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8504(Print)
ISSN : 2287-8165(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Vol.33 No.1 pp.14-21
DOI : https://doi.org/10.12719/KSIA.2021.33.1.14

Light Transmission and Fruit Quality Through Partial Canopy Modification in the ‘Gamhong’/M.9 Slender Spindle Apple Tree

Dongyong Lee, Moo-Yong Park, Hun-Joong Kweon, Yang Yik Song, Youngsuk Lee, Dong-Hyuk Lee, Jong-Chul Nam, Young Sik Cho
Apple Research Institute,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e and Herb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Gunwi 39000, Korea
Corresponding author (Phone) +82-54-380-3171 (E-mail) dongle1013@korea.kr
September 2, 2020 November 22, 2020 November 30, 2020

Abstract


In Korea, slender spindle is one of the most widely-used tree forms for high-density apple planting orchards. However, as the age of the tree increases, the light distribution pattern of the slender spindle tree’s canopy becomes unfavorable for robust apple production, particularly at the lower levels of the tree’s canopy. As a result, because it is difficult to change the overall tree form, partially modifying the canopy can be an effective way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analyze proper canopy management practices through the evaluation of the canopy’s light environment and the fruit quality of the ‘Gamhong’/M.9 slender spindle apple tree. Three different treatments were applied to the partial canopy, particularly to the upper levels, where the light environment is likely to be poor. Treatment 1 (T1) consisted of cutting back lateral branches and shortening the canopy width, Treatment 2 (T2) focused on the bending of lateral branches under the row, and Treatment 3 (T3) used the maintenance of the spindle shape as a control. T1 showed the highest light transmittance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anopy compared to other treatments, resulting in the production of large and well-colored apple fruit and higher floral bud differentiation. On the other hand, T2 showed reduced light transmittance, due to the overlapping of branches which further increased shading in lower levels of the canopy, causing lower coloration in the fruit. Collectively, our results suggest that keeping the canopy narrowlyshaped by restraining lateral branches above the lower levels of the canopy is the most efficient canopy management practice to improve light distribution and fruit quality in the ‘Gamhong’/M.9 slender spindle apple tree.



세장방추형 ‘감홍’/M.9의 부분적 수관 변경에 따른 광투과 및 과실 품질

이 동용, 박 무용, 권 헌중, 송 양익, 이 영석, 이 동혁, 남 종철, 조 영식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사과연구소

초록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RDA)
    PJ01019902

    서 언

    우리나라는 해외에서 1990년 중후반 밀식 재배체계가 도 입된 이래로 사과 밀식 재배면적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사 과 밀식 재배를 가능케 했던 요인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 중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은 왜성대목의 이용과 이에 적합한 수 형의 적용을 들 수 있다. 실제로 더 작고 조밀한 형태의 나무 가 태양의 빛에너지를 얻는 측면에서 보다 효율적이고(Buler & Mika, 2009), 동일 면적에 더 많은 나무의 재식이 가능하기 때 문에 단위면적당 수량을 더 높일 수 있는 좋은 수단이 된다. 많은 현대 과원 체계는 수관 내로 광 투과가 가능하도록 원뿔 형의 수형과 얇은 수관층을 유지하고 있다(Palmer, 1997). 최 근 밀식 재배에 널리 이용되는 수형은 원뿔형의 방추형 또는 세장방추형이다. 방추형은 개심형에 비해 투광량이 적지만 밀 식에 적합하기 때문에 최근 대부분의 과원에서는 방추형 수형 을 선호한다(Buler & Mika, 2009). 방추형은 사과를 비롯해 배와 복숭아, 체리 등 다른 과수에서도 많이 이용되는 대표적 수형으로(Musacchi et al., 2015), 유럽에서는 대부분의 사과와 배 나무는 왜성대목에 접목되고 방추형이나 세장방추형으로 정지된다(Buler & Mika, 2009). 최근에는 세장방추형에서 수 고를 높게 하는 방향의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나 수고를 높이 면 낮은 수관 위치에서의 광투과율은 감소하는 단점이 있다 (Choi et al., 2014).

    사과 ‘감홍’은 1992년에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선발된 고 당도 대과종의 국내 육성 품종으로, Shin et al. (1993)은 ‘감 홍’은 측지 발생이 비교적 많은 편으로 결과 부위 확보에 문 제가 없다고 하였으나, M.9 대목 등 왜성대목의 이용으로 인 한 수세 감소와 대과 생산을 위한 강한 수세 유지 사이에서 적절한 수세 관리에 어려움이 있으며, 세장방추형 수형에서 수 령이 증가함에 따라 수관 내부의 광환경이 불량해지는 경우가 많다. 세장방추형은 가지 사이로 작은 공간들이 존재하고 영 양 생장이 그 작은 공간을 빠르게 메우게 되면 과실의 불량한 착색과 품질 저하를 야기한다(Robinson et al., 1991). 또한 불충분한 광조건은 과실 크기, 착색도, 가용성 고형물 함량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Buler & Mika, 2009).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적절한 재배 관리 노력이 필요한 실정이다. 최대 수량과 최상 품질의 과실 생산 은 모든 착과 부위에 적합한 광환경을 제공하는 수형 구성과 유지에 달려있고(Warrington et al., 1995), 수형과 관련된 정 지 체계는 수광과 수관 내 광분포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 을 한다(Buler & Mika, 2009). 특히나 수관 내부의 음영을 감소시키는 정지 방식은 격년결과 회피 효과와 함께 수량의 극대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Miller et al., 2015).

    실제로 과수에서는 기존 수형에서 정지법을 개선하거나 부 분적으로 수관을 변형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 사례들이 있 다. Warrington et al. (1995)은 상부 우세인 주간형 사과 나 무에서 상부 수형을 재구성하는 전정 처리를 통해 하부 과실 의 품질 향상과 수량 증대를 보고하였고, Musacchi et al. (2015)은 체리에서 효과적인 수체 생장 조절을 위해 방추형을 변형한 새로운 정지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에 많이 보급되어 있는 세장방추형의 수형에 서 부분적 수관 변경에 따른 수관 내 광환경의 변화를 살펴보 고 과실 품질 향상을 위한 적절한 측지 관리 방법을 모색하고 자 수행하였다.

    재료 및 방법

    본 시험은 2015년부터 2016년까지 2년에 걸쳐 경상북도 군 위군 소재 사과연구소 포장에서 수행하였다. 시험재료는 열간 거리 4.0 m, 주간거리 1.5 m로 재식된 7년생 ‘감홍’/M.9 성목 으로 처리 전까지 매년 세장방추형을 목표로 전정하였다.

    관행적인 세장방추형의 수형 관리는 Robinson et al. (1991)Yang et al. (2010)의 방법을 따랐다. 측지는 수평 유인하 여 측지에 적절한 길이의 결과지가 발생하도록 하였다 (Robinson et al., 1991). 주간에 비하여 지나치게 굵어진 측 지는 계속적으로 솎음전정으로 제거하였고 아래로 처져 많이 노쇠해진 가지는 건실한 발육지로 대체하였으며 바로 옆 나무 와 수관이 겹쳐지지 않도록 수폭을 관리하였다(Yang et al., 2010). 하계 전정은 위로 솟은 도장지와 필요 이상으로 자란 상단부 신초를 위주로 제거하였다(Robinson et al., 1991).

    나무의 평균 수고는 4.23 cm로, 대부분의 과실 생산이 집중 되나 광환경이 불량해지기 쉬운 지표에서 2.5 m 높이의 수관 을 대상으로 최하단 가지부터 1.5 m까지를 하단부, 1.5~2.5 m 까지를 상단부로 구분하였다. 측지 관리 방법 변경 처리는 이 중 지표에서 1.5 m에서 2.5 m 사이의 원줄기에 부착된 측지에 만 부분적으로 적용되었다. 매년 2월 중하순에 동계전정과 동 시에 처리하였고 각각의 처리 내용은 다음과 같았다.

    처리 1(T1)은 측지를 모두 길이 50 cm 범위 내로 단축하였 고 수평으로 유인하였으며 그 범위 내에서 결과지를 유지하면 서 착과시켰다.

    처리 2(T2)는 절단 전정을 통한 측지의 단축 없이 모든 측 지를 유인끈이나 유인추를 활용하여 120°로 하수 유인하였고 그 측지에서 결과지를 유지하면서 착과시켰다.

    처리 3(T3)은 대조구로써 일반적인 세장방추형의 측지 관리 방법 그대로 기본적으로 측지를 수평 유인하면서 절단 전정을 통해 측지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고 솎음전정을 통해 적절한 결과지를 배치하며 지나치게 굵어진 측지는 갱신하는 방향으 로 관리하였다.

    모든 처리에 처리구간을 제외한 부분은 공통적으로 동일하 게 관리하였는데 1.5 m 이하의 수관은 재식간격을 고려하여 그 범위를 초과하지 않도록 적당히 수폭을 제한하며 전정하였 고 2.5 m 이상의 수관은 적절한 수세 관리를 위해 결과지 위 주로 남기는 솎음전정을 실시하여 나무가 전체적으로 원뿔형 의 모양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Elfving (1990)은 절단 전정은 단과지의 손실과 나무 크기의 감소에 의해 수량을 감 소시킨다고 하였는데 수량 감소에 의한 영향을 배제하기 위해 개화량 조사 후 여름전정을 통해 동일한 엽과비 수준으로 관 리하였다

    시험 포장은 사과 농업기술 길잡이 관리기준에 준하여 관수, 시비, 병해충관리 등을 관리하였고, 시험구 배치는 처리당 1주 를 1반복으로, 총 5반복이었다.

    광투과율 측정

    광투과율 조사는 각 나무의 총 20지점에서 광량 측정기 (LightScout Quantum Light Sensor, Spectrum Technologies, USA)를 이용하여 광합성 유효 방사(PAR; Photosynthetically Active Radiation)를 기준으로 측정하여 각 측정값들을 나무 최상단 위치의 측정값으로 나누어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측 정은 구름 없이 맑은 날에 이루어졌으며 정오를 기준으로 전 후 2시간 이내에 측정되었다.

    측정 지점은 동서남북 네 방위를 포함하였고 각 방위당 5지 점씩 측정하였다. 각 방위에서 측정 지점은 지면에서의 높이 1m, 주간으로부터의 거리 20, 40, 60 cm의 3지점과 높이 2m, 주간으로부터의 거리 20, 40 cm의 2지점을 포함하였다. 그 리고 동일한 위치의 네 방위에서 측정한 측정값들을 평균하여 각 높이, 주간으로부터의 거리 당 하나의 수치로 나타내었다.

    과실 특성 조사

    과실은 숙기에 맞춰 10월 초에 전량 수확하였으며 각 나무 에서 균일한 과실 10개를 선별하여 가용성 고형물 함량, 산 함량, 경도, 과피 적색도(Hunter a) 등의 과실 특성을 조사하 였다.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착즙기를 이용하여 개개의 과실 을 착즙한 후 NO.2 여과지로 걸러낸 과즙을 굴절당도계(Pal- 1, Atago,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산 함량은 과실 전 체 착즙액(5 ml)에 증류수(20 ml)를 첨가하여 희석한 후, 0.1N NaOH용액을 표준용액으로 하여 페놀프탈레인을 지시약으로 pH 8.1이 되는 지점까지 중화 적정하여 적정치를 사과산 (Malic acid) 상당량으로 환산하여 나타내었다. 경도는 과실의 적도 부위의 과피를 제거한 3지점에서 11 mm 탐침이 장착된 디지털경도계(DFT-01, Trsnc, Italy)를 이용하여 조사하였고 그 수치들의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붉은색의 착색과 관련된 Hunter a 값은 과실의 적도면 3지점에서 색차계(CR-400, Konica Minolta,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한 후 그 값을 평균 하여 나타내었다. 과중은 전자저울을 이용하여 측정하여 평균 으로 나타내었다. 과실의 종경과 횡경은 디지털 캘리퍼스를 이 용하여 측정하였고 과형을 알아보기 위한 지표로 활용하는 L/ D비는 측정된 종경을 횡경으로 나누어 나타냈다. 과실 특성 조사는 시험 처리가 적용된 1.5 m와 2.5 m 사이에 위치한 상 부 과실과 상부 처리에 의해 광 환경에 영향을 받는 1.5 m 이하의 하부 과실을 나누어 이루어졌다.

    고두 발생

    고두는 수확기나 저장 중에 과피 바로 아래 과육이 괴사되 어 표면이 함몰된 반점이 발생하는 생리장해로 ‘감홍’ 품종은 품질이 우수하지만 고두병 감수성이 높아 안정적인 재배가 매 우 어렵다(Seo et al., 2007). 따라서 측지 관리 방법에 따른 고두 발생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고두발생율과 고두발생지수 를 조사했다.

    고두발생율은 전체 수확 과실 중 고두가 발생한 과실을 백 분율(%)로 나타내었고, 고두발생지수는 10개의 크기가 균일한 과실을 대상으로 한 과실 내 고두의 개수를 세어 그 수에 따 라 정해진 점수를 부여하여 조사하였다. 고두가 없는 경우는 0점, 1~5개인 경우는 1점, 6~10개인 경우는 2점, 11~20개인 경우는 3점, 21개 이상은 4점을 각각 부여하여 그 평균으로 나타내었다.

    꽃눈분화율 조사

    휴면 중인 12월에 길이가 20 cm 안팎으로 비슷한 1년생 가 지를 나무 당 상부, 하부 각각 10개씩 총 20개를 무작위로 채취하였다. 메스를 이용하여 신초 정단의 눈을 수직으로 이 등분하고 루페를 통해 화원기의 존재 여부에 따라 꽃눈을 판 별하였고 전체 중 꽃눈의 비율을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통계 분석

    통계 분석은 SAS 9.4(SAS Institute, USA) 통계용 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시하였고, 5%의 유의수준에서 Duncan 다중 범위 검정(D.M.R.T.; Duncan’s Multiple Range Test)의 방법으로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결과 및 고찰

    광투과율

    수관 내의 광환경은 균일하지 않고(Rom, 1991), 일반적으로 수관 바깥쪽은 안쪽에 비해 많은 광을 받고 투과되는 빛은 나 무의 정단부에서의 거리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데(Zhang et al., 2016), 모든 측정에서 이와 마찬가지로 측정 위치가 낮을 수록, 수관 안쪽일수록 광투과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 다(Fig. 2). 시기적으로 살펴보면 7월보다 8월에 광투과율이 감 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활발한 신초 생장과 함께 엽이 전개되면서 밑 부분에 음영을 만들기 때문으로 생각되었 다. 처리 2와 3에서는 높이 1 m에서의 측정치가 10% 수준으 로 급격히 감소하였는데, Barritt et al. (1987)은 4 m 수고의 나무에서 수관 하부의 광량은 일사량의 8-10% 수준으로 감소 한다고 보고한 바 있다. 윗부분의 수폭을 좁게 유지하는 처리 1은 다른 처리와 비교하여 높이 1 m에서도 20% 수준의 광투 과율을 유지하였다. 가장 낮은 수치를 보인 처리 2의 경우는 유인된 측지가 아래 측지의 신초들과 겹치거나 유인한 측지에 서 위로 솟은 도장지 발생이 많아 오히려 하부로의 광투과에 는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9월의 광투과율은 8월 측정 이후 하계전정을 실시하고 조사 하였다. 하계 전정은 유의하게 수관 내 광투과를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Buler & Mika, 2009). 실제 측정에서 도 향상 정도는 다르지만 모든 처리의 모든 위치의 광투과율 이 증가하였다.

    처리 2의 경우, 그 증가폭이 가장 컸는데 하계 전정을 통해 발생이 많은 도장지를 제거함으로써 광투과율 향상 효과가 가 장 큰 것으로 생각되었다. 처리 1은 증가폭은 적었으나 기존 7월의 광투과율이 높아 하계 전정 후에도 가장 양호한 광투과 율을 보였다.

    과실 크기 및 모양

    과중, 종경 및 횡경은 전반적으로 하부 과실보다는 상부 과 실이 높은 경향이었다(Table 1). Barritt et al. (1987)은 과실 크기는 빛이 제한적인 나무의 영역에서 더 작다고 보고하였는 데, 앞선 광투과율을 살펴보면 상부에 비해 낮은 광투과율을 보이는 하부에서 빛이 제한적이므로 하부의 과실이 작은 것으 로 생각되었다.

    2015년에는 과중, 종경 및 횡경 등 과실 크기 관련 요인들 은 모두 처리 간에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2016년에는 상부와 하부 모두에서 처리 1 과실이 가장 과중 이 컸고 처리 2 과실이 가장 작았다. 종경 및 횡경도 과중과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어 처리 1에서 가장 크고 처리 2에서 가 장 작았다. Robinson et al. (1983)은 과중은 음영의 증가에 따라 선형적으로 감소된다고 보고하였는데, 광투과율과 비교하 여볼 때, 광투과율이 가장 높은 처리 1에서 과중이 가장 컸다.

    전체적으로 2016년 과중, 종경 및 횡경이 2015년보다 큰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2016년에는 생육기에 많은 강수로 과실비대가 촉진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되었다.

    L/D비는 2년 연속 처리에 따른 차이가 없었는데 측지 관리 방법이 과실의 비대 양상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다만 2016년에 그 값이 증가하였는데 잦은 강수 로 종축 생장이 상대적으로 활발히 일어나 종경이 급격히 증 가하였기 때문으로 생각되었다.

    과실 품질

    ‘감홍’은 가용성 고형물 함량이 높아 식미가 우수한 품종으 로 알려져 있는데, 2015년과 2016년 모두 가용성 고형물 함량 은 16.0°Brix 이상의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Table 2). Rom (1991)은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광합성에 의한 탄수화물에 의 해 결정되고 이는 광과 연관되어 있다고 하였는데, 처리에 따 른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비 록 처리 간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하부 과실의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상부의 과실보다는 낮은 경향이었다. 사과의 유리당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과당 측면에서 살펴보면, Feng et al. (2014)은 햇빛에 완전 노출된 수관 바깥쪽 과실 과 광량이 바깥쪽의 4~7% 수준인 수관 안쪽 과실을 비교한 결과, 수관 바깥쪽 과실의 가용성 고형물 함량이 수관 안쪽 과실보다 적어도 1% 이상 높은 것으로 보고한 바 있다.

    산 함량은 1년차에는 대조구가 다른 처리에 비해 낮았지만 각 연차의 처리 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상단 과실과 하단 과실 간에도 차이가 없는 경향이었다. 마찬가지 로 Han & Yoon (2001)은 광투과율 구간에 따른 산 함량을 비교한 시험에서 산 함량은 광투과율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하였다. 따라서 산 함량의 경우에는 다른 품질 요인에 비해 광환경과 큰 연관이 없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경도는 2015년에는 처리 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2016년 에는 처리 1이 상부와 하부 모두에서 가장 낮았다. Robinson et al. (1983)은 광 노출 정도가 감소할수록 경도느 증가한다고 하였는데, 이와 동일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Feng et al. (2014)은 3가지 품종에서 수관 바깥쪽 과실과 수관 안 쪽 과실을 비교한 결과, ‘McIntosh’ 품종에서 수관 바깥쪽 과 실이 경도가 더 높고 ‘Gala’, ‘Mutsu’ 품종에서는 경도의 차 이가 없었다고 보고하였는데, 광에 의한 경도 변화는 품종마 다 그 경향이 다양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과피의 적색도를 나타내는 Hunter a 값은 하부보다는 상부 과실이 더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과피의 적색도는 빛과 관 련하여 강한 선형 관계를 나타내는데(Heinicke, 1966), 잎 층 의 두께에 비례하여 감소하는 광 투과는 수관 하부에 착색에 불리한 광환경을 야기한다(Robinson et al., 1991). 광투과율 측면에서 하부에 위치한 1 m 높이의 광투과율이 상부에 위치 한 2 m 높이의 광투과율보다 절반 이하의 수준으로 낮기 때 문에 하부의 광 환경은 착색에 불리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1년차에는 처리 2의 평균 과피 적색도가 가장 낮았는데 유 인으로 인해 유인한 윗가지와 아래가지가 서로 겹치면서 음영 이 발생하고 광투과를 방해했기 때문이라고 생각되었다. 상부 의 과실은 2015년, 2016년에 처리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 지 않았는데 광투과율 40% 이상이라면 착색은 광투과율에 따 른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하부 과실에 서는 처리 1이 2015년, 2016년에 각각 21.6과 17.8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는데, 높은 광투과율로 양호한 광환경을 제 공하는 수관이 착색에 유리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두 발생

    2015년 고두발생률은 40~60% 범위로 편차가 컸지만, 처리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Table 3). 고두 발생 정도 를 나타내는 고두발생지수도 처리 간 차이가 없었다. 2016년 에는 2015년에 비해 고두발생률과 고두발생지수가 모두 높았 지만, 마찬가지로 처리 간에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대과 생산은 잎과 과실간의 칼슘 경쟁과 과실 내 칼슘 농도 를 희석시킴으로써 고두를 일으키는 가장 중요한 요인(Kim et al., 2008)으로 알려져 있는데, 2016년에 2015년에 비해 크기 가 더 큰 대과가 생산되어 상대적으로 고두 발생이 많은 것으 로 생각되었다.

    꽃눈 분화

    꽃눈분화율은 전반적으로 위쪽에 위치한 상부가 하부보다 높은 경향이었다(Fig. 3). 상부에서는 처리 1의 꽃눈분화율이 가장 높았다. 광은 꽃눈 발달에 영향을 주어 과실 생산에 중 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는데(Kappel & Quamme, 1992), 광투과율이 가장 높은 처리에서 꽃눈분화율도 가장 높 았다.

    상부의 처리 2는 광투과율이 가장 낮았지만 60% 이상의 높 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Zhang et al. (2015)은 유인이 수체 내 ABA, ZR, IAA, GA와 같은 내생호르몬 농도 변화가 꽃 눈 발달을 촉진한다고 한다고 하였는데, 낮은 광투과로 꽃눈 분화에 불리한 조건에도 측지 유인 처리를 통해 높은 꽃눈 분 화를 나타낸 것으로 생각되었다.

    하부의 꽃눈분화율은 1 m에서의 광투과율과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어 처리 1에서 가장 높고 처리 2에서 가장 낮았다. 1.5 m 이하의 측지들은 유인하지 않았기 때문에 유인에 대한 효과도 없었고 위의 측지들이 아래로 더 쳐지면서 음영을 많 이 발생시켰기 때문이라고 생각되었다.

    적 요

    우리나라 사과 재배에 가장 널리 이용되는 수형은 세장방추 형으로 수령이 증가함에 따라 수관 내부의 광환경이 불량해진 다. 전정을 통한 부분적인 수관 변경은 이러한 문제점 개선의 효율적인 대안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관련하여 나무 중간의 수관 변경에 따른 수 관 내 광환경의 변화를 살펴보고, 과실 품질 향상을 위한 적 절한 측지 관리 방법을 모색하고자 4.0 × 1.5m로 재식된 ‘감 홍’/M.9을 대상으로 2년간 시험을 수행하였다. 처리 1은 측지 를 짧게 단축하여 수관 폭을 좁게 만드는 것이었고, 처리 2는 측지를 유인하는 것이었으며, 처리 3은 대조구로 기존 세장방 추형의 수관을 유지했다.

    • 1. 처리 1은 수관 하부로의 광투과율이 가장 높았고 기존 세장방추형에 비해 과중과 착색도가 높은 과실의 생산이 가능 했으며 높은 꽃눈 분화를 나타냈다.

    • 2. 처리 2는 유인에 따라 가지의 중첩에 의한 음영 발생 증 가로 광투과율이 오히려 감소하였고 이에 따라 과실 착색의 저하를 초래하였다.

    • 3. 따라서 광환경 개선과 하부의 과실 품질 향상을 위한 가 장 효율적인 측지 관리 방법은 중간에 위치한 측지를 길이 50 cm 내로 단축 전정하여 수관 폭을 좁게 유지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ACKNOWLEDGMENTS

    본 성과물은 농촌진흥청 연구사업(세부과제번호: PJ01019902) 의 지원에 의해 이루어진 것임.

    Figure

    KSIA-33-1-14_F1.gif

    An image of the canopy of the ‘Gamhong’/M.9 slender spindle tree after undergoing partial canopy modification in September 2016. T1: Shortened lateral branches located between 1.5m and 2.5 m within 50 cm, T2: Bent lateral branches located between 1.5 m and 2.5 m at 120°, T3 (control): trained as slender spindle (replacing lateral branches that have become too large)

    KSIA-33-1-14_F2.gif

    Light distribution by partial canopy modification in ‘Gamhong’/M.9 apple slender spindle trees. Values are percentage of full sun. All measurements were taken on one day at solar noon ± 2 h. A: In July 2015, B: In July 2016, C: In August 2016, D: In September 2016(after summer pruning).

    KSIA-33-1-14_F3.gif

    Incidence of floral bud by partial canopy modification in ‘Gamhong’/M.9 apple slender spindle trees. Duncan’s Multiple Range Test is per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parts respectively.

    Table

    Effects of partial canopy modification on fruit size and shape in ‘Gamhong’/M.9 apple slender spindle tree

    Effects of partial canopy modification on fruit quality in ‘Gamhong’/M.9 apple slender spindle trees.

    Effects of partial canopy modification on bitter pit occurrence rate in ‘Gamhong’/M.9 apple slender spindle tree.

    Reference

    1. Barritt, B.H. , C. Rom, K. Guelich, S. Drake and M.A. Dilley.1987. Canopy position and light effects on spur, leaf, and fruit characteristics of 'Delicious' apple. HortScience 22: 402-405.
    2. Buler, Z. and A. Mika.2009. The influence of canopy architecture on light interception and distribution in ‘Sampion’ apple trees. J. Fruit and Ornamental Plant Research 17: 45-52.
    3. Choi, D.G. , J.H. Song and I.K. Kang.2014. Effect of tree height on light transmission, spray penetration, tree growth, and fruit quality in the slender-spindle system of 'Hongro'/M9 apple trees. Kor. J. Hort. Sci. Technol. 32: 454-462.
    4. Elfving, D. 1990. Growth and Productivity of ‘Empire' Apple Trees following a Single Heading-back Pruning Treatment. HortScience 25: 908-910.
    5. Feng, F. , M. Li, F. Ma and L. Cheng.2014. Effects of location within the tree canopy on carbohydrates, organic acids, amino acids and phenolic compounds in the fruit peel and flesh from three apple (Malus × domestica) cultivars. Horticulture research 1: 14019.
    6. Han, S.G. and T.M. Yoon.2001. Light Distribution within the Canopy and Fruit Quality in Dwarf Apple Orchards. Kor. J. Hort. Sci. Technol. 42: 78-82.
    7. Heinicke, D. R. ,1966. Characteristics of ‘McIntosh’ and ‘Red delicious’ apple as influenced by exposure to sunlight during growing season. Proc. Am. Soc. Hortic. Sci. 89: 10-13.
    8. Kappel, F. and H.A. Quamme.1993. Orchard training systems influence early canopy development and light microclimate within apple tree canopies. Can. J. Plant Sci. 73: 237-248.
    9. Lakso, A. 1994. Apple. Handbook of environmental physiology of fruit crops 1: 3-42.
    10. Mika, A. and Z. Buler.2015. Modifying apple spindle trees to improve fruit quality. Acta Scientiarum Polonorum. Hortorum Cultus 14.
    11. Miller, S. , C. Hott and T. Tworkoski.2015. Shade effects on growth, flowering and fruit of apple. J. Appl. Hortic. 17: 101-105.
    12. Musacchi, S. , F. Gagliardi and S. Serra.2015. New training systems for high-density planting of sweet cherry. HortScience 50: 59-67.
    13. Palmer, J. H. 1997. Apples light and orchard design for enhancement of yield and fruit quality. Proceedings from Conference ‘97: Searching for Quality. Joint Meeting of the Australian Avocado Grower’s Federation, Inc. and NZ Avocado Growers Association, Inc.
    14. Robinson, T.L. , E. Seeley and B. Barritt.1983. Effect of light environment and spur age on “Delicious” apple fruit size and quality [Malus domestica]. J. Am. Soc. Hortic. Sci. 108: 855-861.
    15. Robinson, T.L.,A.N. Lakso and S.G. Carpenter.1991. Canopy Development, Yield, and Fruit Quality of ‘Empire’ and ‘Delicious’ Apple Trees Grown in Four Orchard Production Systems for Ten Years. J. Am. Soc. Hortic. Sci. 116(2): 179-187.
    16. Robinson, T.L. and A.N. Lakso.1991. Bases of yield and production efficiency in apple orchard systems. J. Am. Soc. Hortic. Sci. 116: 188-194.
    17. Robinson, T.L. , A.N. Lakso and Z. Ren.1991. Modifying apple tree canopies for improved production efficiency. HortScience 26: 1005-1012.
    18. Rom, C.R. 1991. Light thresholds for apple tree canopy growth and development. HortScience 26: 989-992.
    19. Seo, J.H. , J.H. Heo, J.S. Choi and Y.J. Ahn.2007. Crop load affects incidence of bitter pit and calcium contents in ‘Gamhong’ apple fruit. Kor. J. Hort. Sci. Technol. 25: 110-113.
    20. Shin, Y.U. , J.H. Whang, B.W. Yae, W.C. Kim, J.Y. Moon, and J.H. Kim.1993. “Gamhong”, a Mid-Season Apple Cultivar with High Sugar Content. Kor. J. Hort. Sci. Technol. 11(1): 250-251
    21. Warrington, I. , C. Stanley, J. Julian, D. Tustin, P. Hirst and W. Cashmore.1995. Pruning strategies for restructuring top dominant central leader ‘Granny Smith’apple trees. NZ. J. crop Hortic. Sci. 23: 315-322.
    22. Yang, S.J. , M.Y. Park, Y.Y. Song, D.H. Sagong, and T.M. Yoon.2010. Evaluation of early productivity of high density ‘Fuji’ apple orchards by planting well-feathered trees/M.9 EMLA. Kor. J. Hort. Sci. Technol. 28: 374-380.
    23. Zhang, J. , S. Serra, R.S. Leisso and S. Musacchi.2016. Effect of light microclimate on the quality of ‘d’Anjou’pears in mature open-centre tree architecture. biosystems engineering 141: 1-11.
    24. Zhang, M. , M. Han, F. Ma and H. Shu.2015. Effect of bending on the dynamic changes of endogenous hormones in shoot terminals of ‘Fuji’and ‘Gala’apple trees. Acta physiologiae plantarum 37: 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