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8504(Print)
ISSN : 2287-8165(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Vol.30 No.3 pp.177-183
DOI : https://doi.org/10.12719/KSIA.2018.30.3.177

Recent Trend and Prospects of Potato Industry in Kazakhstan

Ju Sung Im*†, Sang Gi Seo**, Mee Ok Kim*, Chung Gi Cheon*, Young Eun Park*, Ji Hong Cho*, Kwang Soo Cho*, Dong Chil Chang*, Jang Kyu Choi*, Jong Nam Lee*, Bon Cheol Koo*
*Highland Agriculture Research Institut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Gangwon 25342, Korea
**Hongikbio, Pyeongtaek City, Gyeonggi-do 17977, Korea
Corresponding author : (Phone) +82-33-330-1630 (E-mail) imjusung@korea.kr
July 4, 2018 August 30, 2018 September 3, 2018

Abstract


Potato cultivation area in Kazakhstan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for ten years from 154,000 ha in 2006 to 186,000 ha in 2016. The production amounts are also increasing from 2,360,000 tons in 2006 to 3,550,000 tons in 2016. The average yield(/ha) was 19.0 ton in 2016 while 15.4 tons in 2006. The import volume increased by about 3.2 folds for seven years from 34,874 tons in 2006 to 112,323 tons in 2013. The import price(/ton) has been also showing steady increasing from $180(USD) in 2006 to $202(USD) in 2013. The export volume dramatically increased from 73 tons in 2006 to 8,455 tons in 2013. It shows that the potato trade with neighboring countries is very active recently. Kazakhstan need seed potato of around 700,000 tons each year, which is more than the total production yield (600,000 tons/year) of Korean potato. Seed potatoes are imported from Europe by the private seed companies and then distributed to farmers after multiplications for two or three years. Potatoes are sown in May and harvested in September or October, which is similar to the summer cropping in Korean potato. The European cultivars such as ‘Sante’ and ‘Rodeo’ are preferred broadly due to their high temperature resistance, salt tolerance, long dormancy period, and yellow flesh color. Meanwhile, Early blight and Colorado potato beetle are known as the main problems at Kazakhstan potato fields. The big yield loss by insects or diseases during storage is one of the severe problems too. Considering the internal and external circumstances of Kazakhstan potato, it is expected that the Korea's high-quality seed potatoes and the post-harvest management technologies could be helpful to enter the Kazakhstan potato market effectively as well as to increase the market competitiveness.



카자흐스탄의 감자산업 동향과 전망

임 주성*†, 서 상기**, 김 미옥*, 천 충기*, 박 영은*, 조 지홍*, 조 광수*, 장 동칠*, 최 장규*, 이 종남*, 구 본철*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고령지농업연구소
**주식회사 홍익바이오

초록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PJ012647012018, 213009-05-2-SB520

    서 론

    카자흐스탄은 중앙아시아의 북부에 위치한 내륙국가로서 (동경 46.36~87.27°, 북위 41.14~55.57°) 북으로는 러시아와, 남으로는 우즈베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키르기스스탄 등 3국 과, 그리고 동으로는 중국과 접해 있다. 한반도의 12배가 넘는 광대한 국토(2,725천 km2)를 보유한 카자흐스탄은 알타이 산맥 (해발 2~3천 미터)과 텐샨 산맥(해발 4천 미터)이 자리하여 동 부 및 동남부 지역은 험한 산악지대를 형성하며, 북부를 포함 한 대부분 지역은 스텝지대로 이루어져 있다. 기후는 고온 건 조한 여름과 한랭 건조한 겨울의 전형적인 대륙성 기후를 나 타내며, 남부와 북부지역의 온도차가 큰 편이다. 즉, 1월과 7월 (2017~2018년)에 남부지역(알마티)은 각각 영하 6.2°C와 영상 26.1°C인 반면, 북부지역(코스타나이)은 영하 18.3°C 및 영상 19.6°C를 나타낸다(AccuWeather, 2018). 연간 누적강수량은 산 악지역의 경우 1,000 mm를 넘기도 하지만, 대부분 지역은 250 mm 내외로서, 극심한 가뭄과 건조로 인한 사막화 진행이 문제가 되고 있다. 강수량은 남부의 경우 겨울과 봄철에, 중·북 부의 경우 여름철에 주로 집중되는데,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집중적인 폭우와 이상 강우 패턴이 증가하는 경향이다. 농업 을 위한 관개용수는 주로 인근 산악지의 만년설로부터 공급되 며, Markakol, Syrdarya 등 자연적인 호수와 하천들이 많다 (Lee et al., 2014). 주된 농경지들의 경우 전통적으로 관개가 용이한 지역을 중심으로 발달되어 있어서 사막 등 일부지역을 제외하면 관개의 어려움은 적은 것으로 파악된다(Im, 2016). 연중 무상일수는 산악지형이 많은 남부지역의 경우 200일 내 외로 짧은 반면, 북부 평야지는 245~275일로서 남부지역보다 길다(FAO, 2013). 한편, 광물자원이 풍부한 카자흐스탄은 1991년 구소연방에서 독립한 후, 시장경제 및 개방적인 경제 정책을 취하여 자원의 수출입 및 산업화분야는 발전을 이룬 반 면, 농업분야는 경쟁력을 잃어 기술적 기반과 시설들이 빠르 게 붕괴되었다. 즉, 카자흐스탄 경제의 최근 GDP 비중을 살펴 보면, 서비스업 66%, 제조업 30% 내외인 반면, 농업부문은 5% 미만으로서, 1990년 30%에서 급감한 것으로 파악된다 (OECD, 2013). 농업분야 내에서는 재배업이 55%, 축산업이 44% 내외인데, 농업생산량으로는 밀, 우유, 감자, 보리가, 농 업생산액에서는 우유, 밀, 쇠고기, 감자가 최다 품목을 차지하 고 있다(Kim et al., 2016a). 이 때문에 감자는 카자흐스탄 의 농축산업 전체에서 매우 중요한 경제작물로 여겨진다. 최 근 카자흐스탄 정부는 농업분야의 발전을 위하여 “카자흐스 탄 2050”의 중장기 계획을 발표하고, 농업분야 개발에 적극 나서고 있는 상황이다(The Export-Import Bank of Korea, 2015). 또한 농업생산성 제고를 목적으로 ‘2020년 농업생산 단지 개발 프로젝트’를 통한 경작지 규모 확대, 농업 신기 술 도입 등 대규모 농업 생산체제의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이 외에도 ‘Agrobusiness 2020’ 을 입안하여 농업 부문에 대한 금융 및 비금융의 광범위한 지원이 가능하게 한 바 있으나, 아직 효과는 미미한 수준이다. 그 간 카자흐스탄은 세계적인 밀 생산 및 수출국으로서 밀의 대규모 경작에 집중해 왔으나, 최근에는 다양한 경제작목들의 확대를 위하여 밀 재배를 점차 줄이는 반면(2009년 14,751천 ha, 2014년 12,387천 ha), 감 자, 콩 등을 권장하고 있다(KREI, 2015). 그 결과 농업총생산 액의 규모가 2000년 404,145백만 텡게에서 2014년 2,527,890 백만 텡게로 6배가량 증가하였다. 특히, 감자는 카자흐스탄의 전통적인 주식으로서 밀 다음으로 최대 생산 작물이며(FAO, 2015), 대부분 요리에 원료로 포함되어 매우 중요하게 여겨진 다. 이에 정부는 정책적으로 감자 면적의 확대를 꾀하고 있어 재배면적과 생산량이 꾸준히 늘고 있다. 한편, 감자는 밀, 보 리 등과 달리 괴경과 같은 영양체로 번식됨에 따라 병리적 퇴 화가 일어나기 쉽다. 이 때문에 씨감자의 생산체계가 매우 중 요한 작물이다(RDA, 2016). 카자흐스탄의 경우, 구소연방에서 독립한 이후 상위단계 씨감자의 생산체계가 무너져 씨감자를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Seo et al., 2016). 이러한 점은 우리나라 감자분야의 중앙아시아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써 카자흐스탄을 주목하는 이유가 된다. 즉, 카자흐스탄은 경 제적으로 고도화, 개방화된 반면, 품종 및 씨감자의 자급 기반 이 취약하여 한국 감자의 현지시장 진출에 유용한 입지로 여 겨지고 있다. 하지만, 일반 농업적 정보는 많이 알려져 있으나, 현지의 감자 관련 정보는 미미하여 현실적으로 접근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카자흐스탄 대상 국산 감자의 현지 시장 진출에 도움을 주고자 감자 골든 씨드 프로젝트 사업을 추진 하는 과정에서 수집, 조사, 분석된 자료들을 기초로 하여 카자 흐스탄의 감자산업 현황과 품종, 씨감자 등의 동향에 대하여 보고 및 전망하였다.

    감자 생산 및 수출입 동향

    카자흐스탄의 감자 재배면적은 정부의 장려정책에 힘입어 2006년 15만4천 ha에서 2016년 18만6천 ha로 최근 10년 사 이 20.8%인 3만2천 ha 늘었다(Fig. 1). 감자 총생산량 또한 2006년 236만2천 톤에서 2016년 354만6천 톤으로 같은 기간 50.1%에 해당하는 118만4천 톤 상승하였다. 총생산량이 단기 간에 급증한 것은 재배면적의 확대와 함께 단위수량의 증가가 컸기 때문이다. 즉, ha 당 감자 수량을 보면(Fig. 2), 2006년 15.4톤에서 2016년 19.0톤으로 23.4% 가까이 향상되었다. 이 처럼 단위수량이 빠르게 증가된 주된 이유로는 민간업체를 중 심으로 해외 씨감자의 수입과 공급이 증가하였기 때문이다(Seo et al., 2016). 하지만 아직까지 대부분 농가 및 민간 업체들조 차 씨감자에 대한 개념이 부족하여, 감자 재배 시 큰 감자들 은 시장에 출하하고 작은 감자들을 저장 후 차년도 씨감자로 재활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때문에 일반 감자농가 포장 뿐만 아니라 민간 업체의 채종포에서도 바이러스의 이병율이 상당히 높은 편이다. 따라서 향후 씨감자의 품질 향상을 통한 단수 증가 가능성은 높다고 할 수 있다. 카자흐스탄의 주요 지역별 감자 재배면적 비율을 보면(Fig. 3A), 알마티주가 전체 면적의 20.5%를 차지하여 가장 넓고, 다음으로는 북부 카작 14.6%, 동부 카작 12.9%로서 세 지역이 전체 감자면적의 50% 가량을 차지한다. 지역별 생산량의 비율(Fig. 3B)에서도 알마티주가 전체 생산량의 20.1%를 차지하여 가장 많고, 북부 카작 15.2%, 동부 카작 13.4%, 그리고 파블로다르가 10.3% 로서 이들 4개 지역이 카자흐스탄 전체 감자 생산량의 절반 이상을 공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카자흐스탄의 감자 수출입 동향을 보면(Fig. 4), 수입량은 2006년 34,874톤에서 2013년 112,323톤으로 7년 사이 3.2배 늘었고, 수입액도 2006년 6,277천 불에서 2013년 22,636천 불로 동일기간 3.6배 넘게 (16,359천 불) 증가하였다. 또한, 수출량과 수출액도 각각 2006년 73톤 및 16천 불에서 2013년 8,455톤 및 1,809천 불 로서 단기간에 급격한 증가를 보였다. 이러한 경향은 최근 러 시아, 벨라루스 등 인근 국가들과의 관세동맹을 체결한 것과 관련이 깊고(The Export-Import Bank of Korea, 2015), 이를 통하여 주변국과 감자 관련 무역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 을 알 수 있다. 한편, 수출입 시 톤당 가격(2009~2013년 평 균값 기준)을 보면(Fig. 5), 수입가격은 미화로 201.4 달러인 반면 수출가격은 273.3 달러로서, 수입가격이 수출가격보다 낮 다. 이는 기후 특성상 5월 파종 및 10월 수확하는 단일의 생 산 작형 때문으로, 저장 감자가 소진되는 늦봄부터 초가을까 지 중국, 키르기스스탄, 파키스탄 등 감자 가격이 싼 인근 국 가에서 식용 감자들의 수입이 대규모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Im, 2016; Seo et al., 2016). 이에 반해 수출되는 감자는 해 에 따라 가격의 등락폭이 심하며, 카자흐스탄 내 주산지의 환 경 조건에 따라 연차 간 변이가 큰 상황이다. 카자흐스탄 국 민 1인당 연간 감자 소비량은 2010년 116.2 kg까지 증가한 적이 있으나, 현재는 110 kg 내외에서 안정화되는 추세다 (Helgi Analytics, 2017).

    씨감자 생산 수급 동향

    카자흐스탄은 독립과 함께 시장경제체제를 도입한 후 경쟁 력이 없는 농업부문이 빠르게 쇠퇴하면서 구소련의 지원으로 유지되던 씨감자 체계가 무너지게 되었다. 이에 씨감자 수급 이 어려워지면서 감자농가들의 자가 채종이 관행적으로 이루 어지고 있다. 근래에는 민간 종자업체들이 네덜란드, 러시아, 중국 등으로부터 보급종급 씨감자를 수입하고 있지만, 이후 2~3회 추가 증식하여 농가에 판매하는 과정에서 씨감자의 품 위가 떨어진 상태로 농가에 보급되고 있다(Seo et al., 2016). 이에따라 일반 농가에서는 시중에서 판매되는 씨감자의 품질 에 대한 불만이 많은 상황이며(Im, 2016), 병이 없는 고품질 씨감자에 대한 잠재적 수요가 매우 높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 다. ha당 3~4톤의 씨감자를 파종하는 현지 감자농가의 관행으 로 추산할 때, 카자흐스탄은 연간 약 60~80만 톤 규모의 보 급종급 씨감자가 필요하다. 여기서 자가 채종되는 씨감자 양 을 제외하면, 매년 약 3만 톤 내외의 신규 씨감자가 공급되며 (Kim et al., 2016a), 이 중 80% 가량이 민간업체를 통하여 네덜란드로부터 수입되는 것으로 보인다(Seo et al., 2016). 카 자흐스탄 정부에도 ‘농업작물과학산업센터’(Scientific Industrial Center of Farming and Crop) 산하 ‘감자채소연구소’(Institute of Potato and Vegetable)를 통한 단계별 씨감자의 생산 공급 체계가 마련되어 있으나, 실질적인 운영과 공급은 매우 미미 한 수준이다. 한편, 늦가을인 10월경 수확되는 자가 채종 씨감 자는 수확 즉시 저장고에 입고되어 이듬해 4월까지 저장된다. 민간업체들의 경우 재래식 대형 반지하 저장시설을 사용하며, 농가들은 토굴이나 주택의 지하실 등을 활용한다(Fig. 6). 이 때 큐어링이나 선별작업 없이 수확 후 즉시 저장고에 입고함 에 따라, 온도조절이나 환기가 취약한 저장고내에서 씨감자가 부패하거나 해충에 의한 피해 확산이 용이하여 저장 중 감모 율이 높다(Im, 2016). 이는 민간업체와 농가 모두에게 공통된 관행이어서, 향후 현지 감자시장 진출 시 이에 대한 교육과 지도가 반드시 수반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유럽산 수입 씨감자의 가격은 톤 당 1천 달러(USD) 내외로서 기타 국가들 과 차이가 없다. 자가 채종 씨감자들은 품종 및 품질에 따라 kg 당 30~80 텡게(현지 화폐단위 100 KZT = 미화 0.29 달 러)로 거래되는데, 품위에 대한 신용도가 낮아 시장의 일반 식 용감자와 차이가 거의 없는 낮은 가격으로 판매되는 실정이다.

    감자 재배품종 현황

    카자흐스탄의 농산물 시장에서 거래되는 감자의 종류는 인 근 국가들에서 육성된 품종뿐만 아니라, 러시아산, 유럽산, 중 국산, 파키스탄산 등 매우 다양하다. 현재 60여 품종이 재배되 며, 이 중 30종은 자체 육성된 품종이고, 9종은 인근 독립국 가연합(CIS)에서, 그리고 나머지 20여 종은 러시아, 네덜란드, 중국 등에서 도입된 품종들로 파악된다(Kim et al., 2016b). 카자흐스탄에서 우점하고 있는 감자 품종들은 ‘산테’, ‘피카소’, ‘로데오’ 등 수입산 씨감자의 80~90%를 차지하는 네덜란드산 품종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감자 농가에서 선호되는 품종특 성은 맛이나 품질보다는 수량성을 꼽을 수 있다. 즉, 가뭄, 건 조, 강한 일사 및 고온 조건에서 견디는 힘이 강하고, 장일에 서도 괴경의 형성능력과 비대력이 우수하며, 숙기가 길어 다 수확이 용이한 품종들이 선호도가 높다. 감자의 표피색에 대 해서는 노란색, 붉은색 등 다양한 표피색의 감자들이 도소매 시장에서 고르게 판매된다(Fig. 7A~D). 시장에서는 ‘베쉬바르 막’(Fig. 7E)과 같이 말고기나 양고기와 함께 오랫동안 끓여도 모양이 풀어지지 않고 잘 유지되어 조리특성이 좋은 노란 육 색의 감자 품종들이 인기가 있다(Im, 2016). 용도에 있어서는 일반 조리용에 적합한 품종들의 재배가 주를 이루며, 프렌치 프라이 등 가공용에 알맞은 품종들은 가공업체와 대면적 농가 들과의 계약재배를 통하여 생산되는 경향이 있다.

    감자 생산 작형 및 주요 병해충

    카자흐스탄은 위도가 높고 고산지가 많아 우리나라의 고랭 지 여름재배와 유사한 일년 단작 작형으로 감자 생산이 이루 어진다(Im, 2016). 관행적으로 5월 중하순 파종하여 10월경 서리가 내리기 전 수확하게 된다. 재배기간은 우리나라(90~110 일)보다 50~60일이나 긴 150일에 가깝기 때문에 조숙성보다 는 만숙성 품종들의 재배가 일반적이다. 농가의 씨감자 파종 량은 ha당 3~4톤 내외이며, 통감자로 파종함에 따라 30~40 g 내외로 절단하여 파종하는 우리나라(1.4톤/ha)보다는 씨감자가 두 세 배가량 더 많이 소요된다(Seo et al., 2016). 재배이랑 은 트렉터나 가축을 이용하여 1열(이랑사이 85~90 cm)로 조성 되며, 포기사이의 간격은 25 cm 내외로서 폴리에틸렌 필름 등 의 멀칭 없이 파종된다. 생육 중 북주기는 2~3회 실시한다. 관수는 자연강우가 충분한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이랑사이 에 물을 흘려대는 골관수 방식으로 인공관수를 한다. 강우량 은 적지만 인근 만년설과 적설로부터의 물이 풍부하고 자연호 수들도 많아 관개수원은 부족하지 않은 편이다. 특히 전통적 으로 농경지의 대부분이 관수가 용이한 지역을 중심으로 조성 되어 있어서 감자재배 시 관수에는 어려움이 적은 것으로 파 악된다. 수확 시 감자는 50 kg 단위 마대 자루에 담겨져 80% 가량은 도매시장에 출하되며, 나머지 20%는 차년도 씨감자로 사용하기 위하여 저장고에 입고된다. 감자의 시장가격은 집중 출하시기인 9~10월에는 40~60 텡게로 낮으나, 저장후 판매되 는 3~6월에는 80~120 텡게로 두 배가량 높아진다. 따라서 카 자흐스탄에서 감자의 단경기에 해당되는 3월부터 8월까지는 판매가격이 높아 인근 CIS 국가뿐만 아니라 러시아, 파키스탄, 중국 등에서 수입된 감자가 시장에 출하된다. 감자 수확시 작 은 감자들은 재래식 창고나 지하실, 또는 토굴 등에 저장한 후 차년도에 씨감자로 사용한다. 이 때 수확 후 큐어링 과정 없이 바로 저장고에 넣기 때문에 저장 중 상처나 병으로 인한 부패가 심하고, 뿔나방과 같은 해충에 의한 2차 피해들도 만 연하여 감모율이 높다. 주요 해충으로는 콜로라도감자잎벌레 (Colorado potato beetle, Leptinotarsa decemlineata)와 뿔나방 (Potato tuber moth, Phthorimaea operculella)이, 감자병으로 는 고온에서 습기가 조금만 있어도 발병과 확산이 빠른 겹둥 근무늬병(Early blight, Alternaria solani)과 무름병(Potato bacterial soft rot, Erwinia carotovora)의 발생이 심한 것으로 파악된다. 특히, 유럽, 중앙아시아, 미국 등에 널리 퍼져있는 콜로라도감자잎벌레의 경우, 우리나라에서는 금지해충으로 등 록 및 관리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며, 유충과 성충 모두 감 자 식물체의 지상부 및 괴경을 심하게 가해하여 수량을 떨어 뜨려 문제가 된다. 뿔나방은 수확 전 포장에서 괴경의 맹아 부위에 산란하는데, 저장 중 부화하여 괴경 및 저장고 내 다 른 감자로까지 빠르게 확산되어 피해가 커진다. 병해충의 방 제를 위한 다양한 화학약제가 유럽이나 러시아로부터 수입, 판 매되고 있어서 대규모 농가들의 경우 적극적으로 방제에 임하 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농가들은 교호살포 등 약제사용에 대 한 지식이 낮아 방제효과가 낮은 것으로 파악된다.

    향후 전망

    중앙아시아 독립국가연합(CIS) 국가들은 러시아의 유라시아 경제연합 정책을 통하여 유럽과 아시아대륙 간 무역의 요충지 로 주목받고 있다(The Export-Import Bank of Korea, 2015). 특히, 카자흐스탄은 주변국들과 달리 경제적으로 비교적 안정 되어 있고, 개방적인 농산업 정책을 표방하고 있어서 유럽 및 아시아 국가들과의 교역이 증가하고 있다(KOTRA, 2017). 우 리나라와도 1992년 국교 수교 이래로 경제, 자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교류가 늘고 있으며, 농업분야에서도 중앙아시아 진 출을 위한 카자흐스탄과의 교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 와 관련하여 카자흐스탄은 국민소득이 미화 만 달러 이상 국 가로서, ODA 대상국이 아닌 상업적 수익 창출을 목적으로 한 농산업적 진출 대상국으로 봐야 한다. 이러한 측면의 접근은 최근 적극적으로 농업 발전을 꾀하려는 카자흐스탄 정부의 필 요에도 부합된다. 한편, 카자흐스탄은 밀의 대체작목으로 감자 를 장려하고 있어서 감자의 재배 및 생산은 금후에도 당분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현재 카자흐스탄의 대부분 감 자 농가에서는 높은 가격에 비하여 바이러스 등 병 오염이 심 한 시장 판매 씨감자들에 대해 불만이 매우 높다. 이에 무병 씨감자에 대한 농가들의 수요가 큰 상황이다. 이와 함께 현지 농업인, 유통업자, 그리고 소비자들에게 해외 감자품종 및 씨 감자에 대한 반감이 전혀 없는 것은 우리나라의 고품질 무병 씨감자를 앞세운 현지 시장 진출 전망을 밝게 하는 요소들이 다. 씨감자를 이용한 현지 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먼저 원거리 물류이동에 대한 부담 때문에 경제적인 씨감자 수급체계에 대 한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예로써 기내소괴경 등 최소 규모로 최상위 단계 씨감자를 국내에서 생산한 후 카자흐스탄 현지로 이송하여 2~3년 채종을 통한 보급종급 판매용 씨감자를 생산 하는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이럴 경우, 진출 시장의 규모가 어느 정도 확보된 후에는 현지에 무병묘 육성 등 최상위단계 생산을 위한 배양실 등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이와 함께 UPOV 대비 품종권리 등을 고려한 자체 품종의 구 비가 필요하다. 카자흐스탄은 일장, 온도, 토질 등 감자의 생 산 환경이 우리나라와는 차이가 크기 때문에, 현지 적응성과 농가 및 소비시장의 기호에 적합한 감자 품종의 구비가 선행 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현지 재배품종들은 대부분 9~10 월에 집중 출하되는 만생종이다. 이 때문에 8월까지는 우즈베 키스탄 등으로부터의 수입산 감자들이 비교적 고가에 시장 출 하된다. 이런 측면에서 조기비대 및 조숙 특성이 우수한 감자 품종을 이용하면 8월 출하가 가능하여 틈새시장 공략이 가능 하다. 이는 품종과 씨감자의 패키지 상품화를 가능하게 하여 우리나라 감자품종 및 고품질 씨감자의 카자흐스탄 시장 진출 전략으로 유효할 것으로 판단된다. 품종구비와 함께 기술적 요 소로는 수확 전·후 관리기술이 반드시 동반 투입되어야 할 것 으로 보인다. 즉, 씨감자 수확 후 저장전 선별 및 큐어링을 적절히 실시함으로써 현재 50% 가량 감모되는 저장 중 부패 를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감자의 생육 중 적절한 약제사용 을 통하여 현지 채종포에서 진딧물, 뿔나방 등을 사전 방제함 으로서 씨감자의 바이러스 오염율을 낮출 수 있고, 저장 중 대규모 충해를 예방할 수 있다. 한편, 카자흐스탄의 감자재배 시 환경특성은 중국 북부, 몽골, 러시아 지역 등과 유사하다. 이에 따라 (씨)감자분야의 카자흐스탄 시장 진출의 성공은 곧 중국, 몽골, 러시아 등으로의 진출 확대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 어 매우 중요하다. 카자흐스탄은 최근 러시아, 벨라루스 등과 관세동맹(2010년 1월)을 발족하여 단일 통관 시스템을 구축하 여 인근 국가들로의 씨감자 유통이 수월해지는 추세이기도 하 다(The Export-Import Bank of Korea, 2015). 이에 따라 우 리나라의 정부, 지자체, 민간기업 등 다양한 차원에서 카자흐 스탄 감자 시장 진출을 위한 인적·물적 투입과 협력 교류의 증가는 매우 바람직한 현상으로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카자흐 스탄의 감자 관련 대내외 환경을 고려할 때, 우리나라의 현지 적응 우수 품종 및 고품질 상위단계 씨감자와 수확 전·후 관 리기술 등을 연계한다면 현지 감자농가들의 고품질 씨감자에 대한 욕구 충족과 함께, 감자의 틈새시장 진입을 위한 경쟁력 을 높이는 데 유리하여 카자흐스탄의 감자 시장에 성공적인 진출이 가능하리라 전망된다.

    적 요

    1. 카자흐스탄의 감자 면적은 2006년 15만4천 ha에서 2016 년 18만6천 ha로 10년 사이 20.8% 늘었고, 생산량 또한 같 은 기간 50.1%인 118만4천 톤 증가하였다.

    2. 단위면적당 수량(/ha)은 2006년 15.4톤에서 2016년 19.0 톤으로 3.6톤 증가하였으며, 이는 민간업체를 통한 씨감자의 수입 및 공급이 늘었기 때문이다.

    3. 감자 수입량은 2006년 34,874톤에서 2013년 112,323톤 으로 7년 사이 3.2배 증가하였고, 수출량 또한 2006년 73톤에 서 2013년 8,455톤으로 크게 증가하였다.

    4. 카자흐스탄 내 감자 품종수는 60여 종으로서, 30종은 자 체 육성되었고, 9종은 독립국가연합(CIS)에서, 21종은 러시아, 네덜란드 등에서 도입되었다.

    5. 감자 작형은 여름 단작이 주를 이루며, 수확된 감자의 80%는 도매시장에 출하되고, 나머지 20%는 차년도 씨감자로 써 저장고에 입고된다.

    6. 재배 및 저장중 주된 문제해충으로는 겹둥근무늬병(Early blight, Alternaria solani), 무름병(Potato bacterial soft rot, Erwinia carotovora), 콜로라도감자잎벌레(Leptinotarsa decemlineata), 뿔나방(Potato tuber moth, Phthorimaea operculella) 등이 있다.

    7. 가격 대비 품위가 낮은 시장 판매 씨감자들로 인하여 고 품질 무병 씨감자에 대한 농가 수요가 높아 이를 활용한 카자 흐스탄 감자시장 진출은 전망이 밝은 편이다.

    8. 현지 감자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경제적인 씨감자 물류체 계와 현지적응 우수 감자 품종이 사전 구비돼야 하고, 수확전 후 관리기술의 동반 투입이 반드시 필요하다.

    ACKNOWLEDGMENTS

    본 연구는 농림축산식품부 골든 씨드 프로젝트사업(세부과 제명: 중앙아시아 및 북방지역 수출용 감자 품종 개발, 세부과 제번호: PJ012647012018, 213009-05-2-SB520)의 지원에 의 해 이루어진 것입니다.

    Figure

    KSIA-30-177_F1.gif

    Changes of potato cultivation area and production yield in Kazakhstan. *Source: FAOSTAT (2017).

    KSIA-30-177_F2.gif

    Changes of potato yield per hectare (ha) in Kazakhstan. *Source: FAOSTAT (2017).

    KSIA-30-177_F3.gif

    Percentage of potato cultivation area (A) and production yield (B) by regions in Kazakhstan. *Source: KREI (2015); Seo et al. (2016).

    KSIA-30-177_F4.gif

    Changes of quantity and value at import and export of potato in Kazakhstan. *Source: FAOSTAT (2017).

    KSIA-30-177_F5.gif

    Changes of values per ton in potato import and export of Kazakhstan. *Source: FAOSTAT (2017).

    KSIA-30-177_F6.gif

    Various storage methods of potato in Kazakhstan. A~C: Macro seed companies’ storage, D: Farmer’s storage.

    KSIA-30-177_F7.gif

    The wholesale (A & B) and retail (C & D) markets, and main dish (E) of potato in Kazakhstan.

    Table

    Reference

    1. AccuWeather. 2018. https://www.accuweather.com/ko/kz/kazakhstan-weather.
    2.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FAO). 2013. AQUASTAT-FAO s information system on water and agricultur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FAO). 2017. http://www.fao.org/faostat/en/#data/QC.
    3. Helgi Analytics. 2017. https://www.helgilibrary.com/indicators/potatoconsumptionper-capita/kazakhstan/.
    4. Im, J.S. 2016. The first research report of golden seed project: breeding of potato cultivar for export adapted to China (northern region) and central Asia. pp.61-62.
    5. Kim, H.Y , H.G. Moon, S.H. Yun, G.J. Jin and Y.J Seo. 2016a. Report on entry strategy of food seed market according to the countries. GSP, Suwon, Republic of Korea. pp.115-123.
    6. Kim, H.Y , H.G. Moon, Y.S. Lee, G.J. Jin and J.M. Kim. 2016b. Trend report of research and market according to the countries for food seed export. GSP, Suwon, Republic of Korea. pp.181-196.
    7. Korea Trade-Investment Promotion Agency (KOTRA). 2017. http://news.kotra.or.kr/pdfView/nationInfo/nationPDF/101092/101092.pdf.
    8.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KREI). 2015. The current status of agriculture in Kazakhstan and Uzbekistan. R771 Research Data- 2, Naju, Republic of Korea. pp.8-10. http://library.krei.re.kr/pyxisapi/1/digital-files/605ba745- b3f3-2a94 -e054-b09928988b3c.
    9. Lee, J.R. , H.C. Ko, G.T. Cho, K.H. Ma, S.Y. Lee, H.J. Park and J.G. Gwag. 2014. Agricultural status in Kazakhstan Republic and Korean strategies for agriculture technical cooperation with Kazakhstan . Korean J. Int. Agric.26(4):325-336.
    10. OECD. 2013. OECD Review of Agricultural Policies: Kazakhstan 2013, OECD Publishing. http://dx.doi.org/10.1787/9789264191761-en.
    11. Park, P.S. , S.Y. Park, H.S. Yu and H.J. Park. 2009. Survey on the agricultural situation of Kazakhstan for food production base . Korean J. Intl. Agri.21(2):111-119.
    12.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2016. Potato. RDA, Jeonju, Korea. p. 173. http://203.241.55.211/smartmylibrary/data/contents/3ac79af1-ebc4-4fb6-8c61-49c53a94ba55/18219_Page_img/extra/RNB0004553.pdf.
    13. Seo, S.G. , J.U. Yun and Y.G. Hwang. 2016. Circumstance investigation and marketing strategy of seed potato industry in Kazakhstan. Hongikbio, Pyeongtaek, Republic of Korea.
    14. The Export-Import Bank of Korea. 2015. The country s status and entry conditions of Kazakhstan and Uzbekistan. Research report. 2015-4: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