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8504(Print)
ISSN : 2287-8165(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Vol.33 No.4 pp.376-380
DOI : https://doi.org/10.12719/KSIA.2021.33.4.376

Effect of Root Zone Temperature on Germination and Growth of Paprika Seedlings

Ga Eun Park‡ *, Eun Ji Kim‡ **, Ji Su Kim*, Byungkwan Lee***, Haeyong Na*,****†
*Department of Horticultural Science, Mokpo University, Muan, 58554, Korea
**Department of Horticultural Science, Graduate School of Mokpo National University, Muan 58554, Korea
***Department of Agriculture, Forestry and Bioresour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08826, South Korea
****Mokpo National University Nature Resource Institute, Muan 534-729, Korea

Ga Eun Park and Eun Ji Kim contributed equally to this work.


Corresponding author (Phone) +82-61-450-2379 (E-mail) somerze@mokpo.ac.kr
September 16, 2021 September 30, 2021 October 8, 202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oot zone temperature on germination and growth of paprika transplants when root zone temperatures were set at 20oC and 25oC through local cooling. The germination of paprika seeds was started three days after sowing; germination of paprika seeds at a root zone temperature of 25°C was earlier than that at a root zone temperature of 20°C. Moreover, 50% germination at a root zone temperature of 25°C was faster than that at a root zone temperature of 20°C.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plant height and number of leaves between treatments. The shoot fresh and dry weights increased more at 25°C throughout the period of transplant growth. The root fresh and dry weights and leaf size at a root zone temperature of 25°C were greater than those at a root zone temperature of 20°C. The results indicate that it can be possible to reduce the cost of paprika seedling production using the root zone or partial cooling technology.



근권부 온도가 파프리카 출아 및 묘 생육에 미치는 영향

박가은‡ *, 김은지‡ **, 김지수*, 이병관***, 나해영*,****†
*목포대학교 원예과학과
**목포대학교 대학원 원예학과
***서울대학교 농림생물자원학부
****목포대학교 자연자원개발 연구소

초록


    서 언

    파프리카(Capsicum annuum L.)는 다양한 색상과 단맛을 가지고 있어 생식용, 샐러드, 구색 채소 등으로 활용되고 있다. 또한, 2017년도부터 2020년도까지 파프리카 평균 수출액은 89,924천 달러로. 일본을 중심으로 한 안정적인 수출로 인해 우 리나라에서는 고소득 작물로 자리하고 있다(aTkati, 2018, 2020).

    파프리카는 최저 18도 이상으로 유지해주어야 하는 고온성 작물(농촌진흥청, 2019)이지만 수출 및 국내소비의 증가로 연 중 안전적인 생산이 필요하다. 연중 안정적인 생산을 위해서 환경제어가 가능한 스마트팜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래서 파 프리카는 1990년대부터 노지재배에서 시설재배로 완전히 전환 되었다(Jung et al., 2008).

    파프리카는 하계작형과 동계작형으로 나뉘기 때문에 육묘는 주로 작형이 끝나고 다음 작형을 준비하는 여름의 고온기와 겨 울의 저온기에 실시된다(NIHHS, 2006). 육묘를 통한 건전묘의 생산은 초기 생육, 착과, 그리고 수량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Buwalda et al., 2006). 하지만 여름 육묘 시 고온 장해로 생 리장해와 도장이 유발되고(Cho et al., 2009), 겨울 육묘 시에 는 광부족과 함께 발생하는 저온이 생육저하를 조장한다(Chung et al., 1995).

    그러므로 육묘 시 생육적온을 유지하기 위해 기온의 조절이 필요하다. 하지만 시설 내 냉난방에 의한 기온 조절은 설치 및 유지비용이 커서 농가에 부담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혹서 기에 냉방 효율의 부족은 작물의 생장장해를 유발할 수 있고, 과도한 냉방설비는 설치비 및 에너지효율 측면에서 불리하다. 따라서 정확한 냉방부하 산정으로 적정한 냉방설비 결정이 필 요하다(Nam, 2015).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진행되었던 선행연구 결과에 따르면 근권부 온도를 생육적온으로 유지해주면 온도 스트레스에 의한 피해를 상당히 경감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 (Chaisompongpan et al., 1989;Kwack et al., 2014). 또한 근권부 온도를 조절하면 시설의 냉난방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 이면서 뿌리의 생장을 촉진시키고 양수분 흡수 저해를 완화시 킴으로써 생육 및 수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 (Moon et al., 2007).

    또한 파프리카 종자는 다른 가지과에 비해 발아일수가 길고 발아가 불균일하여 양질묘 육성에 어려움이 있다(Nam et al., 1999). 이 때문에 효율적인 파프리카 묘 생산을 위해 발아 시 온도를 조절하여 발아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고 발아세를 높 이는 것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근권부 온도가 육묘시 발아 및 묘의 생육 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재료 및 방법

    본 실험은 2021년 7월부터 8월까지 목포대학교 원예과학과 의 부속농장에 위치한 유리온실에서 수행하였다. 공시품종으 로 적색계 파프리카 ‘시로코(Sirocco)’를 사용하였다.

    근권부 온도 설정은 생장상(Smart bed, OS-SB2000, ONSOL, Korea) 내부의 파이프를 통한 물순환으로 냉각 및 가온을 하여 근권부 온도를 조절하였다. 지면과의 높이차를 이용하여 바닥 과 맞닿는 부분은 20°C로, 바닥에서 3.5 cm 위에 위치한 부분 은 25°C로 설정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2021년 7월 11일 페트리디쉬(90*15 mm)에 필터페이퍼 (90 mm)를 5 ml의 증류수에 적셔 종자 100개를 치상하여 30°C의 24시간 암조건인 챔버(Multi-Room Incubator, JSMI- 02CPL, JSR, Korea)에서 최아하였다. 최아한 종자를 상토 (Eoullim, Shinsung Mineral Co., Korea)를 이용하여 50공 트 레이(48 × 30 × 50mm)에 10개씩 파종하여 4반복으로 수행하 였다. 파종 후 7일까지 저면관수를 실시하였고, 8일째부터 하 루에 한 번씩 물을 두상관수 해주었다. 일장은 광 18시간, 암 6시간으로 조절하였다.

    출아율은 파종한 직후부터 7일간 반복구마다 출아 개수를 조사하였다. 파종 후 14일부터 초장과 엽수를 7일 간격으로 4 번 조사하였다. 파종 후 21일부터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체중 및 건물중, 엽면적을 7일 간격으로 3번 조사하였다. 건물중 측 정을 위해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체중을 측정한 후, 시료를 70°C 건조기(Upright Convection Oven, JSOF-250T, JSR, Korea)에서 72시간 건조한 후 건물중을 측정하였다. 엽면적은 식물체 1개의 모든 엽을 분리한 후 엽면적 측정기(LI-3100 AREA METER, LI-3100C, LI-COR, Inc.,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래프는 SigmaPlot프로그램(Sigma Plot 12.0, Systat Software Inc., USA)를 이용하여 나타내었다. 통계분석은 SPSS프로그램(SPSS 20.0, IBM, USA)을 이용하여 95%의 신 뢰수준에서 t-검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및 고찰

    근권온도가 파프리카의 출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 하여 근권온도 20°C, 25°C에서 출아율을 조사한 결과 25°C처 리구는 3일차에, 20°C처리구는 4일차에 출아가 시작되었다. 발 아율이 50%에 도달 시간 또한 25°C처리구가 20°C처리구에 비해 1일 먼저 도달하였다(Fig. 1). 각 작물에는 발아적온이 있고 그 발아적온을 벗어나면 발아가 저하되는데(Khan et al., 1977;Seo et al., 2020), 파프리카 종자의 경우 발아적온 24~25°C로 알려져있다(농촌진흥청, 2019). 따라서 본 실험도 발아적온 25°C에서 출아율이 향상되는 경향을 보였다. 빠른 출아는 육묘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기 때문 에 최적온도 하에서 육묘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적절한 육묘환경을 조성하여 생산한 우량묘는 재배 과정에 서 관리노력 및 비용을 줄일 수 있어 육묘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Kim and Park, 2002). 파프리카의 초장과 엽수는 파종 후 28일까지는 25°C처리구가 20°C처리구보다 더 큰 증가폭을 보였으나 전체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아(Fig. 2, Fig. 3, Fig. 7) 근권온도가 초장 및 엽수에 미치는 영향은 미 미한 것으로 사료된다. 이는 근권온도를 21, 25, 29, 35°C로 처리하였을 때 토마토의 초장 차이가 1~2 cm내외로 소폭의 증 가만 보이며 큰 차이가 없었던 Noh(1997)의 연구 결과와 비 슷한 경향을 보였다. 생육이 진전될수록 높은 근권온도에서 생 육이 둔화되는 이유는 근권온도가 높을수록 뿌리의 활력 저하 를 일으켜 양수분의 흡수가 저해되고 호흡량이 증가하여 물질 생산이 감소하였기 때문이라고 보고된 바 있다(Lee et al., 2003a).

    지상부 생체중은 생육초기부터 25°C처리구가 20°C처리구에 비해 더 증가하였으며 건물중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파종 35일차에 25°C처리구의 생체중과 건물중은 각각 5.36 g, 0.2 2g이었고, 20°C처리구의 생체중과 건물중은 각각 5 g, 0.18 g이었다(Fig. 4, Fig. 7). 토마토의 경우 근권온도가 25°C 일 때가 15, 20, 30°C보다 과실수와 수확량이 가장 많았다는 George and Ito (1995)의 연구 결과를 통해 묘 생육 단계에 서는 근권부 온도가 큰 영향을 보이지 않았지만 이후 수확 단 계에서는 근권부 온도가 높을수록 수확량이 증가할 것으로 사 료된다. Gosselin and Trudel(1986)의 실험에서 고추의 근권온 도를 12~36°C로 처리하여 8주간 재배했을 때 근권온도 24~30°C에서 지상부 건물중이 가장 높았다고 보고된 바 있다. 따라서 파프리카에서도 추후 국부냉·난방을 이용하여 다양한 근권 온도에서의 묘 생육과 재배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 로 사료된다.

    지하부 생체중 및 건물중은 생육 전반에서 25°C처리구가 더 높았다. 파종 35일차에 25°C처리구의 지하부 생체중과 건물중 은 각각 1.84 g, 0.12 g이었고, 20°C처리구의 지하부 생체중과 건물중은 각각 1.3 g, 0.08 g이었다(Fig. 5, Fig. 7). 근권온도 17~29°C에서 측근 신장을 측정하였을 때 지온이 높을수록 측 근의 신장이 증가하였으며 오이의 경우 지온이 높을수록 뿌리 의 흡수량이 증가하였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된 바 있다(Stone and Taylor, 1982;Yoshida and Eguchi, 1989). 이러한 연구 결과들을 고려하면 파프리카에서 25°C처리구의 지하부 생체 중이 20°C처리구보다 증가한 이유는 상대적으로 지온이 높아 뿌리의 양수분 흡수량이 증가하였기 때문이고, 이는 이후 생 육이 진전됨에따라 지상부 생육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사료된다.

    파종 후 35일 파프리카의 엽면적은 25°C처리구에서 더 높 았으며, 25°C처리구와 20°C처리구에서 각각 95.58 cm2, 89.88 cm2였다(Fig. 6). 오이의 경우 지온 20, 25, 30°C에서 엽면적 지수 및 개체군 생장속도는 전처리 모두 생육이 진전 됨에 따라 증가하였지만 지온이 높을수록 증가폭이 크게 나타 났다고 하여(Lee et al., 2003b) 본 실험 결과와 일치하는 견 해를 밝힌 바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부 냉방 및 난방을 통해 효율적으로 묘 를 재배할 수 있는 육묘 기술을 뒷받침할 수 있는 자료로 활 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적 요

    본 연구는 근권부 온도를 20°C와 25°C로 설정하였을 때 파 프리카의 출아 및 묘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 험을 수행하였다.

    • 1. 출아율은 25°C처리구가 파종 후 3일째에 먼저 출아하였 고, 발아기(50%발아)에 도달한 시간도 짧았다.

    • 2. 두 처리간 초장과 엽수의 차이는 없었다.

    • 3. 지상부의 생체중과 건물중은 묘 생육기간 전반에 걸쳐 25°C처리구에서 더 증가하였다.

    • 4. 지하부의 생체중, 건물중, 그리고 엽면적은 묘 생육기간 전반에 걸쳐 25°C처리구에서 더 증가하였는데 묘 생육 후반 에 증가폭이 더 커졌다.

    • 5. 국부냉방기술 개발을 통해 온실 냉방 효율을 높여 파프 리카 묘 생산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는 재배기술확립에 도 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ACKNOWLEDGMENTS

    본 결과물은 농림축산식품부 및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농촌 진흥청의 재원으로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과 재단법인 스마 트팜연구개발사업단의 스마트팜다부처패키지혁신기술개발사업 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421041-03).

    Figure

    JKSIA-33-4-376_F1.gif

    Germination rates up to 7 days after sowing at root zone temperatures of 20°C and 25°C. The error bars represent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mean. Means with the same letter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 < 0.05).

    JKSIA-33-4-376_F2.gif

    Plant height of the paprika transplants at root zone temperature of 20°C and 25°C. The error bars represent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mean. Means with the same letter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 < 0.05).

    JKSIA-33-4-376_F3.gif

    The number of leaves of the paprika transplants at root zone temperature of 20°C and 25°C. The error bars represent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mean. Means with the same letter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 < 0.05).

    JKSIA-33-4-376_F4.gif

    The shoot fresh and dry weight of the paprika transplants at root zone temperatures of 20°C and 25°C. A, Shoot fresh weight; B, Shoot dry weight. The error bars represent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mean. Means with the same letter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JKSIA-33-4-376_F5.gif

    The root fresh and dry weight of the paprika transplants at root zone temperatures of 20°C and 25°C. A, Root fresh weight; B, Root dry weight. The error bars represent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mean. Means with the same letter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 < 0.05).

    JKSIA-33-4-376_F6.gif

    Leaf area of the paprika transplants at root zone temperatures of 20°C and 25°C. The error bars represent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mean. Means with the same letter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 < 0.05).

    JKSIA-33-4-376_F7.gif

    Paprika transplants cultivated at root zone temperatures of 25°C (A) and 20°C (B).

    Table

    Reference

    1. aTkati.2018.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Import & Export & Statistics. Dawon.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Korea Agro-Fisheries & Food Trade Corporation. pp.10-11. (In Korean)
    2. aTkati.2020.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Import & Export & Statistics. Dawon. Food and Rural Affairs, Korea Agro-Fisheries & Food Trade Corporation. pp.16-17. (In Korean)
    3. Buwalda, F. , Van Henten, E.J. , De Gelder, A. , Bontsema, J. , Hemming, J. 2006. Toward an optimal control strategy for sweet pepper cultivation. A dynamic crop model. Acta Hortic. 718:367-374.
    4. Chaisompongpan, N. , Li, P.H. , Davis, D.W. , Markhart, A.H. 1989. Root cooling protects plants from heat injury. Plant Physiol. 89:32.
    5. Cho, I.H. , Lee, W.M. , Kwan, K.B. , Woo, Y.H. , Lee, K.H. 2009. Stable production technique of paprika (Capsicum annuum L.) by hydrogen peroxide treatment at summer. J Bio-Environ Control. 18:297-301. (In Korean)
    6. Chung, S.J. , So, C.H. , Kwon, Y.W. 1995. Effects of temperature and light Intensity on the growt h of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in plastic house during winter. IV. Growth responses influenced by temperatures and light intensities in growth chamber. J Bio-Environ Control. 4:125-130. (In Korean)
    7. George, O.N. , Ito, T. 1995. Effect of air and root-zone temperatures on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yield of heat-tolerant and non heat-tolerant tomato cultivars. J. Japan. Soc. Hort. Sci. 64:315- 320.
    8. Gosselin, A. , Trudel, M.J. 1986. Root-zone temperature effects on pepper. J. Amer. Soc. Hort. Sci. 111:220-224.
    9. Jung, E.M. , Kim, W.T. , Kim, S.R. , Yun, S.H. 2008. The actual condition and subjects of Paprika in Korea.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KREI). p.3. (In Korean)
    10. Khan, A.A. , Tao, K.L. , Knypl, J.S. , Borkowska, B. , Powell, L.E. 1978. Osmoticconditioning of seeds: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changes. Acta Hort. 83:267-273.
    11. Kim, Y.H. , Park, H.S. 2002. Growth of cucumber plug seedlings as affected by photoperiod and photosynthetic photon flux+. J Bio- Environ Control. 11:40-44. (In Korean)
    12. Kwack, Y. , Kim, D.S. , Chun, C. 2014. Root-zone cooling affects growth and development of paprika transplants grown in rockwool cubes. Hortic Environ Biotechnol. 55:14-18.
    13. Lee, J.W. , Lee, E.H. , Kim, K.D. , Lee, W.S. 2003a. Effect of root zone warming on rhizophere temperature and growth of greenhouse- grown cucumber. Hortic Environ Biotechnol. 44:867-872. (In Korean)
    14. Lee, J.W. , Lee, E.H. , Kim, K.D. , Lee, W.S. 2003b. Effect of root zone warming on root growth of greenhouse-grown cucumber. Hortic Environ Biotechnol. 44:863-866. (In Korean)
    15. Moon, J.H. , Kang, Y.K. , Suh, H.D. 2007. Effect of root-zone cooling on the growth and yield of cucumber at supraoptimal air temperature. Acta Hort. 761:271-274.
    16. Nam, S.S. , Oh, Y.B. , Choi, I.H. , Kim, Y.B. , Choi, W.Y. 1999. Effect of temperature and GA3 treatment on the seed germination of paprika (Capsicum annuum L.). Korean J. Hortic. Sci. Technol. 17:609.
    17. Nam, S.W. , Seo, D.U. , Shin, H.H. 2015. Empirical Analysis on the Cooling Load and Evaporation Efficiency of Fogging System in Greenhouses. PHPF. 24:147-152. (In Korean)
    18. National I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NIHHS).2006. Sweet pepper (paprika) production trends and outlook. Rural Development Administation(RDA). Jeonju, Korea(in Korea).
    19. Noh, M.Y. 1997. Management of root-zone temperature in substrate culture of tomato. PHPF. 10:97-106.
    20. RDA.2019. Annual schedule of horticulture & Herbal crops. humanculturearirang. kyobobook. pp.129-130. (In Korean)
    21. Seo, T.C., Yang E.Y., Cho M.C., Van Zonneveld, M., Roland Schafleitner, R., Barchenger, D., Kumar, S., Lin, S., Shen, E., Kang, S.B.2020. Selection of Heat Tolerant Pepper Accessions Through the Comparison of Seed Germination, Fruit Yield, and Pollen Germination. J. Korean Soc. Int. Agric. 32:222–230. (In Korean)
    22. Stone, J.A. , Taylor, H.M. 1982. A water bath sys-tem to observe temperature effects on taproot and lat-eral root development of plants. Soil Sci. Amer. J. 46:1343-1345.
    23. Yoshida, S. , Eguchi, H. 1989. Effect of root temperature on gas exchange and water uptake in intact roots of cucumber plants (Cucumis sativus L.) in hydroponics. Biotronics. 18:1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