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8504(Print)
ISSN : 2287-8165(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Vol.33 No.1 pp.8-13
DOI : https://doi.org/10.12719/KSIA.2021.33.1.8

The Effects of Plug Tray Cell Size and Seedling Age on the Growth and Yield of Spring Onion

Jung-Soo Lee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Wanju 54874, Korea
Corresponding author (Phone) +82-10-8487-7129 (E-mail) ljs808@korea.kr
March 2, 2020 January 18, 2021 January 27, 2021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seedling age (40, 65 or 90 days) and plug tray cell size (406, 200 or 128 cells per tray) on the growth and marketable yield of two spring onion types, ‘Baegam oedae’ and ‘Seoldong hanlo’. Our results shows that the seedling age and plug tray size affected the amount of growth that both cultivars experienced before transplantation. The fresh weight and diameter of the stem of the 90-day-old seedling grown in 128- or 200-cell trays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s. However, the 65-day-old seedling produced a significantly greater yield than those of 40- or 90-day-old seedlings after transplanting. The yield of seedlings grown in 128- and 200-cell trays was higher than 488 cells. The results seem to suggest that 65 days of onion growth using 128-/200-cell trays is the most advantageous growth scheme for green onion seedlings. This growth scheme would result in the highest likelihood of producing a strong marketable yield.



파 플러그 육묘 시 품종에 따른 육묘 용기와 일수가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이 정수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초록


    서 론

    파(Allium fistulosum L.)는 중요한 조미채소로써(RDA, 2013a), 영명으로 green onion, spring onion, Japanese bunching onion, welsh onion 등으로 불리우고 있다(Rana, 2017;UC Davis, 2016). 국내에서는 파 육묘 방식의 변화로 인하여 플러 그 육묘방법이 모색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쪽파를 포함한 파 의 재배 면적은 18,757 ha에 생산량은 489,864 MT으로 국내 조미채소 중 생산량이 양파 다음으로 두번째로 많아 비중이 큰 작물이다(MAFRA, 2018). FAO에서는 샬롯 및 쪽파를 포함하 여 2017년도에 5.13 M ton이 생산되었다고 보고하였다(Tridge, 2017). 파는 종자에서부터 포기나누기나 주아에 의해 번식이 가 능한데, 국내에서는 주로 종자를 파종하고 육묘하여 재배한다 (RDA, 2013a). 파 재배에 있어서 전세계가 마찬가지로 육묘에 많은 노력이 소요되기 때문에 현재의 노동력 감소의 직면해 있 는 농업환경에서는 노동력 절감을 위하여 육묘방법의 개선이 필요하다(Chen and Sung, 2008;Lee et al., 2002;RDA, 2013a). 국내에서는 원예작물 분야에서 작업효율성과 경제성으 로 인해 플러그묘의 사용이 일반화 되어 있다(RDA, 2008). 플 러그 육묘 시 파를 포함한 엽채류인 배추, 잎상추, 청경채에서 육묘 용기는 200셀에서 448셀까지 다양하게 이용가능하며 육 묘일수는 15~60일 정도 가능한데, 육묘 일수 처리에 따른 수 량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고 보고하였다(Charles, 1998;Lee et al., 2002;Research gate, 2017;Young et al., 2004). 그러나 같은 파속의 식물인 양파에서는 육묘 일수와 심는 시기에 따 라서 생육의 차이로 보여 128공에 육묘 일수가 길수록 수량 에 유리하다고 보고 되었다(Lee et al., 2000).

    파는 품종군이 다양한데 품종 구분이 분얼 특성에 따라 구 분된다(RDA, 2013a). 파에 대한 플러그 육묘에 대해 Lee et al. (2002)에 보고 사례가 있으나, 분얼에 따른 품종별 고려 없이 외대파에 대한 연구자료로서, 육묘 일수에 대한 영향이 충분히 반영 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국내에서 분얼이 적은 외대파의 경우는 농가에서는 셀당 3~4립 정도 파종하는데 (RDA, 2013a), 분얼 특징이 다른 잎파 품종에 따른 플러그 육묘에 대한 연구 보고가 미흡한 실정이다. 국내 파 육묘는 시설과 노지에서 육묘 베드나 플러그 트레이를 이용하며, 인 력에 의한 파종과 정식도 있으나, 기계 작업으로 전환되고 있 다(RDA, 2013a). 파는 우리나라 이외에도 전세계적으로 이용 되고 있는데(RDA, 2013a), 동남아와 같은 열대지역에서는 종 자번식 이외에도 분주나 종구에 의해 번식하거나 온대지역과 같이 노지의 육묘상을 이용하여 육묘 후 재배되거나 직파하며 (Rana, 2017), 육묘 시 파종과 정식 작업이 인력에 의해 이루 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 국내에서는 파 품종 특성에 따른 플러그용기와 육묘 일수에 대한 검토를 통해 효과적인 육묘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국내의 확립된 플러그 육묘 기술을 동남아 등 개도국에 기술을 전파하면, 이들 국가의 파 재배 기술의 발전에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재료 및 방법

    본 실험에서 실험재료는 분얼 특성에 따라 외대파 품종인 ‘백 암외대파(동부팜한농)’와 분얼파인 ‘설동한로파(농우바이오)’를 이용하였다. 육묘와 재식은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육묘 온실과 시험포장에서 수행하였다. 파 육묘 효과를 보고자 품종 별로 셀 사이즈에 따른 플러그 트레이 용기에 따라 128공과 200공, 406공으로하여, 육묘 일수 별로 40일, 65일, 90일로 하여 셀당 1주가 되도록 처리를 두었다. 실험에 이용한 플러그 셀당 용 적은 128공은 14.5 cm3, 200공은 11.0 cm3, 그리고 406공은 4.3 cm3이었다. 대조구로 품종 별로 노지의 냉상에서 90일간 육묘하였다. 플러그 트레이에 육묘 시 육묘용 파종 상토는 피 트모스와 펄라이트 혼합 상토(70:30, v/v)를 이용하였고, RDA (2013a)의 재배법에 따라 관수는 두상 살수방식으로 매일 일 정량을 충분히 관수하였으며, 시비는 육묘기간 동안 원시전용 양액(N- P- K- Ca- Mg가 8.0 - 2.4 - 2.4 - 4.8 – 1.6 me·L-1, Fe-Mn-Cu-Zn-B-Mo가 2- 0.5- 0.05- 0.05- 0.5- 0.0 mg·L-1)으로 0.5 S 농도로 발아 후 1주부터 매일 1회 공 급하는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관행육묘는 노지에 90일간 냉상 육묘하였으며, 육묘시 비료는 요소로 100~150 g/30평 기준으 로 2회에 나누어 분시하였다. 재배방법은 육묘일수 별 육묘한 모를 4월 6일에 정식하여 10월 27일에 수확하였다. 정식은 포 장에 이랑을 휴립한 경사면에 1주당 재식 거리로 조간 80 cm 에 주간은 10 cm로 하여 실시하였으며, 재배기간 중 배토는 관리기를 이용하여, 포장의 총 시비량은 ha당 질소를 250 kg, 인산 250 kg, 칼리를 300 kg으로 하였다. 그 외의 파 재배는 RDA (2013a)의 기준에 의하여 재배하였다. 시설 내 육묘 환 경과 노지 환경을 측정하지 못하였으나, 광환경에서는 30~40% 정도 낮고, 온도는 시설 내의 주간 온도가 높아 작물 생육에 유리하나 야간에는 외부 온도와 같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Chun et al., 2006). 육묘와 수확 시 생육조사는 RDA (2013b)따라 육묘 후 초장, 경경, 엽수, 생체중 등을 측정하였 으며, 수확시 초장, 경경, 엽수, 생체중, 상품률, 수량 등을 조 사하였다. 통계처리는 SAS(Version 9.2, SAS Inc., Cary US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육묘 시험 은 세세구배치 완전임의 3반복으로 하였고, 포장 시험은 세세 구 배치 난괴법 3반복으로 하였다.

    결과 및 고찰

    파 품종 별 육묘일수와 플러그 트레이에 따른 모 생육

    파 플러그묘 생육은 품종, 육묘일수 및 플러그 트레이 종류 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파 생육량은 품종, 육묘일수, 플러그 트레이 종류에 따른 초장, 엽수, 경경, 생체중과 같은 측정 항 목에서 유의차를 보였으며, 처리 간에 품종별 육묘일수와 플 러그 트레이 종류 간에 교호작용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1). 플러그 육묘 시 품종에 따라서는 생체중에서 ‘백암 외대파’가 큰 경향을 보였고, 육묘일수가 길어질수록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플러그 트레이 용기는 128공이나 200공이 406공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파 육묘 시 생체중에서 품종, 육묘일수, 플러그 트레이 용기 및 각 처리별 상호 작용에서도 처리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 다. ‘백암외대파’의 평균 생체중이 1.8 g으로 ‘설동한로파’의 평 균 생체중인 1.5 g 보다 무거웠으며, 육묘일수에 따라서는 40 일 동안의 육묘가 0.5~0.7 g, 65일 육묘가 1.6~2.2 g, 90일은 2.4~2.5 g으로 육묘일수가 길수록 무거워졌다. 파 플러그 트레 이 종류에 따라서는 셀 크기가 큰 128공에 육묘한 것이 생체 중이 무거운 경향을 보였다. 파의 품종 별로 육묘 일수 및 플 러그 트레이 종류에 따른 모의 생체중은 각 요인 별 상호 작 용에 따라서 ‘백암외대파’와 ‘설동한로파’ 품종 공히 90일 육 묘의 128공이 3.3 g으로 가장 무거웠으며, ‘설동한로파’ 40일 육묘 406공이 0.3 g으로 가장 가벼웠다. 육묘 시 엽수에 있어 서 품종과 육묘일수 및 플러그 트레이에 따라 처리 간 차이를 보여, ‘설동한로파’가 2.9개로 ‘백암외대파’의 2.7개 보다 많았 으며, 육묘일수에 따라서는 65일 육묘가 3.0~3.1개로 90일의 2.7~3.1개나 40일의 2.4~2.7개보다 많았고, 플러그 트레이는 128공이 2.7~3.3개로 200공의 2.5~3.2개나 406공의 2.1~2.7개 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경은 품종을 제외한 육묘일수 와 플러그 트레이 및 상호 작용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어, 육 묘일수에 따라서는 90일 육묘가 3.9~4.9mm로 65일의 3.6~ 3.8mm나 40일의 2.1~2.2 mm보다 컸으며, 플러그 트레이에서 400공의 경경이 다른 트레이보다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플러 그 트레이 종류와 육묘일수의 각 요소별 경경은 90일 육묘의 128공이 5.0~5.7 mm로 가장 컸으며, 40일 육묘의 406공이 1.7~2.6 g으로 작았다. 엽수는 플러그 종류를 제외한 품종과 육 묘일수 및 상호 작용에서 차이를 나타내 보여, ‘백암외대파’가 31.4 cm로 ‘설동한로파’의 28.2 cm보다 길었으며, 육묘일수에 따라서는 90일이 33.9~36.6 cm로 65일의 28.8~35.7 cm와 40 일의 21.8~21.9 cm 보다 긴 것으로 나타났다. 파 플러그 육묘 시 생체중과 같은 생육은 육묘일수가 늘어날수록, 플러그 트 레이 종류에 따라서는 406공에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행 의 노지 냉상의 파와 플러그 육묘를 비교하면, 생체중 등의 모든 생육량이 낮았는데, 이는 Shin et al. (2000) 보고와 같 이 노지 냉상의 육묘에 비해 플러그 육묘는 플러그 용기의 셀 크기가 적어짐에 따라 근권이 제한 되어 생육이 적은 것으로 보인다. 파의 생육이 관행적인 냉상육묘 보다 적었지만, 공정 육묘를 통한 플러그묘는 정식 시 높은 활착과 균일한 모의 대 량생산, 작업의 효율성으로 인해 원예작물을 비롯하여, 식량작 물 등 많은 작물에서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Shin et al., 2000;Kim et al., 2009). 파 플러그묘 생산은 육묘 시 생육 만으로 판단이 어려우며, 수확 시 수량을 고려해서 판단해야 함으로 품종 별로 수확 시 수량에 저해가 발생하지 않는 육묘 일수와 적정한 플러그 용기 종류별 셀 크기에 따라 선발해야 될 것으로 보인다.

    파 품종 별 육묘일수와 플러그 트레이에 따른 생육과 수량

    파 플러그 육묘 후 포장 재배시 육묘일수 등이 수확 시 상 품수량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파 플러그 육묘 시 처리에 따라서 수확 시 생육 특성과 수량을 보면, 파 수확 시 품종 별 플러그 육묘일수와 플러그 트레이에 따른 생육은 경 경(줄기 굵기)을 제외한 초장, 엽수, 생체중, 분얼수 및 상품수 량에서 유의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2). 수확 시 생육 특성에서 초장은 플러그 종류에 따라 유의 차이로 200공이 다른 공수보다 큰 경향을 보였으며, 엽수는 플러그 종 류 및 육묘일수와의 교호작용으로 차이를 보여, 200공에서 다 른 육묘일수보다 많았으며, 200공에서도 40일 육묘가 주당 엽 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당 생체중은 ‘백암외대파’가 ‘설 동한로파’보다 무거운 것으로 나타났으며, 분얼수는 ‘설동한로 파’가 많았다. 파 플러그 육묘에 따른 상품수량은 육묘일수에 따라 영향을 받아 유의적 차이를 보였으며, 65일 육묘가 다른 묘령의 육묘일수인 40일이나 90일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플러그 육묘에 따른 수확 시 초장은 플러그 종류에 따라 차이 를 보여 200공 플러그 육묘가 71.3~79.2 cm로 128공의 70.8~ 78.4 cm나 406공의 71.3~73.5 cm보다 길었다. 엽수는 플러그 트레이 종류와 육묘일수에 따른 차이를 보면, 200공은 5.4~7.4 개로 128공의 5.2~6.3개와 406공의 4.5~5.9개보다 많았으며, 200공에서도 40일묘가 6.1~7.4개로 65일의 5.7~5.9개나 90일 의 5.4~5.8개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당 생체중은 ‘백암 외대파’가 평균 228.9 g으로 ‘설동한로파’의 6.8.8 g보다 높았으 며, 분얼수는 ‘설동한로파’가 주당 평균 분얼수가 4.5개로 ‘백암 외대파’의 1.3개보다 많았는데, 이는 Table 2에서와 같이 품종 차이에 의한 영향으로 육묘 시 처리에 따라서는 큰 영향을 미 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파 육묘 시 플러그 육묘에 따른 상 품수량은 플러그 육묘일수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파 플러그 육묘일수에 따른 영향은 65일 육묘가 3.9~4.4 ton·ha-1으로 90 일 육묘의 3.8~4.2 ton·ha-1나 40일의 3.2~3.5 ton·ha-1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파의 수량에서 육묘일수에 따른 영향은 육 묘일수가 길어진다고 해서 커지는 것보다는 ‘설동한로파’와 ‘ 백암외대파’ 모두 적정한 묘령으로 길러진 것이 후기 영양 생 육에서도 수량이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 Kim et al. (2015)Shin et al. (2000)은 적정한 묘령의 플러그 모가 초기 생육에 유리하다고 보고하였는데, 본 연구 결과와 유사한 것으로 판 단된다.

    파의 플러그 육묘와 관행의 노지 냉상 육묘를 비교하면, 파 는 플러그 트레이에 65일 이상 육묘가 관행의 노지 냉상 90 일 육묘보다 높은 수량을 보였다. ‘백암외대파’의 관행의 노지 냉상 90일 육묘의 수량이 3.6 ton·ha-1으로, 본 실험에서 플러 그 육묘의 수량은 3.5~4.0 ton·ha-1인데, 40일보다 초과하여 육 묘를 하면 관행보다 높은 수량을 보였으며, ‘설동한로파’에서 도 노지 냉상이 4.1 ton·ha-1인데 플러그 육묘 일수가 65일이면 4.4 ton·ha-1으로 관행적인 육묘에 의한 것보다 높은 수량을 보 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파의 상품수량에 영향을 미치는 생육 요소에 대하여, Lee et al. (2002)은 생체중량이 클수록 파의 수량이 많아지는 것으로 보았는데, 본 논문에서도 파의 품종 에 따라 주당 생체중에 따른 상품수량과의 상관관계를 보면, ‘백암외대파’는 상관계수 r = 0.48로 상관강도에 있어서 정(+) 의 상관 관계를 보인 반면에, ‘설동한로파’는 r = -0.32로 음(-) 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파의 품종에 따라 상관 정도가 달리 나타났는데, 이와 같은 원인은 ‘설동한로파’의 경우에 분얼에 의해서 주당 생체중이 감소하여 낮아진 것으로 보인다.

    주당 생체중에 영향을 주는 플러그묘 생육에 대하여, Lee et al. (2000)Jang (2000)은 양파에서 수량은 육묘 시의 묘소 질 중에서 생체중과 경경에 따라서 정식 후의 생육과 수량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는데, 파에서 묘소질 중 수량과 의 상관 관계를 보면, 초장과의 상관계수 r = 0.56이고 경경은 r = 0.54, 모 생체중은 r = 0.47의 상관관계를 보여, 육묘 시 모 의 크기가 클수록 이후 포장재배시 생육과 수량과도 다소 연 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파 플러그 육묘 후 수확 시 생육은 품종 별로 육묘일수와 수량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여 65일 육 묘가 생육이 가장 좋았으며, 이는 관행의 90일 묘 보다 더 좋 은 생육을 보였다. 플러그 용기 트레이에 따라서 생육 차이는 없었지만 406공에서 상품수량이 낮은 경향을 보여, 이보다는 큰 용기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해 보인다. 파 상품수량을 높이 기 위한 육묘 시 품종별 플러그 용기 종류와 육묘일수의 영향 을 검토하였는데, 품종별로 공히 적정한 육묘일수로 65일 정 도와 406공 크기가 생육을 제한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 인하였다. 향후 국내에서 파 육묘 시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본 플러그 육묘 기술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적 요

    파 플러그 육묘 시 품종에 따른 육묘일수와 용기 트레이 종 류가 묘소질 및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하 였다. 파 품종은 ‘백암외대파’와 ‘설동한로파’, 육묘일수는 40 일, 65일 및 90일, 플러그 셀 종류는 128공, 200공 및 406공 을 이용하여 모 생육과 수확 시 수량 등을 조사하였다. 육묘 시 모의 생육은 각 품종 별로 육묘일수가 길어질수록 생육량 이 커졌으나, 플러그 트레이 종류에 따라서 406공이 생육량이 낮았다. ‘백암외대파’는 생육 시 생체중에서 모 생육이 좋았던 처리가 후기 생육 시에도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설 동한로파’는 육묘 시 처리에 의해 분얼수가 증가하였으나 개 체 별 생체중이 떨어져 수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플 러그묘 정식 후 수량은 두 품종 모두 품종 별 육묘일수에 따 른 영향을 받아 65일 육묘가 40일이나 90일보다 상품수량이 높았으며, 육묘용기에 따라서는 406공이 128공이나 200공보다 수량이 낮은 경향을 보여, 플러그 용기는 목적에 따라 선택 범위를 조절하여 이용하는 것이 유리해 보인다. 동남아 등 해 외에서도 파 육묘 시 국내 플러그 육묘 기술을 활용하면 노동 력 절감이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Figure

    Table

    The effects of cultivar, seedling age, and plug tray size during the seedling period of the green onion growth.

    The effects of cultivar, seedling age and plug cell size on the growth and yield of green onions 180 days after transplanting.

    Reference

    1. Chen SK , Sung Y. 2008. The effect of plug opening on the growth of welsh onion. Seed & Nursery. 10: 71-81.
    2. Charles SV. 1998. Transplant age in vegetable crops. HortTechnology. 8: 550-555.
    3. Chun H , Choi YH , Kim HJ , Lee SY , Yun SH , Kang YI , Jeong DS. 2006. Light environment and growth of plastic pepper in plastic house using plastomer film.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27: 476-479.
    4. Jang YS. 2000. The analysis of characters related with the lodging times and the yield in onions.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18: 655(abstract).
    5. Kim HC , Cho YH , Ku YG , Bae JH. 2015. Seedling qualities of hot pepper according to seedling growth periods and growth and yield after planting.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33: 839-844.
    6. Kim SK , Jung TW , Lee YY , Song DY , Yu HS , Lee CW , Kim YG , Kwak CG , Jong SK. 2009. Effect of nursery stage and plug cell size on seedling growth of waxy corn.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54: 407-415.
    7. Lee JS , Seong KC , Sin YA , Ro HM , Um YC. 2000. Introduction of spring cultivation of onions by adapting the plug seedling system in the middle region of Korean peninsula.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18: 9-13.
    8. Lee JS , Shin YA , Seong KC , Um YC , Ryu BC. 2002. Effect of plug cell size, seedling age, standing number and transplanted depth in a level low on the growth and yield of welsh onion (Allium fistulosum L.).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20: 297-301.
    9. MAFRA(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2019. Vegetables production of Korea on 2018. pp. 19-161. MAFRA. Sejong. Korea.
    10. Rana MK. 2017. Vegetable crop science. In Rana MK and Mor H, eds, Welsh onion. CRC press. FL, USA.
    11. Research gate.2017. Seedling production. Accessed in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17042848_Seedling_production 10 October 2019.
    12. RDA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2008. Vegetable seedling technology. pp. 15-271. RDA. Suwon. Korea.
    13. RDA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2013a. Welsh onion. pp. 16-161. RDA. Suwon. Korea.
    14. RDA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2013b. Research analysis criteria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pp. 503-618. RDA. Suwon. Korea.
    15. Shin YA , Kim KY , Kim YC , Seo TC , Chung JH , Pak HY. 2000. Effect of plug cell size and seedling age on seedling quality and early growth after transplanting of red pepper.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41: 49-52.
    16. Tridge.2017. FAO statistics. Accessed in https://www.tridge.com/prodution 22 February 2020.
    17. UC Davis.2016. Green onion. Accessed in https://www.wifss.ucdavis.edu/wp-content/uploads/2016/10/GreenOnions_PDF.pdf 22 February 2020.
    18. Young RY , Jung MK , Kim BS , Hong SJ , Chun C , Park SW. 2004. Effect of plug cell size on seedling growth of summer spinach.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22: 422- 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