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8504(Print)
ISSN : 2287-8165(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Vol.35 No.4 pp.243-247
DOI : https://doi.org/10.12719/KSIA.2023.35.4.243

Analysis of the Germination Parameters at a Low Temperature and Mesocotyl Elongation in the European and Turkish Rice Varieties

Sae-Kyung Kim*, Gihwan Yi*,**
*Dept. of Farm management,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41566, Korea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41566, Korea
Corresponding author (Phone) +82-10-2463-1974 (E-mail) gihwan@knu.ac.kr
August 12, 2023 October 8, 2023 October 20, 2023

Abstract


European and Turkish rice varieties were analysed to identify the traits associated with low-temperature germination. The aim of the study is to develop new rice varieties that can use these trait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in rice fields. The average low temperature germination ratio (GR) in the European and Turkish rice varieties was 89.0±14.1%. The speed of the germination rate (SG) in Korean early maturing varieties, ‘Jopyeong’ and ‘Baekilmi’ was 1.3 and 3.5, respectively, whereas the European and Turkish varieties had a SG of 6.6. In terms of germination energy (GE) by the date, the European and Turkish varieties started germination within 4 days, while ‘Jopyeong’ and ‘Baekilmi’ began to germinate after 8 and 10 days, respectively. The mean germination time (MGT) for the European and Turkish varieties was 9.9±1.2 days. Between 4 to 10 days after inoculation, the germination velocity coefficient (GVC) for the European and Turkish varieties increased moderately from 2.6 to 5.3. After 10 days, the GVC rose rapidly from 7.0 to 12.0. ‘Jopyeong’ and ‘Baekilmi’ had slower germination rates compared to the European and Turkish varieties, in which the GVC increased moderately to 3.2 and 2.3, respectively, between 7 and 9 days after inoculation. The average mesocotyl elongation ability was 4.0±0.4 cm, with a range from 1.3 cm to 7.3 cm.



유럽 및 터키 벼 품종의 저온발아 특성과 중배축 신장 분석

김세경*, 이기환*,**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산업학과
**경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초록


    서 론

    산업혁명 이후 온실가스의 증가로 인하여 지구의 온도는 약 1.5°C 상승하였으며 온실가스의 증가는 최근 들여 빈번히 발생하는 태풍이나 가뭄 및 홍수 등 기후변화의 주된 원인으 로 부각되고 있다(Valerie et al., 2018). 국제 사회에서는 지구 온난화를 가속 시키는 온실가스 배출을 억제하기 위하여 유엔 기후변화협약(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UNFCCC)을 통해 국가별 의무감축 목표 설 정, 공동이행제도(Joint implement, JI) 및 배출권 거래제 (Emission Trading, ET) 등을 추진하고 있다(Kuyper et al., 2018). 우리나라도 국제 사회의 노력에 부응하기 위하여 2030 년까지 온실가스 40% 감축을 주요 골자로 하는 국가감축목표 (National Determined Contribution, NDC)를 재설정 한 바 있 다(Choi et al., 2021). 농축산 부문에서 배출되는 비에너지 온 실가스는 약 21.2백만 톤(CO2 eq.)으로 경종 부문이 53%인 11백만 톤을 차지하며 축산 부문은 9.4백만 톤으로 42%를 차 지한다(Choi et al., 2021). 정부는 농축산부문에서 온실가스 발 생량을 2018년 대비 27.1% 감축을 목표로 설정하고 저탄소 농업구조로의 전환을 위한 세부 추진계획을 수립한 바 있다 (Kim et al., 2022). 경종 부문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의 종류 로는 메탄(CH4)과 아산화질소(N2O)가 있으며 주로 화학비료 시용과 벼 논재배에서 발생한다. 전체 농경지의 53%를 차지 하는 논에서는 연간 총 메탄 배출량의 약 22%인 6백만 톤 (CO2 eq.)이 발생되어 논에서 메탄 저감 기술은 경종 부문 NDC 목표달성을 위한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이다(GIR, 2019).

    논에서 메탄가스 발생은 토양환경뿐만 아니라 일교차 및 계 절적인 요인에 따라 상이하며 물관리, 경운, 시비 및 품종 등 과 같은 경종적인 요인에도 영향을 받는다고 알려져 있다(Itoh et al., 2011, Gwon et al., 2022). 그중 물관리 기술은 벼 재 배 시 메탄 배출량을 감축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상시 담 수 대비 간단관개와 얕게대기를 하였을 때 각각 66%와 78% 메탄 발생이 적었다고 보고된 바 있다(Ahn et al., 2014). 조 생종은 담수 기간이 만생종에 비해 짧아 메탄 발생량이 적으 며(Atulba et al., 2015) 일반 품종은 다수확 품종보다 적다 (Setyanto et al., 2000). 재배양식에서 보면 건답직파재배는 이 앙재배보다 메탄 발생량이 약 2배 정도 적다고 알려져 있다 (Lee et al., 1997). 직파재배는 육묘 기간 없이 본답에 직접 파종하기 때문에 입모율이 가장 중요한 농업형질 중의 하나이 다. 저온발아율과 중배축 신장율은 입모율에 큰 영향을 미치 는 요인으로 일부 재래종을 제외한 국내 자원의 경우 평가나 활용이 미흡한 실정이다(Park et al., 2019). 조생 품종의 직파 재배는 담수기간을 줄여 수도작에서 저탄소 농업을 위한 한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국내에서 육성된 직파 적응 품종은 대부분 만생 품종으로 조생 품종은 없다(Ko et al., 2011).

    본 논문에서는 금후 논에서 온실가스 저감의 한 방편으로 직파재배의 활성화를 목표로 조생?직파용 신품종 육성의 교배 모본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직파 적성이 높은 유럽 및 터키 벼 품종을 대상으로 직파재배의 중요한 형질 중의 하나인 저온 발아 관련 특성 및 중배축 신장을 분석하였다.

    재료 및 방법

    본 실험에 사용한 벼는 골든씨드프로젝트(GSP)의 일환으로 수집된 유전자원 74품종으로 유럽연합(EU) 육성 37품종, 터키 육성 37품종과 국내 품종인 조평, 백일미 및 일본 품종인 니 폰바레를 대비품종으로 사용하였다(Table 1). 먼저, 수집한 유 전자원을 2022년 하계에 경북대학교 군위 실습장 벼 교배친 포장에서 표준재배법으로 재배한 후 건실한 종자를 채종하여 8개월간 12°C 항온기에서 보관한 다음 발아시험에 사용하였다. 저온발아율 조사는 페트리디쉬(90×15 mm)에 필터페이퍼 (Whattman No. 2)를 2장 깔고 약 100립의 종자를 치상한 다 음 10 ml 증류수를 첨가하고 13°C와 30°C 항온기에서 15일간 발아를 유도하였다. 저온 발아 관련 형질조사는 발아율(Final germination percentage, FGP%), 평균발아일수(MGT: Mean Germination Time), 발아속도(SG: Speed of Germination), 발아세(GE: Germinating energy), 평균발아일수(MGT: Mean Germination Time) 및 발아속도계수(GCV: Germination coefficient of velocity)는 Samir & Marwan(2019)의 방법 에 준하여 구하였다. 국내 육성품종의 저온발아율은 1990~2017년 사이에 농촌진흥청에서 육성된 ‘백일미’ 등 110품종으로 ‘농사로’ 작목정보의 품종특성 소개(RDA, 2021, https://www.nongsaro.go.kr/portal/farmTechMain.ps?menuId =PS65291&stdPrdlstCode=FC010101)와 한국육종학회지의 신 품종 개발 논문에서 데이터를 수집하여 사용하였다. 중배축신 장율 조사는 육묘용 트레이에 육묘용 상토를 약 1 cm 충전한 다음 종자를 파종하고 약 5 cm 복토 한 다음 30°C 항온기에 서 암상태로 14일간 배양하여 품종별 10개씩 중경의 길이를 측정하여 평균을 구하였다.

    결과 및 고찰

    가. 유럽 및 터키 벼 품종의 저온 발아율

    유럽 및 터키 벼 품종의 저온발아율을 보면(Fig. 1A, Table 2), 13°C에서 평균 발아율은 89.0±14.1%이었고 100~16.3%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Teti’가 16.3%로 가장 낮았고 Altimyazi’, ‘Ermes’는 50% 부근이었고 나머지 품종들은 모두 70% 이상 이었다. 조사한 품종 중 ‘Biga incisi’, ‘Ece’, ‘Hamzadere’, ‘Kale’, ‘Kirkpinar’, ‘kiziltan’, ‘Meco’, ‘Musa’, ‘Ringo’, ‘Venere’, ‘Haziran’은 저온발아율이 100%였다. 국내에서 육성 된 ‘백일미’ 등 110품종의 평균 저온발아율은 70.3±19.8%로 98~2%의 범위를 보여 일부 품종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품종 이 유럽 및 터키 품종보다 낮은 경향이었으며 변이의 폭도 넓 게 나타났다(Fig. 1B). 한편 Ko et al.(2011)은 직파 적응성이 있는 국내 육성 품종의 저온발아율은 평균 63.4%였다고 보고 하면서 직파재배 시 안정적인 입모 확보를 위해서는 저온발아 성이 높은 품종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저온발아율은 입모율과 담수토중출아율 및 수면출현율과 고도의 정의상관이 있는 것 으로 보고된 바가 있다(Kim et al., 2020). 유럽 및 터키 품 종의 경우 Osmancik-97 등 36품종이 저온발아율이 95% 이 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유럽 및 터키는 벼 육종 목표를 단기 생육성, 내염성 및 도열병 저항성 등에 두고 있으며(Brigitte et al., 2014) 작물학적 특성도 국내 품종과 비슷하여 조생·직 파 품종 육성에 교배모본으로 직접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 단된다(Yi, 2020).

    나. 유럽 및 터키 벼 품종의 저온발아 관련 특성 분석

    13°C에서 유럽 및 터키 벼 품종의 발아속도(SG)는국내 육 성 조생 품종인 ‘백일미’와 ‘조평’은 각각 1.3과 3.5인 반면 유럽 및 터키 품종은 6.6으로 빠르게 나타났다(Fig. 2A). 일자 별 발아세(GE)를 보면(Fig. 2B), 유럽 및 터키 품종은 치상 4 일 후부터 발아를 시작한 반면 ‘조평’과 ‘백일미’는 각각 8일 과 10일 후부터 발아가 시작되었다. 발아추이는 유럽 및 터키 품종은 치상 8일 후부터 급격히 발아세가 증가였으며 11일후 부터는 둔화된 반면 ‘조평’과 ‘백일미’는 발아를 시작한 시점 이후 비교적 일정한 비율로 발아한 종자가 증가하는 경향이었 다. 유럽 및 터키 품종의 평균발아일수(MGT)는 9.9±1.2일이 었으며 ‘백일미와 조평’은 12.7일과 12.0일 보다 약 2일 빨랐 고(Fig. 2C), 평균발아일수(MGT)의 역수값인 발아속도계수 (GVC)는 치상후 4~10일까지는 2.6~5.3으로 완만히 증가였으 며 10일 이후는 7.0~12.0까지 빠르게 증가하였다(Fig. 2D). 반 면, ‘조평’과 ‘백일미’의 GVC는 치상 7일과 9일 후부터 3.2와 2.3까지 완만히 증가하여 발아속도가 유럽 및 터키 품종보다 늦었다. 발아속도계수의 경우 값이 클수록 평균발아일수가 짧 아지게 되어 발아속도가 빠른 것을 의미한다. 국내 육성 품종 의 경우 발아속도나 발아속도계수 등을 조사한 연구는 거의 없으나 ‘밀양23호’나 ‘기호벼’의 경우 발아속도계수가 약 9.0 정도였다는 보고(Kim et al., 2021)가 있어 유럽 및 터키 품 종이 발아속도가 국내 품종에 비하여 빠른 것으로 판단된다. Ko et al.(2011)은 직파품종육성을 위한 저온발아성 분석에서 조생종과 중생종보다는 중만생종이 저온발아율이 양호하였다고 하여 국내에서 조생종으로 분류되는(Yi, 2020) 유럽 및 터키 품 종은 저온 발아성 개량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유럽 및 터키 품종의 중배축 신장율은(Fig. 3) 평균 4.0±0.4cm였으며 1.1~7.3cm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중배축 신 장이 가장 많았던 품종은 ‘Agusto’(7.3 cm)와 ‘Mevlutbey’ (7.0 cm)였으며 ‘Ringo’(1.1 cm), ‘Tosya Gunesi’(1.6 cm) 및 ‘Europa’(1.8 cm)가 가장 적었다. 대비품종인 ‘조평’, ‘백일미’ 및 ‘니폰바레’의 중배축 신장은 각각 4.7±0.2 cm, 3.6±0.8 cm 및 4.4±0.6 cm 였다. 직파재배에서 입모율에 영향을 미치는 중 배축 신장은 인디카 품종이 자포니카 품종에 비하여 뚜렷하고 변이도 크고 서남아시아 품종이 동남아시아 품종보다 신장성 이 강하다고 보고된 바 있다(Takahashi, 1978). 그러나 중배축 신장은 검정 방법이나 반복간 변이가 크다고 알려져 있으며 (Wu et al., 2015) 국내 자원의 경우 중배축 신장성에 대한 평가나 활용이 부족한 실정이다(Park et al., 2019). 중배축 신 장성 입모율과 가장 연관된 형질이어서 저온발아율이 높고 중 경신장이 많았던 ‘Agusto’와 ‘Mevlutbey’에 대한 농업 특성과 직파 관련 형질에 대한 정밀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에서 보면, 논은 연간 국내 총 메탄 배출량의 약 22% 를 차지하고 있어서(GIR, 2019) 논에서 온실가스 발생 감소는 금후 경종부문 저탄소 농업구조 전환에 있어 핵심적인 요소로 생각된다. 그러나 논에서 메탄가스 발생 감축을 위한 물관리 나 시비 등 재배기술에 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졌지만 품종 개발 연구는 다소 미흡 실정이다(Gwon et al., 2022). 최근 농촌진흥청은 논에서 메탄가스 배출 감소를 목표로 물과 비료 사용량을 줄일 수 품종개발을 위하여 그린라이스(Green rice) 프로젝트를 시작하였다. 메탄 배출 감소에 적합한 품종으로는 조생·직파 품종이 유리하다고 알려져 있지만(Lee et al., 1997, Atulba et al., 2015) 국내에서 개발된 12품종의 직파 적응 품 종은 대부분 만생으로 조생 품종은 없으며 조생은 중생이나 만생 품종에 비하여 저온발아율이 낮다고 보고된 바 있어 저 온 발아율이 높은 조생 직파 적응 품종의 개발이 요구된다(Ko et al., 2011). 유럽 및 터키 품종은 국내에서 재배시 조생이면 서(Yi, 2020) 저온발아성이 높아 저탄소 농업전환에 적합한 형 질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적 요

    논에서 온실가스 저감의 한 방편이 될 수 있는 조생·직파용 신품종 육종에 교배모본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유럽 및 터키 벼 품종을 대상으로 종자의 저온 발아 관련 특성 및 중배축 신장율을 분석한 바,

    1. 유럽 및 터키 벼 품종의 저온발아율은 평균 89.0±14.1% 로 100~16.3%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Haziran’ 등 11품종은 저온발아율이 100%였으며 ‘Teti’가 16.3%로 가장 낮았고 Altimyazi’, ‘Ermes’는 약 50% 부근이었다.

    2. 발아속도 (SG)는 국내 육성 조생 품종인 ‘백일미’와 ‘조 평’은 각각 1.3과 3.5인 반면 유럽 및 터키 품종이 6.6으로 빠르게 나타났다.

    3. 일자별 발아세 (GE)는 유럽 및 터키 품종은 치상 4일 후부터 발아를 시작한 반면 ‘조평’과 ‘백일미’는 각각 8일과 10일 후부터 발아가 시작되었다. 발아세 추이는 유럽 및 터키 품종은 치상 8일 후부터 급격히 발아세가 증가였으며 국내 품 종은 비교적 일정한 비율로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4. 유럽 및 터키 품종의 평균발아일수(MGT)는 9.9±1.2일이 었으며 국내 육성 조생품종인 ‘백일미’와 ‘조평’의 12.7일과 12.0일 보다 약 2일 빨랐다

    5. 유럽 및 터키 품종의 발아속도계수(GVC)는 치상후 4~10 일까지는 2.6~5.3으로 완만히 증가였으며 10일 이후는 7.0~12.0까지 빠르게 증가하였다. 반면, ‘조평’과 ‘백일미’는 치 상 후 7일과 9일 후부터 각각 3.2와 2.3까지 완만히 증가하여 발아속도가 유럽 및 터키 품종보다 느리게 나타났다.

    6. 유럽 및 터키 품종의 중배축신장율은 평균 4.0±0.4 cm 로 중배축 신장이 가장 많았던 품종은 ‘Agusto’(7.3 cm)와 ‘Mevlutbey’(7.0 cm)였으며 ‘Ringo’(1.1 cm), ‘Tosya Gunesi’ (1.6 cm) 및 ‘Europa’(1.8 cm) 가장 적었다.

    ACKNOWLEDGMENTS

    본 연구는 농업생명자원관리기관 종자유전자원보존관리 2023(과제번호: PJ016636)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

    Figure

    KSIA-35-4-243_F1.gif

    A: The final germination percentage (FGP) in the European and Turkish rice varieties at 13°C for 15 days. B: Comparison of the FGP of the Korean and European and Turkish rice varieties at a low temperature.

    KSIA-35-4-243_F2.gif

    A: The germination speed (SG), B: germination energy (GE), C: mean germination time (MGT), D: germination coefficient velocity (GCV) of the European (EU) and Turkish (TK) rice varieties at 13°C.

    KSIA-35-4-243_F3.gif

    The mesocotyl elongation ability of the European (EU) and Turkish (TK) rice varieties grown in the dark at 30°C for 14 days.

    Table

    List of the European and Turkish rice varieties used in the experiments.

    Distribution of the final germination percentage (FGP) in the European and Turkish rice varieties at 13°C for 15 days.

    Reference

    1. Ahn, J.H. , Choi, M.Y. , Kim, B.Y. , Lee, J.S. , Song, J.K. , Kim, G.Y. , Weon, H.Y. 2014. Effects of water-saving irrigation on emissions of greenhouse gases and prokaryotic communities in rice paddy soil. Microb. Ecol. 68:271-283.
    2. Atulba, S.L. , Gutierrez, J. , Kim, G.W. , Kim, S.Y. , Khan, M.I. , Lee, Y.B. , Kim, P.J. 2015. Evaluation of rice root oxidizing potential using digital image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58:463-471.
    3. Brigitte, C. , Julien, F. , Raffaella, G. , Gianluca, B. , Gaetan, D. , Chantal, H. et al.2012. Genetic Diversity and Population Structure in a European Collection of Rice. Crop Science. 52:1663- 1675.
    4. Cho, Y.C. , Baek, M.K. , Park, H.S. , Cho, J.H. et al.2020. History and results of rice breeding in Korea. Korean J. Breeding Science. Special issue:58-72.
    5. Choi, H.S. , Lim, H.W. , Chung, Y.H. , Lee, S.Y. 2021. 2030sus Significance and future tasks of raising the National greenhouse gas reduction target(NDC). Korea Environment institute Focus. 9:1- 16.
    6. GIR.2019.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y report of Korea. Greenhouse Gas Inventory and Research Center of Korea.
    7. Gwon, H.S. , Choi, E.J. , Lee, S.l. , Lee, H.S. , Lee, J.M. , Kang, S.S. 2022. Research Review of Methane Emissions from Korean Rice Paddies. J. of Climate Change Research. 13:117-134.
    8. Itoh, M. , Sudo, S. , Mori, S. , Saito, H. , Yoshida, T. , Shiratori, Y. , Suga, S. , Yoshikawa, N. , Suzue, Y. , Mizukami, H. et al.2011. Mitigation of methane emissions from paddy fields by prolonging midseason drainage. Agric. Ecosyst. Environ. 141:359-372.
    9. Kim, C.S. , Park, H.S. , Baek, M.G. , Hyun, Y.J. et al.2018.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wet direct seeding related traits and precocious germination in rice. 2018 Autumn Conference of Korean Society of Crop Sci. PB-26.
    10. Kim, K.H. , Jang, Y.J. , Ryu, J.B. 2022. Future challenges for implementation of 2050 Agri-food carbon neutral promotion strategy. Issues and Perspectives. Issue 1917(2022.1.17.). National Assembly Research Service, R. O. Korea.
    11. Kuyper, J. , Schroeder, H. , Linner, B.O. 2018. The future of the UNFCCC. Annual review of environment and resources. 43:343- 368.
    12. Park, S.Y. , Jang, S.G. , Lee, J. , Kwon, S.W. 2019. Evaluation of mesocotyl elongation ability in Korean rice landraces(Oryza sativa L.). Korean J. breeding Sci. 51:351-356.
    13. Samir, K.L. , Marwan, N.R. 2019. Mathematical expression study of some germination Parameters and the growth by presowing wheat seeds treatment with a static magnetic field and ammonium molybdate. Plant Archives. 19:2294-2300.
    14. Setyanto, P. , Makarim, A.K. , Fagi, A.M. , Wassmann, R. , Buendia, L.V. 2000. Crop Management Affecting Methane Emissions from Irrigated and Rainfed Rice in Central Java (Indonesia). Nutrient Cycling in Agroecosystems. 58:85-93.
    15. Takahashi, N. 1978. Adaptive importance of mesocotyl and coleoptile growth in rice under different moisture regimes. Funct. Plant Biol. 5:511-517.
    16. Valerie, M.D. , Hans-Otto, P. , Jim, S. , Anna, P. et al.2018. Global warming of 1.5°C. IPCC Special Report. pp.1-616.
    17. Wu, M. , Zhang, G. , Lin, J. , Cheng, S. 2005. Screening for rice germplasms with specially-elongated mesocotyl. Rice Sci. 12:226-228.
    18. Yi, G. 2020. Analysis of Chronological Variation in Pedigree and Agronomic Traits of 325 Korean Rice Varieties. Plant Breed. Biotech. 8:426-4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