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8504(Print)
ISSN : 2287-8165(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Vol.29 No.4 pp.356-365
DOI : https://doi.org/10.12719/KSIA.2017.29.4.356

Analysis of Patent Trends on Value Added Technologies for Rapeseed By-product in Major Producing Countries

Yong-Hwa Lee**, Won Park*, Kwang-Soo Kim*, Young-Lok Cha*, Youn-Ho Moon*, Yeon-Sang Song*, Ji-Eun Lee*
*Bioenergy Crop Research Institut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Korea
**Division for Korea Program on International Agriculture (KOPIA),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Korea
Corresponding author : +82-61-450-0137leejins212@korea.kr
20170818 20171102 20171115

Abstract

Patent trends on foundation technique and application technologies of rapeseed by-products were analyzed for major producing countries including Korea, USA, Japan, China and Europe, to determine the usability and economical efficiency. To date, patents related to these by-products have been increasing steadily, since the first patent application in 1973. Patent applications in China are overwhelmingly active but those of Korea are steadily increasing. Japan and Europe unions have been slow in applying patents since the mid-2000s. The most number of application is the MB company in Canada, which is actively, doing research to develop technologies related to extraction and purification of useful substances from rapeseed. Most applicants were focusing on one or two of the major field technologies, depending on the company’s main products. Agricultural material section category accounted for more than half of the patent applications followed by technology for separation and purification of useful substances for cosmetics. In the early years of technology development, patent applications were mainly related to technologies on functional protein foods, agricultural materials and separation and purification of useful substances. In recent years, research had shifted on various fields such as cosmetics and medicines technology development is being attempted. In terms of section category, the USA has applied for the most number of patents in all fields except agricultural materials, where China is currently leading, Agricultural development efforts is well supported and encouraged by the Chinese government’s policies. I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technology development pertaining to separation and purification of useful substances from rapeseed by-products for cosmetics, functional protein foods, medicines and biotic pesticides to enhance value-added utilization of rapeseed by-products.


유채 부산물 부가가치 제고를 위한 주요 생산국의 기술 동향 분석

이영화**, 박 원*, 김 광수*, 차 영록*, 문 윤호*, 송 연상*, 이 지은*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바이오에너지작물연구소
**농촌진흥청 기술협력국 국외농업기술과

초록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J012123012017

    서 언

    국내에서 유채(Brassica napus L.)는 경관용, 식용 및 바 이오디젤 원료 작물로 최근 지역 축제와 연계한 경관용으로 인 기가 높아 재배면적이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매년 약 3,000ha 정도 재배되고 있다(Lee et al., 2015). 유채는 십 자화과에 속하는 작물로, 종자에는 35~45%의 지질을 함유하고 있어 중요한 유지작물이다(Kim et al., 1991, Lee et al., 2014). 유채종자를 이용하여 착유 한 후 생산되는 부산물인 유 채박은 전체 무게의 60~70% 가량 생산되며, 약 40% 이상의 단백질과 펙틴과 같은 탄수화물이 30% 이상 차지하고 있다 (Sosulski et al., 1979; Kim et al., 1991; Egües et al., 2010). 그러나 유채박의 대부분이 동물 사료 또는 퇴비로 사용 되거나 폐기되고 있으므로 이를 활용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요 구되는 실정이다.

    유채박은 라이신과 같은 아미노산 조성이 우수한 단백질을 많이 함유하고 있으며, 특히 당단백질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 (Pastuszewska et al., 2000; Yoshie-Stark et al., 2008). 또한 glucosinolate, phenolics, phytic acid 등도 함유하고 있어 토 양 선충 방제제 등과 같은 농자재로써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 으며(Lee et al., 2015), 이를 제거한 후 음식 재료로도 사용 할 수 있다(Zhou et al., 1990; Vioque et al., 2000). 그러나 유채박은 유용 단백질을 많이 함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단 백질의 낮은 용해도로 인해 순수 단백질 분리가 어려우며, 이 로 인해 정제 분리 기술의 낮은 경제성, 분리 후 단백질의 기 능적 특성이 제한되기 때문에 유채박의 단백질 사용이 제한되 고 있다(Vioque et al., 2000).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유채박 내의 기능성 물질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필요하며, 특히 기존 유 채박의 1차적 이용에서 생물화학적 변환을 통한 고부가가치 바이오제품화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관련하여, 현재 까지 유채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곤충 방제재, glucosinolate의 성분을 제거한 유채박을 포함하는 가축사료, 유채박으로부터 유효성분을 합성하여 식품, 의약, 화장품 등으로 활용하는 기 술이 연구개발 되고 있다(Tiyagi et al., 2011; An et al., 2013; Kim & Na, 2013; Tech & Birch, 2014; Cobs-Rosas et al., 2015; Lee et al., 2015).

    개발된 유용 기술들은 특허 출원을 통해 발표되고 보호받는 다. 그렇기 때문에 기초연구를 바탕으로 실용연구를 시작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특허 현황을 분석할 필요가 있고, 연구의 방 향성을 설정하는 여러 신규 연구 분야에서 수행되고 있다 (Chun et al., 2008, Hong et al., 2014, Kim et al., 2017). 특허는 단순히 검색하는 것뿐만 아니라 연구자가 알고자 하는 기술 분야의 기술 분류 체계를 적절하게 작성하여 대분류를 설정하고 이에 맞는 중분류, 소분류를 설정하여, 적용 분야의 특허가 모두 검색되도록 키워드 설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 다. 이렇게 검색된 특허를 대상으로 분류 별 연구된 기술 현 황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 방향을 모색하는 연 구가 진행되고 있다(Hong et al., 2014, Kim et al., 2017).

    따라서 본 논문에서도 유채박을 포함하는 유채 부산물의 부 가가치 제고를 위한 기반 기술 및 활용 기술에 관한 특허 동 향 정보를 주요 유채 생산국을 대상으로 분석하여, 향후 연구 방향성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분석 대상 특허

    분석 특허는 한국(KIPO), 미국(USPTO), 일본(JPO), 중국 (SIPO), 유럽(EPO)을 대상으로, 출원일 기준 2013년 12월까지 의 공개, 등록특허를 대상으로 정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일반적 으로 특허출원 후 18개월이 경과된 때에 출원 관련정보를 대 중에게 공개하고 있으므로 아직 미공개 상태의 데이터가 존재 하는 2014~2016년 출원된 특허는 정성분석 시에만 사용하였 다. 검색 DB로는 WISDOMAIN을 사용하였으며, 검색범위는 특허공개 및 등록 전체문서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분석대상 기술 및 검색식

    분석대상 기술은 유채 부산물의 부가가치 제고 기술(A)을 대분류로 하여 유용물질 활용(AA)과 유용물질 분리·정제(AB) 을 중분류로 분류하였다. 유용물질 활용(AA)은 유채부산물 유 래 단백질을 포함하는 식품을 기능성 단백질 식품(AAA)으로, 유채 부산물 유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의약품을 의약품 (AAB), 기능성 화장품(AAC), 생물농약, 방제제는 생물농약 (AAD), 부숙 또는 발효된 유채 부산물을 포함하는 유기질 비 료 및 식물영양제는 농자재(AAE)로 소분류 하였다.

    또한 유채 부산물 부가가치 제고 기술 분야의 기술 분류 및 핵심키워드를 바탕으로 특허분석을 위한 키워드를 도출하였으 며, 이를 바탕으로 해당 기술 분류를 포함 할 수 있는 검색식 을 작성하였다(Table 1). 검색식에 따른 원자료(raw data) 검 색 건수는 총 12,079개로 유용물질 분리·정제(AB)의 건수가 5,536개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기능성 화장품(AAC)이 2,627개로 많았다(Table 2).

    유효특허 선별

    유채 부산물의 부가가치 제고 기술의 원자료에 대해 유효특 허 선별 기준을 적용하여 유효특허를 선별하였다. 유용물질 활 용(AA)의 선별 기준으로 i) 유채 부산물, 유채 및 기타 식물 부산물을 주요원료, 보조원료로 청구항 전항에 개시한 기술을 포함할 것, ii) 구체적 실시예 없이, 상세한 설명에만 유채 부 산물, 유채 및 기타 식물 부산물을 단순개시 또는 사용가능한 원료의 일예로써 단순 기재한 경우 제외, iii) 바이오디젤 또는 바이오연료로써의 용도를 개시한 기술 제외, iv) 동물사료 관 련 기술을 제외를 적용하였으며, 유용물질 분리·정제(AB)의 선 별 기준은 앞선 i, ii번을 적용하여 유효특허를 선별하였다. 선 별결과 유용물질 활용(AA) 기술이 1,827건, 유용물질 분리·정 제(AB) 기술이 242건으로 도출되었다(Table 3).

    분석 방법

    본 논문에서는 유채 부산물의 부가가치 제고 기술 분야에 대하여 추출한 유효특허를 대상으로 특허동향분석과 핵심 기 술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시장국인 한국, 미국, 일본, 중국 및 유럽에서의 주요 국가별 기술개발 활동 동향, 구간별 출원 인수와 출원 건수의 증감정도 분석을 통해 특허 기술 성장단 계를 파악하고 국가간 기술경쟁력 현황 분석 등을 통해 국가 별 특허동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상위 최다 출원인 도출을 통 하여 주요 연구자 현황 및 IP로 본 기술 거점국을 분석하고, 주요 연구주체의 기술확보력, 주력기술분야에 대한 파악을 통 하여 연구주체별 특허동향을 분석하였다.

    결과 및 고찰

    국가별 특허 동향 분석

    가.주요 출원국 연도별 특허동향

    유채 부산물에 대한 주요 시장국의 연도별 특허동향을 분석 한 결과, 1973년 최초 출원되 이래 최근까지 출원 건수가 지 속적으로 증가하였다(Fig. 1a). 2009년 출원 건수가 143건으로 크게 증가하였으며, 2014년 303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 중 중 국의 특허 출원이 56%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미 국이 19%, 한국은 11%, 일본이 9% 순 이었고, 유럽이 5% 로 가장 낮았다(Fig 1b~f). 중국은 2010년대 이후 특허 출원 을 장려하는 정책을 내놓는 등 적극적으로 기술개발을 장려하 고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특허 동향에 이와 같은 중국 특허 시장의 추세가 반영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각 나라별로는, 중국의 특허 출원이 총 1,151건으로 가장 활발하였으며, 2000년대 중반부터 그 건수가 76~179건으로 특 허 출원이 증가하기 시작하여 최근까지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ig. 1e). 한국의 경우, 타출원국에 비하여 총 출원 건수가 225건으로 많은 편은 아니나, 2000년대 중반 이후로 특허출원이 13~20건으로 증가하였다(Fig. 1b). 미국은 2000년 대부터 최근까지 특허 출원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Fig. 1c).

    반면 일본과 유럽에서는 특허 출원이 감소하는 추세인 것으 로 나타났다. 일본은 1990년대 후반 이후 연간 특허 출원 건 수가 10~17건으로 증가하다 2000년대 중반 이후로 약간 감소 하는 추세로 분석되었다(Fig. 1d). 유럽의 경우, 2000년대까지 특허 출원이 단기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총 특허출원 건수가 100건으로 5개국 중 가장 낮았으며 최근에는 출원 건수가 2~4건으로 감소하였다(Fig. 1f).

    주요 조사국 중 미국, 한국, 일본, 중국 등 4개국에서는 내국인의 특허 비율이 외국인보다 높았으며, 유럽의 경우 외 국인의 비율이 더 높았다(Fig. 2). 특히 외국인 중 캐나다의 비율이 높았으며(Fig. 2f), 캐나다 내 관련 기업들은 시장 국별로 특허를 출원하고 있어 해외에서의 지식재산권 선점 에 관심을 보이며 해외 사장에 적극적으로 진출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대부분의 조사국은 내국인의 출원 상승세보다 외국인의 출원 상승세가 높았으며, 최근까지 특허 출원이 활발한 중국, 미 국 및 한국의 경우 외국인의 출원 상승세가 내국인보다 높았다.

    나.기술 성장단계 파악

    기술의 성장단계는 첫째로 신기술이 출현하는 태동, 두 번 째는 R&D가 급격히 증가하고 경쟁이 격화되는 성장, 셋째는 지속적인 연구개발 활동이 이루어지며 일부 업체가 도태되는 성숙, 넷째는 대체기술이 출현하고 기술발전의 불연속점이 발 생되는 쇠퇴, 마지막으로 기술의 유용성이 재발견되고 대체기 술이 쇠퇴하는 회복 단계로 나뉜다. 전체 조사국의 출원 특허 로 분석한 기술 성장 단계는 연도별로 6구간으로 나누어 분석 하였으며, 2구간부터 6구간까지 특허 출원 건수와 출원인수가 모두 증가하는 성장기로 나타났다(Fig. 3).

    한국 특허 기술은 초기 1구간부터 2구간까지는 출원 건수 와 출원인수의 증가율이 미미한 수준이나, 전체 구간을 살 펴보면 출원 건수와 출원인의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 어 성장기인 것으로 분석된다. 중국 특허 기술 또한 2구간 부터 6구간까지 출원 건수와 출원인의 수가 크게 증가하는 성장기에 해당하며, 기술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미국 특허 기술의 경우, 초기 1구간부터 2구간까지 출원 건 수와 출원인의 수가 감소하다 중반 3구간부터 5구간까지 출원 건수 및 출원인 수가 큰 폭으로 증가하였으나, 최근 6구간에 서 다시 감소세로 돌아선 것으로 나타나 현재 기술 수준은 쇠 퇴기인 것으로 분석된다. 일본과 유럽 특허 또한 중반 3구간 부터 5구간까지 출원 건수와 출원인수가 증가하였으나, 최근 6구간에서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최근 기술 수준은 또한 쇠퇴기인 것으로 사료된다.

    다.주요 출원인 현황 분석

    전체 기술 분야의 최다 출원인은 캐나다의 BURCON NUTRASCIENC (MB)사로 84건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중국의 ANQING WANCAOQIANMU Agricultural Technology 사가 26건, 중국의 SHANDONG GUANGDA Fertilizer Technology Co,, Ltd가 13건으로 뒤를 잇고 있었다(Table 4). 최다 출원인인 캐나다의 MB사는 주로 54건의 미국 특허, 22 건의 유럽 특허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유용물질 분리·정제(AB) 관련 기술에 주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ANQING WANCAOQIANMU Agricultural Technology사와 SHANDONG GUANGDA Fertilizer Technology Co,, Ltd는 모두 자국인 중국에서 특허를 출원 하고 있었으며, 농자재 (AAE)관련 기술 분야에서 활발하게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것 으로 분석된다.

    국내의 최다 출원인은 주식회사 CJ, 아모레퍼시픽으로 각각 기능성 단백질 식품, 기능성 화장품 관련 기술에 주력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 두 출원인 모두 한국 특허 5개, 중국 2개, 미 국, 유럽에 각각 1개씩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어 자국 특허에 주력하고 있었다.

    전반적으로, 한국, 중국 및 미국의 최다 출원인은 유용물질 활용 및 유용분리·정제 기술과 관련된 특허를 자국 위주로 출 원하는 경향이 두드러졌으며, 해외출원이 많지 않은 것으로 분 석된다.

    핵심기술별 특허 동향 분석

    가.세부기술별 출원증가율 및 점유율 분석

    유채 부산물의 부가가치 제고 기술 분야의 중분류 점유율은 유용물질 활용(AA)이 88%로 대부분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 었으며, 유채 부산물로부터 단백질을 분리하는 기술이 주를 이 루는 유용물질 분리·정제(AB) 기술이 12%를 점유하고 있었다 (Fig. 4). 유용물질 활용(AA) 기술 중에서도 농자재(AAE) 기 술이 전체 59%로 절반이 넘는 점유율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많은 기술이 유채박, 대두박, 미강유박 등을 이용한 고체발효 를 통한 발효비료를 제조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었다. 기능성 화장품(AAC) 기술의 경우, 전체의 12%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유채박 메탄올, 아세톤 추출물 또는 효소 처리한 유 채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 또는 미백, 보습, 항염증 화장품에 대한 고부가가치 기술이 존재하였다. 기능성 단백질 식품(AAA)의 점유율은 10%로, 유채박 단백질 추출물 이 혼합된 원료로 음료, 두부, 식물성 고기(육류 대용품), 과자 등에 대한 기술이 존재하였다. 의약품(AAB) 관련 기술은 전 체 점유율의 6%를 차지하였으며, 항산화 효능을 나타내는 유 박 추출물, 항암 효능을 나타내는 유채박 단백질 가수분해물, 추출물에 기술을 포함하고 있었다. 생물농약(AAD) 기술의 경 우, 점유율은 1%로 유박과 유채종자의 유효성분을 활용한 선 충 방제제가 주요 기술로 포함되어 있었다.

    기술 초창기 1구간에는 기능성 단백질 식품(AA)과 농자재 (AAE), 유용물질 분리·정제(AB) 관련 기술이 90%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1990년대 초 기능성화장품(AAC)관련 기 술이 등장하기 시작하면서 연구 범위가 점차 확대되었다(Fig. 5). 2000년대 초 부터는 전체 특허의 절반을 차지하던 농자재 의 점유율이 32%로 줄어들었고 기능성 화장품(19%), 의약품 (11%)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가 시도되었다. 이는 2000년대 들어 유채 부산물 내 유용물질을 분리·정제하는 기술이 발달 하기 시작하면서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단백질 식품, 의약품, 기능성 화장품 등으로 활용에 대한 연구가 점차 확대되는 것 으로 사료된다.

    나.세부기술별 IP출원국 분석

    핵심기술 중 소분류별 IP 출원국 동향은 각국의 특허청에 출원된 출원 데이터를 기준으로 세부기술의 집중도 및 공백 영역 등을 버블그래프로 나타내어 해당 시장의 관심도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Fig. 6).

    기능성 단백질 식품 관련 기술은 미국에서 110건으로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었으며, 중국이 42건으로 뒤를 이었고, 의약 품, 생물농약 기술 및 유용물질 분리·정제 기술 또한 유사한 패턴을 보였다. 기능성 화장품 기술 특허의 경우, 미국에서 98 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한국이 62건으로 뒤를 이었다, 농자재 관련 기술의 경우 중국이 988건으로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한 국이 118건, 일본 110건으로 비슷한 기술 수준을 보유하고 있 었다. 이는 농업을 주요 산업으로 하는 국가에서 관련 연구 개발이 활발한 것으로 분석되며, 특히 중국은 정부에서 시 행하고 있는 농업 발전 장려 정책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사료된다.

    다.세부기술별 주요출원인 동향 분석

    세부기술 별 주요 출원인 현황을 살펴본 결과, 최다 출원인 1위인 캐나다의 MB사가 유용물질 분리·정제 분야와 기능성 단백질 식품 출원 건수가 각각 65건, 19건으로 타 출원인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았다(Fig. 7). 이는 유채가 오래전부터 재 배되어 왔고 초창기 유채 연구를 시작한 캐나다의 출원인이 초반 유용물질 분리·정제 기술을 바탕으로 이를 활용한 기능 성 단백질 식품에 주력한 결과로 사료된다. 의약품 분야의 경 우, 이스라엘의 FOAMIX사가 10건으로 가장 많은 특허를 보 유하고 있었으며, 기능성 화장품 분야는 국내의 아모레퍼시픽 사가 9건으로 가장 많았다.

    생물농약 분야에서는 다국적 기업인 MONSANTO Technology LLC와 벨기에의 DEVGEN NV사, 중국의 BEIGING DABEINONG Technology Group이 5건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었다. 농자재 분야의 경우, 상위 최다 출원인 6 기 업이 모두 중국 국적으로 ANQING WA·NCAOQIANMU Agricultural Technology사가 26건의 특허를 출원하여 가장 많았다. 이는 앞서 살펴본 중국의 특허가 농업 발전 정책에 힘입어 농자재 분야에 주력하고 있다는 결과를 뒷받침해주 고 있다.

    이는 최다 출원인 대부분은 기업의 주생산품 종류에 따라 한 두 개의 주력분야에 대해 집중적으로 출원하는 것으로 분 석된다.

    적 요

    본 논문은 유용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유채의 활용성 및 경 제성을 제고시키고자 유채 부산물의 기반 기술 및 활용 기술 에 관한 특허 동향 정보를 주요 시장국가를 대상으로 분석하 였다.

    • 1. 유채 부산물 관련 특허는 1973년 최초 출원 이래 최근까 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었다. 특히 중국의 특허 출원이 압 도적으로 활발하였으며, 한국에서도 최근까지 특허 출원이 발 생하고 있었고 일본 및 유럽은 2000년대 중반 이후 특허 출 원이 주춤한 상태였다. 따라서 한국 및 중국의 특허 기술 위 치는 현재 성장기에 해당하며, 유럽 및 일본의 경우 기술 쇠 퇴기로 추정된다.

    • 2. 유채 부가가치 제고 기술 분야의 최다 출원인은 캐나다 의 MB사였으며, 유용물질 분리·정제 관련 기술 분야에서 활 발하게 연구 개발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중국의 최다 출원인 들은 자국 내 농자재관련 분야에서 주력하고 있었으며, 국내 최다 출원인은 기능성 단백질 식품과 기능성 화장품 관련 기 술에 주력하고 있었다. 최다 출원인 대부분은 기업의 주 생산 품에 따라 주력분야 기술을 집중적으로 출원 하고 있었다.

    • 3. 세부 기술별 점유율은 농자재 기술이 전체 절반이 넘었 으며, 유용물질 분리·정제 기술, 기능성 화장품 기술이 뒤를 이 었다. 기술 초창기에는 기능성 단백질 식품과 농자재, 유용물 질 분리 기술관련 특허가 주로 출원되었으며, 현재는 이 기술 들을 바탕으로 기능성 화장품, 의약품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 가 시도되고 있었다.

    • 4. 소분류 별로 농자재를 제외한 모든 분야에서 미국이 가 장 많은 특허를 출원하였으며, 농자재 관련 기술은 중국 정부 의 농업 발전 장려 정책에 따라 중국이 가장 많은 특허를 출 원하였다.

    현재까지 유채 부산물 활용 기술은 유채박을 단순 활용한 농자재 기술 연구에 주력하고 있었으며, 부가가치를 향상시키 기 위해 유채 부산물의 유용물질 분리·정제 기술의 특허가 많 이 출원되어 있었다. 또한 최근 이러한 유용물질의 분리·정제 기술을 바탕으로 유용성분을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단백질 식 품, 의약품 분야의 연구를 시작하고 있었다. 종합적으로, 유채 박을 단순 활용한 기술보다는 이미 개발된 유용물질의 분리· 정제 기술을 바탕으로 유용물질을 명확히 규명하고 활용한 기 능성 화장품, 의약품, 생물농약 등의 2차 활용 기술 특허를 확 보하고 더 적극적으로 국외 특허를 출원한다면, 유채 부산물 의 고부가가치 활용성을 제고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CKNOWLEDGMENTS

    본 연구는 농촌진흥청 어젠다 사업(과제번호: PJ012123012017) 의 지원에 의해 수행되었다.

    Figure

    KSIA-29-356_F1.gif

    Patent application trends of major producing countries by year. Quant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with patents released until 2016. Patents applicated between 2014 and 2016 have unpublished patents. (a) was indicated number of patent applications filed by total countries by year. (b) to (f) represent those in each of the major market countries. KIPO; Korea, USPTO; USA, JPO; Japan, SIPO; China, EPO; EU.

    KSIA-29-356_F2.gif

    Patent application trends of foreigners and locals in major producing countries. (a) to (f) shows was patent application development of foreigners and locals by total research countries or each of the major market countries. Additionally, (b) to (f) represent the countries of foreign applicants. The number in parentheses refer to the number of patent application and share. Country code names are as follows; BR; Brazill, CA; Canada, CN; China, EP; EU, HK; Hong Kong, IL; Israel, JP; Japan, KR; Korea, NL; Netherlands.

    KSIA-29-356_F3.gif

    Technology growth stages in the major producing countries. All patents released until 2013 are divided into 6 sections by years as follows ; Section 1; 1973~1983, Section 2; 1984~1989, Section 3; 1990~1995, Section 4; 1996~2001, Section 5; 2002~2007, Section 6; 2008~2013.

    KSIA-29-356_F4.gif

    Trend of patent application and technology share by division. Patents applied for each year have changed and agricultural materials section category accounted for 59% of all patents released until 2016 due to explosive application since 2009. Gray area indicated unpublished patents.

    KSIA-29-356_F5.gif

    Trend of technology share by division. The share of value added technologies for rapeseed by-product by subclassification was divided into 6 sections by years as follows; Section 1; 1973~1983, Section 2; 1984~1989, Section 3; 1990~1995, Section 4; 1996~2001, Section 5; 2002~2007, Section 6; 2008~2013.

    KSIA-29-356_F6.gif

    Detailed technical patent application analysis by major producing countries. The size of the circle represent the number of patent applications. The patents of each detailed technology applied in each producing countries indicate the technology of interest in that country.

    KSIA-29-356_F7.gif

    Analysis of major patent applicant by section category technology. Most applicants by section category technology were concentrating on one or two of the major field technologies.

    Table

    Search keyword according to technology classification criteria

    *A; Value added technologies in rapeseed by-products, AA; Use of useful substance, AB; Separation and purification of useful substances, AAA; Functional protein food, AAB; Medicine, AAC; Cosmetics, AAD; Biotic pesticide, AAE; Agricultural materials.

    Patent search results released until 2016 of value added technologies in rapeseed by-products

    *KIPO;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USPTO; United States Patents and Trademark Office, JPO; Japan Patent Office, SIPO; State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of People’s Republic of China, EPO; European Patent Office.

    Valid patent selection results of value added technologies in rapeseed by-products. Valid patents were selected by applying effective patent selection criteria to research results.

    Landscape of top 10 multiple applicants

    Reference

    1. AnN.H. KimY.K. ChoJ.R. JeeH.J. LeeB.M. YoonJ.C. ChoiJ.W. (2013)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organic liquid fertilizer with oil cake and rice bran as affected by microorganism and the ratio of molasses. , Korean J. Soil Sci. Fert., Vol.46 (6) ; pp.579-584
    2. ChunH.S. ParkH.J. JeongJ.K. JangD.J. (2008) Surveys of domestic and foreign patents for foods and drugs related to improving liver function. , Korean J. Food Culture., Vol.23 (2) ; pp.194-203
    3. EgA1/4esI. AlriolsM.G. HerseczkiZ. MartonG. LabidiJ. (2010) Extraction of pectic substances from dehulled rapeseed. , Carbohydr. Res., Vol.301 ; pp.177-185
    4. HongS.G. KimJ.H. KimY.K. ShinJ.H. YunJ.C. ParkD.S. (2014) Trends in organic farming technology by patent analysis. , Korean J. Organic Agri., Vol.22 (3) ; pp.369-379
    5. KimS.M. NaM.S. (2013) A study on skin care effects of rapeseed meal extract. , Korean Society for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Journal., Vol.28 (3) ; pp.177-184
    6. KimI.S. KimK.S. ChaeH.S. KimH.C. KimK.R. (2017) Analysis of patent trends in industrial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convergence: Personal protection and convenience equipment applicable to agriculture. ,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Vol.28 (3) ; pp.377-390
    7. LeeH.K. LeeY.H. KimK.S. JangY.S. ChoiI.H. (2015) The effect control of root-knot nematode by using rapeseed meal in continuous cultivation at greenhouse. , Korean J. Plant Res., Vol.28 (1) ; pp.93-100
    8. LeeJ.S. KimH.S. KimC.H. JungY.H. KangY.J. (1991) Physicochemic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rapeseed protein upon purification conditions. , J. Korean Soc. Food Nutr., Vol.20 (6) ; pp.551-558
    9. LeeT.S. LeeY.H. KimK.S. LeeH.K. JangY.S. ChoiI.H. KimK.S. (2014) Effect of sowing time on oil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characteristics in rapeseed cultivars. , Korean J. Plant Res., Vol.27 (2) ; pp.202-208
    10. LeeY.H. KimK.S. JangY.S. ChoiI.H. LeeK.B. (2015) Making yeast culture medium with rapeseed pollen granules. J. ofKorean Oil Chemists ?(tm). , Soc., Vol.32 (1) ; pp.93-99
    11. PastuszewskaB. JableckiG. SwiechE. BuraczewskaL. OchtabinskaA. (2000) Nutritional value of rapeseed meal containing lecithin gums precipitated with citric acid. , Anim. Feed Sci. Technol., Vol.86 (1) ; pp.117-123
    12. RosasM.C. OlmosJ.C. OppenheimerC.W. HansenM.E. (2015) Assessment of antiproliferative activity of pectic substances obtained by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from rapeseed cake on cancer cell line. , Carbohydr. Polym., Vol.117 ; pp.923-932
    13. SerrainoM.R. ThompsonL.U. (1984) Removal phytotic acid and protein-phytic acid interaction in rapeseed. , J. Agric. Food Chem., Vol.32 ; pp.38-40
    14. SosulskiF.W. HumbertE.S. BuiK. JonesD. (1976) Functional properties of rapeseed flour concentrates and isolate. , J. Food Sci., Vol.41 (6) ; pp.1349-1352
    15. TechS.S. BirchE.J. (2014) Effect of ultrasonic treatment on the poly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capacity of extract from defatted hemp, flax and canola seed cakes. , Ultrason. Sonochem., Vol.21 ; pp.346-353
    16. TiyagiS.A. MahmoodI. KhanZ. (2011) Biological control of soil-pathogenic nematodes infecting mungbean using Pseudomonas fluorescens. , Arch. Phytopathol. Pflanzenschutz, Vol.44 (18) ; pp.1770-1778
    17. VioqueJ. VioqueR.S. ClementeA. PedrocheJ. MillA nF. (2000) Partially hydrolyzed rapeseed protein isolates with improved functional properties. , J. Am. Oil Chem. Soc., Vol.77 (4) ; pp.447-450
    18. Yoshie-StarkY. WadaY. WäscheA. (2008) Chemical composition, functional properties, and bioactivities of rapeseed protein isolates. , Food Chem., Vol.107 ; pp.32-39
    19. ZhouB. HeZ.Q. YuH.M. MukherjeeK.D. (1990) Proteins from double-zero rapeseed. , J. Agric. Food Chem., Vol.38 (3) ; pp.690-6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