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8504(Print)
ISSN : 2287-8165(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Vol.35 No.3 pp.197-206
DOI : https://doi.org/10.12719/KSIA.2023.35.3.197

An Empirical Analysis on Investment Performance of the KOPIA–sponsored Project of Poultry in Kenya

Yongwoo CHAE*†, Namho SO**, Sangwon SUH***, Chunghoe KIM***
*R&D Extension Divison, RDA, Jeon-ju 54875, Republic of Korea
**Farm & Agribusiness Management Division, RDA, Jeon-ju 54875, Republic of Korea
***Korea Program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Agricultural technology(KOPIA) Kenya Center, RDA, Nairobi 13987-00900, Kenya
Corresponding author (Phone) +82-63-238-0975 (E-mail) pridecyw@korea.kr
July 17, 2023 August 19, 2023 August 19, 2023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investment feasibility of the poultry model village project at the KOPIA Kenya Center of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To achieve this objective, the study examined the effect on improving farm household income and conducted the Benefit-Cost analysis. The survey conducted one-on-one interviews with farmers who participated in the pilot project using the difference-in-difference method. The pilot project yielded an increase of 43,585 shillings(≒475,076 W)/ year per household in comparison to the conventional farms. The B/C ratio was 6.0, indicating a high level of investment performance.



KOPIA 케냐센터의 양계 시범사업에 대한 투자효과 분석

채용우*†, 소남호**, 서상원***, 김충회***
*농촌진흥청 기술보급과
**농촌진흥청 농산업경영과
***농촌진흥청 KOPIA 케냐 센터

초록


    서 론

    KOPIA(Korea Program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Agricultural technology)는 농촌진흥청 기술협력국 산하 조직으로 2009년부터 사업을 추진하여 아시아, 아프리카, 중남미 등 20여 개국에 다양한 농업기술을 보급하는 성과를 달성했다. 이는 현지 적합품종, 영농기술, 시설지원 등을 통해 수원국 스스로가 농업생 산성을 높여 지속적인 소득 증진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KOPIA는 현지 시험포장을 통해 수원국에 적합한 기술을 탐 색하고, 농가 현장실증을 거친 후, 농가 소득향상이 가능할 것 으로 예상되는 기술을 시범마을로 조성하여 보급하는 3단계 전 략을 추진1)하고 있다.

    KOPIA 케냐센터는 2009년 8월에 개소하여, ‘농가소득 증대 우량양계 및 씨감자 생산보급 시범마을 조성’, ‘후계영농인력 양성사업(스쿨팜 프로젝트)’, ‘주요 농작물 및 고소득작물 전시 포 및 시범포 운영’ 등 사업을 추진했다. 케냐는 전체인구 51,393천명의 대다수인 37,179천명이 농촌에 거주하고 있으며 농가의 다수는 영세규모로 토종닭을 사육하고 있는 것으로 알 려져 있다. 그러나 대부분 영세농가에서 길러져 사육환경이 체 계적이지 않고 폐사율 또한 높아 생산성이 매우 낮은 실정이 다. 산란계 당 연간 평균 계산 생산수2)를 보면 한국이 178.8개 인데 반해 케냐는 95.9개로 나타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KOPIA 케냐센터는 ‘농가소득 증대 우량양계 생산보급 시범마을 조성’ 사업을 시작하였으며 생산농가 조직체계를 개편(부화부, 육추부, 생산부, 판매부 등 으로 조직화)하고 양계부화시설, 계량화된 계사 시설 등을 지 원하면서 현지 사양기술 교육과 한국 초청 연수 등 영농교육 등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병아리 생존율이 26%(’15년)에서 80%(’17년)로 향상되고 부화율도 20%(’15년)에서 70%(’17년) 로 향상되어, 계란의 무게도 25∼30g에서 45∼60g으로 증가 하는 등 탁월한 성과를 달성3)하였다.

    이처럼 KOPIA 케냐 시범마을은 농촌진흥청 ODA사업을 통 해 폐사율, 부화율, 계란중량 등 지표면에서 향상되어 농가소 득 향상에 기여했을 것으로 예상되나, 시범마을 참여 농가의 소득조사를 통해 정량적으로 밝혀진 것은 없는 상황이다.

    한편, 선행연구에서는 시범농가의 경영조사를 통해 사업의 효과를 측정한 연구는 거의 없는 상황이다. 대부분의 선행연 구는 발표된 통계자료를 이용하거나 설문조사를 통해 사업의 효과를 측정했다. Scolastica Wambua et al.(2021)은 케냐에서 KOPIA 토종닭 시범사업의 효과를 계란 생산량의 증가량을 비 교하여 조사하였고 시범사업으로 발생한 수입의 사용비율(식 비, 교육비 등)을 밝히고 있다. Innocent Kariuki et al. (2021)은 케냐 토종닭 사육농가를 대상으로 새로운 배합사료 프로젝트의 사업 전후를 비교하여 계란 생산량의 변화를 사업 효과로 조사하였다. 또한 Park Sauk-Hee. (2017)은 KOPIA 사업의 현황과 성과 검토를 통해 시범사업의 추진 방안의 발 전 방안과 글로벌 인재양성의 개선 사항을 제시하였고, Byun, Kyu Hwan et al.(2016)은 KOICA 사업의 성과분석을 AHP 분석을 통해 5개의 평가기준에 따라 성과의 우선순위를 제시 한 바 있다. An YongJin et al. (2020)은 파라과이 참깨 시 범사업을 대상으로 이중차분법의 개념을 적용하여 사업의 효 과를 분석하였다. 다만, 경영비용을 사업 전후 동일하다고 간 주하여 매출액 변화만을 조사함으로써 사업으로 인한 소득변 화를 도출하지 못한 것이 분석의 한계점으로 남는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한계점을 개선하면서 KOPIA 케냐센 터의 ‘농가소득 증대 우량양계 및 씨감자 생산보급 시범마을 조성’ 사업 중 양계 시범마을 사업을 대상으로 사업의 효과를 측정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농가 관점의 사업 전후 소득 변화(경영성과)와 사업 관점의 투자성과를 분석하여 정량적인 평가를 도출하여 사업의 효과와 투자 타당성을 평가하고자 한 다.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과제를 설 정하였다. 첫째, 양계 시범사업 참여농가와 관행농가의 소득효 과를 비교한다. 둘째, 시범사업 참여농가의 경영성과를 이익적 요인(소득 증가 요인), 손실적 요인(비용 증가 요인)으로 나누 어 분석함으로써 성공요인과 향후 과제를 도출한다. 셋째, 비 용편익분석을 통해 투자성과에 대한 평가결과를 밝히고자 한다.

    본고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케냐 농업현황 및 시범사 업을 소개하고, 제II장에서 조사 개요 및 분석방법의 이론적 체계를 소개한다. 제Ⅲ장에서 시범사업 참여농가의 경영성과 분석결과와 비용편익분석 결과를 제시하고 마지막 제Ⅳ장에서 는 연구결과의 요약과 함께 결론을 내린다.

    케냐 농업 및 시범사업 현황

    1. 케냐 농업 및 양계현황

    케냐의 국토면적은 약 58만 km2 로 한국의 약 10만 km2 에 비해 5.8배에 해당하나 인구는 한국과 비슷한 5천만명 수준이 다. 농촌인구는 한국의 약 971만 명에 비해 약 3,718만 명으로 3.8배 높다. 그러나, 케냐의 1인당 GDP는 $1,710이며, 한국 $33,346에 비해 5% 수준에 그치고 있다. 그러나, 케냐 국내총 생산(GDP) 중 농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34.5%로 한국의 1.7% 에 비해 매우 높은 편으로 한국의 20.3배에 해당한다(Table 1).

    2016년 기준 케냐 농축산물 생산액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 지하는 품목은 우유로 $25억이며, 차, 옥수수, 감자, 설탕, 커 피 등의 순이다. 한편, 계란 생산액은 $1.7억, 양계 닭고기 생 산액은 $1.3억, 토종닭고기 생산액은 $1.1억으로 주요 생산 품 목에 해당한다(Table 2).

    한편, 케냐의 양계 사육현황 추이는 Fig. 1과 같다 (FAOSTAT). 양계 전체 사육두수를 보면 2000년 26,291 천수 에서 2017년 48,125 천수로 연평균 3.6%씩 증가하였다. 토종 닭 사육두수는 2000년 12,246 천수에서 공식적 통계가 나오 는 2013년에까지 21,448 천수로 연평균 4.4%씩 증가하였 다(동일 기간 양계 연평균 증가율은 3.3%). 한편 양계사육 두 수에서 토종닭 사육두수가 차지하는 비중은 2000년은 46.5%, 2013년은 53.8%이다. 케냐 양계산업에서는 여전히 토종닭이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토종닭 사육농가를 대상으로 한 기술보급사업은 중요한 의미가 있다.

    2. 양계 시범사업 추진현황

    가. 케냐 시범마을 사업지역

    시범사업 지역인 키암부 주(Kaimbu County) 키쿠유군 (Kikuyu Subcounty) 카라이(Karai Ward) 마을은 나이로비 서 남쪽에 위치한다. KOPIA센터로부터 15km 떨어져 있으며 이 동시간은 차량으로 20분 소요된다. 도심과의 접근성이 우수하 며, 인구는 20,420명4)이다.

    또 다른 시범사업 지역인 마차코스 주(Machakos County) 므왈라군(Mwala Subcounty) 비우니 마을 (Mbiuni Ward)은 나이로비 동쪽 100 km에 위치한 지역이다. KOPIA 센터로부 터 거리는 120 km이며 이동시간은 차량으로 3시간 30분 소요 된다. 도시에서 멀리 떨어진 지역으로 인구 33,373명의 전형 적인 농촌지역이다.

    나. 케냐 양계 시범마을 주요 사업

    KOPIA 케냐센터의 시범사업명은 ‘농가 소득증대 우량양계 생산보급 시범마을 조성사업’이다. 사업기간은 2016년부터 2018년까지 3년간 수행되었으며, 연간 $0.4백만을 투입되어 총 $1.2백만 예산이 책정되었다.

    관행 토종닭 사육농가의 문제점으로 병아리 및 성계 사양관 리에 대한 지식이나 기술이 부족하고, 방임 형태의 사육과 자 연부화 의존, 사육환경이 열악한 계사 또는 양계사 부재 등으 로 생산성이 매우 저조하였다.

    따라서 이에 대응하고자 시범사업 투입기술은 첫째, 생산성 이 향상된 계량 토종닭을 선발하여 보급하였다. 둘째, 현장 지 도로 사양관리 기술 교육과 한국 연수 등 선진 사양기술과 지 식을 전달하여 폐사율을 낮추도록 지원하였다. 셋째, 공동부화 장, 계량된 계사 시설 건축을 지원하여 부화율 및 양계 사육 환경을 개선하였다. 넷째, 경영의식을 강화하고 자립정신을 높 이고자 마을회관 건축하고, 조직체계를 영농생산조합을 구성 하여 조직화하였다(Table 3).

    Table 4는 양계 시범사업 참여농가 현황 및 사업 규모이다. 참여농가 수가 2016년 140호로 시작하여 2018년에는 1 8 4호로 증가하였으며 농가당 평균 사육수도 2016년 40수에서 2018년 72수로 증가하였다. 누적 보급사육수는 2016년 5,600수에서 2018년 13,248수로 크게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조사개요 및 이론적 배경

    1. 조사 개요

    카라이 마을과 비우니 마을 대상으로 시범사업 참여농가와 비참여농가를 조사하였다. 시범사업 도입 전후 소득변화를 조 사하기 위해 사육규모, 판매수입액, 경영비 등으로 구성된 소 득조사표에 근거해 농가별 1대 1 면접조사를 수행하였다. 조 사기간은 2018년 11월 12일부터 22일까지 11일간이다. 총 조 사수는 21호로 참여농가 16호 비참여농가 6호를 조사5)하였다 (Table 5).

    2. 작목별 예산법(Enterprise budget analysis)

    농가가 새롭게 개발된 농업 신기술(신품종, 영농기술, 특허 기술 등)을 도입하고자 할 때, 가축사육이나 작물 생산에서 신 기술 도입에 따른 변화된 효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비교할 필요가 있다.

    작목(Enterprise)은 농장에서 생산된 한 가지 작물(Crop)이나 축종(Livestock)을 말한다. 작목별 예산법은 이익을 추정하려 고 하는 특정 작목의 모든 조수익(총수입)과 경영비, 소득 등 을 조사한다. 각각의 작목별 예산법은 작물 단위면적이나 가 축 두수 등 공통단위로 측정되며 동일 농장에서 생산된 다른 작물과의 이익, 수익성 등을 비교할 수 있다. 작목별 예산법에 서의 조사는 1개 작목만을 대상으로 한다.

    조사항목은 Table 6과 Table 7에 나타내었다. KOPIA 케 냐 시범사업의 경영성과를 분석하기 위해 사전에 검토한 사 업내용에 맞추어 소득조사표를 작성하였다. 소득조사표는 크 게 농가속성, 경영규모, 조수익, 경영비, 만족도 부분으로 구 성하였다. 경영성과 기준은 조사 시점 1년 전인 2018년을 기준으로 도입 전후의 경영성과를 비교하였다. 세부 내역에 대해 항목별로 질문과 답변 결과를 확인하며 조사를 수행하 였다.

    3. 이중차분법(difference in differences method)

    시범사업의 효과를 도출하고자 할 때, 시범사업 참여농가 그 룹의 도입 전후만을 비교한다거나, 도입 이후 시점에서 참여 농가 그룹과 비참여농가 그룹의 차이를 사업효과로 측정하는 것은 자주 일어나는 오류이다. 이렇게 조사하면 사업의 효과 이외의 영향들이 혼재되어 나타나게 된다.

    이중차분법(Difference in differences method; DID)은 시범 사업 참여농가의 전후 차이와 관행농가 전후 차이를 이용하여 처치 효과(Treatment effect)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서로 다른 시기의 서로 다른 집단의 결과(소득) 차이를 이용하여 두 집 단, 두 시기에 존재하는 구조적인 영향을 제거하고 오로지 정 책(기술)시행으로 인한 결과(소득)를 도출하게 된다. 왜냐하면, 다양한 영향요인으로 시간효과와 경영체 역량이 영향을 미치 기 때문이다. 첫째, 시간효과는 시범사업 핵심요인 이외의 요 인으로 매년 기후, 작황, 가축 질병 등으로 인해 생산량 및 가격이 변화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둘째, 경영체 역량 효과로 애초부터 2개 그룹 간 농가 간 교육수준, 영농경력, 기술력 등 역량 차이가 발행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범사업 참여농가와 미참여 농가(관 행)의 도입 전후 각각 4개 시점의 경영성과를 조사하여 사업 의 효과만을 도출하였다.

    이중차분법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도식을 Fig 4에 나타 내었다.

    4. 비용편익분석(Benefit-Cost Analysis)

    비용편익분석(Benefit-Cost Analysis)은 농업투자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수행하는 분석방법이다. 다년간에 걸쳐 발생하는 비용과 수익의 현재가치를 비교하여 비율이 1을 넘으면 경제 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분석 식은 다음과 같다.

    B / C = ( t = 0 n B t ( 1 + r ) t ) / ( t = 0 n C t ( 1 + r ) t )
    (1)

    여기서, B는 편익, C는 비용, t는 시간, r은 할인율을 의미 한다. 편익은 농가 호당 소득증가액과 사업량(토종닭 보급 수 수)을 곱해서 산출한다. 비용은 사업에 소요된 집행액 $1.1백 만6)을 적용하였으며, 편익기간은 시범사업 참여농가의 사육의 향 기간 조사결과인 13년을 적용하였고, 할인율은 한국개발연 구원(KDI) 지침에 따라 4.5%를 적용7)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1. 양계 시범마을 경영성과 분석

    가. 조수익(총수입) 변화

    양계 시범사업 참여농가와 인근 미참여(관행) 농가 간 시범 사업 추진으로 인한 사업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이중차분법 (DID)에 근거하여 조사를 추진하였으며 그 분석 결과를 조수 익(총수입) 내역, 경영비 내역, 소득효과 순으로 비교하여 나 타내고자 한다. 먼저 시범사업 마을 인근의 미참여농가의 조 수익(총수입)은 Table 8과 같다.

    첫째. 관행농가 그룹의 호당 연간 조수익은 2015년 15,145 shilling8)에서 2018년 26,246 shilling으로 증가하여, 그 차액은 11,102 shilling만큼 증가하였다. 둘째, 주산물 수익은 2015년 7,713 shilling에서 2018년 14,109 shilling으로 올라 그 차액 은 6,396 shilling만큼 증가하였다. 주산물 수익 증가의 원인으 로 계란 수확량 증가를 뽑을 수 있는데, 2015년 642.8개(년/ 호)에서 2018년 979.8개로 337개만큼 증가하였다. 셋째, 부산 물 수익(암탉, 수탉 판매)은 2015년 7,161 shilling에서 2018 년 15,435 shilling으로 높아져 그 차액은 4,706 shilling만큼 증가하였다.

    다음으로, 시범사업 참여농가의 조수익 변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범사업 참여농가 그룹의 조수익은 2015년 47,302 shilling9)(년/호)에서 2018년 167,992 shilling으로 증가하여, 그 차액은 120,691 shilling만큼 증가하였다. 둘째, 주산물 수익은 2015년 27,782 shilling에서 2018년 118,309 shilling으로 올 라 그 차액은 90,527 shilling만큼 증가하였다. 주산물 수익 증가의 원인으로 계란 수확량 증가를 뽑을 수 있는데, 2015년 2,200.5 개(년/호)에서 2018년 7,423.3개로 5,222.8개만큼 증가 하였다. 셋째, 부산물 수익(암탉, 수탉 판매)은 2015년 19,520 shilling에서 2018년 49,683 shilling으로 높아져 그 차액은 30.163 shilling만큼 증가하였다.

    나. 경영비 변화

    이중차분법에 입각한 관행농가의 경영비 변화를 보면 Table 9와 같다. 첫째. 관행농가 그룹의 경영비는 2015년 7,161 shilling(년/호)에서 2018년 15,435 shilling으로 증가하여, 그 차액은 8,274 shilling만큼 증가하였다. 둘째, 가축비(병아리 입 식비용)는 2015년 627 shilling에서 2018년 797 shilling으로 약간 증가하였으며 그 차액은 170 shilling만큼의 증가에 머물 렀다. 셋째, 사료비는 2015년 5,477 shilling에서 2018년 13,581 shilling으로 증가하여 그 차액은 8,104 shilling만큼 증 가하였다. 넷째, 방역비, 광열동력비, 감가상각비, 고용노동비 등에서 변화가 없었다.

    한편, 시범사업 참여농가의 경영비 변화를 보면 다음과 같 다. 첫째. 시범사업 참여농가 그룹의 경영비는 2015년 38,753 shilling(년/호)에서 2018년 113,031 shilling으로 증가하여, 그 차액은 74,278 shilling만큼 증가하였다. 둘째, 가축비(병아리 입식비용)는 2015년 2,089 shilling에서 2018년 9,620 shilling 으로 매우 크게 증가하였으며 그 차액은 7,531 shilling만큼 증가하였다. 셋째, 사료비는 2015년 21,269 shilling에서 2018 년 74,564 shilling으로 증가하여 그 차액은 53,295 shilling만 큼 크게 증가하였다. 넷째, 고용노동비가 2015년 2,660 shilling에서 2018년 9,381 shilling으로 6,721 shilling만큼 증 가하였다. 또한, 방역비, 광열동력비, 감가상각비 등에서 조금 씩 증가하였다.

    다. 소득변화 및 사업 효과

    양계 시범사업 참여농가와 미참여(관행) 농가의 조수익에서 경영비를 차감한 소득변화를 보면 Table 10과 같다.

    첫째, 관행농가 그룹의 경우 2015년 7,984 shilling에서 10,811 shilling으로 2,827 shilling만큼 증가하였다(1.4배 증가). 본 조사를 통해 관행농가 그룹도 케냐의 양계시장 여건, 사육 환경의 변화, 농가 역량의 자연적 향상 등으로 추정되는 요인 들에 의해 2015년과 2018년에 있어 소득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시범사업 참여 농가그룹의 경우 2015년 8,549 shilling에서 54,961 shilling으로 46,412 shilling만큼 증가하였 다(6.4배 증가).

    KOPIA 케냐센터에서 추진한 ‘농가소득 증대 우량양계 생산 보급 시범마을 조성’ 사업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 다. 관행농가와 시범사업 참여농가 각각의 그룹에서 2015년과 2018년에 있어 조수익(총수입)에서 경영비를 차분한 소득은 관 행농가 2,827 shilling, 시범사업 참여농가 46,412 shilling으로 이를 다시 한번 차분하면 43,585 shilling으로 산출되었다. 이 소득액은 관행농가의 자연 증가분을 제외한 시법사업 추진으 로 인한 사업의 순효과에 해당10)한다.

    결과적으로 시범사업 추진으로 참여농가 그룹은 양계경영비 가 191.7% 증가(Table 8)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조수익은 255.1%의 더 큰 폭으로 증가(Table 7)하여 소득 증가 6.4배 (54,961/8,549 shilling)를 달성하였다.

    2. 시범마을 소득 증감 요인 분석

    양계 시범사업의 이익적 요인(소득증가 요인)을 살펴보면 다 음과 같다.

    첫째, 관행농가 대비 계란 수확량이 증가한 것은 폐사율 감 소와 산란율 증가를 원인으로 들 수 있다. 이는 산란능력 등 이 향상된 우량양계 보급과 사육기술 교육, 양계사 환경 개선, 부화기 보급 등에 따른 결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2018년 조사 결과에서 산출한 폐사율11)을 보면, 관행농가 4 8 .3%인데 반해 시범농가는 30.0%로 나타났다.

    둘째, 시범농가의 사육수수 확대를 꼽을 수 있는데, 폐사율 감소와 산란량 증가에 따른 기대수익 향상과 경영 자신감 체 득 등이 요인일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대한 근거로 2015년과 2018년 병아리 입식수 변화를 보면 관행농가 그룹이 평균 17 수에서 18수로 큰 변화가 없는 반면, 시범농가 그룹은 49수에 서 157수로 크게 증가하였으며, 양계 사육수수도 관행농가 그 룹이 평균 10수에서 16수로 약간 증가했지만, 시범농가 그룹 은 같은 기간 평균 30수에서 72수로 크게 증가한 것을 들 수 있다.

    셋째, 암탉·수탉 판매수입 증가를 들 수 있는데, 폐사율 감 소 및 사육수수 확대에 따른 결과로 볼 수 있다. 2015년 대 비 2018년에 관행농가 그룹은 63.3% 증가했지만, 시범농가 그룹은 154.5%로 상대적으로 더 크게 증가하였다

    한편, 양계 시범사업 농가그룹의 손실적 요인(경영비 증가) 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료비 증가를 들 수 있다. 양계 사육수가 증가함에 따라 사료비가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2015년 대 비 2018년에 관행농가 그룹의 경우 1 48 %가 증가하였으나 시 범농가 그룹은 250.6%로 더 크게 증가하였다.

    둘째, 가축비(병아리 입식비)가 증가하였다. 폐사율 감소 및 산란율 증가로 기대소득이 높아지면서 병아리 입식수를 확대 한 것으로 판단된다. 가축비는 2015년 대비 2018년에 관행농 가 그룹이 27.1% 증가했지만, 시범사업 농가그룹에서는 360.5%로 더 크게 증가하였다.

    셋째, 고용노동비가 증가하였다. 산란량 증가에 따라 고용 일수 및 고용노동이 더 필요하게 되어 노동비가 증가한 것으 로 판단된다. 노동비는 2015년 대비 2018년에 관행농가 그룹 이 증감이 없었으나, 시범사업 농가그룹에서는 252.8%로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3. 양계 시범사업 비용편익분석

    가. 토종닭 예상 보급수수(首數) 추정

    케냐 양계 시범사업의 비용편익분석을 위한 분석 절차는 Table 11에 나타내었다. 비용편익분석을 위한 기술수명 기간은 시범농가의 기술사용 의향 조사를 통해 도출하였다.

    농가당 평균 사육수와 시범사업 참여 농가수를 산출한 후 보급사육수(순증)를 산출한 결과는 Table 12에 나타내었다. 한 편 FAO 자료를 통해 확인된 케냐 전체 양계 사육 수는 43,796 천수이며 이중 토종닭은 약 53%를 차지하여 23,559 천수가 사육되는 것으로 예상12)된다.

    나. 투자타당성 분석(비용편익)

    우량 양계 시범사업의 비용편익 분석결과 B/C ratio는 6.0으 로 사업 투자타당성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범기술이 기술수명 기간(시범사업 기간 2년 + 향후 13년13)) 중 일으키 는 총편익의 현재가치는 35억원으로 산출되었으며, 시범사업 기간에 투입된 사업비 총 비용의 현재가치는 6억원으로 계산 되었다. 기술수명 기간 발생하는 수익은 시범농가 호당 소득증 가액을 적용하여 농가 경영비를 별도로 산출하지 않았다.

    비용편익분석 결과가 높게 나타난 것은 토종닭을 사육하는 일반 농가에 있어 사육 기술과 시설 투자 자본, 사회적 기반 과 소득이 매우 낮은 상황이기 때문에 효과가 크게 나타날 수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적 요

    본 연구는 2016년부터 2018년까지 3년에 걸쳐 수행된 케냐 KOPIA 센터의 양계 시범마을 사업의 경영성과와 투자타당성 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첫째, 시범사업 참여농가는 시 범사업 참여 전에 비해 46,412 shilling/년/호 소득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행농가의 소득증가분(2,827 shilling)을 제외하면 43,585 shilling(약 475,076원/년/호)이 사업으로 인한 효과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만, 본 결과는 비참여농가의 표본이 6호로 충분하지 않게 조사됨으로써 2018년 비참여농가의 소득이 10,811 shilling보 다 더 높게 나올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 경우 사업효과 로 측정된 43,585 shilling/년/호는 이중차분법 적용으로 여러 요인을 제거하였음에도 사업의 효과가 더 낮게 도출될 수도 있다.

    둘째, 시범사업 투자의 타당성에 대한 평가지표로 활용된 B/ C ratio는 6.0으로 매우 높게 나타나 경제적 타당성이 높은 사 업으로 평가되었다.

    셋째, 소득증가의 요인으로 관행농가 대비 낮은 폐사율을 유 지할 수 있었던 점과 산란율 증가에 따른 계란 생산량 증가, 그리고 품질 향상으로 인한 단가 상승을 들 수 있으며, 산란 량 증가로 인한 경영역량 향상으로 사육수수를 확대한 점, 사 육 수수 확대로 인한 암탉·수탉 판매액 증가를 소득증가로 귀 착된 점을 농가 관점에서의 성공 요인으로 볼 수 있다.

    ODA사업을 추진하는데 케냐 KOPIA 센터의 시범사업이 단 기간에 빠르게 전파되어 성공적인 성과를 낼 수 있었던 핵심 은 정확한 기술 수요에 대한 파악을 들 수 있다. 토종닭 사육 이 케냐 농업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면서도 사육 기술은 낮다는 점에 착안하였고 보급할 수 있는 대상 농가도 많다는 점이다. 케냐 농가들이 양계 사육에 대한 경험을 보유하고 있 어 기술 수용이 빨랐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시범사업 관점에서는 개별 농가들을 조직화하여 농가에 사 육 기술을 빠르게 체화하도록 한 점을 기술 확산의 요인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공동 양계 부화 시설을 통해 우량양계 보급에 속도를 낼 수 있도록 기반을 갖추었으며 계사 시설 개량과 사양기술 교육을 통해 농가소득이 증가함으로써 경영 관리에 자신감을 불어 넣 어 준 것도 중요한 요인일 수 있다.

    또한 케냐 농업연구청을 통해 산란능력이 향상된 우량양계 품종 개발과 후속 기술 개발에 관련된 연구성과를 도출하였는 데 그 성과의 배경에는 케냐 KOPIA 센터의 주기적인 연구과 제 평가 및 관리에 대한 노력도 들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시범농가의 경영비 113,031 shilling/호 중 사료비가 74,564 shilling으로 66.0%를 차지하고 있어 향후 경영비 절감 을 위해서는 사료비 절감 관련 연구 개발을 추진할 필요가 있 다. 케냐는 사료 수급을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자국 생산 사료작물 개발과 대체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시범농가의 소득향상 요인으로 사육수수 확대를 확인 할 수 있는데 사육수수가 점진적으로 확대되면 집단 질병 발 생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다. 질병 관리 능력에 대한 교육과 방역 기술 보급에도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ACKNOWLEDGMENTS

    본 연구는 농촌진흥청 연구사업(과제번호 PJ013592)의 지원 으로 이루어진 것임

    Figure

    KSIA-35-3-197_F1.gif

    The number of chickens between regular chickens and indigenous chickens.

    KSIA-35-3-197_F2.gif

    Map of Kenya.

    KSIA-35-3-197_F3.gif

    Map of pilot villages(Karai and Mbiuni).

    KSIA-35-3-197_F4.gif

    Conceptual diagram of the difference in differences method.

    Table

    Comparison of agricultural conditions between South Korea and Kenya(2018).

    Source: Ministry of Land(Korea), National Statistics Office (Korea), the Bank of Korea, The World Factbook(www.cia.gov), FAO Statistics(As of 2022.02.12.)

    Value of major agricultural Production in Kenya(2016).

    Source: FAO Statistics(www.fao.org/faostat)

    Main contents of the poultry pilot villages.

    Status of farmers participating in the pilot projects.

    (a) is the results of the sample farms surveyed in 2018
    (c) is calculate by (a)×(b)

    Overview of survey farmers(2018).

    (a) is the results of poultry pilot project as of 2018>

    Contents of the categories surveyed.

    Compositions of income survey.

    Total revenue of conventional farmers and pilot farmers. (shilling/year/farmhouse)

    Operating cost of conventional farmers and pilot farmers. (shilling/year/farmhouse)

    Income change and effect of pilot project between conventional farmers and pilot farmers. (shilling/year/farmhouse)

    Process to drive the benefit-cost ratio.

    Estimated heads of improved indigenous chicken raised on farm. (heads)

    Contents of benefit-cost calculation

    1)Present value of costs : The total present value of the pilot project cost is 1,1190 million won, but 50 % is reflected assuming equal use with the potato pilot project cost.
    2)Exchange rate : 1,160.5 won/$ in 2016, 1,130.8 won/$ in 2017, 1,100.3 won/$ in 2017

    Reference

    1. An, Y.J. , Lee, I.K. , Kim, S.S. 2020. Business performance analysis of the model village project for sesame farming in Paraguay. J. Korean Soc. Int. Agric. 32:47-53.
    2. Byun, K.H. , Song, Y.H. ,2016. Evaluation of KOICA’s agricultural ODA projects using AHP.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Management and Policy. 43:781-812.
    3. Kariuke, I. , Hong, S.S. , Kang, S.W. , Kim, G.J. , Nyaga, S. , Mwangi, N. , Kanyotu, A. , Ngae, G. ,2021. Increase in Egg production in households using low cost rations as feeds for indigenous chicken in Kenya. J. Korean Soc. Int. Agric. 33:240-246.
    4. KOICA(Koran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2015. Analysis on the economic performance of ODA grants.
    5. KOICA(Koran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2017. Guidelines for economic analysis of KOICA projects.
    6. Park, S.H. 2017. Future strategies of the Korea project on international agriculture of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Journal of Government and Policy. 9:97-119.
    7. Wanbua, S. , Murage, A. , Wamac, L. , Thuranira, E. , Hong, S.S. , Kang, S.W. 2021. Enhancing household food and income security through improved indigenous poultry production : an evidence from Kenya. J. Korean Soc. Int. Agric. 33:170-1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