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8504(Print)
ISSN : 2287-8165(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Vol.32 No.1 pp.38-41
DOI : https://doi.org/10.12719/KSIA.2020.32.1.38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of Rice Sectors in Romania

Gihwan Yi*,**†
*Dept. of Farm management,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41566, Korea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41566, Korea
Corresponding author (Phone) +82-10-2463-1974 (E-mail) gihwan@knu.ac.kr
January 28, 2020 February 18, 2020 February 24, 2020

Abstract


This present paper was carried out to provide information of Romanian rice sector and market for “Golden Seed Project”on varietal improvement and rice market pioneering in Mediterranean and European regions. Romania ranks 4th in the European Union on agricultural output. 45,000 tons of rice is produced yearly from 8,400 ha along the Danube River in Ialomita, Braila, Olt and Dolj County. Over 90% of land on which rice cultivated is owned by Italian companies such as Riso Scotti Danubio, Padova Agricultura and Beg Agricultura. The quantity of import and domestic consumption has been increased steadily since 2007. Current value of import and domestic consumption is 54,000 tons and 77,000 tons each. The main bottleneck of rice sector in Romania is uncertainty of domestic supplying in accordance with controlled production by foreign company. Policy supports by Romanian government is needed in irrigation, varietal improvement, and fostering local companies for stable domestic rice supply. In conclusion, Romania has a great potential of rice industry in terms of favorable conditions such as vest flat land, easy source of water from Danube River, suitable warm weather for rice growing and increasing demand/supply of rice in EU and Romania.



루마니아의 벼 산업 여건 및 전망

이 기환*,**†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산업학과
**경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초록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13009-05-04- WT311

    서 언

    유럽지역의 벼 재배면적은 약 43.1만 ha로 이태리와 스페 인이 전체 생산량의 70%를 차지하고 있다(FAO, 2019). 유럽 연합(EU-28)의 연간 쌀 소비량은 2.9백만 톤으로 도정률, 비축 량 등을 감안하면 약 1.2백만 톤이 부족한 상황이며 2023년 이후 부터 소비량은 3백만 톤으로 수입량은 1.5백만 톤으로 늘 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EU agricultural outlook, 2016). EU에서 쌀 소비가 증가되는 주요 요인은 소비자에게 쌀이 건 강식으로 인식되기 시작하였고 아시아 및 아프리카지역 인구 의 이·난민 및 이민 후세대들의 증가 등이라고 보고된 바 있다 (Yi, 2017). 쌀 수급의 불균형 해소를 위해서는 재배면적의 확 대가 요구되나 주요 생산국인 이태리나 스페인은 도시화 등의 영향으로 면적 확대가 어려운 실정이어서 벼 재배에 적합한 농 지가 많은 흑해연안 국가의 재배면적 확대가 한 방편이다(Yi, 2017).

    흑해 연안에 위치한 루마니아는 연간 27백만 톤의 농산물을 생산하는 EU 4위의 농업생산국으로 농업에 유리한 천혜의 자 연조건과 12.5백만 ha의 넓은 농경지를 가지고 있다(Eurostat, 2018). 루마니아에서는 2018년 기준 8.4천 ha에서 45천 톤의 벼가 생산되는 EU 6위의 벼 생산국이지만 과거 차우셰스쿠 정 권 시절 식량자급을 목표로 재배면적을 49천 ha까지 확대하여 152천 톤을 생산한 적이 있는 벼 산업 잠재력이 매우 높은 국가이다(FAO, 2019). 또한 루마니아는 유럽 전체 벼 재배면 적의 약 140%에 해당하는 벼 재배에 적합한 614천 ha의 농 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Ion, 2012).

    농림수산기획평가원(iPET)에서 해외 쌀시장 개척을 위하여 “골든시드프로젝트(GSP)”의 일환으로 “지중해 연안 및 고위도 지역 적응 수출용 다수성 중단립종 벼 품종개발” 과제를 추진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GSP 과제의 산업화를 위한 시장 여건조사에 활용하고자 루마니아의 주요 벼 생산기업 및 수급 동향과 벼 산업 관련 문제점 등을 분석하였다.

    본 론

    1. 루마니아의 벼 재배면적 및 생산 추이

    루마니아에 벼가 처음 재배된 것은 1786년으로 중동부에 위 치한 Banat 지방으로 이태리인들이 시작한 것으로 알려져 있 다(Iuliana et al., 2016). 그 후 1934년에는 약 100 ha 그리 고 1938년에는 400 ha의 벼 재배기록이 있으나 본격적인 재배 가 이루어진 것은 비교적 최근인 1960년대 이후이다(Ion, 2012). 루마니아의 벼 재배는 크게 4시기로 구분할 수 있는데 (Fig. 1), 1기는 재배 태동기인 1961~1982년 사이로 주로 정 부주도하에 재배가 이루어졌으며 연간 평균 21천 ha에서 51.7 천 톤의 벼가 생산되었다. 2기는 1983~1990년 사이의 생산량 급증 시기로 재배면적은 1983년 27.5천 ha에서 정점을 이룬 1989년에는 49.3천 ha로 약 1.8배 증가하였고 생산량은 1986 년에 152.6천 톤으로 최고치를 기록하였다. 3기는 1991~2003 년 사이의 재배면적 급감기로 2003년에는 재배면적이 0.105천 ha에 불과하였다(FAO, 2019). 4기는 2004년 이후인 재배면적 회복기로 2009년에는 13.3천 ha까지 증가하였으며 이후 조금 씩 감소하여 2016년 이후 약 9천 ha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생산량은 43천 톤 수준이었다. 2기에서 재배면적이 급증한 이 유는 차우셰스쿠 정권시절 식량자급을 목표로 국가주도하에 벼 재배면적을 확대한 것에 기인하며 3기에서 급감한 이유는 1989년 민주화 운동이후 정부의 무관심과 경제침체의 영향으 로 판단된다. 한편 4기에서의 재배면적 증가는 2007~2008년 세계 곡물파동의 영향으로 국제 곡물가 상승에 따른 것으로 생각된다.

    2. 주요 벼 생산 기업 및 수급 동향

    루마니아의 벼는 주로 다뉴브강 유역의 Ialomita, Braila, Olt 및 Dolj county에서 재배되고 있다(Fig. 2). 전체 벼 생산 량의 90% 이상이 이태리 곡물 생산업체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1위 업체는 유럽최대 벼 생산업체인 Riso Scotti 계열 사인 Riso Scotti Danubio이다(Săptămâna Finanbciară, 2010). Danubio는 2003년부터 Ialomita와 Braila 등지에서 약 10천 ha의 농지를 구입해 2009년부터 6천 ha에서 30천 톤/년의 벼 를 생산하고 있다. Danubio는 생산된 벼의 60%는 루마니아 내수용으로 나머지 40%는 슬로바키아, 체코, 폴란드, 리투아 니아 등에 수출하고 있으며 향후 20천 ha까지 재배면적을 확 대할 계획이다. 2위 생산업체 역시 이태리 Gruppo Roncato의 계열사인 Padova Agricultura로 Braila에서 4.2천 ha의 농지를 구입해 2009년에 36천 톤의 벼를 생산하여 이태리와 터키에 수출한 바 있다. 세 번째는 Beg Agricultura로 Olt에서 2009 년 기준 1.1천 ha의 논을 소유하고 있으며 생산량은 6.5천 톤 /년이다(Săptămâna Financiară, 2010). 이들 기업체는 관개시설 등 비교적 생산기반이 양호한 지역을 선점하고 있으며 이태리 품종을 도입하여 재배하고 있다.

    루마니아는 연간 약 45천 톤의 벼를 생산하고 있지만 수출 입 동향을 보면(Fig. 3), 2007년 이후 연간 수입량은 평균 약 57천 톤으로 국내 생산량 이상을 지속적으로 수입하고 있다. 2017년에는 수입량이 44천 톤으로 다소 줄어들었으나 2018년 에는 61천 톤으로 증가였다. 최근 10년간 벼 수출량은 평균 21천 톤으로 수입이 수출보다 36천 톤이 많으며 수출이 가장 많았던 2011년 이후 감소추세이나 2018년에는 약 19천 톤으 로 다시 증가하였다. 벼의 연간 국내 소비량은 평균 약 77천 톤으로 2013년 이후 증가추세이며 2017년에는 평년대비 소비 량이 약 29% 증가하였다(Eurostat, 2018).

    3. 벼 산업 문제점

    가. 벼 생산

    루마니아에서 벼 재배면적 확대의 주요 문제점은 첫째 기반 시설 부족으로 벼 재배에 적합한 농지는 약 614천 ha로 추정 되고 있으나 대부분이 관개시설이나 경지정리 등 기반정비가 부족한 실정이다(Ion, 2012). 또한 차우셰스쿠 시절 조성된 논 의 경우도 관리 없이 방치되어 영농을 위해서는 시설의 보수 가 필요한 실정이어서 외국인이나 자국기업의 벼 분야 영농투 자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Radu, 2008a). 두 번째는 국내 육성품종이 매우 부족한 실정인데 현재 루마니아에 국가목록 등재가 되어 있는 벼는 13품종으로 그 중 국내 육성 품종인 Polizeşti 13, 28을 제외하고는 모두 이태리에서 개발된 품종이 다(Table 1). Polizeşti 28의 경우 1978년에 국가목록등재 이 후 2016년에 재등록된 것이어서(ISTIS, 2019) 국내기업이 벼 산업에 참여하려면 비싼 로열티를 지불하고 외국품종을 사용 해야 되는 실정이다. Yi(2017)에 따르면 루마니아의 벼 종자 요구량은 35천 톤/년으로 파종량은 170~180 kg/ha로 보고되어 현재 우리나라에서 GSP로 추진하고 있는 과제를 통하여 이태 리 품종을 대체할 우수한 벼가 개발된다면 종자시장 개척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나. 벼 수출입 및 국내 수급

    루마니아에서 벼는 이태리 기업에 의하여 90% 이상이 재배 되고 있으며 국내 업체의 재배면적은 500 ha 미만으로 추정된 다. 외국계 기업인 Danubio는 국제 벼 가격에 따라 재배면적 과 생산량을 조절하며 자체 생산물량과 가공기반이 취약한 주 변국에서 수입한 벼를 가공하여 국내에 판매하거나 재수출하 고 있어 루마니아의 식량안보 차원에서 생산량이나 자급률과 연계해서 논하기는 어려움이 있다. Dragoş(2016)에 따르면 루 마니아는 2007~2015년에 국제 벼 가격 상승에 따라 재배면적 을 늘리기도 하고 주변국의 쌀 가격에 따라 국내 판매를 줄이 고 수출 비중을 높였다고 보고한 바 있다. 한편 최근 10년간 루마니아의 연간 평균 쌀 소비량은 51천 톤으로 매년 늘어나 고 있는 추세 이어서 불안정한 국내 부족분을 수입에 의존하 고 있다. 브러일라 농업연구소에 따르면 루마니아인 소유의 벼 생산업체는 1~2개 정도로 규모가 영세하며 주로 시장 가격상 승이나 밀이나 보리 연작에 따른 토양 염류집적 회피 방안으 로 한시적으로 벼를 재배하고 있다고 하여 자국 기업이 루마 니아의 벼 자급률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한 것을 판단된다 (Personal communication with Dr. Bularda Marcel, Director of SCDA). 벼 수급안정을 위해서는 자국기업의 육성이나 참 여가 필요하지만 연간 국내 소비량이 4~5 kg/인으로 낮고 주 곡작물이 아니라는 인식으로 민간참여가 이루어지지 않아 정 책적인 관점에서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런던벼중계 인협회(London Rice Broker Association)의 회장인 Jean- Pierre Brun은 루마니아는 넓은 평원과 이태리 Po 평원(Po basin)에 20배에 달하는 다뉴브강의 풍부한 수자원 그리고 벼 재배에 적합한 온화한 기후를 가지고 있어 유럽지역의 벼 농 업대국으로서의 미래성장 잠재력이 매우 큰 것으로 평가한 바 있다(Radu, 2008a).

    결론 및 시사점

    금후 유럽연합(EU-28)의 쌀 소비량과 수입량은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루마니아 및 불가리아 등 동유 럽 국가로의 재배면적 확대가 수급 불균형 해소를 위한 방편 일 것으로 판단된다. 루마니아는 불가리아에 비하여 기후조건 이 벼농사에 적합하며 유휴농지가 많고 상대적으로 생산단가 가 낮으며 외국인의 토지나 삼림의 소유를 장려하고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루마니아에서 벼 재배 확대를 위해서는 “공동농업정책(Common Agricultural Policy, CAP)”을 활용한 농업직불과 경영보조 등 정부의 지원정책이 필요한 것으로 본 다. 외국 기업의 투자유치도 한 방편이나 루마니아는 평균 농 지가격이 약 2천 유로/ha(2017년 기준)로 EU에서 가장 낮은 편이지만 초기 투자시 경지정리, 관개수로, 양수장 등과 같은 농업기반 시설의 확충에 추가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이 태리 기업인 Danubio의 경우 사업초기 토양개선, 관개 및 양 수시설 확충 등에 1.5천 유로/ha를 투자한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Radu, 2008b). 그러나 Iuliana 등(2016)은 루마니아의 주 요 벼 재배지역의 재배면적 확대에 따른 경제적 효과 및 환경 적 영향 평가 분석 결과 장점과 단점이 각각 75%와 25%로 금후 이태리와 스페인에 이어 3위의 벼 생산국으로 발전가능 성을 전망한 바 있다. 경제성을 고려하면 루마니아의 최소 벼 재배 규모는 100~500 ha로(Personal communication with Dr. Bularda Marcel, Director of SCDA) 현재 극동지역에 진 출하고 있는 우리나라 대기업의 경우 루마니아 진출을 검토해 볼 만한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GSP 사업(과제번호 : 213009- 05-04-WT311)에 따르면 ‘둔내’ 등 일부 조생 품종은 루마니아 에서 재배가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지만 현지 보급 품종과 비교하여 상업성은 다소 떨어지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우리나 라 육성품종의 주요 단점으로는 출아 및 출수지연에 따른 연 차간 재배 안정성이 낮다는 것과 미립이 소립으로 시장 선호 도가 떨어진다는 것이다. 루마니아에서 종자시장 개척을 위해 서는 국내 품종을 직접 활용하기 보다는 위의 형질들이 보완 된 신품종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적 요

    본 논문에서는 “골든시드프로젝트(GSP)”로 추진하고 있는 지중해 및 유럽지역 적응 품종개발 및 쌀시장 개척을 위한 기 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육종기지가 있는 루마니아의 벼 산업 관 련 동향과 문제점 및 금후 전망을 분석하였다. 루마니아는 EU 4위의 농업생산국으로 2018년 기준으로 8.4천 ha에서 45천 톤 의 벼를 생산하고 있으며 주요 재배지역은 다뉴브강 유역의 Ialomita, Braila, Olt 및 Dolj county이다. 전체 벼 생산의 90% 이상이 이태리 곡물 생산업체인 Riso Scotti Danubio, Padova Agriculture, Beg Agricultura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 다. 루마니아는 쌀 수입량은 약 57천 톤/년이며 소비량은 평 균 77천 톤으로 2007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쌀 수급의 문제점은 주요 벼 생산 기업이 국제 가격에 따라 재배 면적과 수출량을 조절하고 있어 국내 수급안정에 악영향을 미 친다는 것이다. 벼 재배면적 확대를 위해서는 관개시설이나 경 지정리 등의 확충과 자국기업의 육성 및 신품종 개발이 필요 하며 정부의 정책적인 관점에서 지원이 필요하다. 루마니아는 넓은 평원과 다뉴브강의 풍부한 수자원, 벼 재배에 적합한 온 화한 기후를 가지고 있으며 쌀의 유럽 및 국내 수요가 늘어나 고 있어 유럽지역에서 벼 농업대국으로서의 미래성장 잠재력 이 매우 큰 것으로 판단된다.

    ACKNOWLEDGMENTS

    본 결과물은 농촌진흥청의 재원으로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 원의 Golden Seed 프로젝트 사업(과제번호 : 213009-05-04- WT311)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

    Figure

    KSIA-32-1-38_F1.gif

    Cultivated areas and productions quantities of rice from 1961 to 2017 in Romania.

    * Primary data source: FAO(http://www.fao.org/faostat/).

    KSIA-32-1-38_F2.gif

    Geographic locations of rice growing and main companies in Romania.

    KSIA-32-1-38_F3.gif

    Quantities of Imports/Exports and national consumptions of rice from 2007 to 2018 in Romania(unit: ton).

    *Primary data source: MADR Romania(https://www. madr.ro/).

    Table

    List of rice varieties registered official catalog in European Union and in Romania(ISTIS, 2019).

    Reference

    1. Dragoş, M. M. 2016. Rice balance sheet in Romania. Scientific Papers Series Management, Economic Engineering in Agriculture and Rural Development. 16: 285-289.
    2. Eurostat. 2018.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y statistics, 2018 edition.
    3. FAO. 2019. FAOSTAT(http://www.fao.org/faostat/).
    4. Ion M. 2012. Romania could be one of the main rice producers in the European Union. Agro-business(https://www.agro-business.ro).
    5. ISTIS. 2019. National catalog. Institutului de Stat pentru Testarea si Inregistrarea Soiurilor, Romania(https://istis.ro/).
    6. Iuliana V., Gabriela M., Laura T., Elena M., Mihaela P.,and Roxana C. 2016. Revival of he rice crops in the south of Romania: Pros and cons. Procdia. 32:373-385.
    7. Radu M. 2008a. Western investors discover Romania's underused rice paddies. The New York Times(https://www.nytimes.com).
    8. Radu. M. 2008b. Italian firm brings rice back to Romania. Reuters. 2008. 8. 7(https://www.reuters.com).
    9. Săptămâna Financiară. 2010. Macaronarii preferă in România risotto. 30th April. 2010(http://www.sfin.ro)
    10. Yi. G. 2017. Analysis of rice production and research in European countries. J. Korean Soc. Int. Agric. 29:408-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