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8504(Print)
ISSN : 2287-8165(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Vol.32 No.2 pp.141-150
DOI : https://doi.org/10.12719/KSIA.2020.32.2.141

A Study on Planning and Managing Framework of ODA Projects for Improving Agricultural Value Chain

Dong Hwan Kim*†, Jinwoo Kim**, Yong Taek Kim***
*Global Business Department, Anyang University, Anyang, 14028, Korea
**The Agro-food New Marketing Institute, Seoul, 04317, Korea
***The Institute for Global Agri-food Management Strategy, Seoul, 06547, Korea
Corresponding author (Phone) +82-10-6211-9490 (E-mail) dhkim@anyang.ac.kr
March 28, 2020 May 29, 2020 June 5, 2020

Abstract


International donor agencies are increasingly using a framework for value chain analysis when carrying out agricultural ODA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projects. Value chain analysis, as a wholistic framework dealing with from input supply to marketing of final products, is expected to increase income of farmers and to improve marketing efficiency. This study examined general concept and structure of the agricultural value chain and analyzed planning frameworks used in international donor agencies. This study suggests a framework for planning and managing agricultural value chain projects for Korean donor agencie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helps Korean donor agencies design and manage agricultural value chain projects in an effective and efficient manner.



농산물 가치사슬 개선을 위한 ODA 사업 기획관리 방안

김 동환*†, 김 진우**, 김 용택***
*안양대학교 글로벌경영학과
**(사)농식품신유통연구원
***글로벌농식품경영전략원

초록


    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서 언

    최근 국제 공여기관들은 농업 분야 원조 사업을 기획·추진 할 때 농산물 가치사슬을 종합적으로 진단하고 분석하는 틀 (framework)을 활용하고 있다. 이는 종자 보급, 생산량 증대 등 농산물 가치사슬의 한 단계만 개선하는 것으로는 효과가 제한 적이라는 것을 깨달았기 때문이다. 이에, 국제 공여기관들은 가 치사슬 전 단계를 분석하여, 여러 단계의 문제점을 종합적으로 개선하는 가치사슬 개선 사업을 추진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아 직 한국국제협력단(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KOICA) 등 한국의 원조기관이 활용할 수 있는 맞춤형 농산물 가치사슬 사업 기획 및 관리 방안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농산물 가치사슬의 개념 및 국제기구에서 활용 하는 가치사슬 분석 및 개선 전략 수립 틀을 분석하고, 한국 공여기관의 가치사슬 개선 사업 추진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구 체적인 사업 기획관리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론

    1. 농산물 가치사슬의 개념과 구조

    가. 농산물 가치사슬의 개념

    농산물 가치사슬(AVC, Agricultural Value Chain)이란 농가 나 농기업이 농산물 생산의 원료 조달부터 최종 소비에 이르 기까지 참여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시행한 모든 활동을 말 한다. 농산물 가치사슬은 생산 이전부터 최종 소비에 이르는 과정을 종합적·동태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산업의 문제 부분을 파악하고 농가와 농기업의 경쟁력 제고와 산업 발전 전략을 도출할 수 있다.

    나. 농산물 가치사슬의 구조

    농산물 가치사슬 구조는 (Fig. 1)과 같이 5개의 주요 요소로 구성된다(UNCTAD, 2009). 첫 번째 요소는 시장(Market)이다. 농산물의 가치는 최종적으로 시장에서 소비자가 어떻게 평가 하느냐에 따라 정해지기 때문에 농산물 가치사슬의 가장 핵심 요소는 시장과 소비자이다.

    둘째 요소는 농산물을 생산하기 위하여 생산자인 농민이 비 료, 농약, 종자 등을 구입하는 것부터 농산물의 최종 소비에 이르는 과정에 참여하는 이해관계자들이다.

    셋째 요소는 이해관계자들 간의 관계(Relationships)이다. 농 산물 가치사슬의 전 과정에서 어떤 이는 강한 교섭력과 권력 을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더 많은 부가가치를 얻는다. 따라서 거래 교섭력과 소득 분배 구조를 이해한다는 차원에서 이해관계자들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넷째 요소는 지원서비스(Support service or support activities)이다. 가치사슬의 단계별로 지원되는 금융서비스, 통 신서비스, 관개 시설 및 농자재 제공 서비스 등은 농업생산성 의 증대와 농업기술의 지도보급과 함께 농산물 가치사슬의 구 조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이다.

    다섯째 요소는 환경(여건)조성(Establishing Environment) 이 다. 농산물 가치사슬의 성과는 농산물이 이동되는 단계 (Primary activities) 에서만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농산물 가치 사슬의 여건을 결정하는 환경으로부터도 정해진다.

    다. 개발도상국 농산물 가치사슬의 문제점

    대부분의 개발도상국 농산물 가치사슬은 많은 제약요인을 가지고 있다. 생산 이전단계에서는 농자재의 품질이 열악하고 공급이 부족하며. 생산 단계에서는 농가가 영세하고 기술과 시 설이 미흡하여 농산물의 품질이 떨어진다. 또한, 농촌에 저장 고, 선과장 등 유통시설이 부족하고 포장의 수준이 낮아 부가 가치가 높은 농산물을 판매하기 어렵고, 농협과 같은 생산자 조직이 발달되어 있지 않아 농가의 시장교섭력이 취약하다. 이 외에도 물류 인프라가 부족하고, 농산물 위생관리가 취약하며, 농가들은 유통정보에 대한 접근성이 떨어진다. 대도시 도매시 장들은 협소하고 위생관리에 문제가 많고, 전반적으로 등급화 ·표준화 등의 법체계 정비가 미흡하다 (Fig. 2).

    이와 같이 개발도상국들은 농산물 가치사슬 전반에 걸친 문제 점들로 인해 가치사슬 일부 단계의 개선만으로는 그 파급효과가 제한적이다. 가치사슬 전반에 걸친 분석과 종합적인 개선 전략의 수립, 이를 실행하는 가치사슬 개선 사업이 필요한 실정이다.

    2. 농산물 가치사슬 분석 및 개선 전략 수립 프레임워크

    가. 선진 공여기관의 농산물 가치사슬 분석및 개선 전략 수립 프레임워크

    농산물 가치사슬 분석(Agricultural Value Chain Analysis) 과정은 분석할 대상(품목 혹은 품목군)을 선정한 후, 대상 품목 이나 품목군의 농산물 가치사슬의 성과를 높이는 전략을 수립 하는 과정이다. UNIDO(United Nations Industrial Development Organization, 유엔산업개발기구), ADB(Asian Development Bank, 아시아개발은행), WB(World Bank, 세계은행), USAID (United States Agency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미국 국제개발처) 등의 선진 공여기관에서 각자의 가치사슬 분석 및 개선 전략 틀을 가지고 농산물 가치사슬 개선 사업을 추진하 고 있다(Kim et. al., 2017).

    선진 공여기관들의 농산물 가치사슬 분석과 개선전략 수립 절차를 정리하면 크게 다음의 5 단계로 나눌 수 있다. 첫째로 분석 대상 가치사슬을 선정한다. 사업의 목표에 따라 가치사 슬 선정 기준은 달라질 수 있다. 둘째로 해당 가치사슬을 도 식화(mapping)한다. 이 단계에서는 농산물 가치사슬의 핵심과 정을 시각화 하고, 가치사슬 단계에 참여하는 이해관계자, 정 보와 지식의 흐름 등을 도식화한다. 또한 가치사슬에 영향을 주는 법·제도 등 주변 여건들도 도식화한다. 셋째로 시장을 분 석한다. 이 단계에서는 목표 시장, 가격, 품질 수준, 기술 수준, 비용, 마진율 등을 분석한다. 넷째, 가치사슬의 성과를 높이는 개선 전략 수립한다. 이 단계에서는 과정 개선(생산 효율성 개 선), 제품 개선, 기능 개선(이해관계자가 집중해야 하는 활동 개선) 전략 등을 수립한다. 다섯째, 모니터링 및 평가 체계를 수립한다.

    나. 선진 공여기관의 농산물 가치사슬 개선 사업 주요내용

    ADB(2012)는 국제 공여기관이 시행하는 다양한 농산물 가 치사슬 개선 사업 내용을 분야별로 정리하고 있다. 국제 공여 기관들은 환경 조성(정책 및 규제 등)의 관점에서는 경쟁적이 고 투명한 민간부문 육성, 정책 개혁 등의 사업을 추진하고, 자금 지원 분야에서는 소상공인 지원, 소액금융시스템 구축 운 영, 생산자 조합 역량 강화, 상업은행 지원 등의 사업을 추진 한다. 인프라 구축 분야에서는 농촌 인프라 활성화, 인프라 투 자 확대를 추진하며, 혁신과 기술 분야에서는 기술보급 서비 스를 제공하고, 수확후관리 기술의 보급을 장려한다. 시장 분 야에서는 마케팅 기술 향상, 국제 품질기준 부응, 농가와 시장 연계강화 등을 추진하고, 정보 분야에서는 가치사슬 모니터링 시스템 운영, 시장 정보 활용 확대 등을 추진한다. 조직화 분 야에서는 소농의 역량강화, 농민 학교 건립 등을 추진하고, 민 간 참여 분야에서는 계약 영농의 운영, 민관협력 촉진 등을 추진한다. 소외 그룹 참여 분야에서는 젊은이, 여성, 빈곤층 등 소외계층의 참여를 독려하고 있다.

    3. 한국 농산물 가치사슬 개선 사업 추진 전략

    가. 기존 농업분야 원조 사업의 현황 및 문제점

    최근 국내 공여기관들이 농산물 가치사슬 단계가 연계·발전 될 수 있는 가치사슬 개선 사업을 확대하고 있으나 아직은 생 산, 유통, 가공 등 개별 단계에 국한되는 단편적 사업의 비중 이 높다. 또한, 시설 건립 등과 같은 하드웨어적 성격의 사업 비중이 높은 편이다. 그러나 가치사슬 개선에서는 협동조합 결 성, 계약 생산관련 제도 정비, 농산물 등급 및 표준화 체계 정비, 농가 비즈니스 모델 수립 등과 같은 소프트웨어적인 사 업도 중요시되고 있어 이런 부류의 사업도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또한 사업 기획 및 구체화를 위한 기간이 짧다. 일반적으로 약 2주 정도 기간의 현장 조사에 의존하여 사업의 기획을 마 무리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미국, 일본 등 선진 공여국들에 비해 개발도상국에 대한 연구 자료가 많이 축적되어 있지 않 은 한국은 1차 자료에 의존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사 업 기획 및 구체화를 위한 기간이 충분히 확보되어야 한다. 장 기적으로는 정책적으로 개발도상국에 대한 연구 자료를 축적 해야 한다.

    국내 농업분야 원조 사업은 농촌개발 분야의 사업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생산단계에 집중된 농촌개발 사업의 경 우에도 시장과의 연계를 통한 판로확대 사업 등 가치사슬 개 선 사업적인 요소를 포함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농산물 가치사슬 지원사업의 사후관리가 미흡하므로 사업의 모니터링과 사후관리가 강화되어야 한다. 특히 충분한 사업 추진 기간의 확보가 필요하고 적절한 모니터링 및 사후 관리 체계의 확립이 필요하다.

    타 공여기관 및 민간과의 협력체계가 미진하여 협력체계 강 화가 필요하다. 농산물 가치사슬 개선 사업은 가치사슬의 여 러 단계에 걸쳐 다양한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단일 기관이 한정된 예산으로 모든 분야에 참여하기 어렵다. 따라 서 공여기관들이 다른 공여기관 혹은 민간부문과 협력하여 공 동으로 농산물 가치사슬 개선 사업을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나. 농산물 가치사슬 개선 사업의 추진 전략

    성공적인 농산물 가치사슬 개선 사업의 추진을 위해서는 다 음의 전략들이 필요하다. 첫째, 농산물 가치사슬 개선사업의 명확한 목표를 설정해야 한다. 둘째, 사업 기획단계에서 충분 한 기간을 확보해야 한다. 셋째, 사업의 효과 및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해 시장과 소비자의 수요를 반영한 사업을 기획하고 실행해야 한다. 넷째, 신뢰와 협동을 바탕으로 한 이해관계자 간 거버넌스 체계의 확립이 필요하다. 다섯째, 가치사슬을 둘 러싸고 있는 환경(정책, 규제, 기술 등)을 가치사슬 발전에 부 합하도록 개선해야 한다. 여섯째, 소농들의 시장교섭력 강화와 이를 통한 소득 증대를 위해 생산자 조직의 결성과 운영이 필 요하다. 일곱째, 농가들의 안정적인 판로확보 및 사업의 지속 가능성 제고를 위해 계약 생산(영농)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여 덟째, 정부 및 공공자금의 개입만으로는 사업의 효과와 지속 가능성이 제한적이므로 민관협력사업(PPP)의 활성화가 필요하 다. 아홉째, 농산물 가치사슬 개선 사업은 가치사슬 단계를 개 선하고 각 단계를 연계시켜주는 사업이기에 중장기적인 관점 에서의 단계적 추진이 필요하다. 열째, 비즈니스 모델을 확립 하고 이를 확대 재생산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농산물 가치사 슬의 비즈니스 모델이란 농산물 가치사슬 개선 사업을 조직화 하여 농산물이 이동되는 단계별로 부가가치를 높이는 방안을 논리적으로 정형화 한 것이다. 열한째, 효과적인 점검 및 평가 체계의 구축이 필요하다. 열두째, 공여기관의 가치사슬 개선사 업 기획 및 관리 역량강화가 필요하다. 열셋째, 한국 공여기관 들이 가치사슬 개선사업 기획 시에 실무적으로 활용할 수 있 는 틀(framework)이 필요하다.

    4. 농산물 가치사슬 개선 사업 기획 및 관리 방안

    한국의 대표적인 무상원조 기관인 KOICA의 국내 원조사업 의 발굴 및 기획 절차는 1) 수원국과 사업 컨셉 페이퍼 (Project Concept Paper, PCP) 논의 및 수령, 2) 예비타당성 조사, 3) 기획조사로 나뉜다. 본 연구에서는 선진 공여기관의 가치사슬 분석 및 기획 절차 5단계(분석 대상 선정, 가치사슬 도식화, 시장 분석, 개선전략 수립, 모니터링 및 평가 체계 수 립)를 KOICA의 사업 기획 절차 및 요소에 맞추어 대상 품목 의 선정, 가치사슬 현황 분석, 개선전략 수립, 기대효과 도출, 모니터링 및 평가 체계 수립의 순으로 제시하였다(Fig. 3). 본 연구에서 제시한 기획절차는 대분류 단계에서 선진 공여기관 의 절차와 유사하나 세부적인 절차는 실무적인 활용도를 높이 기 위해 통폐합 하고 간소화 하였다.

    본 연구가 제시하는 단계는 1) 대상 품목(혹은 품목군)의 선 정, 2) 대상 품목의 가치사슬 단계별 현황 및 문제점 분석(가 치사슬 도식화, 가치사슬 주요 활동 분석, 환경(지원 활동) 분 석, 마진율 분석 등), 3) 개선전략의 수립(시장 분석, 벤치마킹, 개선 전략 수립, 타 공여기관과의 협력 방안 모색, 세부 추진 방안 수립), 4) 기대효과 도출, 5) 모니터링 및 평가(지표 선 정, 기초선 조사 등)로 이루어진다(Table 1).

    해당 사업 기획 절차는 국내 원조기관들이 참고할 수 있는 하나의 사례를 제시한 것으로, 향후 실제 사업 현장에서의 적 용 및 환류를 통해 지속적으로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가. 대상 품목(품목군)의 선정

    사업 기획을 위해 우선 사업대상 품목을 선정한다. 품목 선 정 시에는 수원국 농업개발 정책 부합도, 시장규모, 성장잠재 력, 빈곤 감소에 미치는 영향, 위험도 등을 고려해야 하며 가 중치를 고려하여 총점이 가장 높은 품목을 선정한다.

    나. 대상 품목의 가치사슬 단계별 현황 및 문제점 분석

    선정된 품목의 가치사슬 주요 활동(가치사슬 단계) 및 지원 활동(환경)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한다. 아래의 그림은 농산 물 가치사슬의 활동들을 도식화 한 것이다(Fig. 4). 주요 활동 (Primary activities)은 농자재투입, 생산, 산지유통 및 가공, 도 소매, 소비 등의 단계로 구분하여 현황과 문제점을 도출하고 지원 활동(Support activities)을 법/제도, R&D, 농촌지도, 금 융, 협동조합, 수확후관리, 기술, 물류 인프라, 농산물 등급화, 정보 공유 등으로 구분하여 조사할 수 있다. 기존 ODA 사업 의 경우 가치사슬의 일부 단계에 국한된 사업이 많으므로, 가 치사슬 전반에 걸친 분석은 필요하지 않을 수 있으나, 가치사 슬 사업의 경우 전반적인 가치사슬 분석과 이에 기반을 둔 전 략 수립이 필요하다.

    (1) 농산물 가치사슬의 도식화(Mapping)

    생산부터 소비에 이르는 과정을 시각화함으로써 이해관계자 의 특징, 수익과 비용 구조, 농산물의 흐름, 고용의 특징, 국내 와 해외 판매의 장소와 물량 등을 파악해야 한다.

    (2) 농산물 가치사슬 단계별 현황과 문제점 조사

    선정된 품목의 가치사슬 단계별로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해 야 한다. 투입요소 단계에서는 비료 및 농약 등의 품질과 공 급량, 가격 등은 문제가 없는지, 생산단계에서는 농가 소득과 생산량, 시장정보의 접근성 등은 어떠한지, 산지 유통과 가공 단계에서는 산지조직화 정도, 가격 결정 방식, 가공시설의 수 준 및 개수는 충분한지, 도소매 단계에서는 출하자 보호제도 는 잘 갖추어져 있는지, 거래제도는 투명한지, 물류비용 수준 은 어느 정도인지 등을 분석 할 수 있다(Table 2). 또한, 가치 사슬 내 정부 규제, 진입 장벽, 거래제한, 표준화 등 환경(지 원 활동)도 분석해야 한다.

    (3) 수익배분 구조 분석

    수익배분 구조 분석을 통해 농산물 가치사슬의 단계별 마진 과 수익을 도출함으로 가치사슬 참여 이해관계자들은 어떤 혜 택을 받고 있으며, 어느 이해관계자가 보다 많은 이익을 얻는 지를 알 수 있다. 미얀마의 포멜로 가치사슬의 경우(Table 3), 소매상과 수집상의 마진율(Margin rate)이 가장 높고 농가와 도매상은 상대적으로 낮다. 이외에도 종합적인 분석결과를 가 지고 취약한 이해관계자의 수익 개선 전략(투입 비용감소 및 부가가치 증대 등)을 수립할 수 있다.

    다. 개선전략 수립

    가치사슬의 현황 및 문제점 분석 후에는 가치사슬의 취약 한 부분 즉, 지원이 필요한 단계가 도출된다. 이후 시장을 분석하고 벤치마킹을 통해 참고할 사례를 찾은 후 개선전략 을 도출해야 한다.

    (1) 시장 환경 분석

    대상 가치사슬의 SWOT(Strengths, Weaknesses, Opportunities, Threats) 분석을 실시하여 개선 전략 수립의 기초 자료로 활용 할 수 있다. 강점 및 약점 분석에서는 이해당사자의 강한 의 지, 생산성, 생산비용, 시장과의 접근성, 품질, 효과적인 관리 시스템, 경쟁역량 등을 분석하고, 기회와 위협 분석에서는 정 부의 정책/규제, 소비자 선호 추이, 틈새시장, 잠재 수요, 생산 성 증가 기회, 품질향상 기회, 수입품 혹은 강력한 경쟁의 유 무 등을 분석한다.

    가치사슬은 시장에 기반을 둔 개념이기에 시장 분석은 필수 적이다. 시장분석 시에는 정량적 지표(시장 규모, 시장 점유율, 성장률 등)와 정성적 지표(고객 유형, 고객 니즈, 구매 채널 등)를 함께 분석할 수 있다(Table 4).

    또한 해당 품목 시장의 경쟁구도와 경쟁자를 분석하여 차별 화 등의 개선 전략을 수립하여야 한다. 본 단계에서는 주요 경쟁자를 식별하고, 경쟁자의 매출, 시장 점유율, 경쟁 제품의 품질, 가격, 홍보전략 등을 분석할 수 있다(Table 5).

    (2) 벤치마킹

    선진 사례 벤치마킹을 통해 개선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선 진 사례 분석을 통해 가치사슬의 현황과 문제점(어디에서 병 목현상 및 불필요한 비용이 발생하는지 등)을 분석하고, 문제 의 원인과 개선방안 등을 분석한다. 이후 갭 분석을 통해 수 원국 가치사슬의 문제점 개선 방안, 제품과 서비스 품질 개선 전략 등을 수립할 수 있다. 그러나 벤치마킹 지표의 경우 각 가치사슬의 목표와 전략에 따라 지표가 달라지므로 그에 따른 지표를 선정해야 하며, 실행 가능한 지표를 설정하여 가치사 슬 현황, 문제의 원인, 개선방안 등을 포괄적으로 분석하는 것 이 중요하다(Table 6).

    (3) 개선전략 도출

    가치사슬 개선전략 도출 단계에서는 구체적인 개선전략을 도출한다. 본 단계에서는 가치사슬 단계별 개선전략, 지원 활 동별 전략, 거버넌스 구조 및 비즈니스 모델 개선 방안, 여성 및 취약계층 고려방안 모색, 지원형태 등을 수립한다.

    (가) 가치사슬 단계 및 지원기능별 개선전략 수립

    개선이 필요한 가치사슬 단계 및 지원활동별로 구체적인 개 선 방안을 제시한다. 선진 공여기관들은 주요 활동별, 지원 활 동별로 다양한 가치사슬 개선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Table 7). 해당 사업들을 참고하여 수원국 상황에 따른 사업의 우선순위 를 판단하고 지원 사업을 결정할 수 있다.

    (나) 거버넌스 구조 및 비즈니스 모델 개선 방안 수립

    거버넌스 구조 및 비즈니스 모델 개선 방안 수립 단계에서 는 해당 가치사슬에 적합한 수직통합의 정도와 통합의 주체를 모색하고 이를 추진하기 위한 방안을 수립한다. 이를 위해 거 래비용, 물류의 복잡성, 후방통합으로 인한 비용 감소 정도 등 을 검토 할 수 있고, 비즈니스 모델 수립 시에는 반복가능성 이 있는지, 사업의 지원 종료 후에도 지속가능한 모델인지 등 을 검토할 수 있다(Table 8).

    (다) 지원형태 결정

    가치사슬 개선사업 지원 방식을 사안에 따라 유/무상 공여기 관 단독, PPP(Public Private Partnership, 민관합작사업), 수원국 내 사업 수행 중인 기타 공여기관과 협력, 다자 협력 플랫폼과 협력, 유/무상 원조 사업과의 연계 등으로 추진할 수 있다.

    한 지역에 국한된(혹은 규모가 작은) Pilot 사업일 경우 무 상원조 기관 단독 추진이 적합하고, 시범 사업 후 사업을 큰 규모로 확장할 필요가 있을 경우 유상원조 사업(차관 사업)과 연계가 적합하다. 타 공여기관이 해당 가치사슬 혹은 사업지 역 내에서 프로젝트를 진행 중일 경우 타 공여기관과 협력하 는 것이 효율적이고, 다자협력 플랫폼(예: Grow Asia1)을 활용 하거나 민간과 PPP형태로 추진하는 것도 사업의 효과성 및 지속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4) 타 공여기관의 해당품목 지원 현황 조사

    해당 농산물 가치사슬 개선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타 공여 기관을 파악하는 것은 사업 중복을 회피하고 사업을 추진하는 공여기관만의 차별화된 사업을 기획하는데 중요하다. 아울러 타 공여기관과의 협력 사업을 모색하기 위해서도 타 기관의 사업을 조사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른 공여기관과의 공동 사 업은 효율적인 예산의 활용 및 경쟁우위 분야 집중을 통해 개 도국 농산물 가치사슬의 경쟁력을 높이는데 효과적이다.

    (5) 개선전략 실행계획(Action Plan) 도출

    마지막으로 프로그램별 세부 실행계획(Action Plan)을 제시 한다. 세부 사업 실행계획 수립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은 다음 과 같다. 첫째, 사업 종료 이후에도 수혜자들이 시장 내에서 자립할 수 있도록 지속가능한 비즈니스 모델 및 법제도 개선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 둘째, 이해관계자 간의 연계 강화 및 정보교류 활성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 셋째, 충분한 사업 기 간의 설정을 고려해야 한다. 가치사슬 개선을 위한 기본적인 환경구축과 이해관계자 간의 신뢰 구축, 가치사슬 자립을 위 한 시스템 구축 등에는 적지 않은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넷째, 충분한 지원 자금 조달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 가치사슬 개선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지원은 충분한 비용 지원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다섯째, 사업 일정관리, 품질관리 및 위험관리 체계 구축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

    라. 기대효과 도출

    가치사슬 개선사업 추진 시 기대되는 효과를 작성한다. 가 치사슬 개선사업의 기대효과는 농가소득 향상, 농산물 품질개 선, 생산성 향상, 유통개선, 농가의 교섭력 확대 등이 있다.

    마. 모니터링 및 평가 체계 수립

    해당 농산물 가치사슬 사업의 성과를 제고하기 위하여 지속 적인 모니터링과 평가 계획을 수립하고 기초선(baseline) 및 종 료선(endline) 조사계획을 수립한다. 또한, 사업의 모니터링 및 평가 시에 활용할 PDM(Project Design Matrix) 성과지표를 선정한다. 선정된 성과지표는 이해관계자들의 동의를 얻어야 하고, 모니터링 결과는 지속적으로 공유되어 사업성과를 높일 수 있어야 한다. 모니터링 및 평가에 필요한 지표로는 사업 분야에 따라 비료/농약 생산성 성장률, 농기계 사용률, 농가 소 득 증대율, 생산량 증대율, 농가 조직화율, 출하자 보호 제도 의 수립여부, 가격의 투명성 정도, 수확후손실 감소율, 소액금 융 성장률, 농산물 규격 표준화 정도 등이 있다(Table 9).

    결 론

    본 연구에서는 농산물 가치사슬의 개념과 구조, 개발도상국 의 농산물 가치사슬의 현황, 선진 공여기관의 가치사슬 분석 틀, 선진 공여국의 가치사슬 사업 내용, 국내 농업분야 ODA 사업 추진 현황을 분석 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의 농산물 가 치사슬 개선 사업 기획관리 방안을 하나의 사례로 제시하였다.

    농산물 가치사슬 분석틀의 활용은 농산물의 생산부터 소비 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을 분석함으로 개발도상국 농산업의 발 전 전략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특히 농산물 가치사슬은 생산 이전부터 최종 소비에 이르는 과정을 종합적·동태적으로 파악함으로써 농림수산 분야 국제협력사업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개발도상국의 경우 관련 통계 및 데이터가 부족하여 심도 있는 분석과 실효성 있는 대안을 제시하기 어 려운 경우가 많다. 이러한 상황에서 가치사슬 개선사업이 성 과를 보이기 위해서는 사업 기획단계에서 충분한 조사 기간을 확보하고, 수원국 정부 공무원 및 전문가들과 긴밀한 협조체 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중장기적으로는 개 발도상국의 농산물 가치사슬 연구를 축적하는 것이 필요하다.

    적 요

    1. 개발도상국의 경우, 가치사슬 전반에 걸쳐 제약요인을 가 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가치사슬 일부 단계의 개 선만으로는 그 파급효과가 제한적이다. 이로 인해 가치사슬 전 반에 걸친 분석과 종합적인 개선 전략의 수립이 필요하다.

    2. 선진 공여기관들은 개발도상국의 가치사슬 개선을 위해 여러 가지 분석 틀 및 개선전략 수립 틀을 가지고 가치사슬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3.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농산물 가치사슬 개선 사업 기획 관리 방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해당 기획관리 절차를 한국의 대표적인 무상원조 기관인 KOICA의 원조사업 기획 단계에 맞추어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실제 현장에서 활용도를 높이고 자 하였다. 해당 절차는 1) 대상 품목(혹은 품목군)의 선정, 2) 가치사슬 분석, 3) 개선전략 수립, 4) 기대효과 도출, 5) 성 과관리(모니터링 및 평가) 방안의 도출 등으로 구성되었다.

    4. 한국의 공여기관들은 이 절차를 바탕으로 농산물 가치사 슬 개선 사업의 기획과 시행에 필요한 사항들을 점검 및 확인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현장에서의 활용을 통해 해당 절차를 보다 효과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 한다.

    ACKNOWLEDGMENTS

    본 연구는 한국국제협력단의 지원(과제명 : 미얀마 및 레바 논 농산물 가치사슬 확대 분야 사업기획관리 용역)으로 수행 되었다.

    Figure

    KSIA-32-2-141_F1.gif

    Structure of Agricultural Value Chain Source : UNCTAD (2009)

    KSIA-32-2-141_F2.gif

    Problems of Agricultural Value Chain of Developing Countries

    KSIA-32-2-141_F3.gif

    Establishing the Concept of Value Chain Project Planning and Management Stages

    KSIA-32-2-141_F4.gif

    Primary and Support Activities of Agricultural Value Chain

    Table

    Checklist for Agricultural Value Chain Project Planning and Management

    Indicator Pool for Understanding Value Chain Situation by Stage

    Marketing Costs and Margins of Pomelo in Yangon Area, Myanmar

    Indicator Pool for Market Demand Analysis

    Indicator Pool for Competition and Competitor Analysis

    Indicators for Benchmarking Good Cases

    Contents of Agricultural Value Chain Project

    Check List for Improving Governance Structure and Business Model

    Indicator Pool for Monitoring and Evaluation

    Reference

    1. ADB (Asian Development Bank).2012. Support for Agricultural Value Chain Development. Evaluation Knowledge Study. Asian Development Bank. 90p.
    2. Aung, Mya Lwin Lwin.2013. Analysis of Constraints Faced by Stakeholders towards a Successful Value Chain: Case Study of Pomelo in Yangon Region. Mekong Institute Research Working Paper Series 2013. Mekong Institute. 40p.
    3. Kim, Dong Hwan, Yong Taek Kim, and Jinwoo Kim.2017. Study on the Establishing Strategy to Expand Agricultural Value Chain Project. 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255p.
    4. UNCTAD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Trade and Development).,2009. World Investment Report. UNCTAD. 280p.
    5. UNIDO (United Nations Industrial Development Organization).2009. Agro-Value Chain Analysis and Development: The UNIDO Approach. A staff working paper. UNIDO. 74p.
    6. Webber, C. Martin. and Patrick Labaste,2010. Building Competitiveness in Africa's Agriculture - A Guide to Value Chain Concepts and Applications. World Bank. 187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