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8504(Print)
ISSN : 2287-8165(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Vol.35 No.4 pp.294-300
DOI : https://doi.org/10.12719/KSIA.2023.35.4.294

Control of Air and Root Zone Temperature Enhances Early Growth of Paprika in Greenhouses

Se Hun Ju*, Yoon Go*, Jin Ho Yang*, Eun Ji Kim**, Yong Hwan Jeon***, Haeyoung Na****
*Department of Horticultural Science, Graduate School of Mokpo National University, Muan 58554, Korea
**Graduate School of Mokpo National University,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Biological Resources, Muan 58554, Korea
***Department of Horticultur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61186, Korea
****Department of Horticultural Science, Mokpo National University, Muan, 58554, Korea

‡These authors contributed equally to this work.


Corresponding author (Phone) +82-10-2992-2487 (E-mail) somerze@mokpo.ac.kr
October 30, 2023 November 9, 2023 November 13, 2023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optimal root zone temperature for paprika cultivation, with an aim to increase the heating and cooling energy efficiency and prepare for extreme weather conditions. The greenhouse air temperature was maintained at 20°C and 25°C during the daytime (12 hours) and at 18°C during the nighttime (12 hours). The plant height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reatment with air temperature and root zone temperature. The root length was highest under an air temperature of 25°C with root zone temperatures of 25°C and 30°C, and it was the lowest at 15°C. The leaf number was the highest when the root zone temperature was adjusted to 25°C and 30°C across all air temperatures. The leaf area increased with higher root zone temperatures, but considering the compactness of the seedlings, a root zone temperature of 25°C was found to be the most effective. The fresh and dry weight of the shoot increased with higher root zone temperatures at an air temperature of 25°C, while the fresh and dry weight of the roots tended to be higher when the root zone temperature was adjusted to 25°C and 30°C across all air temperatures. The compactness was most effective when the root zone temperature was adjusted to 20°C and 25°CC across all air temperatures. Based on the above results, adjusting the root zone temperature to 25°C at an air temperature of 25°C was found to be effective for the early growth of Paprika.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not only can growth be promoted through the regulation of root zone temperature, but it als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root zone temperature control technology, which can prevent an excessive drop and rise in the root zone temperature.



온실 내 대기와 근권부 온도 조절을 통한 파프리카의 초기생육 촉진

주세훈*, 고윤*, 양진호*, 김은지**, 전용환***, 나해영****
*국립목포대학교 일반대학원 원예학과
**국립목포대학교 일반대학원 생명자원개발이용학협동과정
***전남대학교 원예학과
****국립목포대학교 원예과학과

초록


    서 언

    1995년 전북 김제에서 수출용으로 처음 재배된 파프리카 (Capsicum annuum L.)는 짧은 재배 역사를 지녔지만, 생산성 이 ha당 100.6톤(MARFA, 2012)으로 오이, 토마토 등 다른 과채류에 비해 높은 작물이다. 파프리카는 비타민 C가 많이 함유되어 있는 작물로 100g의 생체 내 수분 약 92%, 단백질 3.1%, 조섬유 1.3% 그리고 비타민 100 mg, 칼슘 18 mg 외 카로틴, 철분 등이 함유되어 있다(RDA, 2020). 이러한 영양학 적 가치로 인하여 파프리카는 건강에 좋은 채소로 인식되어 소비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RDA, 2020). 재배면적은 2010년까지 증가세를 보이다가 2015년 이후 700 ha 이상 유지 하고 있다. 국내 생산량은 2019년에는 생산량이 80,770톤으로 기록되었으며, 이 중 56.3%가 국내에서 소비되었고, 나머지 43.7%는 해외로 수출되었다(aTKati, 2023). 국내 파프리카 재 배방법은 1990년대부터 노지재배에서 시설재배로 완전히 전 환되었으며, 안정적 연중 생산을 위해서 환경제어가 가능한 스 마트팜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Jung et al., 2008). 스마트팜 환 경 제어 요인 중 근권부 온도는 물과 영양소의 흡수 및 이동 속도, 생장 조절 호르몬의 생성 및 이동을 조절함으로써 식물 생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다(Bode Stoltzfus et al., 1998;Marschner et al., 1996;Mozafar et al., 1993). 따라서 근권부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시설 냉난방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뿌리의 생육을 촉진시 키고 양수분 흡수를 증가시켜 생육 및 수량에 긍정적인 영향 을 미칠 수 있다(Moon et al., 2007). 오이의 뿌리가 낮은 온 도에 노출될 때 뿌리의 압력, 수송 투과력 및 양수분의 이동 이 심각하게 감소했고(Lee et al., 2004), 토마토의 근권부 온 도가 20°C 이하일 때 식물의 지하부 및 지상부의 생육이 심 각하게 느려짐이 확인되었다(Ju et al., 2023). 이와 같이 근권 부 온도를 조절함에 따라 작물 생육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 고되어 왔다(Ambebe et al., 2009;Dı´az-Pe´rez et al., 2007;Lahti et al., 2005;Niedziela et al., 2008;Nxawe et al., 2009;Solfjeld and Johnsen, 2006). 본 연구는 냉난방 에 너지 소비효율을 증대시키고 혹한기와 혹서기에 대비하여 현장 에서 활용할 수 있는 근권부 온도조절기술 개발을 위한 기초자 료로 사용하기 위해 최적 근권부 온도를 구명하는 실험을 수행 하였다.

    재료 및 방법

    본 실험은 2022년 6월 5일부터 10월 11일까지 목포대학교 부속농장에 위치한 기후 조절용 23 m2 규모의 소형 유리온실 (34.91°N, 126.44°E)에서 수행하였다.

    온실의 외부는 차광률 99% 필름으로 차폐하여 외부 광량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였고 온실의 대기온도는 공조기(DUS- 100E, DONGHWA Co. Ltd., Korea)를 이용하여 주간온도는 20°C와 25°C로 조절하였으며, 야간온도는 18°C 로 설정하였 다. 근권부 온도는 온실 내 대기온도 처리구 마다 15 ± 3, 20 ± 3, 25 ± 3 및 30 ± 3°C 로 설정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Fig. 1). 온실의 광량은 200 ± 20 μmol·m-2·s-1로 설정하여 명기 12 시간, 암기 12시간으로 조절하였다.

    근권부의 온도조절은 200 L 양액탱크에 전기온수기(KD-PDS13K, KDheater Co. Ltd., Korea), 냉각기(DA-500B, DAEIL Co. Ltd., Korea) 및 온도조절기(RMD-100-220-30A, Run electronics Co. Ltd., Korea)를 설치하여 양액의 온도를 조절하였으며(Fig. 2), 온도가 조절된 양액은 PBG표준액(Tabel 1)을 이용하여 EC 2.5 dS·m-1로 12시간 동안 6분 간격으로 1 분간 33 mL씩 점적관주 하였다. 또한, 펌프(PW350 sm, Willo, Korea)와 점적드리퍼(H Dripper set, Netafim, Israel) 를 이용하여 양액을 공급해 각 근권부 온도를 조절하였고 조 절된 대기온도와 근권부 온도는 측정기기(Watchdog 1000series Micro stations, Spectrum Technologies. Inc., USA)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파프리카 종자를 암면 셀트레이에 파종한 후 양액(EC 1.5, pH 6)으로 침지시켜 광량은 100 ± 10 μmol·m-2·s-1, 온도는 30°C로 설정된 생장상(OS-SB2000, Onsol Co. Ltd., Korea) 에서 7일 동안 발아시켰다. 파종 7일 후 떡잎 2매가 전개된 개체 중 균일한 묘를 선발하였고, 상토가 채워진 원형 플라스 틱 포트(Ø100 mm × H90 mm)에 이식한 후 대기 온도를 20°C 와 25°C, 근권부 온도를 각각 15, 20, 25 및 30°C로 설정된 온실로 옮겨 묘를 재배하였다.

    생육조사는 일주일 간격으로 각 처리구 당 5개체의 식물체 를 임의로 선발하여 파괴조사를 하였고, 초장, 근장, 엽수, 엽 면적, 지하부 생체중, 지하부 건물중, 지상부 생체중, 지상부 건물중을 측정하였다. 건물중은 생체중 측정 후 70°C로 설정 된 건조기(JSOF-250T, JSR, Korea)에 72시간 건조한 후 측 정하였다. 엽면적은 식물체 한 개의 모든 잎을 분리한 후 엽 면적 측정기(LI-3100 AREA METER, LI-COR Inc., USA) 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온도 처리 후 29일차 생육조사를 바 탕으로 묘소질을 조사하기 위해 농촌진흥청의 농업과학기술 연구조사 분석기준(RDA, 2012)과 기존 연구(Jeong et al., 2020)를 기초로 충실도를 아래와 같은 계산식으로 산출하여 비교하였다.

    충실도 ( compactness, mg cm -1 ) = 지상부의 건물중 / 식물체의 초장

    통계분석

    그래프는 SigmaPlot 프로그램(Sigma Plot 12.0, Systat Software Inc., USA)를 이용하여 나타내었다. 통계분석은 SAS 9.4(SAS Institute Inc., USA)를 이용하여 95%의 신뢰수준에 서 Duncan 검증을 실시하였다.

    결과 및 고찰

    대기온도 20°C와 25°C 에서 근권부 온도를 각각 15, 20, 25 및 30°C 로 조절하여 초장을 조사한 결과 대기온도 25°C 의 근권부 처리구가 20°C의 근권부 처리구보다 긴 경향을 보 였다(Table 2). 온도 처리 후 29일에는 대기온도 20, 25°C에 서 근권부 20, 25°C로 조절한 처리구가 길었지만, 처리구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Table 4). Noh(1997)의 연구 결 과에서도 토마토 초장의 경우 근권부 온도를 21, 25, 29 및 35°C 로 설정하였을 때 각 처리구간 1-2cm 내외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본 연구와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근장은 온도 처리 후 29일에 대기온도 25°C에서 근권부 온 도를 25°C와 30°C로 조절하였을 때 가장 길었으며 근권부 온 도를 15°C로 조절하였을 때 가장 길었다(Table 4). 오이의 경 우 낮은 근권부 온도에서 양분의 흡수가 억제되어 뿌리의 생 육이 억제되었다는 연구가 보고된 바 있다(Bai et al., 2016). 본 연구결과에서도 근권부 온도 15°C에서 가장 짧아 낮은 근 권부 온도로 인해 양분의 흡수가 억제된 것으로 생각된다.

    엽수는 온도 처리 후 22일 및 29일에 대기온도 25°C에서 근권부 온도를 25°C와 30°C로 조절하였을 때 가장 많았다 (Tables 3 and 4). 토마토의 경우 대기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엽수가 증가한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된 바 있다(Mizuno et al., 2022;Ju et al., 2023). 본 연구 결과에서도 대기온도와 근권 부 온도가 증가할수록 엽수가 증가하여 선행 연구 결과와 일 치하였다.

    엽면적은 온도 처리 후 15일부터 29일까지 대기온도 25°C 의 모든 근권부 온도 처리구가 대기온도 20°C의 모든 처리구 보다 면적이 더 넓었다(Tables 2, 3, and 4). 엽수의 결과와 비슷하게 온도 처리 29일 후에 대기온도와 근권부 온도가 증 가할수록 엽면적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대기온도 25°C 에서 근권부 온도를 25°C와 30°C로 조절한 처리구가 가장 넓 었다(Table 4). 근권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엽면적이 증가하 지만, 과도한 엽면적 증가는 광합성 속도를 저하시킨다는 연 구결과가 보고된 바 있다(Jun et al., 2008). 본 연구 결과에서 도 근권부 온도를 30°C로 처리하였을 때 엽면적이 가장 넓었 으나 식물체의 충실도는 근권부 온도 25°C가 30°C보다 더 좋 았다(Fig. 3).

    지상부 생체중과 건물중은 온도 처리 후 29일 대기온도 25°C의 모든 근권부 온도 처리구가 대기온도 20°C의 근권부 처리구 보다 높았다(Table 4). 대기온도 25°C의 경우 근권부 온도가 증가할수록 지상부 생체중 및 건물중의 무게가 증가하 였으며, 근권부 온도 15°C에서 가장 낮았다. Jeong(2018)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건물 생산, 광합성 산물의 전류 등은 온도 요인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고 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서도 근 권부 온도 15°C의 처리구가 동화 산물 전류가 억제되어 지상 부의 생육이 저조한 것으로 생각된다. 지하부 생체중과 건물 중도 온도 처리 29일 후 대기온도 25°C에서 근권부 온도를 30°C로 처리하였을 때 지하부 생체중 및 건물중이 높은 경향 을 보였다(Table 4). 그러나 충실도의 경우 근권부 온도 30°C 보다 25°C가 더 높은 수치를 나타내어 생체중 및 초장의 결 과와는 차이가 있었다(Fig. 3). 이는 근권부 온도 25°C에서 적 당한 호흡량과 증산량의 증가로 지하부 생체중 및 건물중이 가장 높았다는 토마토의 선행 연구결과와 일치하였다(Jang et al., 2015).

    온도 처리 후 29일 째의 묘의 충실도를 Fig. 3에 나타내었 다. 충실도는 값이 높을수록 품질이 우수한 묘라고 할 수 있 다(Lee et al., 2016;Zhang et al., 2003). 충실도는 대기온도 25°C의 모든 근권부 온도 처리구가 대기온도 20°C의 모든 처 리구에 비해 높은 충실도를 나타냈으며, 특히 근권부를 20°C 와 25°C로 조절하였을 때 가장 효과적이었다. 그리고 근권부 온도 15°C 처리구에서는 가장 낮은 충실도를 나타냈다(Fig. 3). 따라서 묘의 품질향상에 효과적인 근권부 온도는 20°C와 25°C인 것으로 생각되며, 근권부 온도 15°C는 묘의 품질을 저 하시키는 온도로 판단된다.

    이상의 모든 결과를 종합해 보면 묘의 생육에는 대기온도 25°C에 근권부 온도를 25°C와 30°C로 조절하였을 때 가장 효 과적이었지만(Table 3, 4), 묘의 충실도를 감안하여 건전묘 생 산에 적합한 조건을 도출한다면(Fig. 3), 근권부를 25°C로 처 리하는 것이 건전묘 생산에 가장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적정 대기온도와 근권부 온도 조절을 통해 생육을 촉진시킬 뿐 아니라 이상기후에 대비한 근권부 온도 조절 기술 개발에 기초 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 그 러나 본 연구는 대기온도를 20°C와 25°C로 제한적으로 처리 한 연구결과로써 이후 저온기와 고온기의 근권부 온도 조절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적 요

    대기온도와 근권부 온도가 파프리카 초기 생육에 미치는 영 향을 구명하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1. 초장은 온도 처리 후 29일에 대기 온도와 근권부 온도 처리구 간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2. 근장, 엽수, 엽면적, 지상부의 생체중, 건물중, 지하부 생 체중 및 건물중은 온도 처리 후 29일에 대기온도 25°C에서 근권부 온도를 25°C와 30°C로 조절하였을 때 가장 좋았다.

    3. 충실도는 대기온도 25°C에서 근권부 온도를 20°C와 25°C로 조절하였을 때 가장 좋았다.

    4. 본 연구 결과는 근권부 온도 조절을 통해 생육을 촉진시 킬 뿐 아니라 과도한 근권부 온도 하강 및 상승을 방지할 수 있는 근권부 온도조절기술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CKNOWLEDGMENTS

    본 결과물은 농림축산식품부 및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농촌 진흥청의 재원으로 농림식품 기술기획평가원과 재단법인 스마 트팜연구개발사업단의 스마트팜-다부처패키지혁신기술개발 사 업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421041-03).

    Figure

    KSIA-35-4-294_F1.gif

    Paprika seedlings were grown at different air temperatures (A, 20°C; C, 25°C) and root zone temperatures(B, root zone temperature at an air temperature of 20°C; D, root zone temperature at an air temperature of 25°C).

    KSIA-35-4-294_F2.gif

    Schematic diagram of the root zone temperature control system at different air temperatures in the greenhouse.

    KSIA-35-4-294_F3.gif

    Comparison of the compactness of paprika seedlings as affected by different air temperatures (A, 20°C; B, 25°C.) and root zone temperatures 29 days after sowing (n = 5). Different letters and bars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p < 0.05.

    KSIA-35-4-294_F4.gif

    The growth of paprika seedlings 29 days after sowing, grown at each air temperature (20°C and 25°C) and root zone temperature (15°C, 20°C, 25°C, and 30°C).

    Table

    Nutrient solution for paprika (the PBG nutrient solution of the Netherlands).

    Plant height, root length, number of leaves, leaf area, shoot and root fresh and dry weight of paprika seedlings as affected by different air temperatures and root zone temperatures at 15 days after treatment (n = 5, R = 3).

    zDifferent letters within columns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i>p</i> < 0.05.

    Plant height, root length, number of leaves, leaf area, shoot and root fresh and dry weight of paprika seedlings as affected by different air temperatures and root zone temperatures at 22 days after treatment (n = 5, R = 3).

    zDifferent letters within columns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i>p</i> < 0.05.

    Plant height, root length, number of leaves, leaf area, shoot and root fresh and dry weight of paprika seedlings as affected by different air temperatures (z, and root zone temperature at 29 days after treatment (n = 5, R = 3).

    zDifferent letters within columns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i>p</i> < 0.05.

    Reference

    1. Ambebe, T.F. , Dang, Q.L. , Li, J. 2009. Low soil temperature inhibits the effect of high nutrient supply on photosynthetic response to elevate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 white birch seedlings. Tree physiol. 30:234-122.
    2. Bai, L. , Deng, H. , Zhang, X. , Yu, X. , Li, Y. 2016. Gibberellin is involved in inhibition of Cucumber growth and nitrogen uptake at suboptimal root-zone temperature. PLOS ONE. 11:e0156188.
    3. Bode Stoltzfus, R.M. , Taber, H.G. , Aiello, A.S. 1998. Effect of increasing root-zone temperature on growth and nutrient uptake by ‘gold star’ muskmelon plants. J. Plant. Nutr. 21:321-328.
    4. Díaz-Pérez, J.C. , Gitaitis, R. , Mandal, B. 2007. Effects of plastic mulches on root zone temperature and on the manifestation of tomato spotted wilt symtoms and yield of tomato. Sci. Hortic. 114:90-95.
    5. Jang, Y. , Mun, B. , Jeong, S.J. , Choi, J.J. , Park, D.K. 2015. The growth of tomato transplants influenced by the air temperatureduring transportation. J Bio-Environ Control. 24:301-307.
    6. Jeong, H.Y. , Choi, I.B. , Ahn, S.H. , Hwang, W.H. , Jeong, J.H. , Lee, H.S. , Yun, J.T. , Choi, K.J. 2018. Evalution of Wheat growth and yield change in high temperature conditons of greenhouse. J. Kor. Soc. Int. Agric. 30:134-144.
    7. Jeong, H.W. , Lee, H.R. , Hwang, H.S. , Kim, E.B. , Hwang, S.J. 2020. Growth suppression of Tomato plug seedlings as affected by material type for brushing stimulation. J. Bio. Environ. Control. 30:313-319.
    8. Ju, S.H. , Lee, B.S. , Kim, E.J. , Go, Y. , Park, J.S. , Na, H. 2023. Effects of the air temperature and root zone temperature in greenhouse on the early growth of Tomatoes. Hortic. Sci. Technol. 41:390-402.
    9. Jung, E.M. , Kim, W.T. , Kim, S.R. , Yun, S.H. 2008. The actual condition and subjects of Paprika in Korea.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p. 3.
    10. Lahti, M. , Aphalo, P.J. , Finer, L. , Ryyppö, A. , Lehto, R. , Mannerkoski, H. 2005. Effects of soil temperature on shoot and root growth and nutrient uptake of 5-year-old Norway spruce seedlings. Tree Physilo. 25:115-122.
    11. Lee, S.H. , Singh, A.P. , Chung, G.C. , Ahn, S.J. , Noh, E.K. , Steudle, E. 2004. Exposure of roots of cucumber(Cucumis sativus) to low temperature severely reduces root pressure, hydraulic conductivity and active transport of nutrients. Physiol. Plant. 120:413-420.
    12. Lee, J.E. , Shin, Y.S. , Do, H.W. , Cheung, J.D. , Kang, Y.H. 2016. Effect of seedling quality and growth after transplanting of Korean melon nursed under LED light sources and intensity. J. Bio-Env. Con. 25:294-301.
    13. Niedziela Jr, C.E. , Kim, S.H. , Nelson, P.V. , De Hertogh, A.A. 2008. Effects of N-P-K deficiency and temperature regime o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Lilium longiflorum ‘Nellie White’ during bulb production under phytotron conditions. Sci. Hortic. 116:430-436.
    14. Noh, M.Y. 1997. Management of root-zone temperature in substrate culture of tomato. Kor. Res. Soc. Protected. Hort. 10:97-105.
    15. Nxawe, S. , Laubscher, C.P. , Ndakidemi, P.A. 2009 Effect of regulated irrigation water temperature on hydroponics production of spinach (Spinacia oleracea L). Afr. J. Agr Res. 4:1442-1446.
    16. Marschner, H. , Kirkby, E.A. , Cakmak, I. 1996. Effect of mineral nutritional status on shoot-root partitioning of photoassimilates and cycling of mineral nutrients. J. Exp. Bot. 47:1255-1263.
    17.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ARFA).2012, greenhouse status and crop production of vegetables (in korean).
    18. Moon, J.H. , Kang, Y.K. , Suh, H.D. 2007. Effect of root-zone cooling on the growth and yield of cucumber at supraoptimal air temperature. Acta Hort. 761:271-274.
    19. Mozafar, A. , Schreiber, P. , Oertli, J.J. 1993. Photoperiod and rootzone temperature: Interacting effects on growth and mineral nutrients of maize. Plant and Soil. 153:71-78.
    20. Mizuno, S. , Muramatsu, Y. , Tateishi, A. , Watanabe, K. , Shinmachi, F. , Koshioka, M. , Kubota, S. 2022. Effects of root-zone cooling with short-day treatment in pot-grown Strawberry (Fragaria ? annassa Duch.) nurseries on flowering and fruit production. Hort. J. 91:1-7.
    21.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2012. Analysis standard for research in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22.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2020. Paprika farming technology guide.
    23. Solfjeld, I. , Johnsen, Ø. 2006. The influence of root-zone temperature on growth of Betula pendula Roth. Trees. 20:320-328.
    24. Zhang, C.H. , Chun, I.J. , Park, Y.C. , Kim, I.S. 2003. Effects of timings and light intensities of supplemental red light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Cucumber and Tomato plug seedlings. J. Bio. Environ. Control. 12:173-179.