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8504(Print)
ISSN : 2287-8165(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Vol.35 No.1 pp.1-9
DOI : https://doi.org/10.12719/KSIA.2023.35.1.1

Strategies of Exporting Korean Dairy Products to Vietnamese Market And Its Economic Impacts

Youn-Sang Choi
Division of International Studies, College of Global Trade and Industry, Daejin University, Pocheon 487-711, Korea
Corresponding author (Phone) +82-31-539-1713 (E-mail) ysc529@daejin.ac.kr
November 15, 2022 March 3, 2023 March 7, 2023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feasibility of exporting dairy products from Korea to Vietnam by identifying characteristics of its dairy product market based on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its dairy product market, and surveys on consumers, wholesalers, and retailers. The results from surveys provide characteristics of Vietnam’s dairy product market, the propensity to consume Korean dairy products, and the feasibility of the Korean dairy product exports market. As rapid economic growth and changes in preference result in an expansion of import market in Vietnam, Vietnam’s dairy product market is highly attractive to Korean dairy products. Vietnamese consumers have high confidence in Korean dairy products and are willing to pay a high price for them. Besides, over 200 thousand Koreans are living in Vietnam. This is favorable to Korean dairy products exports. But the success of the Korean dairy products in Vietnam’s dairy product market also depends upon systematic disease controls, the establishment of its brand image, effective quality and sanitation/safety management, and government support. Notably, the economic effects of Korean dairy products exports to Vietnam are 68.7 billion won for a production inducement effect and 297 persons for an employment inducement effect.



베트남 유제품시장의 시장접근전략 및 경제효과 분석

최 윤상
대진대학교

초록


    서 론

    국내 농식품 수출은 일본, 중국 및 미국시장에 대한 의존도 가 높으며, 이러한 특정 국가에 편중된 수출은 농식품 수출에 서 심각한 불안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최근 중국과의 사드 배 치 갈등, 엔저현상 등으로 인한 농식품 수출의 감소를 경험하 면서 국제 정치·경제적 상황에 따라 수출실적이 급변할 수 있 다는 사실이 현실로 나타났다(Jeon Kim Hong and Lee 2020;Lim and Roh 2019). 따라서 농식품 수출 확대를 위해 서는 수출시장의 다변화가 반드시 전제되어야 한다. 최근 신흥 시장으로 급성장하고 있는 베트남시장이 새로운 국내 농식품 수출시장으로 주목을 받고 있으며, 향후 성장가능성 또한 매우 높은 시장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러한 농식품 수출의 문제점과 함께, 국내 유업계 현황을 살펴보면, 2014년 원유 감산 정책과 2016년 하위 위생등급 원 유 패널티 부과로 원유 국내생산량과 연말재고가 감소하고 있 다. 반면에 수입량이 증가하면서 원유 국내 자급율은 2018년 49.3%로 하락한 이후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미국, EU 등과의 FTA 등 시장개방 확대로 인한 수입 유제품 물량의 증가로 국내 원유의 자급률은 지속적으로 떨어질 전망이다. 더 욱이 출산율 감소로 우유 주 소비층인 어린이, 청소년의 수가 감소함에 따라 우유소비량도 점차 줄어들고 있는 실정으로, 백 색시유 가구당 구입액은 2013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 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농촌경제연구원의 전망에 따르면 유가공품 생산에서 국내 원유의 투입이 낮으며, 시유 소비 부진으로 젖소 사육 마릿수는 장기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국내 유제품시장이 새로운 돌파구를 찾지 않는 한 낙 농산업의 지속적인 위축이 불가피하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는 국내산 원유로 제조되는 시유와 유제품의 수출을 적극적으 로 촉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유로모니터 의 발표에 따르면 베트남의 유제품 소비는 경제성장과 함께 계속 증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한류 확산으로 대베트남 농 식품 수출이 증가하고 있다(Kim and Han 2017). 따라서 베 트남 시장에 대한 수출 확대는 국내 유제품시장의 문제를 해 결할 수 있는 좋은 방안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유제품의 수출 대상국 중 하나로 주목을 받 고 있는 베트남시장에 대한 국내 유제품의 수출 확대 가능성 을 규명하여 실증적인 확대방안을 제시하고 수출의 경제적 효 과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베트남 소비자 설문 및 면담조사, 그리고 현지 전문가 면담조사 등을 토대로 베트남 유제품시장의 특성과 한국산 유제품에 대한 베트남 소비자의 의향을 파악하였다.

    선행연구

    국내 유제품수출은 많지 않을 뿐만 아니라 중국에 집중되는1) 등 아직까지는 활발하지 않은 관계로 국내 유제품시장이 안고 있는 수급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의 하나라고 할 수 있는 유제 품 수출에 대해 많은 연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 정이다. 또한 대부분의 연구도 수출국의 통계자료에만 의존할 뿐 현지 시장에 대한 정확한 실태파악에 근거하지 못하는 문 제점을 안고 있다.

    Shin(2014)은 중국의 유제품 수입시장이 경제발전, 소득 증 대, 식습관의 서구화와 함께 2008년 멜라민 파동으로 인해 중국산 유제품에 대한 신뢰도 하락의 반사이익으로 증가하였 다고 평가하였다. 그러나 한국의 수출 유제품이 중국 소비패 턴과 다소 상이하고, 유통 채널도 한정적일 뿐만 아니라 중 국 정부의 정책적 변화에 대한 대응도 미흡한 점이 한국의 대중 유제품 수출에 불안요소로 작용하고 있다고 지적하였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중국시장을 연령별, 계층별, 지역별 로 분석하여, 이에 맞는 제품과 마케팅을 해야 한다고 제안 하였다.

    Kim(2013)은 한국과 중국의 통계자료에 기초하여 최근 중 국의 수출장벽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 하에서 한국 유제품의 대중 수출을 확대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방안 은 질병의 철저한 관리, 중국의 비관세 장벽들에 대한 대처 모색 및 한국정부의 신속한 정보제공, 최신 시장 정보 공유 시스템 구축, 중국인의 기호에 맞는 유제품 개발, 한국정부의 정책적 지원 등이다.

    Jo(2016)는 최근 국내에서 할랄식품 시장에 대한 수출확대 에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일본정부의 할랄식품 수출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으로 할랄시장에서 한일 양국의 경 쟁이 심화되고 있다고 지적하였다. 할랑시장에 대한 유제품 수 출의 확대를 위해서는 시장의 특성 및 소비자 기호에 대한 현 지조사, 정보공유, 국내업체 간의 과당경쟁 지양 등이 전제되 어야 하고 국산원료 사용을 늘리는 노력도 병행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Lee and Roh(2019)는 국적기업의 해외시장전략의 접근법 중 대척점에 있는 개념인 글로벌 통합과 현지 대응이 이분법 적인 선택의 문제가 아닌 점진적인 진화의 문제라는 인식 하 에 빙그레의 중국시장 접근전략을 분석하였다. 빙그레가 중국 시장에 진출하면서 초기단계에는 자사의 바나나맛 우유가 한 국시장에서 확보한 독점적 우위 요소를 활용할 수 있는 중국 의 교민사회를 공략함으로서 본사 중심의 글로벌 통합 개념의 전략을 내세웠으나, 이후 중국 시장 내 경쟁자들의 등장과 시 장의 확장 과정에서 현지 시장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전략을 통해 제품의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었다고 평가하였다.

    베트남 유제품시장의 현황

    최근 신흥시장으로 급성장하고 있는 베트남은 높은 경제 및 인구성장, 식품소비시장 확대, 식품수입 증대, 한류열풍, 높은 유 제품 수요 등으로 향후 국내 유제품의 주요 수출시장으로의 가 능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러한 평가를 받고 있는 베 트남 유제품시장은 최근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유로 모니터에 따르면, 2014년부터 2018년까지 연평균 10.8% 성장하 여 2018년 유제품시장의 가치는 약 31.3억 달러를 기록하였다.

    Korea Agro-Fisheries & Food Trade Corporation(2021)에 따르면, 베트남의 낙농업은 아직까지는 낮은 생산성, 수입사료 에 대한 높은 의존도 등으로 인해 소비에 비해 생산량이 부족 하다. 최근 낙농생산의 증가로 수입이 감소하고 있으나, 수입 감소는 백색시유와 저가의 유제품에 한정될 뿐 중·고가 유제 품의 경우에는 한국, 일본, 미국, 유럽 등으로부터 수입된 제 품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다. 또한 베트남 소비자는 수입 품이 국내산 제품에 비해 품질과 식품안전성이 월등하다는 평 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젊은 소비층을 중심으로 높은 가격 에도 불구하고 수입품에 대한 지출의향이 높다. 따라서 베트 남이 유제품에서 수입품 수준의 품질 및 식품안전성을 확보하 는 것은 단시간 내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임을 고려해 볼 때 중·고가 유제품시장을 수입품이 장악하고 있는 현재의 상황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유제품시장에서 수입 제품의 높은 점 유율과 한국산 제품에 대한 높은 선호도를 고려해 보면(Korea Agro-Fisheries & Food Trade Corporation 2021), 한국산 유 제품이 베트남시장에서 성공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현재 대베트남 한국산 유제품 수출의 중심이 되고 있는 분 유산업을 살펴봐도, 베트남 분유시장의 규모는 한국의 약 3배 인 1조 4000억원에 이른다. 최근 베트남 부모들의 영양에 대 한 높은 관심으로 성장촉진 및 기능성 분유에 대한 수요가 증 가하고 있으며, 빨라진 고령화 속도에 맞춰 성인 및 고령층을 위한 시니어 분유 시장 또한 확대되고 있다.

    KOTRA Danang Trade Center(2022)에 따르면, 베트남 소 비자가 분유 선택 시 품질과 식품안전성을 많이 고려하면서 수입산 브랜드에 대한 선호도 높다. 2020년 베트남 분유 수입 규모는 약 2억8,600만 달러로 최근 5년간 연평균 2%의 성장 률을 기록하였다. 그러나 베트남의 2020년 대한국 분유 수입 액은 전체 수입액의 5% 수준에 머물고 있다. 또한 많은 다국 적 기업이 베트남 현지에 생산 공장을 설립한 반면에 한국의 경우는 남양만이 현지 공장에서 자사 제품을 출시하고 있다. 다만, 베트남의 대한국 분유 수입액이 2016년 718만 달러에서 2020년 약 1천 481만 달러로 5년간 연평균 15.6%의 성장률 을 보이며 수입규모의 지속적인 확대가 기대된다(KOTRA Danang Trade Center 2022). 특히, 베트남 시장에서 한국산 유제품의 높은 선호도로 현지 수입업자들이 한국산의 수입을 계속 확대할 계획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향후 한국산 유제품 의 수출은 계속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베트남 유제품시장의 특성

    1. 개요

    본 연구에서는 베트남 유제품시장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베트남 소비자 설문 및 면담조사, 그리고 베트남 현지 관련 전문가와 수입업자 및 유통업자와의 면담조사를 시행하였다. 소비자 설문조사2)는 100명을 대상3)으로, 소비자 면담조사는 20명의 주부를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설문조사 대상 소비자의 성별비율은 여성 75%, 남성 25%이고, 응답자의 연령은 20~50세로 평균은 32세이며, 연소득은 4백만~15백만 VND이 고 평균소득은 6.6백만 VND이다.

    2. 유제품 소비현황

    유제품 구매 장소는 슈퍼마켓이 40.8%로 가장 많고 다음 으로 유제품 전문매장 33.0%, 편의점 19.5%, 재래식 식품 점 5.0%의 순으로 나타났다. 즉, 고가의 수입제품을 많이 판매하는 슈퍼마켓과 유제품 전문매장의 비중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유제품 구매시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으로 품질이 29.5% 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유통기한 24.1%, 가격 18.4%, 원산지 18.1%, 브랜드 5.4%, 맛 4.5%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고가인 한국산 유제품은 특히 높은 품질 및 위생·안전성 수준 유지가 베트남시장에서의 성공에 핵심 요소가 될 것이라는 것 을 알 수 있다. 또한 이 결과를 통해 베트남 소비자는 유제품 을 선택할 때 브랜드보다는 원산지를 더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베트남에서의 한류열풍을 고려해 볼 때, 한국산 유제품 수출에 매우 긍정적인 측면이라고 할 수 있다.

    베트남 소비자의 식생활에서 유제품의 중요도를 조사한 결 과, 보통이상이 98.1%로 베트남 소비자가 유제품을 식생활에 서 매우 중요하게 여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향후 유제품의 구매를 늘릴 것인가에 대한 질문에 ‘늘린다’가 63.1%, ‘유지한 다‘가 33.0%, ’줄인다‘가 3.9%로 향후 베트남에서 유제품 소 비가 계속 늘어날 것으로 판단된다.

    원산지의 중요도를 조사한 결과, 응답자 모두 중요하다고 답 변하여, 응답 자료를 5점 만점으로 환산하여 산출한 중요도 값 은 4.9이었다. 이는 수입의존도가 높은 베트남 유제품시장의 특성이 반영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응답자의 연령과 유제품 및 원산지의 중요도 간의 상관관계 를 살펴본 결과, 유제품의 중요도와 연령의 상관계수 값은 0.37이고, 원산지의 중요도와 연령의 상관계수 값은 0.22이다. 즉, 두 관계 모두 양의 관계를 보이고 있으나, 그 관계가 낮 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연령이 높을수록 가족단 위 소비가 중심이 되고 이로 인해 식품의 영양과 품질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반면에 응답자의 소득과 유제품 및 원산지의 중요도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유제품의 중요도와 소득의 상관계수 값은 –0.32이고, 원산지의 중요도와 소득의 상관계수 값은 – 0.11이다. 즉, 두 관계 모두 음의 관계를 보이고 있으나, 그 관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경제성장과 함 께 소득수준이 높아지면서 우유이외에 영양을 공급할 수 있는 식재료와 수입 유제품의 종류도 다양해지면서 선택의 폭이 넓 어졌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3. 한국산 유제품 만족도 및 구매의향

    구입해본 한국산 유제품의 종류를 조사해본 결과, 분유가 39.6%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백색시유 30.2%, 가공유 15.1%, 요구르트 9.5%의 순으로 나타나, 현재 대베트남 한국 유제품 수출을 분유제품이 주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한국 산 유제품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해본 결과, 약간 만족이 56.9%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매우 만족 30.6%, 보통 12.5% 의 순으로 나타나, 한국산 유제품에 대해 불만이 전혀 없음을 알 수 있다. 응답 자료를 5점 만점으로 환산하여 산출한 한국 산의 인지도 값은 4.2로 높다.

    한국산 유제품에 만족한 이유로는 품질이 40.1%로 가장 많 고 다음으로 가격 25.5%, 위생·안전성 24.2%, 맛 7.6%의 순 으로 나타나, 베트남 소비자가 보는 한국산 유제품에 대한 브 랜드 이미지가 높은 품질과 위생·안전성임을 알 수 있다. 즉, 베트남 소비자가 유제품 구입에서 중요하게 보는 요인과 한국 유제품의 브랜드 이미지가 일치하는 점은 향후 한국의 대베트 남 유제품 수출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산 유제품에 대한 향후 구매의향을 조사해본 결과, ‘구 입하겠음’ 41.8%, ‘잘 모르겠음’ 25.3%, ‘구매하지 않겠음’ 2.4%의 순으로 나타나 높은 구매의향을 알 수 있다. 한국산 유제품 구매의향에 대한 이유로는 품질이 32.3%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위생·안전성 23.7%, 가격 20.7%, 한국문화 14.2%, 맛 7.1%의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베트남 높은 품질과 위생 ·안전성, 그리고 가격경쟁력을 소비자는 한국 유제품의 장점으 로 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한류문화가 베트남에서도 큰 영향을 주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어서 홍보에 활용하면 좋은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다.

    다음은 베트남 소비자의 한국산 유제품에 대한 전반적 만족 도에 주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토빗모형(Tobit model)을 설정하고 추정하였다. 한국산 유제품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는 1-5점 리커트척도에 의한 측정으로 이는 일정한 영 역에서만 관찰되는 종속변수로서 이러한 종속변수를 갖는 중 도절단회귀모형으로는 토빗모형이 사용된다(Amemiya 1981).

    Tobit 모형의 표본 추정식은 다음과 같다.

    y i = x i β + ε i , y i N ( 0 , σ 2 ) y i = y i * if y i * < 5 , y i = 5 if y i * 5

    여기서 yi 는 베트남 소비자의 한국산 유제품에 대한 전반 적인 만족도(1-5점 리커트척도), xi 는 독립변수, β 는 파라미 터 백터이며, εi 는 오차항을 나타낸다

    한국산 유제품에 대한 만족도에 대해 토빗모형을 이용한 회 귀분석 결과는 아래의 <표 6>과 같다. 한국산 유제품에 대한 만족도는 연령, 소득, 구매요소 중 품질 그리고 유제품의 중요 도와 양의 관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제품 구매요 소로 품질을 중요시하는 소비자일수록 한국산 유제품에 대해 만족도가 높다는 점은 베트남 소비자가 한국산 유제품의 품질 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4. 심층면접조사

    베트남 소비자 설문조사에서 파악할 수 없는 베트남 유제품 시장의 실태와 한국산 유제품의 가능성, 베트남 소비자의 소 비 특성 등을 조사하기 위해 소비자와 베트남 현지 관련 전문 가(AT 하노이 지사) 및 업계 관계자(수입업자 및 도소매업자) 와의 면담조사가 진행되었다. 먼저 소비자 면담조사의 주요 결 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베트남 소비자는 유제품이 건강에 좋다는 인식 이 있어서 선호도가 높다. 실제 베트남에서는 병문안을 갈 때 유제품을 사가지고 가는 경우가 많고, 이러한 이유로 병원 주 변에 유제품 전문매장이 많이 위치해 있다. 이러한 소비자의 인식은 낮은 소득수준으로 인해 건강식으로 선택할 수 있는 식품이 제한적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두 번째로 베트남 은 수입산에 비해 육질이 매우 질긴 물소고기의 소비가 높고, 당분소비가 많은4) 식습관으로 인해 치아가 좋지 않은 노인계 층이 많고, 이들 노인계층이 우유를 주식량의 하나로 소비하 고 있다. 세 번째로 베트남에서는 음식을 조리할 때 우유를 재료로 많이 이용하고 있다. 네 번째로 베트남 소비자는 비싼 전기료로 구입한 유제품을 실온에서 보관하다 마시기 전에 냉 장고에 넣기 때문에 냉장 보관해야 하는 일반우유보다 멸균유 의 판매가 많다. 다섯 번째로 한국산 분유에 대한 선호도는 높으나 가격대가 높아 중저가 제품에 비해 판매량이 상대적으 로 적다.

    다음으로 베트남 현지 관련 전문가 및 업계 관계자와의 면 담조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현재 높은 품질과 비싼 가격의 한국산 분유제품은 고소득층을 대상으로 판매되고 있으며 전반적으로 높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단, 한국산 분유의 경쟁제품인 일본 제품이 다른 고가 수입품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화가 잘되고 맛이 좋아 베트남의 고가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한국산 분유제품도 현재보다 소화와 맛 부분에서 개선할 경우 시장점유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두 번째로 최근 베트남 주부들은 인터넷, SNS 등에서 제공 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유제품 구매를 결정한다. 이로 인해 현 재 베트남 유제품 소비는 중소도시에 비해 정보의 접근이 용 이한 대도시가 주도하고 있다. 대도시와는 달리 중소도시에서 는 정보부족으로 유제품 구매시 판매자의 제안이 주요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경제성장과 함께 중소도시 소비자의 정 보접근성이 향상되면서 중소도시의 유제품 소비가 급격이 늘 어나고 있는 상황으로 향후에는 대도시가 아닌 중소도시가 유 제품 소비의 중심이 될 것으로 유통업계는 보고 있다.

    세 번째로 조사한 한국산 유제품 수입업체들은 한국제품에 대해 만족도가 높아 향후 수입을 늘릴 계획인 것으로 조사되 었다. 베트남 시장에서는 분유제품이외에도 다양한 한국산 가 공유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 판매가 증가하고 있다.

    네 번째로 베트남에서는 우유소비가 높아 마트에 많은 우유 제품을 냉장 판매대가 아닌 일반 판매대에 전시해서 판매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종이박스에 포장되는 멸균유의 판매가 많 이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

    베트남 유제품시장 접근 전략

    1. 목표시장의 설정 및 타겟 소비자 차별화된 홍보마케팅

    국내 유제품의 고품질과 높은 가격을 고려할 때, 유통라인과 소비자 타깃팅에서 목표설정이 명확할 필요가 있다. 소비자 설 문조사결과, 유제품의 구입 장소로 고가의 수입제품을 많이 판 매하는 슈퍼마켓과 유제품 전문매장이 가장 높게 나타난 점은 가격이 비싼 한국산 유제품에는 긍정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베트남에서는 유제품을 포함하여 식품의 구매를 주 로 주부가 하고 있으며, 최근 정보접근성이 높아지면서 베트 남 주부들은 인터넷을 통해 식품구매에 필요한 최신 정보를 얻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주 구매계층인 주부들을 대상으로 한류, SNS 등을 활용한 온라인 마케팅 등 주부를 대상으로 하는 차별화된 마케팅을 통해서 한국산 유제 품에 대한 브랜드 인지도 및 충성도를 지속적으로 높여가야 한다.

    2. 한국산 브랜드 이미지 구축 및 공동 마케팅

    소비자 조사결과, 베트남 소비자들은 수입 유제품 구매 시, 제품 브랜드가 아닌 원산지(국가) 브랜드에 따라 구매를 결정 한다. 또한 설문 및 심층면접조사의 결과에 따르면, 현재 한국 산 유제품에 대한 베트남 소비자의 인지도는 높은 상황이다. 따라서 미국산, 뉴질랜드산, 일본산 등이 선점하고 있는 베트 남의 수입산 유제품시장에 한국산 유제품이 시장점유율을 높 이기 위해서 반드시 전제되어야 할 것은 한국산 유제품의 브 랜드 이미지를 구축하는 것이다.

    제품 브랜드 마케팅이 아닌 한국산 제품의 홍보마케팅은 개 별 업체단위가 아닌 관련 협회(예: 유가공협회)또는 농협을 중 심으로 낙농자조금 관리위원회, 수출업체 대표들로 구성된 수 출협의회 차원에서 추진되었을 때 보다 빠른 시간 안에 큰 효 과를 볼 수 있을 것이다5). 최근 낙농자조금의 지원 하에 유가 공협회를 중심으로 국내 유가공업체들이 베트남에서 진행하고 있는 한국산 유제품을 홍보하는 행사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민간단체만으로는 효과적으로 홍보마케팅을 추진하기 어렵고 정부기관의 재정적·행정적 지원이 동반되어야 한다. 또 한, 베트남은 한류의 영향이 높은 지역이므로 한류 연예인 등 을 활용한 다양한 이벤트를 개최하는 것도 효과적인 방안이라 고 할 수 있다.

    3. 등급별 접근

    한국산 프리미엄급 유제품이 대상이 되는 베트남의 고급 유 제품시장은 소득증가와 함께 현재 성장하고는 있으며 한국산 유제품에 대한 선호도 또한 높다. 그러나 급속한 경제성장에 도 불구하고 아직은 낮은 베트남의 평균 소득수준6)은 현재 고 급 유제품시장만을 타깃으로 하는 한국산 유제품 수출에는 제 약요소가 될 수 있다. 즉, 현재 베트남의 소득수준을 고려해 볼 때 프리미엄급 시장이 확대되더라도 단기적으로는 한계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베트남으로의 한국산 유제품 수출은 등급별로 베트 남 유제품시장의 특성에 맞춰 차별화된 제품을 수출하는 시장 접근공략을 선택하여 시장점유율을 높이는 것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현재 프리미엄 시장만을 대상으로 하는 일본산 제품을 제외하면 미국산, 뉴질랜드산 등의 수입품은 중저가 제 품과 프리미엄 제품을 동시에 베트남 시장에 공급하고 있다.

    4. 품질 유지

    소비자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한국산 유제품의 품질과 위 생·안전성은 베트남에서도 인정을 받고 있으며, 이로 인해 베 트남 유제품시장에서 한국산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상황이다. 수입 유제품의 수요가 높은 품질과 위생·안전성에 기인하는 점 을 고려해 볼 때, 한국산 유제품이 품질과 위생·안전성 수준 을 유지 및 향상시키는 것은 한국산 유제품 수출 확대의 전제 조건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한국산 유제품 수출이 확대되기 위해서는 한국산 제품 과 경쟁관계에 있는 제품을 벤치마크하여 시장에서 필요로 하 는 기술의 개발에 지속적으로 투자할 필요가 있다. 브랜드별 또는 제품별로 차별화시키는 기술은 해당 기업이 개발을 해야 하나, 베트남 유제품시장에 특화된 제품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 는 기술이나 한국산 유제품의 시장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공 통기술은 정부에서 기술개발 지원을 할 경우 보다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한국산 유제품 대베트남 수출의 경제효과

    1. 산업연관모형

    본 연구는 최종수요의 변화에 따른 파급효과를 계측하는 수 요유도형 모형을 이용하여 수출확대로 인한 유제품산업의 파 급효과를 산출하였다. 생산유발효과는 특정 산업의 산출물에 대한 최종수요가 한 단위 증가하였을 때 해당 산업 및 연관 산업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생산증대효과를 의미하며, 생산유 발계수와 각 산업의 산출물에 대한 최종수요를 이용하여 산출 된다. 각 산업부문의 총산출액(X)은 아래의 식으로 산출된다.

    X = ( I A ) 1 Y d

    여기서, I 는 주대각요소가 모두 1이고 그 밖의 요소는 모 두 0인 단위행렬이고, A 는 투입계수행렬이며, Yd 는 최종수 요이고, (I-A)-1 는 생산유발계수이다.

    총생산유발효과는 후방생산유발효과와 전방생산유발효과로 구분된다. 각 산업의 후방생산유발효과는 ‘영향력계수’를 이용 해서 산출할 수 있다. 영향력계수란 어떤 산업부문의 생산물 에 대해서 최종수요가 한 단위 발생할 때 전체 산업부문에 미 치는 영향, 즉 개별산업의 후방유발효과를 전산업(全産業) 평 균에 대한 상대적인 크기로 나타내는 계수이다.

    각 산업의 전방생산유발효과는 ‘감응도계수’를 이용해서 산 출할 수 있다. 감응도계수는 모든 산업부문의 생산물에 대한 최종수요가 각각 한 단위씩 발생할 때 어떤 산업이 받는 영 향, 즉 전방연쇄효과가 어느 정도인가를 전산업 평균에 대한 상대적 크기로 나타내는 계수이다. 산업 i의 영향력계수(ei)와 감응도계수(ri)는 아래의 수식으로 산출할 수 있다.

    e i = ( 1 n j r i j ) / ( 1 n 2 i j r i j ) r i = ( 1 n i r i j ) / ( 1 n 2 i j r i j )

    여기서, rij 는 역행렬계수의 원소이고, n 은 산업부문의 수 이다.

    취업유발효과(L)는 아래의 수식으로 산출할 수 있다.

    L = l ^ ( I A ) 1 Y d

    여기서, l ^ 는 취업계수의 대각행렬이고, A는 투입계수행렬이 며, Yd 는 최종수요이고, l ^ ( I A ) 1 는 취업유발계수이다.

    2. 유제품 대베트남 수출의 경제효과

    2021년 1,058톤(20,502 천달러)의 한국산 유제품이 베트남에 수출되었다. 전년대비 물량은 43톤 줄었으나 오히려 수출액은 1,341 천달러 증가하여 큰 변화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이러한 유제품 수출은 2022년도에도 지속되고 있다. 따라서 베트남에 서 한국산 제품에 대한 높은 선호도를 고려해 볼 때, 효과적 인 시장접근전략이 적용될 경우 한국산 유제품의 수출전망은 매우 긍정적이라고 할 수 있다.

    가장 최근에 한국은행에서 발행한 2019년도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2021년도 한국산 유제품의 대베트남 수출로 인해 발 생한 경제유발효과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산업연관분 석을 위하여 381개 부문의 산업연관표를 유제품7) 및 유제품 연관 산업을 중심으로 15개 산업부문으로 재분류하여 통합하 였다. 본 연구는 유제품의 수출과 관련된 연구이기 때문에 유 제품산업에 대한 전방연관효과는 유통업, 운송 및 보관업 등 일부 수출과 관련된 연관산업에서만 발생하기 때문에 대부분 의 경제유발효과는 후방연관효과로 나타난다. 이를 고려하여 유제품산업을 포함한 15개 산업부문은 유제품산업의 생산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는 후방산업과 수출에 연관된 산업으로 구 성되었다.

    15개 산업부문으로 재구성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 다. 먼저 유제품의 원료를 생산하는 낙농업을 1차 산업에서 분 리하여 개별산업으로 분류하고, 나머지 축산업을 포함한 1차 산업부문들은 1차 산업이라고 분류하였다. 두 번째로 낙농업 과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주요 후방연관산업인 사료와 의약품 산업을 제조업에서 분리하여 개별산업으로 분류하고 나머지 제조부분들은 제조업으로 분류하였다. 세 번째로 서비스 부문 중에서는 유제품산업과 연관된 후방연관산업과 수출과 연관된 전방연관산업인 도소매와 운송 및 보관, 음식점, 부동산, 경영 및 사업서비스을 분리하여 개별산업으로 분류하고, 나머지 서 비스 부문은 기타 서비스산업으로 분류하였다. 의료, 금융, 보 험 등 일부 주요 후방 및 전방연관산업은 경제유발효과가 너 무 작아 개별산업으로 분류하지 않았다.

    경제유발효과의 산출결과에 따르면, 생산유발효과는 687억 원이고 취업유발효과는 297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생산유발효 과를 산업별로 살펴보면, 제조업이 유제품산업을 제외한 총 효 과의 27.1%로 가장 크고, 다음으로 낙농업 22.1%, 도소매 유 통 10.1%, 경영 및 사업서비스 8.4%, 운송 및 보관 8.3%, 사료 7.9%의 순으로 나타났다. 취업유발효과를 산업별로 살펴 보면, 낙농업이 유제품산업을 제외한 총 효과의 20.3%로 가장 크고, 다음으로 도소매 유통 19.6%, 제조업, 운송 및 보관 그 리고 경영 및 사업서비스 12.6%, 1차 산업 8.9%의 순으로 나타났다.

    결 론

    본 연구는 국내 유제품의 수출 대상국 중 하나로 주목을 받 고 있는 베트남시장에 대한 국내 유제품의 수출 확대 가능성 을 규명하고 실증적인 확대방안을 제시하였다. 베트남은 유제 품에 대한 소비자의 높은 선호도, 세계 15위의 많은 인구와 경기활성화로 인한 규모화 내수시장 등으로 잠재시장으로서의 가치가 매우 크다. 또한 한류의 영향, 안전성과 품질에 대한 높은 평가 등으로 한국 유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으며 불안 정한 우유공급과 높은 우유가격으로 수입 의존도가 높아 향후 한국산 유제품 수출의 확대 가능성이 매우 높다.

    베트남 소비자 조사의 결과에 따르면, 베트남 소비자는 유 제품을 영양 공급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주요 식품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유제품의 품질과 영양 및 안전성 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 또한 수입 유제품의 의존도가 높 은 베트남에서는 제품을 선택할 때 브랜드가 아닌 원산지를 기준으로 선택하고 있다. 그리고 한국산 유제품에 대해 품질, 영양 및 안전성, 가격경쟁력 등을 높게 평가하여 한국산에 대 한 만족도가 높고 이러한 높은 만족도, 한류열풍 등으로 인해 향후 한국산 유제품의 구매의향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향후 대베트남 한국산 유제품 수출의 확대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베트남 소비자 조사결과와 베트남 유제품시장 현 황에 기초하여, 목표시장의 설정 및 타깃 소비자 차별화된 홍 보마케팅, 한국산 브랜드 이미지 구축 및 공동 마케팅, 등급별 접근, 품질 유지의 4가지 수출전략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2021 년도 한국산 유제품의 대베트남 수출로 발생한 경제유발효과 를 산출한 결과, 생산유발효과는 687억원이고 취업유발효과는 297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적 요

    본 연구는 소비자 설문 및 면담조사, 그리고 현지 전문가 면담조사 등을 토대로 베트남 유제품시장의 특성과 한국산 유 제품에 대한 베트남 소비자의 의향을 파악함으로서 베트남시 장에 대한 국내 유제품의 수출 확대 가능성을 규명하여 실증 적인 확대방안을 제시하고 수출의 경제적 효과를 도출하였다.

    1. 베트남은 한류의 영향, 한국산 유제품의 안전성과 품질에 대한 높은 평가 등으로 인해 한국 유제품에 대해 만족도와 구 매의향이 높을 뿐만 아니라 불안정한 우유공급과 높은 우유가 격으로 수입 의존도가 높아 향후 한국산 유제품 수출의 확대 가능성이 매우 높다.

    2. 한국산 유제품의 대베트남 수출이 확대되기 위해서는 체 계적인 질병관리, 브랜드 이미지 구축, 지속적인 품질 및 안전 성 관리와 적절한 정부지원이 전제되어야 한다.

    3. 2021년도 한국산 유제품의 대베트남 수출로 발생한 경제 유발효과는 687억원의 생산유발효과와 297명의 취업유발효과 인 것으로 나타났다.

    Figure

    KSIA-35-1-1_F1.gif

    Vietnamese Milk Powder Market Size(million $).

    source: Euromonitor(2022).

    Table

    Places of Purchase and Purchase Factors.

    Importance of Dairy Products, Change in Purchase and Importance of Origin.

    Correlation between Age/Income and Importance of Dairy Products/Origin.

    Korean Products Purchased, Satisfaction with Korean Products.

    Willingness to Purchase for Korean Products and Reasons.

    Parameter Estimates for Satisfaction with Korean Products.

    Economic Effects of Korean Exports to Vietnam.

    Reference

    1. Amemiya, T. 1981. Qualitative Response Models: A Survey. J Econ Liter. 19:1483-1536.
    2. Bao, K.L.N. 2018. The Consumption of Dairy and Its Association with Nutritional Status in the South East Asian Nutrition Surveys (SEANUTS). Nutrients. 13:759-768.
    3. Chae, H.K. , Im, C.Y. , Kim, S.H. , Kim, T.K. 2020. Shine Muscat Export Strategy to China Using Korean Wave. J. Korean Soc. Int. Agric. 32:112-119.
    4. CHU, L. , Yokogawa, H. , Kawaguchi, T. 2004. Dairy Production in Vietnam: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Journal-Faculty of Agriculture. 49:179-193.
    5. Euromonitor.2022. Dairy Packaging in Vietnam-Market Research Report.
    6. Han, A.R. 2021. KOTRA International Market News-Products·Industry Trend-Vietnamese Milk Powder Market Situations. KOTRA.
    7. Invest Vietnam.2021. Dairy Industry.
    8. Jeon, H.J. , Kim, S.H. , Hong, C.Y. , Lee, S.A. 2020. The Report on Chinese Agricultural and Food Product Trade and Trade Dispute.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9. Jo, S.J. 2016. Feasibility and Problems in Expanding Exports of Dairy Products to Halal Market. Dairy&Beef. 36:108-113.
    10. Kim, Y.K. 2013. The Situations and Prospects of Dairy Products exported to China.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2:8-17.
    11. Kim, K.P. , Han, J.H. 2017. The Report on Characteristics of Marketing and Consumption in Vietnamese Export Market.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12. Korea Agro-Fisheries & Food Trade Corporation.2020. 2020 The Customized Survey for Foreign Market-Vietnamese Milk Report.
    13. Korea International Trade Association.2016. 2017 Vietnamese Economic Outlook and Evaluation of Its Major Issues.
    14.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2022. Agricultural Outlook 2022.
    15. KOTRA Danang Trade Center.2022. KOTRA International Market News-Vietnamese Milk Powder Market Situations. KOTRA.
    16. Lee, K.M. , Roh, T.W. 2019. Binggrae's Entry Strategy and Success Factors in the Chinese market: A Case of Banana-flavored Milk. Regional Industry Review. 42:55-81.
    17. Lim, S.S. , Nam, J.W. 2019. A Study on Foreign Exchange Risk Managements in the Korean Agro-food Industry.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9:133-140.
    18. Nguyen, V.P. , Tran, H.C. , Marcus, M. 2015. Effects of Household Characteristics on Expenditure for Dairy Products in Vietnam.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Studies in Agricultural Sciences. 1:1-13.
    19. Premia MSCI Vietnam ETF.2019. Consumption Story of Vietnam. Premia Partners.
    20. Quang, H.V. 2019. Factors affecting fresh milk consumption of Vietnamese households. Livestock Research for Rural Development. Vol.31, No.3, Article.29.
    21. Q&Me. 2019. Vietnam Market Research Report–Popular Liquid Milk Among Vietnamese Youth.
    22. Shin, J.E. 2014. The Status of Chinese Dariy Industry and Study for Future Korean Dairy Products to Advance in Chinese Markets. Journal of China Area Studies. 1:277-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