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8504(Print)
ISSN : 2287-8165(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Vol.34 No.3 pp.205-210
DOI : https://doi.org/10.12719/KSIA.2022.34.3.205

Proposal for an Improvement Plan through an Analysis of Rice Production in Nicaragua

Chang-Min Lee*, Oporta Juan*,***, Ho-Ki Park**, Hyun-Su Park*, Jeonghwan Seo*, Man-Kee Baek*, Jae-Ryoung Park*, O-Young Jeong*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Republic of Korea
**KOPIA Nicaragua center, Nicaragua
***Nicaraguan Institute of Agricultural Technology, INTA Nicaragua
Corresponding author (Phone) +82-63-238-5212 (E-mail) joyoung@korea.kr
July 5, 2022 August 30, 2022 August 30, 2022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oblems that must be resolved in the short and long term to improve rice productivity in Nicaragua, where the current rice self-sufficiency rate is 73%. First, after selecting varieties with high adaptability to various cultivation environmental conditions, it is necessary to thoroughly manage seed purity to supply certified seeds. In rice cultivation technology, it needs to improve seedling standing and weeding effect by improving soil leveling, and watersaving cultivation technology. Also, proper fertilization and planting density must be established in irrigated and rain-fed area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capacity by collecting and training with the latest agricultural technology information, by revitalizing the union rather than the individual farm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eties highly adaptable to the Nicaragua cultivation environment, as well as to expand irrigation facilities and cultivation technology suitable for weather conditions June- July in rain-fed areas. Last, it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consistency of agricultural policy for continuous and stable rice production,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such as drought or intermittent heavy rain.



니카라과 벼 생산 현황 분석을 통한 개선 방안 제언

이 창민*, Oporta Juan*,***, 박 호기**, 박 현수*, 서 정환*, 백 만기*, 박 재령*, 정 오영*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KOPIA 니카라과 센터
***니카라과 농업연구청

초록


    서 언

    니카라과는 라틴아메리카의 작은 나라로 국토 면적이 약 13만 km2 로 대한민국의 1.3배 정도이다. 북으로는 온두라스와 남으로는 코스타리카와 접하고 있으며 주변국과 매우 밀접한 정치 관계를 갖고 있다. 니카라과의 인구는 5.4백만정도이며, 40% 이상이 농촌에 거주하고 있다. 총 GDP 중 농업이 차지 하는 비율은 20.5%로 다른 개도국들과 마찬가지로 국가 경제 에 농업이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기후는 열대기 후와 온대기후를 갖고 있으며, 저지대와 해안의 평균기온이 25.4°C, 내륙 고지대는 15~26.5°C를 보이며, 7~8월에는 허리케 인이, 11~3월에는 파파가요(Papagayo)강풍이 종종 발생한다 (Ahn, 2016).

    니카라과의 경지면적은 약 155만 ha로 주요 작물은 사탕수 수, 팥, 옥수수, 땅콩, 벼 위주로 생산되고 있으나, 국내 생산량 으로 수요를 감당할 수 없기 때문에 농산물의 6.1% 정도 수입 하고 있다. 쌀 수입 비율은 2011년을 기준으로 5.6%정도이다 (Ahn, 2016). 최근 니카라과 국민소득이 높아짐에 따라 식생 활 패턴이 옥수수에서 쌀을 먹는 비율이 늘어나고 있다. 1인 당 쌀 소비량은 1990년대 30 kg에서 최근에는 연간 63 kg까지 늘어나고 있으나, 공급이 수요를 충족하지 못해 매년 약 10만 톤 정도 미국 및 코스타리카에서 수입하고 있다(The World Bank, 2015).

    니카라과의 벼 생산성이 낮은 원인은 크게 환경적인 문제와 생산 기술적인 문제로 나눌 수 있다. 환경적인 문제에는 니카 라과의 벼 재배면적 중 약 30%가 재배기간 중 비에 의존하는 천수답으로 기상조건에 따라 수량의 변이가 심하다는 점이다. 천수답에서는 벼를 우기가 시작되는 6월~7월에 파종하고 10 월~11월에 수확을 하는데, 강수량에 따라 편차가 있지만 평균 ha당 1.75톤 정도 생산된다. 특히 2016년은 극심한 가뭄으로 인해 ha당 벼 생산량이 1.3톤 이하로 감소해 벼 자급률이 60% 이하로 떨어지기도 했다. 또한 니카라과의 벼 재배 토양 이 화산회토라서 보수력이 현저히 떨어지고 흡비력이 약해 잦 은 시비·관수가 필요한 점도 낮은 벼 생산성의 원인이다.

    벼 생산의 기술적인 문제에는 재배 유형에 맞는 전용 품종 이 없다는 점인데 니카라과는 자체 개발된 벼 품종이 없어 인 근의 라틴아메리카 국가에서 도입된 품종을 사용하고 있어 수 량성이 낮다. 도입된 품종들은 단간이지만 도복과 도열병에 약 하고 수당립수가 적다. 또한 천수답에서 재배 시 내한발이 약 해 재배 환경에 민감하다. 두 번째 문제는 담수 직파재배로 인해 종자량이 많이 소요되며 균일한 입모와 잡초방제가 어렵 고 병해 발생이 심하다. 종자를 토양 표면에 직접 산파하기 때문에 도복에 취약하고 수당립수가 적어 수량이 떨어진다고 분석된 바 있다(KOPIA, 2020).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벼 생 산 환경을 고려하면서 니카라과 농가에서 재배하고 있는 벼 품종과 재배기술을 살펴보고 쌀 자급 달성을 위해 단·장기적 으로 극복해야할 해결방안 및 접근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벼 재배 형태별 특징

    니카라과는 건기와 우기의 두 계절이 있으며 건기는 11월에 서 4월 사이이고 우기는 5월에서 10월이다. 일년 내내 벼 재 배가 가능하며 관개답과 천수답에서 추진된다(Table 1). 관개 답에서 벼 재배는 일년 중 언제든지 가능하지만, 수확기 강우 는 고품질 쌀 생산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관개답에서 파종은 11월 15일부터 12월 30일까지이며, 수확은 다음해 3월 30일에 서 4월 29일 사이이다. 건기에 재배하는 이유는 일사량의 최 대 활용과 벼 생장 기간 동안 안정적인 물 공급을 보장받을 수 있어 높은 생산량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때 요구되 는 품종의 생육 기간은 130일 정도이다. 우기에 벼 재배는 관 개답과 천수답에서 가능한데, 관개답이라도 강수량이 부족할 때는 추가 관개가 필요하다. 천수답 지역은 주로 강수량이 많 은 동부의 산악지역과 추가 시설이 보완된 서부지역에서 재배 가 가능하다. 파종은 동부지역에서는 6월에, 서부지역에서는 7 월에 한다. 이 지역은 장마가 끝나기 전에 성숙이 완료될 수 있는 생육기간이 115~120일 정도의 조생종을 선호한다. 최근 에는 새로운 재배 방법인 Intercycle을 이용하여 우기와 건기 사이에 4월 15일에서 5월 10일 사이에 파종한다. 선호하는 벼 생육 기간은 120일 정도이다. 하지만 벼 수확을 우기에 추진 하면 곡물에 여러가지 병해충 발생 증가 우려와 품질 저하로 시장성에서 다소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니카라과 벼 재배 지역은 기상조건에 따라 구분된다(Fig. 1). 관개답은 계곡이 많아 물 공급이 용이한 온난 지역인 중앙 태 평양 지역으로 분포되어 있다. 천수답은 국토 전체에 널리 분 포되어 있으며, 비교적 강수량이 많아 재배가 활발히 이루어 지는 지역은 대서양 연안지역이다. 이 지역에서는 비료를 거 의 시용하지 않고 손으로 이앙하는 전통 방식으로 재배된다. 하지만 토양 산성으로 일부 지역에서는 재배가 가능하지 않다. 서쪽 태평양 연안지역에서는 기계 재배를 일부 추진하고 있으 나 강수량 부족으로 생산량이 적다. 니카라과 중앙 은행에 따 르면 니카라과의 쌀 생산량은 2013년 벼 재배의 자급자족을 위한 일련의 정책 시행으로 최근 2배가량 증가했다(Fig. 2). 2015년부터 관개답에서 쌀 생산 증진에 중점을 둔 프로젝트가 시작되었으며 현재 국가 쌀 자급률은 73%에 달한다(BCN, 2019). 니카라과 쌀 수확량 연차 간 변이에서 주목해야 할 점 은 관개답에서 얻은 벼 수확량이 증가하면 천수답에서는 수량 이 감소하고, 관개답에서 얻은 쌀의 수확량이 감소하면 천수 답에서 증가한다는 점이다. 이는 우기에 강수량이 적으면, 관 개답 적응 품종은 일사량이 많아져 수확량이 증가하지만 천수 답 적응 품종은 강수량 저하로 벼가 시들기 때문이다. 반면에 우기에 강수량이 많으면, 천수답 적응 품종은 물이 풍부하여 수확량이 증가하지만 관개답 적응 품종은 일사량 부족으로 수 확량이 감소한다.

    벼 품종 및 육종 현황

    니카라과에서는 벼육종은 콜롬비아 등 기후가 비슷한 주변 국가로부터 F4 이후의 육종 재료를 분양 받아 계통 적응성 평 가 후, 선발된 계통을 2년간 생산력 검정을 추진하고 현장 실 증을 통하여 육성하는 도입 육종을 하고 있다. 선발 지표는 포장에서는 생육기간이 120일 정도의 중생종이고, 재배안전성 확보에서는 도열병, 내한발 및 내도복성인 특성을 보유하며, 미질 특성에서는 7 mm 이상의 장립종, 도정수율이 65%이상 이며 정상립이 80% 이상이다. 니카라과에서 현재 재배하고 있 는 품종은 30품종으로 모두 도입 육종으로 육성된 품종이다. 그 중에서 니카라과농업연구청(INTA: Instituto Nicaraguense de Tecnologia Agropecuaria)에 등록되어 있는 27 품종이다. 이 중 관개답용 수도 품종은 14개로 약 47%, 천수답용 품종 이 8개, 재래도 품종으로 8개로 각각 27%를 차지하고 있다 (Table 2). 천수답 재배는 저지대와 고지대로 나뉘고, 저지대는 비가오면 물이 깊게 고이는 지역과 얕은 지대로 구분되는데 물이 부족한 지역에 재배하면 수량성이 떨어져 평균 수량이 1ha 당 2.1톤이고, 천수답 재배는 전체 벼 생산량의 17%를 차지한다. 관개답에서의 평균 수량은 1ha 당 6.4톤이고, 전체 벼 생산량의 83%를 생산한다. 신품종의 등록 과정은 INTA 육종담당자가 일종의 도입검정시험을 통해 우량계통을 선발하 고, 생산력검정시험(PAT: Primary Advanced Trial), 농가실증 시험(VF: Validation on Farms) 등을 통해 우수한 품종을 선 발한다. 신품종이 개발되고 상업화의 승인을 받은 후에 INTA 는 기본식물종자를 생산한다.

    벼 종자 보급 체계

    니카라과에서 INTA는 두 가지 방법으로 종자 보급을 하고 있다. 파종 종자를 농업인에게 직접 전달하는 방식과 농업인 커뮤니티종자협회(BCS: Community Seed Banks)에서 생산한 종자를 농업인에서 농업인으로 종자 보급 방법이 있다. 첫 번 째 방법은 INTA에서 지정한 National Rice Experimental Center (CNEA)에서 보급할 종자를 직접 생산하여 품질 검증 을 받은 후 보급한다. INTA는 니카라과 농업 기술 연구 혁 신 및 보급을 위해 정부가 지정한 니카라과농업연구청이다. 이 방법은 국내에서 생산하는 대부분의 품종을 보급하는데 효과적이나, 전체 농가를 위한 보급종 종자 생산에는 한계가 있다.

    두 번째 방법은, BCS를 활용한 종자 보급 방식으로 직접 전달 방식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BCS 모델은 농업인이 직접 종자를 생산, 저장 및 공급을 촉 진하기 위해 결성된 단체이며 다음 사항에 중점을 두고 추진 하고 있다(León et al., 2022). 첫번째는 농업인 간의 기술 공 유와 발전방향 모색이고, 두번째는 가족 농업 활성화를 위한 품질 좋은 종자 증식과 지원을 보증 하는 것이다(INTA & FAO 2018). INTA는 기본식물, 원원종, 원종 및 보급종 종자 생산을 담당한다. 그리고 BCS는 INTA에서 제공하는 보급 종 자를 사용하며, 생산 종자가 IPSA 인증 종자 요건에 충족될 수 있도록 품질 높은 종자 생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Table 3). 일부 기업체에서 보급종 생산이 가능하나 보급종 인증 절 차가 까다로워 현재 종자 생산을 하고 있지 않다.

    농업생산성 향상을 위한 접근 방안 제언

    제안 배경

    최근 니카라과 쌀 소비량은 1인당 연간 63 kg으로 1990년 쌀 소비량인 30 kg보다 2배 이상 늘었다. 그러나 쌀 생산량이 소비량을 따라가지 못해 니카라과에서는 매년 해외에서 쌀을 수입하고 있는 실정이다. 쌀 생산량을 늘릴 수 있는 방법은 재배면적을 확대하는 방안과 단위면적 당 쌀 생산량을 늘리는 방안이 있다. 재배면적을 확대하는 방안은 니카라과 정부에서 산림 자원 보호정책을 확대하고 있어서 한계가 있다. 따라서 단위면적 당 쌀 생산량을 늘려야한다. 단위면적당 쌀 생산량 을 늘리기 위해 INTA에서 벼 육종 및 재배 기술 연구를 진 행하고 있지만 환경적인 요인과 기술적인 문제 등에 의해 제 한을 받는다. 환경적인 측면에서는 천수답 면적 비율이 높고 화산회토 토양으로 보수력과 흡비력이 불량하다. 기술적인 측 면에서는 인근 국가의 고세대 계통을 도입하여 계통의 생산량 과 병해충 저항성 등을 평가하여 품종을 개발하고 있기 때문 에 니카라과 현지 특성에 맞는 품종 육성에 한계가 있다. 게 다가 전세계적으로 기후변화로 인한 가뭄, 홍수 등 자연 재해 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안정적인 쌀 생산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으며, 간접적으로는 도열병·깨씨무늬병(가뭄조건), 벼흰 잎마름병·줄무늬잎마름병(홍수조건) 등의 병 발생 증가로 이어 져 쌀 생산에 영향을 주고 있다.

    단기적 방안

    니카라과의 안정적인 벼 생산을 위한 단기적 방안을 다섯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첫째, 다양한 나라에서 활용이 가 능한 우수한 자원을 도입하고, 환경 적응성에 대한 검정을 수 행해야한다. 특히, 한발 저항성 및 질소 흡수력이 양호한 자원 을 도입하여 천수답에 재배 가능한 벼 신품종 개발이 필요하 다. KOPIA에서는 니카라과의 벼 생산성 향상을 위해 우리나 라의 녹색혁명의 주역인 통일벼(삼강벼, 청청벼, 밀양 23호 등) 17개 품종 및 계통을 도입하여 현지 적응성 시험을 추진한 바 청청벼, 밀양 23호 등 5품종이 니카라과 품종보다 50% 증수 하는 결과를 얻은 것이 우수사례이다(KOPIA, 2020). 둘째, 벼 재배기술의 개선이 필요하다. 세부적으로 입모 안정화를 위해 파종 이앙 시 포장 균평 작업을 보다 정밀하게 하며, 건전한 묘 생산을 위해 지나치게 많은 파종을 피하며 도복을 예방해 야 한다. 또한 적정시비량을 분시하여 환경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며 시비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표준재배법을 개발 하여야 한다. 셋째, 순도 높은 양질의 인증된 보급종자 생산 및 공급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1970년대 우리나라 보릿고개 를 해결하고자 개발된 우수한 다수성 품종을 신속하게 종자 공급하였다. 니카라과의 고질적인 낮은 수량에 대한 해결은 개 발된 우수 품종 종자 대체로 크게 개선할 수 있다. 넷째, 파 종에서부터 수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영농기술을 공유하고, 교육해야 한다. 이는 여성 농업인 참여 확대로 여권 신장의 기회가 될 수 있고 농업경영에 젊은이들도 참여하게 하여 고 용시장 확대의 역할도 할 수 있다. 다섯째, 조직화가 필요하다. 개인이 아니라 조합으로 규모화 하면 소규모 농기계 도정 시 설에 투자할 수 있어 수확 후 관리가 용이해진다. 또한 생산 한 쌀은 상품화하여 지역과 인근 대도시에 판매하면서 브랜드 로 성장시킬 가능성도 커져 쌀의 생산, 유통 및 판매까지 선 순환적으로 가치를 높일 수 있다.

    장기적 방안

    니카라과의 안정적인 벼 생산을 위해 장기적 방안을 네 가 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첫째, 니카라과의 벼 생산에 적합한 신품종을 육성하는 것이다. 육종방법에는 여러가지 기술이 활 용되는데 니카라과에서 추진하고 있는 도입 육종은 기후나 풍 토가 유사한 다른 나라에 있는 우수한 품종을 도입하여 일정 한 검정 과정을 거쳐 현지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신품종을 개발 하고 있다. 분리육종은 서로 다른 형질을 가진 유전자원내에 유용한 형질을 가진 개체를 선정하여 교배와 선발과정을 통하 여 우량계통을 고정하는 육종방법으로 그 효과는 크다. 우리 나라의 보릿고개를 해결한 통일벼도 인디카/자포니카 원연교 잡 후대 계통 가운데 당초 목적했던 준단간 직립초형으로 내 도복성, 내비성, 내병성 우량계통을 선발하여 육성하였다. 육 성된 통일벼는 당시 다른 품종보다 수량이 30% 높은 다수확 품종이면서 병해충이 강한 특성을 보였다(Cho et al., 2020). 니카라과의 소비자 기호에 맞으면서, 쌀 생산성 증대를 위해 물과 질소 이용효율이 높은 품종 개발은 그 무엇보다 중요하 다. 그동안 콜롬비아에서 고세대 계통을 도입하고 니카라과 현 지에서 적응성 검정을 하여 품종을 개발하였지만, 이제는 육 종 목표에 맞는 다양한 유전자원을 도입한 후 니카라과 주력 품종과 교배하여 현지 환경에 적합한 변이를 창출하고 적응성 이 높은 품종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니카라과 천수답 지역인 RACN, Rivas 등에 적응할 수 있는 한발 저항성 전용 품종 개발 역시 필요하다. 둘째, 천수답과 관개답 간 수량 차이를 최소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관개답에서의 수량성이 높으므 로 관개시설을 강화하여 벼 생산량을 증가시켜야 한다. 셋째, 관개답과 천수답을 활용하여 한 해에 1.5 재배 작기 이상으로 경지이용율을 높여야 한다. 건기와 우기에 적합한 품종을 선 정하고 품종의 성능을 최대화할 수 있는 재배기술과 최소 물 관리 재배기술 등을 적용하면 수확량 증대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다. 넷째, 기후변화 요소를 파악하고 그 양상을 분석하여 정확한 기후 변화 정보를 수집·활용하고, 이에 맞는 벼 품종 개발과 재배기술을 설정해야 한다. 쌀의 자급 달성과 쌀 수입 량 축소를 위하여 추진하고 있는 농업정책은 우선순위에 따라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방법으로 펼쳐 나가야 한다. 이외에도 우량 종자 생산과 보급 체계 구축, 농자재 보조금 지원 정책 의 효율화, 농기계 및 가공 시설의 현대화, 그리고 국제협력 체계 강화를 통한 쌀 생산성 증대와 농가 소득 향상도 장기적 인 측면에서 고려해야할 중요한 문제이다(Jeong et al., 2020).

    적 요

    본 연구에서는 현재 벼 자급률이 75%이지만 인구 및 소득 증대로 쌀 소비량이 늘고 있는 니카라과 벼 생산성을 향상시 키기 위해서 장단기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들을 분석해보았 다. 우선 단기적으로는

    1. 다양한 재배 환경조건에 적응성이 높은 우수한 유전자원 을 도입하여 생산성 증대를 위한 한발 저항성 및 질소 흡수력 이 양호한 자원을 선발하여 공급해야 한다.

    2. 우수 품종을 선정한 후 종자 순도 관리를 철저히 하여 인증된 보급 종자를 공급해야 한다.

    3. 벼 재배기술에서는 관개답에서 균평 작업 개선으로 입모 향상 및 제초 효과를 향상시키며, 천수답에서는 물 절약 재배 기술, 적정 시비 및 재식 기술 확립이 필요하다.

    4. 또한 농업인 개인보다는 협동조합을 활성화하여 최신 농 업기술 정보수집과 훈련으로 농업인에 대한 역량 강화가 필요 하다.

    5. 또한 장기적으로는 니카라과의 재배 환경에 적응성이 높 은 품종을 자체적으로 개발해야 한다.

    6. 관개시설 확충, 최소 물관리 재배기술 및 경지 이용률 제 고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7. 마지막으로는 기후변화 대응, 시설현대화 등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벼 생산을 위한 농업정책 일관성 유지가 필요하다.

    ACKNOWLEDGMENTS

    본 논문은 농촌진흥청 연구사업 (과제명: 용도별 맞춤형 벼 신품종 지역적응연구 및 이용촉진사업. 세부과제번호: PJ014961012022)의 지원으로 수행된 결과의 일부입니다. 본 논문을 작성함에 있어 적극 협력하여주신 국립식량과학원 벼 육종연구팀 담당자께 깊이 감사 드립니다.

    Figure

    KSIA-34-3-205_F1.gif

    Rice cultivation area in Nicaragua. Light green: rain-fed area, Dark green: irrigation area, Blue: lakes.

    *source: adapted from the interactive map of distribution of crops in Nicaragua.

    KSIA-34-3-205_F2.gif

    Yearly variation of rice production since 2013 in Nicaragua.

    *source: recopilated information from the Central Bank of Nicaragua, reports from 2013-2020.

    Table

    Rice production seasons in Nicaragua.

    Released varieties since 1997 in Nicaragua.

    Comparison of seed management between Nicaragua and the Republic of Korea.

    Reference

    1. Ahn, S.J. 2016. Nicaragua Agricultural Status and Implications. KREI. Naju, Korea. pp.1-18.
    2. BCN (Banco Central de Nicaragua).2019. Plan Nacional de Produccion Consumo y Comercio 2019-2020.
    3. Cho, Y.C. , Baek, M.K. , Park, H.S. , Cho, J.H. , Ahn, E.K. , Suh, J.P. , Jeung, J.U. , Lee, J.H. , Won, Y.J. et al.2020. History and Results of Rice Breeding in Korea. Korean J. Breed. Sci. 52:58-72.
    4. INTA (Instituto Nicaragüense de Tecnología Agropecuaria) & FAO (Organización de las Naciones Unidas para la Al mentación y la Agricultura).2018. Guía Metodológica para la organización de bancos comunitarios de semillas, criollas, climatizadas y mejoradas. Managua, Nicaragua.
    5. Jeong, O.Y. , Park, H.S. , Kim, W.J. and Lee, J.H. 2020. Rice Industry Status and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Production System in Senegal. J. Korean Soc. Int. Agric. 32(2): 166-171.
    6. KOPIA NICARAGUA CENTER.2020. Major Achievements of Korea Program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Agricultural technology. pp. 215-221.
    7. León, I. , Saballos, L. , Martinuz, A. , Benavidez, P. , López, B. , García, R. Juarez, D. , Cajina, N. 2022. Bancos comunitarios de semillas y uso de insumos biológicos: la experiencia de Nicaragua - Caja de herramientas para una Mesoamérica sin hambre. Managua, FAO.
    8. The World Bank.2015. Agriculture in Nicaragua: Performance, Challenges, and options. https://openknowledge.worldbank.org/ handle/10986/259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