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8504(Print)
ISSN : 2287-8165(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Vol.32 No.2 pp.166-171
DOI : https://doi.org/10.12719/KSIA.2020.32.2.166

Rice Industry Status and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Production System in Senegal

O-Young Jeong, Hyun-Su Park, Woo-Jae Kim, Jeom-Ho Le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Republic of Korea
Corresponding author (Phone) +82-63-238-5214 (E-mail) mayoe@korea.kr
April 19, 2020 May 27, 2020 June 3, 2020

Abstract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problems needed to be solved in the short and long terms in order to help improving rice productivity in Senegal, where the current rice self-sufficiency rate is 59%. First of all, after selecting varieties with high adaptability to various environmental conditions, it is necessary to thoroughly manage seed purity to supply certified seeds. For rice cultivation technology, it needs to improve seedling standing and weeding by soil leveling in the irrigated paddy field. Water-saving cultivation technology, proper fertilization and planting density have to be established in rainfed paddy fiel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capacity by training in the latest agricultural technology information and revitalizing unions rather than the individual farmer. In the long term,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eties that are highly adaptable to the cultivation environment of Senegal. It is also important to expand irrigation facilities and cultivation technology suitable for weather conditions and avoiding cropping competition from June to July in rainfed paddy field. Lastly, it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consistency of agricultural policy for continuous and stable rice production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such as drought or intermittent heavy rain.



세네갈 벼 생산 현황 분석을 통한 개선 방안 제언

정 오영, 박 현수, 김 우재, 이 점호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초록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J011872012020

    서 언

    세네갈은 196, 722 km2의 국토 면적 중 46%인 950만ha 가 전체 농지 면적이고 벼 재배면적은 2018/19년(10월~9월)에 21만ha로 그 중에 40~60%는 관개 시설과 농기계이용이 비교 적 활발한 북부 세네갈강밸리(SRV: Senegal River Valley)유역 에, 나머지는 천수답이 대부분인 저위수량답이 많은 남부지역 인 카사망스(Casamance: Kolda, Ziguinchor, Sedhiou)지역에서 재배된다(Manzelli, M. et al 2015), (Fig 1). 2018년 인구는 1천6백만이며 이중 49%가 농업에 종사하며 경제성장율은 2.7% 수준이다(http://www.fao.org/faostat). 벼 주요 재배 시기는 SRV지역에서는 건기 (2/3월~5/6월)에, 카사망스 지역에서는 우 기(6/7월~11/12월)로 나누어진다(Table 1). 우기에는 덥고 습한 열대기후에 강한 남동풍이 불고 건기에는 덥고 건조하며 먼지 가 많은 바람이 강하게 분다. 세네갈의 벼 재배 지역은 크게 5 가지 형태로 나눌 수 있으며 관개답, 천수답, 고지대 밭벼, 저 지대 밭벼, 물이 깊어 부도 재배에 적합한 망그로브 지역 (mangrove swamp) 등이다.

    농림수산업은 GDP에서의 16.6%를 차지하며 서부 아프리카 에서 가장 큰 쌀 소비국으로 자체 생산한 쌀을 보호할 목적으 로 완전 미는 수입하지 않고 쇄미를 주로 수입한다(http:// data.worldbank.org.). 그래서 정부는 쌀 자급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데 1인당 쌀 소비량은 2018년에 85 kg이이며 2018/19년에 46만톤의 쌀을 생산하고 15~20만톤을 수입하였다. 농가인구는 전체 노동인구의 49.5%를 차지하며 벼 재배 농가당 평균 농 지 규모는 SRV에서 1~2ha 수준이고, 남부 고지대 및 저지대 인 카사망스에서는 0.5~1ha의 소규모 가족 농으로 이루어져 있다. SRV지역에서 2017년에 63,000ha 면적에서 관개수로 벼 를 재배하며 생산량은 평균 4~6 t/ha의 수량수준으로 세네갈 쌀 생산량의 70%를 차지하고 있고, 남부 카사망스 천수답지 역에서는 나머지를 생산하고 있는데 이 지역은 강우의 영향을 크게 받아 기후변화에 민감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Roudier et al. 2011).

    인구증가와 도시화로 세네갈은 2014년 발표한 세네갈 도약 정책(PSE: Plan Senegal Emergent)은 2035년까지 신흥경제국 으로 성장할 목표를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쌀 자급률을 높이 고 수입 쌀의 비중을 낮추기 위하여 쌀 생산량 증대와 관련 된 다양한 정책들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오고 있다. 2008년에 시작한 국가적인 식량확보정책(GOANA initiative: Grand Agricultural Offensive on Food and Abundance) 중에서 보 다 구체화시킨 국가적인 프로그램(PNAR: The National Program for Rice Self-Sufficiency)을 통해 ‘19년까지 쌀 완 전 자급을 목표로 농업인과 농업인조합에 종자와 비료 등을 지원해주는 정책들을 추진했었다. 또한 PRACAS (Programme d'Accélèration de la Cadence de l'Agriculute au Sénégal: Republique du Senegal. 2014) 계획을 세워 ‘14년부터 ‘17년 까지 쌀 160만 톤, 양파 35만 톤 등 농산물 생산량 증대로 식량자급 달성을 위해 많은 예산을 투입했다. 본 연구에서는 벼 생산성향상을 위하여 추진되고 있는 정책을 고려하면서 세 네갈 농가에서 재배되고 있는 벼 품종과 벼 종자보급체제 및 재배기술을 살펴보고 쌀 자급 달성을 위해 단·장기적으로 극 복해야할 해결방안 및 접근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벼 재배 현황

    오래전부터 벼 재배가 시작된 남부지역 열대우림지역 (Casamanace)에는 저지대에서 이앙 재배로, 고지대에서 육도 재배로 정착되었다. 벼 재배면적이 넓은 세네갈 강 유역의 재 배역사는 상대적으로 짧은 편이어서 1949년에 프랑스인들이 세네갈 북부의 세네갈 강 남부에 위치하고 있는 ‘Richard Toll’ 에서 6,000ha를 재배함으로써 출발하였다. 1960년대 초 에는 세네갈 정부에서도 다가나(Dagana) 지역 등에 쌀 생산을 위한 대규모 농민 이주민 정착 지원정책을 추진했다. 벼 재배 면적의 증가 추이를 살펴보면 2001년 8.7만ha에서 2018년에 17.4만ha로 증가했고 정조 생산량은 2001년에 20.6만톤에서 2018년에는 76만톤까지 증가했다(Fig. 2). 정조 평균 생산량은 지난 20년동안 재배 여건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2.0톤에서 4.1톤/ha을 유지하고 있다. 쌀 부족분은 수입으로 충당해 왔으 며 수입량은 1995년에 50만톤에서 2007년에 백만 톤까지 늘 었다가, 2010년에 70만톤으로 줄었다. 쌀 자급률은 2005~09년 동안에 약 25%수준이었고 쌀에서 하루에 섭취하는 칼로리는 1995년 27.1%에서 2009년 28.5%로 증가했으나 단백질 함량 은 27.1%에서 23.1%로 감소했다. 세네갈에서의 연중 기온 변 화는 11월~2월에는 저온, 3월~10월사이에는 고온으로 건기와 우기로 나누어진다. 관개 답이 50%이상인 SRV에서는 우기보 다 건기에 벼 재배가 더 넓고, 남부 카사망스 지역에서는 주 로 우기에 한번만 재배하는 단작 형태를 보인다. 건기 파종기 는 2월 중순부터 3월 초순까지 이며, 우기 파종은 6월 중순부 터 8월 초순까지 이다(Table 1). SRV지역에서 2모작 작부 체 계는 가능하나 우기 저온 경과로 파종이 늦어지면 건기에 고 온 피해가 나타나 실제로는 10%이하로 활용하고 있다 (Vandersypen et al. 2006). 쌀 2모작이 어려운 이유는 경합 기에 전작의 수확이 늦어지거나, 후작의 영농자재 즉 종자, 비 료 등의 확보가 늦어지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수확 후 관리가 미흡한 것에 있다(Graef et al. 2001). 쌀 품질 저하는 수확시기가 특정시기에 편중되어 도정공장에서 일시에 전량을 처리하지 못하며, 카사망스 지역에서는 농가가 각각 다른 품 종을 재배하여 품종 혼입 등 이기 때문이다. 또한 도정공장에 서는 시장가격이상으로 벼를 구입할 수 없기 때문에 시장에서 요구되는 품종을 재배하라고 권장할 수 없는 실정이다. 하지 만 세네갈 쌀 주산지인 SRV지역 농업인은 건기에 ‘사헬 108’ 을 대부분 재배함으로써 보다 양호한 쌀의 품질을 유지하고 있다.

    관개 수를 절약하고 소형 농기구 사용 손 제초 등 저 투입 고 수량 농업 시스템(SRI: system for rice intensification)를 몇 개의 지역에서 시험한 결과, 수량이 관행보다 1.24 t/ha 수 준에서 3.5 t/ha로 거의 3배 향상되었다(Thimothy et al. 2012).

    벼 품종 및 육종 현황

    재배 환경 적응성이 높은 품종 재배는 수량 향상에 가장 효 과적이다. 1998년에 기존 품종과 신품종을 활용하여 카사망스 지역 시험장과 농가포장에서 시험한 결과, 신품종은 열악한 재 배환경에서 수량성이 낮았고 양호한 재배환경에서는 수량성이 높아 신품종을 보급할 때는 재배환경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하였다(Samba Sall et al. 1998). 세네갈 벼농가에서 80%는 사헬(Sahel)품종을, 20%는 네리카(NERICA) 품종을 재 배한다. 네리카 품종은 아시아 벼(O. sativa japonica)와 아프 리카지역에서 생물적·비생물적 저항성이 강하다(Jones MP et al. 1997)는 품종(O. glaberrima.)을 활용 종간교잡하여 육성되 었다. 사헬 품종 대부분은 관개 답과 관개부족지에서 재배되 는데 생육기간이 100~120일 정도의 단기성 품종이며, 네리카 품종은 내건성을 갖고 있는 밭벼 품종이다(Saito et al. 2010). 세네갈 쌀 주산지인 북부 세네갈 강 유역 농민들은 사헬 108, 사헬 150, 사헬 154, 사헬 134, 향미벼 품종으로 사헬 177등 을 재배하고 있고, 남부 카사망스 지역에서는 사헬 벼 품종과 함께 네리카 품종들도 재배하고 있다. 세네갈농업연구청(ISRA: National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에 등록되어 있는 45 품종 중에서 관개답용 수도 품종이 23개로 약 51%, 육도 품 종이 22개로 약 49%를 차지하고 있다(Table 3). 밭벼 재배는 저지대와 고지대로 나뉘고, 저지대는 비가오면 물이 깊게 고 이는 지역과 얕은 지대로 구분되는데 사헬 품종을 물이 부족 한 지역에 재배하면 수량성이 떨어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물 부족 논이 많은 남부지역에서 80%이상 사헬품종이 많이 재배 되고 있는 것은 네리카 품종의 종자 공급이 원활하지 않기 때 문이다. 염분이 많은 망그로브 재배지역은 내염성 품종이 요 구되는데, 현재까지 등록된 품종은 4개로 약 9%를 차지하고 있다. 일조량이 풍부하고 고온 조건인 세네갈강밸리지역 (Ndiaye and Fanaye)에서의 벼 잠재수량성을 확인하기 위해 이 지역의 대표적인 품종 사헬 108과 신품종을 이용한 시험 결과 6~12 t/ha의 수량성을 보였다(De Vries et al. 2010).

    세네갈에 적합한 벼 신품종을 개발하기 위해 ISRA와 CGIAR(Consultative Group on International Agricultural Research)연구센터 산하 아프리카라이스(AfricaRice)와 협력관 계 유지가 필요하다. 현재 재배되고 있는 사헬 시리즈 품종 대부분은 국제미작연구소(IRRI) 등 국제연구기관 및 외국에서 도입한 품종을 현지적응시험을 거쳐 평가, 등록 및 활용하고 있다. 세네갈 자체 개발한 품종은 2016년 ISRA에 남부지역에 위치한 ISRA 소속기관인 Djibelor 농업연구센터에서 최초 개 발한 저지대 육도 품종 ‘Dj 684-D’을 비롯한 현재 45종의 벼 품종이 등록되어 있다(Table 3).

    등록 과정은 ISRA의 육종담당자가 일종의 도입검정시험을 통해 선발하고, 생산력검정시험(PAT: Primary Advanced Trial), 지역적응시험(MET: Multi Environment Trial), 농가실 증시험(FAT: Farmers Field trial) 등을 통해 우수한 계통을 선발하고 소정의 특성 자료를 제출하면 종자심의회의 심사를 받는다. 신품종이 개발되고 상업화의 승인을 받은 후에 ISRA 는 기본식물종자를 생산하여 농민조합이나 다른 사업가들과 종자 증식을 위한 계약을 체결하여 증식 보급하게 된다.

    벼 종자 보급 체계

    벼 품종 종자는 세대 및 증식단계별로 육종 기관인 ISRA, 농림부 농업농촌시설부 종자 담당과(The Seed Department in the Ministry of Agriculture), 농림부 지역농업개발국 소속기관 으로 각 주에 소재한 세네갈농업부 지역농촌개발국(DRDR: Direction Régionale du Développement Rural)이 업무 분담 및 상호 협력으로 생산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종자보급체계와 비교해보면 육종가 및 육종 기관이 전담하는 기본식물관리가 미진하며 원종을 이용해서 보급종(R1)을 생산 후 다시 생산하 여 2차 보급종(R2)으로 취급하는 것에서 커다란 차이가 있다.

    G0~G2 단계 종자는 우리나라의 기본식물에 해당하는 신품 종 종자(Breeder’s seed)로서 품종당 60개의 이삭을 유지하여 자체 관리한다. G3 단계 종자(Pre-base seed)는 우리나라의 원 원종(Foundation seed)에 해당하는 단계로서 ISRA가 책임지고 생산하는 데 농업농촌시설부 종자담당과의 연간 3회 현장조사 로 확인하는 절차를 거치고 있다. G4 단계의 종자(Base seed) 는 우리나라의 원종(Registered seed)에 해당하는 종자단계로 서 농업농촌시설부 종자담당과가 지휘하고, 각 지역별 지역농 촌개발국(DRDR) 작물생산과의 감독하에 농업인 연맹 기술위 원회가 생산통제실무를 담당하는 가운데 마을 별 조합에서 생 산한다. 이 위원회에서 연간 3회(파종기, 생육기, 성숙기)에 걸 쳐 재배 현장 및 생산관리를 조사하고 생산된 종자 샘플을 채 취하여 종자 검사소(STC: Seed Treatment Center)에 의뢰하 여 종자 순도 및 발아율 등을 조사한 후 원종으로서 종자 품 질을 검정 받도록 한다. R1~R2단계의 종자는 인증 종자 (Certified seed)라 칭하며 우리나라의 보급종(Certified seed)에 해당하는 종자 생산 단계를 거치고 있다. 이 단계의 종자 생 산방식은 G4와 동일하며 여기서 R1과 R2는 증식을 위한 재 배 횟수로 구분된다(Table 2).

    종자 보증은 생산 및 품질에 대한 규정을 엄격히 준수하여 생산한 후 DRDR 산하 종자검사소에서 적정한 조건으로 보존 및 운반하도록 규정되어 있고 포장지 겉면에 종자단계별로 구 분되도록 각각 색이 다른 증명서로 표시하며 종자 포장지 겉 면에는 종자 생산 이력 추적이 가능하도록, 생산 책임자, 종자 단계, 생산 년도, 품종 순도, 발아율, 생산계열번호, 보증기관 명, 무게, 포장일 등을 기재하도록 하고 있다.

    종자 보급은 세네갈강유역농지개발관리청(SAED: Organization for the Equipping and Development of the Senegal Delta and Senegal and Faleme Rivers) 및 DRDR이 주관하며 벼 재배농가가 SAED를 통해 은행에 농자금을 신청한 후 은행이 발행한 구매 증서를 수령한 후 종자 생산 농가(혹은 농업인 연맹)에 판매 요청한 다음, 종자 검사소 보관 종자 수령의 형 태이다. 열악한 쌀 산업 환경에 비해 보증 종자(Certified seed)의 종자보급률은 약 60%로 높은 수준인 것은 은행으로 부터 농자금을 대출받을 때 비료, 농약 등과 함께 실물교환권 으로 공급받는 제도의 효과로 추정된다.

    농업생산성 향상을 위한 접근 방안 제언

    제안 배경

    세네갈 벼농사 제한 요인은 건기 물부족, 열악한 관·배수 시 설 및 재배환경에서는 유묘기 저온 경과에 있다. 농업경영적 인 측면에서는 비료·농약의 부족, 농업인 조합의 저조한 운영 실적, 소규모 농가 장비부족 및 특히 수확 후 관리기술 등에 어려움이 있다. 정책적인 측면에서는 농업정책의 추진 미흡, 농업기술 정보 교류 네트워크 취약, 마케팅 시스템 부족, 농업 연구 및 지도 미흡하기 때문이다. 벼재배현장에서는 생산, 수 확, 가공시설 관리 등 농작업에 여성농업인이 상당히 담당하 고 있으나 여성들이 사용 가능한 농기계 장비는 부족하고, 우 수 품종 종자 확보가 수월하지 않음에 있다. 가뭄과 잡초 번 무, 토양 염류화로 인한 낮은 비옥도, 새 피해 등으로 천수답 고지대에서는 벼 수량성은 1~1.5톤/ha으로 매우 낮은 편이고, 천수답저지대에서 수량성은 일반적으로 3톤/ha로 높은 편이나 비교적 비옥하고 습한 상태를 유지하는 지역에서만 해당된다. 천수답 고지대나 저지대에서 모두 수량 향상은 생물적·비생물 적 스트레스 저항성을 갖춘 우수품종 도입과 개선 된 물 관리 및 수확 후 관리 기술의 적용이 선행되어야 한다. 천수답 못 지 않게 관개답에서도 많은 어려움이 직면하고 있는 데 농지 의 임차 문제, 고액의 개발비용, 양질 농자재의 수급 불균형, 특히 종자와 화학비료의 비효율적인 공급 때문이다. 잡초 피 해와 직파재배 포장에서의 새(Red-billed Quela)피해 등도 부 정적인 요소로 작용한다. 수확 지연은 최종 벼 생산에 있어서 탈립과 품질저하의 질적·양적 손실로 이어진다. 수량성은 일반 적으로 4톤에서 6톤/ha이지만 잠재수량성은 8~11톤/ha로 매우 높아 세네갈강유역의 재배 환경에 달려 있다.

    단기적 방안

    세네갈 벼 재배농가가 영농자금 신청 수령할 때, 보급종 종 자 구입 권도 동시에 받을 수 있어 비교적 보급종 종자 보급 률이 높은 편이기는 하나 보다 순도 높은 양질의 인증 종자 보급률 확대가 필요하다. 70년대 초 아시아의 녹색혁명 성취 는 다수성 품종의 신속한 종자공급으로 가능 했듯이, 세네갈 의 낮은 수량성도 우수 품종 종자 보급으로 크게 개선 될 수 있다. 건기 생육초기에는 저온 저항성을 갖춘 품종과 우기 생 육 후기에는 고온에 적응성이 큰 품종을 선정하여 적기에 농 가에 공급하여 파종할 수 시스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보급종 종자 생산과 보급 체계 구축, 효율적인 운영이 선결조건이다. 벼 재배과정에서의 해결해야 하는 부분은 파종 이앙시 포장 균평 작업을 정밀하게 함으로써 입묘를 향상시키고 벼 생육을 안정화 해야 하며 지나치게 많은 파종은 피하며 건전한 식물 체로 육성하여 도복을 예방해야 한다. 농가에서 질소질 비료 사용 과다로 영양 생장이 늦어져 등숙기에 바람이 불면 도복 이 유발 원인이 된다. 적정시비량을 분시하여 환경영향 피해 를 최소화하며 시비 효과를 극대화하여야 한다. 직파 재배가 이앙재배보다 일반적인 상황에서 잡초 방제는 매우 중요하나, 기술개발이 미흡하여 수량 저하를 발생하므로 시기별 제초제 를 조합하여 물 관리와 함께 처리해야 한다. 또한 수확기에 수량을 크게 저하시키는 새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 지엽이 길 거나 까락이 있는 벼 품종 선발이 효과가 있겠으나 현실적인 해결은 어려운 실정이다. 보다 집약적인 재배방법(SRI)를 적 용함으로써 농가의 수익을 높일 수 있으나 계획수립에서부터 이해당사자간 협력체계 구축이 사전에 필요하다. 또한 세네갈 의 농업인 대부분이 재정적인 신용도가 불량하고, 영농 정보 활용도 쉽지 않으므로 농업인조합을 결성하여 공동으로 영농 활동을 하고 은행으로부터 영농자금을 확보하는 것 또한 유리 하다. 또한 파종에서부터 수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영농기술 을 공유 훈련함으로써 벼 생산성도 높일 수 있다. 여성 농업 인 참여 확대로 여권 신장의 기회가 될 수 있고 농업경영에 젊은이들도 참여하게 하여 고용시장 확대의 역할도 할 수 있 다. 개인이 아니라 조합으로 규모를 크게 하여 소규모 농기계 도정 시설에 투자하여 수확 후 관리 기술이 향상되고 생산한 쌀은 상품화하여 지역과 인근 대도시에 판매하면서 브랜드로 성장시킬 가능성도 커져 쌀의 생산, 유통, 및 판매까지 선순환 적으로 가치를 높일 수 있다. 품질 좋은 쌀을 생산하여 쌀의 가치 높이기 위해 미래 투자에 있어서 적극적인 마케팅 전략 도 필요하다. 농업인조합이 향상된 마케팅에 참여하고 전문적 인 중개대리인을 육성하여 쌀의 생산, 구입, 수확 후 처리, 및 쌀의 판매까지 책임져야 한다.

    장기적 방안

    소비자 기호에 맞고, 쌀 생산성 증대를 위한 2모작 작부 체 계에 적합하면서 토양 염류화와 물부족 등에 저항성이 있는 품종 개발은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 동안 사헬품종처럼 아 프리카라이스와 국제미작연구소와 협력하여 현지에 적응성이 있는 품종을 선발하여 종자보급하고 있는 상황에서 점차로 세 네갈에서는 향미 품종을 포함하여 육종 목표를 정하여 우수 품종을 육성하여 쌀 주산지인 세네갈 강 유역에 보급하고 이 어서 남부 카라카스 지역과 천수답 지역 저지대 침수답 전용 품종을 개발하여 나가야 하겠다. 장기적으로 천수답과 관개답 간 수량 차이를 최소화하는 노력도 필요하다. 서아프리카 농 업에서 관개답의 확보에 우선을 두는 것은 식민시대부터 계속 되어 왔다. 관개답에서의 수량성이 높으므로 관개시설을 강화 하여 벼를 증산하는 해결책이었으며 경제 특화와 도시화를 유 발하였다. 경지정리에 대한 투자는 벼 재배에 있어서 핵심 해 결 과제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농민들은 경지 확보에 여전히 근본적인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으며 비료 가격과 농기계의 임 차료 등에 부담을 가지고 있다. 벼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는 관개답 확대와 동시에 천수답 등 저지대에서 수량성을 향상시 켜야 한다. 또한, 세네갈의 관개답 면적을 확대해서 쌀 생산량 을 증가하는 데 비용이 많이 소요되므로 재배 작기를 늘리는 것도 생산량 증대의 또다른 수단이 될 수 있다. 수입 쌀을 대 체하기 위해 관개답과 천수답에서 2모작 재배를 확대하여 한 해에 1.5 재배작기 이상으로 경지이용율을 높이면 쌀 증산에 도 도움이 될 것이다. 건기와 우기에 적합한 품종을 선정하여 품종의 성능을 최대화 할 수 있는 재배기술을 적용하면 그 효 과는 배가 될 것이며 이앙기, 트랙터 등의 농기계가 도입된다 면 직파재배 위주에서 이앙 재배의 면적을 늘려 생산성 증대 를 가져올 것이다. 물의 부족에 따른 한발 저항성 품종도입이 나 최소 물 관리 재배기술의 개발 등 앞으로의 기후변화에 대 응하는 농업기술이 지속적으로 개발해야 한다. 기후변화의 요 소를 파악하고 그 양상을 분석하여 정확한 기후 변화 정보를 수집 활용하여 벼 품종을 개발하고 재배기술을 설정해야 한다. 쌀의 자급 달성과 수입량 축소를 위하여 추진되고 있는 농업 정책은 우선순위에 따라 일관성 있게 체계적으로 펼쳐 나가야 한다. 우량 종자 생산과 보급, 농자재 보조금 지원 정책의 효 율화, 농기계 및 가공 시설의 현대화, 및 국제협력 체계 강화 를 통한 쌀 생산성 증대와 농가 소득 향상도 고려해야 한다.

    적 요

    본 연구에서는 현재 벼 자급률이 59%인 세네갈의 벼 생산 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장·단기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들을 분석하였다. 우선 단기적으로는

    1. 다양한 재배 환경조건에 적응성이 큰 품종을 선정한 후 종자 순도 관리를 철저히 하여 인증된 보급 종자를 공 급해야 한다.

    2. 벼 재배기술에서는 관개답에서 균평 작업 개선으로 입묘 향상 및 제초 효과를 향상시키며, 천수답에서는 물 절약 재배기술, 적정 시비 및 재식 기술 확립이 필요하다.

    3. 또한 농업인 개인보다는 조합 활성화로 최신 농업기술 정 보수집 및 훈련으로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

    4. 또한 장기적으로는 세네갈 재배 환경에 적응성이 높은 품 종을 자체적으로 개발이 필요하다.

    5. 천수답 관개시설 확충과 6-7월 작업 경합과 기상조건에 맞는 재배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6. 마지막으로는 가뭄이나 간헐적인 폭우 등 기후변화 대응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벼 생산을 위한 농업정책 일관성 유 지가 필요하다

    ACKNOWLEDGMENTS

    본 논문은 농촌진흥청 연구사업(세부과제명: 남부평야지 적 응 중만생 고품질 벼 품종개발. 세부과제번호: PJ011872012020) 의 지원으로 수행된 결과의 일부입니다. 본 논문을 작성함에 있어 적극 협력하여주신 국립식량과학원 벼육종연구팀 담당자 께 깊이 감사 드립니다.

    Figure

    KSIA-32-2-166_F1.gif

    Cultivation area in Senegal.

    *source: Senegalese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www. isra. sn

    KSIA-32-2-166_F2.gif

    Yearly variation of rice cultivation area and production since 2001 in Senegal.

    *source: Senegalese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www. isra. sn

    Table

    Rice Production Seasons in Senegal.

    Comparison between Senegal and Korea of seed management and related organizations in each phase for producing certified seeds

    Released varieties since 1980 in Senegal.

    Reference

    1. De Vries ME , Rodenburg K , Bado BV , Sow A , Leffelaar PA , Giller KE. 2010. Rice production with less irrigation water is possible in a Sahelian environment. Field Crop Res. 116:154-164.
    2. Graef, F. , and J. Haigis.2001. Spatial and temporal rainfall variability in the Sahel and its effects on farmers’s management strategies. Journal of Arid Environments. 48(2):221-231.
    3. Jones MP , Dingkuhn M , Aluko GK , Semon M. 1997. Interspecific Oryza Sativa L. X O. Glaberrima Steud. progenies in upland rice improvement. Euphitica. 94:237-246.
    4. Manzelli, M. , E. Fiorillo, M. Bacci, and V. Tarchiani.2015. Lowland rice production in southern Senegal (Middle Casamance): Challenges and prospects for sustaining their restoration and development. Cahiers Agricultures. 24(5): 301-312.
    5. Ministere de IAgriculture et de IEquipement Rural.2014. Programme d’acceleration de la cadence de l’agriculture Senegalese (PRACAS). PSE. 1-112.
    6. Roudier P , B. Sultan, P. Quirion, and A , Berg.2011. The impact of future climate change on West African crop yields: What does the recent literature say ?. Global Environmental Change. 21:1073-1083.
    7. Saito K , Azoma K , Sie M. 2010. Grain yield performance of selected lowland NERICA and modern Asian rice genotypes in West Africa. Crop Sci. 50:281-291.
    8. Samba Sall, David Norman, Allen M. Featherstone.1998. Adaptability of improved rice varieties in Senegal. Elsevier Agricultural Systems. 57:101-114.
    9. Timothy J. Krupnik, Carol Shennan, Jonne Rodenburg. 2012. Yield, water productivity and nutrient balances under the System of Rice Intensification and Recommended Management Practices in the Sahel. Field Crop Research. 130: 155-167.
    10. Vandersypen K , Keita ACT, Kaloga K , Coulibaly Y , Raes D , Jamin JY. 2006. Sustainability of farmers, organization of water management in the office du Niger irrigation scheme in Mali. Irrig Drain. 55(1): 51-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