?ArticleID=6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