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8504(Print)
ISSN : 2287-8165(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Vol.30 No.4 pp.292-299
DOI : https://doi.org/10.12719/KSIA.2018.30.4.292

Analysis of Utilization and Maintenance of Major Agricultural machinery (Tractor, Combine Harvester and Rice Transplanter)

Sungha Hong*,Kyu-hong Choi**,†
*Institute of Agro-Biotechnology Convergence, Jeonju University
**Department of Agro-Biotechnology Convergence, Jeonju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Phone) +82-10-6436-6081 (E-mail) niaechoi@jj.ac.kr
August 28, 2018 November 3, 2018 November 9, 2018

Abstract


In a survey in which farmers were asked about their levels of satisfaction with agricultural machines, Japanese products scored higher than local products by 1.2, 1.3, and 1.4 times for tractors, combine harvesters, and rice transplanter, respectively. Japanese products corresponded to generally high satisfaction levels in terms of operating performance, operability, frequency of breakdowns, and durability, excluding sales price and after-sales services. Effective countermeasures through quality improvement are therefore necessary for Korean products. Furthermore, a survey of dealers showed that the components and consumables for core agricultural machines had high frequencies of breakdowns and repairs. Four major components of tractors represented 85.3% of all breakdowns and repairs, five components of combine harvesters represented 89.6%, and three components of rice transplanters represented 80.5%. Moreover, a comparison of the technological levels between local and imported machines showed that the local machines’ levels were at 60–100% for tractors, 70–100% for combine harvesters, and 70–95% for rice transplanters. Small and mid-sized tractors, 4 interrow combine harvesters, and 6 interrow rice transplanters showed similar levels of technolog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uggest that action is urgently needed at a policy level to establish an agricultural machinery component research center for the development, production, and supply of commonly-used components, with the participation of manufacturers of agricultural machines and components, in order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local manufacturers and to revitalize the agricultural machine market.



핵심 농기계(트랙터, 콤바인 및 이앙기) 이용 및 수리실태 분석

홍 성하*, 최 규홍**,†
*전주대학교 농생명융합연구소
**전주대학교 농생명융합학과

초록


    Jeonju University

    서 언

    현재 한국의 벼농사 농업기계화율은 97.9%로 경운정지, 이 앙, 방제, 수확 및 건조까지 전 작업이 기계화되었다(RDA, 2016). 농업기계화는 1971년 1,471만 명 수준인 농가인구가 경 제성장 과정에서 2017년 242만 명으로 83.5% 줄어든 농촌인 력을 대체하는 효과를 거두었다. 또한, 같은 기간 중 품종개량, 적정시비, 적기 병해충 방제 및 수확으로 단위면적당 생산량이 327 kg/10a에서 527 kg/10a로 195% 증가하였다(KOSIS, 2018). 그리고 국산 농기계는 1968년 경운기 엔진의 국산화를 시작으 로 2017년 수출 9억 USD를 달성하였다(KAMICO, 2018). 이 는, 정책당국에서 식량자급자족의 강력한 농업기계화정책을 추 진하고, 산업체는 선진기술을 도입하여 농기계의 국산화를 실 현하였으며, 농업인은 신기술을 적용하는 동시에 나타난 문제 점을 산업체에 피드백하고, 연구기관은 정책 지원과 문제 해결 을 위해 연구개발을 추진하는 등의 선순환체계가 형성된 결과 이다(KSAM, 2017). 국내 농기계 시장은 1990년대까지 빠르 게 성장하였으나, 기계기술 발전에 의한 고성능 및 대형 농기 계 공급이 늘어나면서 2000년 이후 절대 공급대수가 감소하 는 추세이다(KREI, 2013).

    농기계의 경쟁력을 결정하는 요인에는 작업성능, 조작편이 성, 내구성, 고장정도, 가격만족도 및 사후봉사 등이 대표적으 로 사용되고 있다(Rothwell, 1981;Freeman, 2004;Yang & BAI, 2004;Latruffe, 2010;Lee et. al. 2016). 작업성능과 조작편이성은 인간공학적 설계를 통한 최적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데 대표적으로 인체모형을 이용한 자동차 설계(Park & Kang, 1998), 작업부하의 정확성 평가(Park et. al. 2006), 농 기계 재해관련 사용자 요구사항 분석(Park et. al. 2004), 다양 한 설계요소의 종합적 사용성 평가(Lee et. al. 2011), 농작업 자세의 분석(Lee et. al. 2008;Lee et. al. 2009;Choi et. al. 2009;Lee & Park, 2011;Kim et. al. 2011;Kwak, 2014) 등의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국내 농기계 기술은 선진국 에 비해 연구 인력, 연구비 및 제조기술이 미흡하고, 최근에는 엔화가치의 하락으로 가격경쟁력이 약화되었다(Shin et. al. 2014). 또한 농업인을 대상으로 한 농기계 만족도 조사에서 국 산은 수입산에 비해 품질만족도가 낮고, 특히 잔고장에 대 한 만족도가 크게 낮으며, 사후관리에 있어서도 부품 품질 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Lee et. al. 2015;Lee et. al. 2016).

    이 연구는 농기계의 수입산 대비 국산의 문제점을 파악하 고, 이를 바탕으로 한 전략적인 대응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진 행되었다. 우선 기초자료 수집을 위해 농업인을 대상으로 핵 심 농기계에 대한 국산과 수입산의 고장 및 이용상 문제점을 조사하였다. 다음으로 농기계 대리점의 운영 애로사항 및 수 리실태 조사, 제조사의 기술개발 현황과 수입산 농기계에 대 한 대응방안을 방문조사와 설문조사하였다. 그리고 수집된 자 료의 분석을 통해 국산 농기계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경쟁력 제고방안을 제시하였다.

    조사 및 분석 방법

    핵심 농기계(트랙터, 이앙기 및 콤바인)에 대한 조사는 2017년 7월부터 11월 사이에 실시하였다. 조사는 크게 농업 인의 농기계 이용실태조사, 농기계 대리점의 운영 및 수리 실태조사, 제조업체의 연구개발 현황조사로 구분하여 실시 하였다. 농업인 방문조사는 국내 대표적인 평야지인 김제와 익산 지역의 농가를, 설문조사는 중산간지인 광양 지역의 농 가를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대상은 트랙터 32농가, 콤바인 30농가, 이앙기 32농가 이었고, 농기계 이용실태조사에 따 른 만족도 조사는 5개항(작업성능, 조작성, 내구성, 가격만 족도 및 고장빈도)으로 하였다. 만족도 평가를 위해 선행연 구자들이 농업분야(Jung, et. al. 2009;Kim & Lee, 2013;Park et. al. 2016;Lee et. al. 2016)에서 다양하게 적용 한 5점 척도를 이용하였다. 5점 척도는 성능 매우 만족, 가 격 매우 낮음 및 고장 거의 없음(5점); 성능 만족, 가격 낮 음 및 고장 적음(4점); 성능 보통, 가격 적절 및 고장 보통 (3점); 성능 불만족, 가격 고가 및 고장 많음(2점); 성능 매 우 불만족, 가격 매우 고가 및 고장 매우 많음(1점)으로 배 점하였고, 각 점수별 응답 비중을 반영해서 20점 척도를 곱 해 100점 단위로 환산하여 산출하였다.

    농기계 판매대리점 운영·수리실태 조사는 전국 92개소 대리 점중에서 조사에 응한 56개소를 대상으로 방문조사와 설문조 사를 통해 대리점의 수리실적과 운영상의 애로사항, 제조사에 대한 제품의 불만 및 건의사항, 농업인의 국산 농기계에 대한 인식 및 불만사항을 각각 조사하였다. 전북 지역 대리점은 직 접 방문 조사하였고, 그 외 지역은 우편 설문조사하였다. 또 한, 제조업체의 연구개발 현황조사는 국내 4대 대기업 제조사 를 방문하여 기술개발 책임자와의 면담을 통해 핵심 농기계의 기술수준을 자체 평가하고, 수입산 대비 국산의 문제점을 5개 항목(작업성능, 조작편이성, 내구성, 가격 및 사후봉사)으로 구 분하여 조사·분석하였다.

    결과 및 고찰

    농가의 핵심 농기계 이용실태 및 만족도

    가. 조사대상 농가의 농기계 이용실태

    농기계 이용실태 조사는 김제·익산 지역의 농가를 대상으 로 작업면적, 이용일수 및 임작업료를 방문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일작업면적에서 원산지별 자가와 수탁 비율의 차이는 –0.9%에서 0.5% 범위로 작았다. 그러나 수입산 트랙터의 일작업면적은 국산 트랙터의 1.46배, 콤바인은 1.12배, 이앙 기는 1.11배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Table 1).

    나. 트랙터 이용실태 및 만족도

    조사대상 32농가는 김제 18농가(56.3%), 광양 9농가 (28.1%), 익산 5농가(15.6%)로 구성되었다. 트랙터의 원산지별 분포는 국산 19대(59.4%), 수입산 13대(40.6%)이었다. 사용자 의 연령별 구성은 40-60대가 전체의 78.1%를 차지하였고, 60 대에서 국산 36.8%, 수입산 38.5%로 가장 높은 구성비를 보 였다(Table 2).

    트랙터의 만족도 평가결과, 수입산은 평균 72.9점으로 국산의 평균 59.6점에 대비하여 1.2배 만족도가 높았다. 작업성능은 수 입산이 국산의 1.25배, 조작성 1.27배, 내구성 1.3배, 가격만족 0.9배, 고장빈도 1.38배로 나타나, 가격을 제외한 전부분에서 만 족도가 1.25-1.38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 Fig. 1).

    다. 콤바인 이용실태 및 만족도

    조사대상 30농가는 김제 13농가(43.3%), 광양 11농가 (36.7%), 익산 6농가 (20%) 이었다. 콤바인 원산지별로는 국산 18대(60%), 수입산 12대(40%)로 구성되었고, 사용자의 연령별 구성비에서 40-60대가 전체의 73.3%, 국산은 60대에서 38.8%, 수입산은 40대에서 33.3%로 높은 구성비를 보였다(Table 4).

    만족도 평가결과, 수입산 콤바인은 평균 77.0점으로 국산 콤 바인 평균 58.9점에 대비하여 1.3배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수입산은 부분별로 작업성능 1.42배, 조작성 1.23배, 내구성 1.39배, 가격만족 0.95배, 고장빈도 1.53배로 나타나 가격을 제 외한 전부분에서 만족도가 1.23-1.5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5, Fig. 2).

    라. 이앙기 이용실태 및 만족도

    조사대상 농가는 김제 14농가(43.8%), 광양 11농가(34.4%), 익산 7농가(21.9%)로 전체 32농가 이었다. 이앙기 원산지별로 는 국산 21대(65.6%), 수입산 11대(34.4%)로 구성되었고, 사 용자의 연령별 분포는 40-60대가 전체의 81.3%로 높게 나타 났다. 국산은 60대에서 52.4%인 반면에 수입산은 40대에서 45.5%로 높은 구성비를 보여, 젊은 층일수록 수입산을 선호하 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Table 6).

    이앙기 만족도 평가결과, 수입산은 평균 78.9점으로 국산의 평균 57.1점에 대비하여 1.4배 만족도가 높았다. 수입산은 부 분별로 작업성능 1.39배, 조작성 1.34배, 내구성 1.48배, 가격 만족 1.08배, 고장빈도 1.61배로 나타나 가격을 포함한 전부분 에서 만족도가 1.08-1.61배 높게 나타났다(Table 7, Fig. 3).

    농기계 대리점의 운영 및 수리실태

    가.조사대상 농기계 대리점 수및 제조사별 구성비

    설문에 응답한 56개소의 대리점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제 조사별로 분류한 결과, 대동공업 17개소(30.4%), 국제 15개소 (26.8%), 엘에스 12개소(21.4%), 동양물산 12개소(21.4%) 이 었다. 지역별로는 전북 12개소(21.4%), 경북 9개소(16.1%), 전 남 8개소(14.3%), 충남 7개소(12.5%), 경기 7개소(12.5%) 등 의 구성비를 보였다(Fig. 4).

    나.대리점의 수리실태 조사 및 분석

    전국 56개 대리점에 근무 중인 수리기사는 181명이었고, 개 소 당 평균 3.2명으로 분석되었다. 수리기사의 채용은 경력자 채용 28개소(50%), 신규자 채용(자체교육 후 수리 투입) 15개 소(27%), 혼용(경력자 채용 및 신규자 채용) 13개소(23%)로 나타났다. 핵심 농기계에 대한 수리실태를 조사한 결과, 트랙 터, 콤바인, 이앙기의 수리실적은 3-5개 부분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트랙터는 오일씰, 전장품, 유압계통 및 변속기 등 주 요 4개 부분에서 전체 수리요구 사항 170건 중 85.3%가 발 생하였다(Fig. 5). 콤바인은 체인류, 벨트류, 전장품, 예취부 및 주행부 등 주요 5개 부분에서 전체 수리요구 사항 183건 중 89.6%가 발생하였다(Fig. 6). 한편 이앙기는 오일씰, 식부침 및 전장품 등 주요 3개 부분에서 전체 수리요구 사항 133건 중 80.5%를 차지하였다(Fig. 7).

    다. 대리점의 이해관계자 간의 불만 및 건의사항

    대리점 운영상의 애로사항은 56개 대리점에서 복수응답으로 수집한 총 166건을 4개 항목으로 정리되었는데, 23-26%의 범 위에서 비슷한 구성비를 보였다. 즉 자금회전의 어려움 26%, 수리기사 채용 25.5%, 수입산 농기계와 경쟁 25.5%, 국내 경 쟁사와 경쟁 23%로 나타났다. 제조사에 대한 불만사항 총 143건을 분류한 결과, 잔고장 발생이 30.1%로 가장 높았고, 수입산 농기계에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 28.7%, 문제 점 개선의 지연 22.4%, 작업성능의 저하 18.9%로 나타났다. 특히 국산 농기계가 수입산 농기계에 비해 잔고장이 많이 발 생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대리점의 농업인에 대한 불만 사항 총 135건을 4개 항목으로 정리되었는데, 농업인의 수입 산 농기계 선호가 32.6%의 높은 구성비를 보였고, 수입산 농 기계 대비 국산 농기계를 낮게 평가하는 편견 25.2%, 규정 속도 이상의 과도한 작업 23.7%, 농작업을 마친 후 관리소홀 18.5%로 나타났다. 대리점은 국산 농기계의 경쟁력 강화를 위 해서는 가격 인하와 품질 개선이 시급하다고 제시하고 있다.

    제조사의 국산 농기계에 대한 기술수준 평가

    제조사 기술개발 책임자는 수입산 대비 국산의 기술수준이 중소형 트랙터, 4조 콤바인, 6조 이앙기는 근접하고 있으나, 대체로 트랙터는 60-100%, 콤바인 70-100%, 이앙기 70-95% 로 평가하고 있었다. 즉, 농업인을 대상으로 한 만족도 조사결 과(국산/수입산)의 평균인 트랙터 81.8%, 콤바인 76.5%, 이앙 기 72.4% 보다 전반적으로 좋게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8).

    수입산 농기계 대비 국산 농기계의 불만사항을 5가지 항목 (작업성능, 조작편이성, 내구성, 가격 및 사후봉사)으로 설문한 결과, 트랙터는 제조사 마다 다른 의견을 보였으며, 콤바인은 내구성을, 이앙기는 조작편이성을 가장 큰 문제로 인식하고 있 었다. 그러나 국산이 수입산과 비교하여 가격과 사후봉사 부 분에서는 경쟁력이 있다고 응답하였다(Table 9).

    한편, 대리점을 대상으로 한 운영 및 수리실태 조사(제조사 에 대한 불만사항)의 결과로 유추하면, 핵심 농기계 모두 내 구성이 가장 큰 문제이며, 다음으로 작업성능과 조작편이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즉 농기계의 경쟁력 제고를 위 해서는 작업성능과 조작편이성 향상 못지않게 내구성 향상을 통한 고장빈도 발생을 줄이는 대책이 단기간 내에 강구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적 요

    농가의 핵심 농기계 이용 만족도를 조사·분석한 결과, 수입 산이 국산 대비 트랙터는 1.2배, 콤바인 1.3배, 이앙기 1.4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격과 사후봉사를 제외한 작업성 능, 조작편이성, 내구성, 고장빈도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였고, 이는 전자유압제어, 파워트레인 및 변속기 설계, 신소재, 저소 음 캐빈 등 기술수준의 차이가 반영된 결과로 여겨진다. 국산 농기계의 품질향상을 통한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한 것으로 판 단된다. 대리점을 대상으로 한 핵심 농기계의 부품 및 소모품 에서 고장·수리 빈도수가 높게 나타났다. 트랙터는 주요 4개 부위에서 85.3%, 콤바인은 5개 부위에서 89.6%, 이앙기는 3 개 부위에서 80.5%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제조 사를 대상으로 한 수입산 대비 국산의 기술수준이 중소형 트 랙터, 4조 콤바인 및 6조 이앙기는 근접하였으나, 트랙터는 60-100%, 콤바인 70-100%, 이앙기 70-95%로 평가되었다. 또 한 국산의 문제점으로 트랙터는 내구성과 조작편이성, 콤바인 은 내구성, 이앙기는 조작편이성을 가장 큰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농가, 대리점 및 제조사의 조사결과를 종합해보면, 농가 및 대리점에서는 품질 개선과 내구성 향상이 시급하다고 응답하 는 반면에, 제조업체는 주로 작업성능과 조작편이성 향상 기 술개발에 역점을 두고 있어 현장과 괴리감을 보였다. 따라서 제조사에서는 농가와 대리점의 애로사항을 설계·생산에 적극 반영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수입산 농기계 대비 국산 의 가장 큰 문제점은 잔고장으로 대표되는 품질 문제로 분석 되었다. 이는 제조사 입장에서 농기계 판매의 계절성에 따른 경영악화와 소량 생산으로 인한 한정적인 제품원가 절감요소 가 낳은 결과로 판단된다. 제조사 입장에서는 시장의 가격경 쟁력 강화를 위해 자체적으로 기종별 부품 공용화와 다량 구 매 부품의 원가절감 전략을 구사하고 있는데, 이로 인해 오히 려 품질 저하와 농가 불만 증가를 초래, 점진적인 시장점유율 하락을 인지하면서도 부품개발 등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못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국산 농기계 부품의 신뢰성 및 내구성 시험 강 화를 위해 일본 수준의 시험검정과 연속시험 보완이 필요하 며, 농가 보호를 위해 고장·수리 빈도수가 높은 주요 부품에 대한 정례적인 사후검정기준 마련 등 제도적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국내 농기계산업의 활성화와 국산농기 계의 국내외 시장경쟁력 강화를 위해, 현재 시점에서 정책적 으로 제조사와 부품 제조업체를 포함하는 공용부품 개발, 제 조 및 공급을 위한 농기계부품연구원의 설립이 절대적으로 필 요한 시기로 판단된다.

    ACKNOWLEDGMENTS

    본 연구는 한국농기계공업협동조합과 한국농업기계학회의 자료를 기초로 2018학년도 전주대학교의 교비 지원에 의해서 수행되었음.

    Figure

    KSIA-30-292_F1.gif

    Satisfaction assessment through the survey of import and domestic tractors(Out of 100)

    KSIA-30-292_F2.gif

    Satisfaction assessment through the survey of import and domestic combine harvesters(Out of 100)

    KSIA-30-292_F3.gif

    Satisfaction assessment through the survey of import and domestic rice transplanters(Out of 100)

    KSIA-30-292_F4.gif

    Surveyed agencies by region

    KSIA-30-292_F5.gif

    Number of repair parts of tractor(Multiple selection)

    KSIA-30-292_F6.gif

    Number of repair parts of combine harvester(Multiple selection)

    KSIA-30-292_F7.gif

    Number of repair parts of rice transplanter(Multiple selection)

    Table

    Working area, working days and custom work fees of major agricultural machinery for the survey areas(Iksan-si, Kimje-si and Gwangyang-si)

    Number of tractor survey for area and age distribution of users

    Satisfaction for the survey of tractors

    Number of combine harvester survey for area and age distribution of users

    Satisfaction for the survey of combine harvesters

    Number of rice transplanter survey for area and age distribution of users

    Satisfaction for the survey of rice transplanters

    Self technology assessment on the technology level of domestic products based on imports(Unit: %)

    Self priority assessment on the dissatisfactions for the domestic products based on imports(by rank)

    Reference

    1. Choi, C. H. , Kim, J. D. , Kim, T. H. , Mun, J. H. , Kim, Y. J. 2009. A study on visibility evaluation for cabin type combine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34(2):120-126.
    2. Freeman, C. 2004. Technological infrastructure and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 Industrial and Corporate Change.13(3):541-569.
    3. Jung, G. H. , Cheon, M. H. , Lee, W. S. 2009. Study on the use of agricultural information in leaf vegetable farmers . Korean Society of Food and Agricultural Information Science.1(1):63-83.
    4. KAMICO(Korea Agricultural Machinery Industry Cooperative). 2018. The main import and export statistics (http://www.kamico.or.kr/homepage/tradeStatic.do).
    5. Kim, B. S. & Lee, J, W. 2013. An ecological systematic analysis on the rural society adjustment of urban migrants to rural . The Korean Rural Sociological Society.23(2):7-48.
    6. Kim, D. H. , Lee, K. S. , Kim, H. C. 2011. Anthropometric characteristics of Korean farmers in a sitting posture .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ence.22(1):63-76.
    7. KOSIS(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8.(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Index.do?menuId=M_01_01&vwcd=MT_ZTITLE&parmTabId=M_01_01#SelectStatsBoxDiv)
    8. KREI(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13. Basic Research Report-R691-1_Development Strategy for the AgriculturalMachinery Industry. pp. 1-206.
    9. KSAM(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2017. Research Report on Cooperation Policy between Industry and University_Improvement of industrial competitiveness of agricultural machinery(Tractor, Combine Harvester and Rice Transplanter). pp. 2-3.
    10. Kwak, H. Y. 2014. A review of studies on the farmer’s safety anf heath in Korea on the ergonomic perspectiv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15(7):4165-4176.
    11. Latruffe, L. 2010. Competitiveness, productivity and efficiency in the agricultural and agri-food sectors. pp. 5-63.
    12. Lee, C. K. , Choi, Y. , Choi, D. K. , Kang, T. K. , Jun, H. J. , Choi, I. S. , Park, T. J. 2015. Comparative analysis of general distribution status and main performance for head-feeding combines in Korea .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27(1) : 76-81.
    13. Lee, C. K. , Choi, Y. , Choi, D. K. , Kang, T. K. , Jun, H. J. , Choi, I. S. , Park, T. J. 2015. Comparative analysis of general distribution status and main performance for rice transplanters in Korea .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27(1) : 82-87.
    14. Lee, J. M. , Shin, S. Y. , Kim, Y. Y. , Hwang, S, J. , Noh, J. S. 2016. An analysis of user satisfaction on major agricultural machinery. KSAM 2016 Autumn Conference Proceedings. 21(2):108.
    15. Lee, K. S. , Park, K. S. , Kim, C. H. , Kim, K. R. , Kim, H. C. , Chae, H. S. 2009. Development of indicators for safety supervision on farm work and life environment of farmer .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28(4):77-82.
    16. Lee, S. J. & ParkH. J. 2011.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among agricultural workers .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30(4):525-534.
    17. Lee, S. S. , Kim, Y. H. , Choi, A. R. , Mun, J. H. 2008. A study on ergonomics design of wheelbarrow for melon farm on protected horticulture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33(3):157-166.
    18. Lee, W. S. , Jung, K. H. , Lee, H. J. , Song, H. U. , Oh, J. K. , You, H. C. 2011. Development of a comprehensive usability testing and analysis framework for the physical interface between product and user .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30(2):331-338.
    19. Park, B. Y. , Lee, S. B. , Lee, S g., Park, S. G., Jung, I. H., Jun, I. S. 2016. A case study on improvement of pest control research in rural development institutions and its implications. Korea Association of Organic Agriculture. 24(4):609-625.
    20. Park, D. H. , YunM. H. , Ji, Y. G. , Choi, Y. J. , Lee, J. H. 2004. A study of safety guideline and customer needs on agricultural machinery. The Korean Operations Research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2004 Spring Conference Proceedings. pp. 655-658.
    21. Park, G. M. , Ryu, T. B. , Kee, D. H. , Chung, M. K. 2006. Accuracy evaluation of MSD?related risky work criterion of Korea ministry of labor using ergonomic workload evaluation methods .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25(2):119-123.
    22. Park, S. J. & Kang, D. S. 1998. Ergonomic Vehicle Design Using an Ergonomic Human Model. IE interfaces. 11(2):125-137.
    23. RDA(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6. 2015 Agricultural machinery utilization survey. p. 61.
    24. Rothwell, R. 1981. Non-price factors in the export competitiveness of agricultural engineering products . Research Policy.10(3):260-288.
    25. Shin, S. Y. , Kang, C. H. , Yu, S. C. , Kim, B. G. , Kim, Y. Y. , Kim, J. O. , Noh, J. S. 2014. Price trends of agricultural machinery in Korea. KSAM 2014 Spring Conference Proceedings. 19(1):157-158.
    26. Yang, M. L. & Bai, R. P. 2004.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gricultural Mechanization and Agricultural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 Chinese Agriculture Mechan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